어머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머니는 생물학적 의미, 사회적 역할, 그리고 비유적 표현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단어이다. 한국어에서 '어머니'는 신라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아이를 낳고 기르는 여성, 즉 생물학적 어머니는 임신과 출산을 통해 자녀를 양육한다. 하지만 생물학적 어머니 외에도 입양, 대리모, 레즈비언 및 트랜스젠더 부모 등 다양한 형태의 어머니가 존재하며, 사회적 역할 역시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한다. 모성애는 자녀에 대한 본능적인 사랑을 의미하며, 모성 관련 건강 문제, 폭력, 예술 작품, 사회학적 관점, 호르몬, 그리고 비유적 표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머니 - 시부모
시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를 칭하는 의친의 일종으로, 민법상 친족이자 인척에 해당하며, 전통적인 고부 갈등은 현대 사회에서도 결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 어머니 - 산후우울증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나타나는 우울 증상으로, 슬픔, 불안, 피로 등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자해 또는 자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심리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치료한다. - 가족의 구성원 - 사촌
사촌은 부모의 형제자매의 자녀를 의미하며, 아버지의 형제 자녀는 종형제자매, 아버지 자매의 자녀는 고종사촌, 어머니의 형제 자녀는 외사촌, 어머니 자매의 자녀는 이종사촌으로 구분하고, 영미권에서는 차수와 제거 개념을 사용하며, 사촌 간의 결혼은 국가별로 허용 여부가 다르다. - 가족의 구성원 - 아들
아들은 사회, 종교, 문화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단어이며, 과거에는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해 딸보다 더 높은 가치를 부여받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지칭하며, 성씨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파생어, 속어, 대중문화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 가족 - 사촌
사촌은 부모의 형제자매의 자녀를 의미하며, 아버지의 형제 자녀는 종형제자매, 아버지 자매의 자녀는 고종사촌, 어머니의 형제 자녀는 외사촌, 어머니 자매의 자녀는 이종사촌으로 구분하고, 영미권에서는 차수와 제거 개념을 사용하며, 사촌 간의 결혼은 국가별로 허용 여부가 다르다. - 가족 - 아들
아들은 사회, 종교, 문화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단어이며, 과거에는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해 딸보다 더 높은 가치를 부여받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지칭하며, 성씨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파생어, 속어, 대중문화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어머니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여성 부모 |
역할 | 자녀를 낳고 기르는 여성 |
사회적 역할 | 가족과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 담당 |
생물학적 역할 | 난자를 제공하고 임신, 출산, 수유를 담당 |
심리적 역할 | 자녀에게 안정감과 애정을 제공 |
법적 역할 | 자녀 양육에 대한 법적 책임 |
생물학적 측면 | |
임신 | 자녀를 임신하고 출산 |
출산 | 자녀를 낳음 |
수유 | 자녀에게 모유를 수유 |
생식 세포 | 난자를 제공 |
사회적 측면 | |
가족 내 역할 | 자녀 양육의 주요 담당자 |
사회적 기대 | 모성애, 희생 등 사회적 기대를 받음 |
여성의 역할 |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모습 |
양육 방식 | 자녀 양육 방식은 문화와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양함 |
심리적 측면 | |
모성애 | 자녀에 대한 깊은 사랑과 애착 |
심리적 변화 | 임신과 출산을 통해 심리적 변화를 경험 |
자녀와의 관계 |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 |
문화적 측면 | |
문화적 의미 | 각 문화에서 어머니를 바라보는 시각과 역할 다름 |
종교적 의미 | 일부 종교에서 어머니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짐 |
전통적 역할 | 전통 사회에서 어머니는 가정의 중심 역할 |
현대적 역할 | 현대 사회에서 어머니 역할은 변화하고 있음 |
기타 | |
관련 용어 | 모성 어머니날 친모 양모 |
관련 개념 | 출산 가족 양육 애착 |
2. 어원
한국에서 '어머니'라는 단어는 신라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최치원이 지은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의 비문에 阿㜷가 어머니를 가리키는 신라어라고 기록되어 있다.[82]
속담에 아기의 첫마디는 종종 "마" 또는 "맘마"와 같다고 하며, 이러한 소리가 "엄마"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은 거의 모든 언어에서 지속되어 왔다.
영어에서 엄마를 나타내는 친근하거나 구어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다.
- ''Ma''(মা), ''Mata'' (মাতা), ''Amma'' (আম্মা), ''Ammu'' (আম্মু)는 방글라데시, 인도에서 사용된다.
- ''Aama'', ''Mata''는 네팔에서 사용된다.
- ''Mom''과 ''mommy''는 미국,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영국의 웨스트 미들랜즈 지역( 버밍햄 포함)에서 사용된다.
- ''Inay'', ''Nanay'', ''Mama'', ''Ma'', ''Mom'', ''Mommy''는 필리핀에서 사용된다.
- ''Mum''과 ''mummy'', 그리고 ''mama''는 영국, 캐나다,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인도, 파키스탄, 홍콩과 아일랜드에서 사용된다.
- ''Ma'', ''mam'', 그리고 ''mammy''는 네덜란드, 아일랜드, 영국 북부 지역과 웨일스에서 사용되며, 미국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 ''Mama''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영향으로 일본에 수입되었으며, 엄마를 가리키는 비격식적인 용어이다.[59]
다른 많은 언어에서도 비슷한 발음이 사용된다.
- 타밀어에서는 ''Amma'' (அம்மா) 또는 ''Thai'' (தாய்).
- 보도어에서는 ''Bi-ma'' (बिमा).
- ''Maa'', ''aai'', ''amma'', 그리고 ''mata''는 인도의 언어인 아삼어, 벵골어, 힌디어, 마라티어, 타밀어, 텔루구어 등에서 사용된다.
- 스페인어에서는 ''Mamá'', ''mama'', ''ma'', 그리고 ''mami''.
- 폴란드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그리고 슬로바키아어에서는 ''Mama''.
- 중국어에서는 ''Māma'' (妈妈/媽媽).
- 체코어와 우크라이나어에서는 ''Máma''.
- 프랑스어와 페르시아어에서는 ''Maman''.
- 인도네시아어에서는 ''Ma'', ''mama''.
- 아일랜드어에서는 ''Mamaí'', ''mam''.
- 이탈리아어, 아이슬란드어, 라트비아어 그리고 스웨덴어에서는 ''Mamma''.
- 페르시아어에서는 ''Māman'' 또는 ''mādar''.
- 포르투갈어에서는 ''Mamãe'' 또는 ''mãe''.
- 펀자브어에서는 ''Mā̃'' (ਮਾਂ).
- 카슈미르어에서는 ''Mõujì''.
- 오디아어에서는 Maa(ମା), Bou/Bau(ବୋଉ/ବଉ)
- 스와힐리어에서는 ''Mama''.
- 히브리어에서는 ''Em'' (אם).
- 아람어에서는 ''A'ma'' (ܐܡܐ).
- 베트남어에서는 ''Má'' 또는 ''mẹ''.
- 웨일스어에서는 ''Mam''.
- 한국어에서는 ''Eomma'' (엄마, ).
- 티야프어에서는 ''Mma''.
- 많은 남아시아 문화권과 중동에서는 엄마를 ''amma'', ''oma'', ''ammi'' 또는 "ummi", 또는 그 변형으로 부른다.

현대 영어 단어는 중세 영어 ''moder''에서 유래했으며, 고대 영어 ''mōdor'', 원시 게르만어 ''*mōdēr''(동프리지아어 ''muur'', 네덜란드어 ''moeder'', 독일어 ''Mutter'' 참조), 원시 인도-유럽어 ''*méh₂tēr''(아일랜드어 ''máthair'', 토카리아어 A ''mācar'', B ''mācer'', 리투아니아어 ''mótė'' 참조)에서 유래했다. 다른 동족어로는 라틴어 ''māter'', 그리스어 ''μήτηρ'', 공통 슬라브어 ''*mati''(따라서 러시아어 ''мать'' (mat')), 페르시아어 ''مادر'' (madar), 산스크리트어 ''मातृ'' (mātṛ)가 있다.
3. 어머니의 유형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서 생물학적 어머니는 임신한 암컷이 수정란(난자)을 임신했을 때 발생한다. 여성은 배란을 시작한 후 성교를 통해 임신할 수 있으며, 영양 상태가 좋은 소녀의 경우 초경(첫 월경)은 보통 12세 또는 13세경에 시작된다.[5] 수정란은 자라 태아가 되고, 배아로 발달한다. 임신 기간 동안 태아는 여성의 자궁에서 발달하며, 인간의 경우 임신 기간은 약 9개월이다. 그 후 여성은 분만을 경험하고 출산한다. 조산, 만삭 출산 또는 사산과 같이 임신 기간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6]
일반적으로 아기가 태어나면 어머니는 수유 과정을 통해 모유를 생성한다. 어머니의 모유는 유아의 면역 체계에 항체를 제공하며, 신생아가 다른 음식을 먹고 소화할 수 있기 전까지 유일한 영양 공급원이 된다. 6개월 정도부터 다른 음식을 함께 먹이기 시작하며, 나이가 많은 유아와 유아는 다른 음식과 함께 모유 수유를 계속할 수 있다.[6]
자녀가 없는 상태는 무자녀라고 하며, 개인적,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무자녀는 선택에 의한 자발적 무자녀일 수도 있고, 건강 문제나 사회적 상황으로 인한 비자발적일 수도 있다. 모성은 일반적으로 자발적이지만, 강간으로 인한 임신과 같은 강제 임신의 결과일 수도 있다. 원치 않는 모성은 강제 결혼과 아동 결혼을 하는 문화에서 발생한다.
동물학에서, 특히 포유류에서 어미는 인간 어머니와 유사한 많은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한다. 많은 다른 포유류 어미들 또한 인간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비인간 종의 행동과 어미의 역할은 인간과 가장 가까운 종에서 가장 유사하다. 즉, 큰 유인원이 가장 유사하며, 그 다음으로는 더 넓은 범위의 모든 유인원의 상과, 그리고 모든 영장류가 그 뒤를 따른다.
'어머니'라는 단어는 생물학적 부모가 아닌 여성에게도 자주 적용될 수 있는데, 특히 아이를 양육하는 데 있어 주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입양 어머니 또는 새어머니(아이의 아버지의 생물학적으로 관련 없는 파트너)이다.[7] 아이의 주된 어머니 외에 생물학적으로 자신의 아이가 아닌 아이를 돌보는 여성에게는 "대모" 또는 "대모"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다양한 형태의 입양은 인류 문명 이전부터 역사 전반에 걸쳐 행해져 왔다. 20세기에 생겨난 현대적인 입양 제도는 포괄적인 법령과 규정에 의해 관리되는 경향이 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국제 입양이 점점 더 일반화되었다.[7]
미국의 입양은 일반적이며 법적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쉽다(다른 서구 국가에 비해).[8] 2001년에는 12만 7천 건이 넘는 입양으로 미국이 전 세계 입양 총 건수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9]
대리모는 아이를 낳을 수 없는 부부를 위해 다른 여성의 수정란을 품고 아이를 낳는 여성이다. 따라서 대리모는 자신의 생물학적 어머니가 아닌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한다. 대리모는 시험관 수정과 같은 생식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졌다.
모든 시험관 수정을 통해 임신하는 여성이 대리모인 것은 아니다. 대리모는 난자를 제공하는 생물학적 어머니와 아이를 출산할 때까지 임신을 유지하는 임신 대리모(또는 대리모) 모두를 포함한다.
현대의 레즈비언 부모는 이성애 관계에 있었지만 나중에 레즈비언 또는 바이섹슈얼임을 밝힌 여성들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비이성애 관계에 대한 태도 변화가 더 많은 수용을 가져왔기 때문이다.[10][11] 동성애 관계에 있는 레즈비언 여성과 바이섹슈얼 여성이 어머니가 될 가능성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기술 발전으로 인해 증가했다. 이들은 입양, 위탁 양육 또는 시험관 수정을 통해 어머니가 될 수 있다.[10][11]
트랜스젠더 여성은 파트너의 난자를 자신의 정자로 수정하여 배아를 형성함으로써 생물학적 자녀를 가질 수 있다.[12][13] 입양이나 위탁 양육도 다른 형태의 모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입양 기관들은 종종 트랜스젠더 부모와의 협력을 거부하거나 꺼리는 경우가 많다.[14][15] 현재 트랜스젠더 여성이 아이를 임신하여 출산하는 방법은 없다. 그러나 자궁 이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트랜스젠더 여성이 제왕절개를 통해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이 있다.
3. 1. 생물학적 어머니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서 생물학적 어머니는 임신한 암컷이 수정란(난자)을 임신했을 때 발생한다. 여성은 배란을 시작한 후 성교를 통해 임신할 수 있으며, 영양 상태가 좋은 소녀의 경우 초경(첫 월경)은 보통 12세 또는 13세경에 시작된다.[5] 수정란은 자라 태아가 되고, 배아로 발달한다. 임신 기간 동안 태아는 여성의 자궁에서 발달하며, 인간의 경우 임신 기간은 약 9개월이다. 그 후 여성은 분만을 경험하고 출산한다. 조산, 만삭 출산 또는 사산과 같이 임신 기간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6]일반적으로 아기가 태어나면 어머니는 수유 과정을 통해 모유를 생성한다. 어머니의 모유는 유아의 면역 체계에 항체를 제공하며, 신생아가 다른 음식을 먹고 소화할 수 있기 전까지 유일한 영양 공급원이 된다. 6개월 정도부터 다른 음식을 함께 먹이기 시작하며, 나이가 많은 유아와 유아는 다른 음식과 함께 모유 수유를 계속할 수 있다.[6]
자녀가 없는 상태는 무자녀라고 하며, 개인적,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무자녀는 선택에 의한 자발적 무자녀일 수도 있고, 건강 문제나 사회적 상황으로 인한 비자발적일 수도 있다. 모성은 일반적으로 자발적이지만, 강간으로 인한 임신과 같은 강제 임신의 결과일 수도 있다. 원치 않는 모성은 강제 결혼과 아동 결혼을 하는 문화에서 발생한다.
동물학에서, 특히 포유류에서 어미는 인간 어머니와 유사한 많은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한다. 많은 다른 포유류 어미들 또한 인간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비인간 종의 행동과 어미의 역할은 인간과 가장 가까운 종에서 가장 유사하다. 즉, 큰 유인원이 가장 유사하며, 그 다음으로는 더 넓은 범위의 모든 유인원의 상과, 그리고 모든 영장류가 그 뒤를 따른다.
3. 2. 비생물학적 어머니
'어머니'라는 단어는 생물학적 부모가 아닌 여성에게도 자주 적용될 수 있는데, 특히 아이를 양육하는 데 있어 주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입양 어머니 또는 새어머니(아이의 아버지의 생물학적으로 관련 없는 파트너)이다.[7] 아이의 주된 어머니 외에 생물학적으로 자신의 아이가 아닌 아이를 돌보는 여성에게는 "대모" 또는 "대모"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다양한 형태의 입양은 인류 문명 이전부터 역사 전반에 걸쳐 행해져 왔다. 20세기에 생겨난 현대적인 입양 제도는 포괄적인 법령과 규정에 의해 관리되는 경향이 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국제 입양이 점점 더 일반화되었다.[7]
미국의 입양은 일반적이며 법적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쉽다(다른 서구 국가에 비해).[8] 2001년에는 12만 7천 건이 넘는 입양으로 미국이 전 세계 입양 총 건수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9]
3. 3. 대리모
대리모는 아이를 낳을 수 없는 부부를 위해 다른 여성의 수정란을 품고 아이를 낳는 여성이다. 따라서 대리모는 자신의 생물학적 어머니가 아닌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한다. 대리모는 시험관 수정과 같은 생식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졌다.모든 시험관 수정을 통해 임신하는 여성이 대리모인 것은 아니다. 대리모는 난자를 제공하는 생물학적 어머니와 아이를 출산할 때까지 임신을 유지하는 임신 대리모(또는 대리모) 모두를 포함한다.
3. 4. 레즈비언 및 트랜스젠더 어머니
현대의 레즈비언 부모는 이성애 관계에 있었지만 나중에 레즈비언 또는 바이섹슈얼임을 밝힌 여성들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비이성애 관계에 대한 태도 변화가 더 많은 수용을 가져왔기 때문이다.[10][11] 동성애 관계에 있는 레즈비언 여성과 바이섹슈얼 여성이 어머니가 될 가능성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기술 발전으로 인해 증가했다. 이들은 입양, 위탁 양육 또는 시험관 수정을 통해 어머니가 될 수 있다.[10][11]트랜스젠더 여성은 파트너의 난자를 자신의 정자로 수정하여 배아를 형성함으로써 생물학적 자녀를 가질 수 있다.[12][13] 입양이나 위탁 양육도 다른 형태의 모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입양 기관들은 종종 트랜스젠더 부모와의 협력을 거부하거나 꺼리는 경우가 많다.[14][15] 현재 트랜스젠더 여성이 아이를 임신하여 출산하는 방법은 없다. 그러나 자궁 이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트랜스젠더 여성이 제왕절개를 통해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이 있다.
4. 어머니의 역할과 관계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는 임신과 출산을 통해 자식을 낳고 길러 세대 재생산을 한다.[83] 인간의 아이는 미숙한 채로 태어나기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부모의 양육을 필요로 한다.[84] 출산은 여성이 하는 고유한 역할이지만, 양육의 분담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인류학에서는 부모의 양육 역할에 다양한 방식이 있음을 보고한다.[84]
출산과 양육, 그리고 가족 관계에서 어머니의 역할은 생물학적 역할과 사회적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19세기까지 많은 문화에서 여성의 생물학적 차이를 이유로 양육의 책임을 어머니에게 전가하는 일이 당연시되었다.[85] 이마누엘 칸트를 비롯한 18세기와 19세기의 남성 철학자들은 상보적 성 역할 이론으로 모성을 미화하고 숭배하였으나,[86] 여성주의 철학은 신화적인 모성 숭배가 만들어낸 "이상적인 모성"이 오히려 여성에 대한 억압의 근거로 작용하였다고 지적한다.[87]
여성주의는 가부장제를 정점으로 하는 공동체로 가족을 설명하는 기능주의적 묘사가 불평등을 감추기 위한 이데올로기라고 비판한다.[88] 여성주의자들은 가부장제가 미화하는 이상적 모성은 강요된 것으로, 현실에서는 사회 제도가 임신과 출산, 양육, 가사 노동 등을 전적으로 여성에게 떠넘기는 수단이 될 뿐이라고 본다.[89] 현실에서 여성은 출산에 대해 일방적인 압박을 느끼며,[90] 가족 관계 내에서 어머니의 성 역할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회적 갈등 요소이다.[91]
제2세대 여성주의의 출현 이후 여성주의 일각에서는 모성 자체를 거부하는 것 역시 반여성적이라는 비판도 있다.[92] 이들은 모성을 "인간적 모성"과 "가부장적 모성"으로 나누고 가부장제에 의해 이데올로기화된 모성이 아닌 생명, 소통, 평화 등을 기반으로 한 인간적 모성의 실현을 강조한다.[93]
가족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역사 속에서 할머니, 아버지, 할아버지 등의 역할이 새롭게 조명되기도 하고,[84] 최근에는 아버지의 양육 의무가 강조되기도 한다.[94]
어머니와 관련된 사회적 역할은 시간, 문화, 사회 계급에 따라 다양하다.[17] 역사적으로 여성의 역할은 어느 정도 어머니이자 아내로 국한되었으며, 여성은 가정 관리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많은 문화권에서 여성들은 시어머니나 친정어머니와 같은 나이 많은 여성 친척들의 도움을 받아 이러한 일들을 수행했다.[18]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관련하여, 어머니들은 "직업 여성"이 되기보다는 "맘 트랙"을 따르는 경우가 많으며, 전업주부 또는 일하는 어머니가 될 수 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전업 아버지도 증가하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일부 서구 국가에서는 아동 양육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사회적으로 수용되고 있다.[21][22] 20세기에는 여성의 유급 노동 참여도 점점 더 증가했으며, 직장 내 어머니의 권리에는 출산 휴가와 육아 휴가가 포함된다.
어머니의 사회적 역할과 경험은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르다. 어머니들은 아버지보다 자녀에게 동화 및 친교 강화 패턴을 장려할 가능성이 더 높고,[23] 대화에서 자녀의 기여를 인정할 가능성이 더 높다.[27][24][25][26] 어머니가 자녀에게 말하는 방식("마더리스")은 아버지보다 매우 어린 자녀가 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27]
1970년대 이후 시험관 수정으로 인해 "자연적인" 한계를 넘어 임신이 가능해져 윤리적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어머니의 사회적 의미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28][29] 그러나 이는 서구 세계 지역에 크게 편향된 입장이다.
전통적으로, 그리고 오늘날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어머니는 결혼한 여성일 것으로 기대되었으며, 미혼모 출산은 강한 사회적 낙인을 받았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낙인은 어머니뿐만 아니라 자녀에게도 적용되었다. 이는 오늘날 개발도상국 대부분에서 여전히 그러하지만, 많은 서구 국가에서는 상황이 극적으로 바뀌어 미혼모가 훨씬 더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총출산율(TFR)은 국가마다 크게 다르다. 2013년 TFR은 니제르(여성 1명당 7.03명)에서 가장 높고 싱가포르(여성 1명당 0.79명)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추산되었다.[30] 미국의 2013년 TFR은 여성 1명당 2.06명으로 추산되었다.[30] 2011년 첫 출산 평균 연령은 25.6세였으며 출산의 40.7%는 미혼 여성이었다.[31]
간호학에는 "모성간호학"이라는 분야가 있다. 모성간호학에서의 모성이란, "차세대를 낳고 기르는" 여성에게 내재된 생리적·신체적 기능의 특징을 가리키며, 생물학적 특성뿐 아니라 여성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정신적 또는 사회적 특성도 그 개념에 포함한다.
심리학자 하가이 준유(河合隼雄)는 양육에 있어서 전통적인 부모의 역할 차이를 각각 부성적, 모성적이라고 부르며, 부성은 선과 악을 구별하여 지도하는 경향, 모성은 선악의 구별 없이 모든 것을 감싸 안는 경향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여성 = 모성”이라는 인식에서, 경영자로서의 여성이 가진 “모성”을 “모든 사람에게 쏟는 사랑의 힘”으로 적극적으로 인식하여 일에 활용하려는 경영이념이 있다. 남녀의 성차를 자연으로부터 주어진 훌륭한 것으로 생각함으로써, 오히려 사회에서 여성(=모성)의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가정에서는 여성이 스스로 “자녀 양육은 100% 어머니의 책임”이라고 생각함으로써, 오히려 아버지의 지원 하나하나에 진심으로 감사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더 많은 아버지의 지원을 얻고, 아이로부터 존경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64]
5. 모성애
모성애(母性愛)는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본능적인 사랑을 가리키는 말로, 일반적으로 여성이 자녀의 출산 및 성장에 있어서 갖게 되는 사랑을 의미한다.[95][96] 하가이 준유(河合隼雄)는 양육에 있어서 전통적인 부모의 역할 차이를 각각 부성적, 모성적으로 구분하며, 모성은 선악의 구별 없이 모든 것을 감싸 안는 경향이라고 설명한다.
모성애가 박탈되는 환경, 즉 모성애 박탈은 어린아이의 성장기 발달 초기에 어머니 또는 양육자로부터 애정 어린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험은 아이의 애착 형성, 성장 및 지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상황의 긍정적 해결에 불안정한 인식을 야기할 수 있다.[95][96]
역사적으로 어머니와 자녀 사이의 갈등은 종종 발생했으며, 클레오파트라 3세와 프톨레마이오스 10세의 갈등처럼 극단적인 경우에는 살인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현대 사회에서 모친 살해(어머니를 죽이는 행위)와 자식 살해(자녀를 죽이는 행위)는 여전히 제대로 이해되지 못하고 있는 현상이다. 정신병과 정신분열증은 이러한 행위의 일반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42][43] 가정 폭력의 이력이 있는 젊고 빈곤한 어머니가 자식 살해를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된다.[43][44] 8세 이하의 아이의 경우,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자식 살해를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다.[45] 모친 살해는 주로 성인 아들에 의해 저질러진다.[46] 2012년 미국에서는 130건의 모친 살해(인구 100만 명당 0.4건)와 383건의 자식 살해(인구 100만 명당 1.2건)가 발생했다.[47]
최근(2024년 2월 기준)에는 저출산의 영향으로 여성이 자신의 생물학적 '성'을 소중히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65] 그러나 의학 및 동물학적 관점에서 모성에는 개인차가 존재하며,[66] 보편적인 모성을 강조하는 것은 "신체가 보내는 신호에 귀 기울이려고 해도 그런 신호가 전혀 들리지 않는 수유 경험이 없는 유형의 여성"이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임신·출산이 어려운 여성"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67]
6. 어머니와 관련된 건강 문제
세계보건기구는 임산부 사망률의 집계 기준을 "여성이 임신 중에 있거나 출산, 중절, 또는 여타의 이유를 막론하고 임신이 종료 된 뒤 42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로 하고 있다.[97] 세계보건기구에서 집계되는 임산부 사망 건수 가운데 58%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29%는 남아시아에서 일어난다.[98] 세이브 더 칠드런의 2006년 조사에서는 출산 위험률이 가장 높은 곳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가장 안전한 곳으로 스칸디나비아를 꼽았다.[99]
모성 사망은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임신 중이거나 임신 종결 후 42일 이내에 사망한 여성의 사망으로, 임신 기간 및 장소와 관계없이 임신 또는 임신 관리와 관련되거나 악화된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이지만, 우발적이거나 우연한 원인에 의한 사망은 아니다"라고 정의된다.[32] 모성 사망의 약 56%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29%는 남아시아에서 발생한다.[33]
2006년, 세이브 더 칠드런은 세계 각국의 순위를 매겨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이 출산이 가장 안전한 곳인 반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출산이 가장 안전하지 않은 곳이라고 발표했다.[34] 이 연구는 하위 10개국에 속한 어머니는 상위 10개국에 속한 어머니에 비해 임신 또는 출산 중 사망할 가능성이 750배 이상 높고, 하위 10개국에 속한 어머니는 첫 번째 생일을 맞기 전에 자녀가 사망할 가능성이 28배 높다고 주장한다.
가장 최근 데이터는 모성 사망률 측면에서 이탈리아, 스웨덴, 룩셈부르크가 가장 안전한 국가이고, 아프가니스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말라위가 가장 위험한 국가임을 시사한다.[35][36] 효과적인 사망률 감소 대책이 없으면 출산은 위험한 과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가 전혀 취해지지 않을 경우, 모성 사망률은 출생 10만 명당 1,500명의 사망률 규모로 추정된다.[37] 현대 의학은 출산의 위험을 크게 줄였다. 현대 서구 국가의 경우 현재 모성 사망률은 출생 10만 명당 약 10명이다.[38]
7. 어머니와 관련된 폭력
어머니와 자식 사이에는 폭력이 발생하기도 한다. 기원전 101년에 사망한 클레오파트라 3세는 자식 간의 왕위 문제에 개입하였다가 결국 아들에게 살해되었다.[100] 2012년 미국의 살인 사건 집계 가운데 자식이 어머니를 살해한 경우는 130건, 어머니가 자식을 살해한 경우는 383 건이었다.[101] 정신병과 정신분열증은 모친 살해와 자식 살해의 일반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42][43] 가정 폭력의 이력이 있는 젊고 빈곤한 어머니가 자식 살해를 저지를 가능성이 약간 더 높으며,[43][44] 아이가 8세 이하인 경우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자식 살해를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다.[45] 모친 살해는 성인 아들이 가장 자주 저지른다.[46] 한국에서는 서래마을의 외국인 가정에서 일어난 영아살해 사건이 사회적 관심을 받기도 하였다.[102]
8. 예술 작품 속의 어머니
어머니는 오랫동안 예술 작품의 주요 소재였다. 특히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성모 숭배 전통이 있어,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표현한 예술품이 많이 제작되었다.[103] 메리 카사트는 어머니와 자녀가 함께 있는 모습을 자주 그렸으며, 19세기 말 어머니의 초상화로 유명한 화가였다. 4세기 로도스 섬의 무덤 부조에는 아이를 안고 있는 어머니들이 묘사되어 있다.[48] 아이를 안고 있는 어머니를 묘사한 그림은 프랑스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18세기에는 이러한 작품들이 계몽주의 시대의 강한 가족 유대감과 어머니와 자녀 간의 관계에 대한 관심을 구현했다.[49]
막심 고리키의 소설 《어머니》[104]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관점에서 모성을 그린 작품이다.[105] 케테 콜비츠는 전쟁이야말로 자식 잃은 어미의 가장 큰 적이라고 보았고, 모성을 평화의 근간으로 파악하는 작품을 많이 남겼다.[106]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을 통해 전쟁의 덧없음을 그렸다.[107] 나혜석은 《모 된 감상기》에서 자신이 자식을 낳고 기른 경험을 바탕으로 "본능적인 모성"을 부정하였다.[108]
애드리언 리치는 "모성애를 가부장제 제도로서의 모성애와 복잡하고 다양하게 살아온 경험으로서의 모성애 사이의 불일치"를 지적했다.[50] 서구 미술사에서 모성애를 묘사한 작품의 대다수는 남성 예술가가 제작한 것이며, 여성이나 어머니 자신이 제작한 작품은 매우 적으며, 이러한 작품들은 종종 다양한 삶의 경험보다는 "모성애 제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51]
서구 미술에서 모성애 제도는 종종 "모든 것을 사랑하고, 모든 것을 용서하며, 모든 것을 희생하는 어머니의 신화"와 관련된 이상을 통해 묘사된다.[51] 지배적인 예술 작품에 묘사된 어머니들은 주로 백인, 이성애자, 중산층이며 젊거나 매력적이다.[50]
이러한 모성애의 이상은 어머니로서의 경험을 가진 예술가들에 의해 도전받아 왔다. 메리 켈리의 ''출산 후 문서''는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의 어려움, 복잡성, 그리고 일상적인 현실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54] 다른 예술가들은 모성적 모순, 욕망, 자아실현 추구 등을 다루었다.[52] 홀로코스트와 관련된 많은 예술 작품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다른 여성의 홀로코스트 및 홀로코스트 이후 예술은 어머니의 트라우마, 금기, 그리고 2세대와 3세대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의 경험에 더 깊이 관여해 왔다.[55]
현대 미술에서는 캐서린 오피의 자화상 사진과 같이 기존의 성모 마리아 원형을 참조하면서 레즈비언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성에 대한 기존 규범을 뒤집는 등, 다양한 모성애의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50] 르네 콕스의 ''요 마마'' 시리즈의 누드 자화상은 흑인 여성의 신체와 미국에서의 모성애와 노예제에 대한 역사적 표현에 도전한다.[58]
9.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어머니
사회학적 관점에서 어머니의 역할은 시간, 문화, 사회 계급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17] 역사적으로 여성은 어머니이자 아내로서의 역할에 국한되어 가정을 돌보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하도록 기대되었다.[17] 많은 문화권에서는 시어머니나 친정어머니와 같은 나이 많은 여성 친척들이 이러한 역할을 돕기도 했다.[18]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관련하여, 어머니들은 직업 여성보다는 맘 트랙을 따르는 경향이 있으며, 전업주부 또는 일하는 어머니가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업 아버지가 증가하는 추세도 나타나고 있다.[20] 20세기 후반부터 서구 국가에서는 아동 양육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21][22]
어머니들은 아버지보다 자녀에게 동화 및 친교 강화 패턴을 장려하고,[23] 대화에서 자녀의 기여를 더 잘 인정하는 경향이 있다.[27][24][25][26] 어머니가 자녀에게 말하는 방식("마더리스")은 어린 자녀가 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27]
1970년대 이후 시험관 수정과 같은 기술 발전은 임신 가능성을 넓혔지만, 동시에 윤리적 논쟁과 어머니의 사회적 의미에 대한 변화를 가져왔다.[28][29] 전통적으로 어머니는 결혼한 여성일 것으로 기대되었고, 미혼모 출산은 사회적 낙인을 받았으나,[31] 현대에는 많은 서구 국가에서 미혼모가 사회적으로 더 수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엘렌 케이의 영향을 받은 평塚라이테(平塚らいてう), 야마다 와카(山田わか) 등이 모성을 중시하고 국가의 보호를 주장하는 모성보호 논쟁이 있었다. 요사노 아키코(与謝野晶子)는 이에 반대했다. 1979년 채택되어 일본도 1985년에 비준한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에 관한 협약은 "모성의 보호"는 차별로 간주되지 않으며,[68] 임신 또는 육아휴가를 이유로 한 해고를 제재를 가하여 금지하고 있다.[69]
현대 사회에서는 세 살짜리 신화나 아그네스 논쟁과 같이 모성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저출산 현상으로 인해 "여성은 자신의 생물학적 '성'을 더욱 소중히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지만,[65] 모성 본능에는 개인차가 있으며,[66] 보편적인 모성을 강조하는 것은 임신·출산이 어려운 여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다.[67]
10. 어머니와 관련된 호르몬
프로락틴은 주로 뇌하수체에서 생산, 분비되는 펩타이드 호르몬이며, 유선 발육 촉진, 모성 행동 유도가 다양한 동물 종에서 확인되었다.[61] 포유류에는 프로락틴 수용체가 존재하며, 유선 등에서 프로락틴의 정보 전달을 매개한다.[61] 랫트 뇌에서는 임신 후기부터 프로락틴 수용체의 발현량이 증가하고, 이후 수유 기간에는 고수준으로 유지된다.[61] 수유 중에 새끼를 떼어 놓으면 발현 수준은 신속하게 저하되고, 새끼를 돌려놓으면 다시 발현량이 증가한다.[61] 이와 같이 뇌에서 프로락틴 수용체의 발현은 모성 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61] 프로락틴은 여성 특유의 호르몬이 아니고 남성에게도 분비되며, 작용에는 남녀 차이가 있다.[62] 성인 남성의 기준치는 3.6 ~ 16.3ng/ml, 성인 여성의 기준치는 4.1 ~ 28.9ng/ml이다.[62] 남성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면 성욕 감퇴, 발기부전 등의 성 기능 장애, 무정자증 등이 검사 대상이 된다.[62] 한편, 여성은 임신·산욕기 이외의 시기에 어떤 원인에 의해 고프로락틴혈증이 발생하면, 유즙 누출과 함께 배란이 장애되어 무월경이나 불임이 초래된다.[62] 유아가 유두를 빨 때의 자극에 의해 어머니로부터 분비되는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은, 어머니 자신에게 행복감이나 황홀감을 주기 때문에, 애정 호르몬이라고도 불린다.[63]
11. 비유적 표현으로서의 어머니
어떤 사업(타국으로부터의 독립, 종교 활동, 중요한 발명 등)의 창시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여성 또는 무생물을 어머니에 비유하여 “~의 어머니”(또는 성모 등)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왕비나 황후를 “'''국모'''”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자연을 어머니로 의인화한 “어머니 같은 자연”이라는 말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mother from Oxford Dictionaries Online
http://oxforddi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
사전
Define Mother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3]
뉴스
The Birth of a Mother
https://www.nytimes.[...]
2017-05-08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MOTHER
https://www.merriam-[...]
[5]
웹사이트
Early Life Circumstances and Their Impact on Menarche and Menopause
http://www.medscape.[...]
Women's Health
[6]
웹사이트
Your baby's first solid foods
https://www.nhs.uk/c[...]
2017-12-21
[7]
서적
Adoption: A Brief Social and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3-01-28
[8]
뉴스
Why adoption is so easy in America
https://www.telegrap[...]
2007-10-31
[9]
웹사이트
Child Adoption : Trends and Policies
https://www.un.org/e[...]
Un.org
[10]
웹사이트
Lesbian parenting: issues, strengths and challenges
http://find.galegrou[...]
[11]
서적
New Choices, New Families: How Lesbians Decide about Motherhood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Study shows sperm production for transgender women could still be possible
https://www.healtheu[...]
2019-08-05
[13]
웹사이트
Reproductive Options for Transgender Individuals
https://www.yalemedi[...]
[14]
논문
Working With What We've Got: Perceptions of Barriers and Supports Among Small-Metropolitan Same-Sex Adopting Couples
2011-10-01
[15]
논문
Attitudes Toward Same-Gender Adoption and Parenting: An Analysis of Surveys from 16 Countries
https://advancesinso[...]
2014-05-20
[16]
웹사이트
Changing Patterns of Nonmarital Childbearing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cdc.gov/[...]
2009-05-13
[17]
논문
Conceiving and Investigating Motherhood: The Decade's Scholarship
[18]
웹사이트
The Changing Role of Women in North American Mammalogy
http://biology.unm.e[...]
Biology.unm.edu
[19]
웹사이트
Website list
http://www.americanm[...]
[20]
웹사이트
Has childlessness peaked in Europe?
https://www.ined.fr/[...]
[21]
웹사이트
http://pascal.iseg.u[...]
[22]
웹사이트
ucgstp.org
http://www.ucgstp.or[...]
Ucgstp.org
[23]
웹사이트
Gendered differences in parents' encouragement of sibling interaction: implic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personal premise system
http://fla.sagepub.c[...]
Fla.sagepub.com
1990-10-01
[24]
논문
A comparison of mother-father speech in the naturalistic home environment
[25]
논문
Moderators of gender effects on parents' talk to their children: A meta-analysis
[26]
서적
Children's language
Erlbaum
[27]
웹사이트
Fathers' speech to their children: perfect pitch or tin ear?
http://www.thefreeli[...]
Thefreelibrary.com
[28]
웹사이트
Motherhood: Is It Ever Too Late? | Jacob M. Appel
http://www.huffingto[...]
Huffingtonpost.com
2009-08-15
[29]
웹사이트
Getting Pregnant After 50: Risks, Rewards
http://www.huffingto[...]
Huffingtonpost.com
2009-08-17
[30]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31]
웹사이트
FastStats
https://www.cdc.gov/[...]
2021-10-20
[32]
웹사이트
WHO - Maternal mortality ratio (per 100 000 live births)
https://www.who.int/[...]
[33]
웹사이트
Over 99 percent of maternal deaths occur in developing countries
http://data.worldban[...]
[34]
웹사이트
http://www.savethech[...]
[35]
뉴스
Safest Place to Give Birth? Italy
http://www.newser.co[...]
2010-04-14
[36]
뉴스
Maternal mortality: how many women die in childbirth in your country?
https://www.theguard[...]
2010-04-13
[37]
서적
Safe motherhood strategies: a review of the evidence
ITG Press
[38]
서적
Safe motherhood strategies: a review of the evidence
[39]
웹사이트
What The Bible Says About Mother
http://www.mothersda[...]
Mothers Day World
[40]
웹사이트
Religious Obligations of Jewish women
http://judaism.about[...]
About.com
[41]
서적
The Ideal Muslimah: The True Islâmic Personality of the Muslim Woman as Defined in the Qur'ân and Sunnah
http://www.wefound.o[...]
Wisdom Enrichment Foundation, Inc.
[42]
학술지
Parricide: A Comparative Study of Matricide Versus Patricide
http://www.jaapl.org[...]
2007-09
[43]
학술지
An Overview of Filicide
2007-02
[44]
학술지
Child murder by mothers: a critical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and a research agenda.
2005-09
[45]
간행물
Women Offenders
US Department of Justice
1999-02-12
[46]
학술지
Matricide and stepmatricide victims and offenders: an empirical analysis of U.S. arrest data.
2013-03
[47]
웹사이트
Crime in the United States: Murder Circumstances by Relationship, 2012
https://www.fbi.gov/[...]
U.S.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48]
서적
Women, Crime and Punishment in Ancient Law and Society
[49]
서적
Intimate Encounters: Love and Domesticity in Eighteenth-century France
[50]
학술지
Negotiating the Maternal: Motherhood, Feminism, and Art
http://dx.doi.org/10[...]
2013-12
[51]
서적
Reconciling Art and Mothering
Ashgate Publishing Company
[52]
서적
The M Word: Real Mothers in Contemporary Art
Demeter Press
[53]
서적
The myths of motherhood : how culture reinvents the good mother
http://worldcat.org/[...]
Penguin
1995
[54]
웹사이트
Mary Kelly, Post-Partum Document (article)
https://www.khanacad[...]
[55]
학술지
The Expansion and Destruction of the Symbol of the Victimized and Self-Sacrificing Mother in Women's Holocaust Art
http://dx.doi.org/10[...]
2018
[56]
서적
Reconciling Art and Mothering
Ashgate Publishing Company
[57]
웹사이트
The tenderness and tenacity of Black motherhood
https://www.macleans[...]
2021-05-05
[58]
서적
Reconciling Art and Mothering
Ashgate Publishing Company
[59]
뉴스
For Japanese, family names are the worst growing pains
https://www.japantim[...]
2004-10-28
[60]
백과사전
デジタル大辞泉
[61]
웹사이트
日本生理学会
http://www.med.fukuo[...]
[62]
웹사이트
岡山大学医学部
http://www.okayama-u[...]
[63]
웹사이트
妊娠・育児大百科
http://www.sodatsu.c[...]
[64]
서적
21世紀は母性の時代
学習研究社
[65]
서적
オニババ化する女たち
[66]
서적
私たちの行動を決めるもの
http://www.jssp.co.j[...]
学会出版センター
[67]
서적
いまどきの『常識』
[68]
법률
女子に対するあらゆる形態の差別の撤廃に関する条約
[69]
법률
女子差別撤廃条約
[70]
서적
ジェンダーを科学する
[71]
사전
어머니_0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2]
정의
[73]
정의
[74]
사전
어머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5]
웹사이트
부모에 대한 호칭어·지칭어
http://www.korean.go[...]
국립국어원 언어예절
[76]
사전
자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7]
사전
모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8]
사전
어미_0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9]
설명
[80]
참고자료
[81]
뉴스
대리모 허용, 불허하는 국가들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5-12-23
[82]
웹사이트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비문(1)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해석문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83]
웹사이트
Pregnancy: Condition Information
https://www.nichd.ni[...]
NIH
[84]
서적
인간생태보고서: 먹고, 싸우고, 사랑하는 일에 관한 동물학적 관찰기
웅진지식하우스
2010
[85]
서적
두뇌는 평등하다
서해문집
2007
[86]
서적
역사 속의 페미니스트 - 중세에서 1870년까지
평민사
2007
[87]
서적
성역할과 여성 - 여성학 강의
학지사
1997
[88]
서적
새 여성학강의
동녘
1999
[89]
서적
새 여성학강의
동녘
1999
[90]
뉴스
“애 지울 용기없다” 30대 여성 숨진 채 발견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7-01-24
[91]
뉴스
“아들 性교육, 남자인 내가…” 일방적 생각이 양육갈등 불러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6-10-17
[92]
서적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 리더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93]
서적
여성주의 교육학 - 학습리더쉽의 출현과 의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94]
뉴스
저출산 극복, 일·가정 양립이 해법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6-12-22
[95]
웹사이트
모성애 및 모성애박탈
우리말샘
[96]
웹사이트
모성애척도의 구성
http://www.riss.kr/s[...]
부산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RISS
1991
[97]
웹사이트
WHO - Maternal mortality ratio (per 100 000 live births)
http://www.who.int/h[...]
who.int
[98]
웹사이트
Over 99 percent of maternal deaths occur in developing countries
http://data.worldban[...]
worldbank.org
2013-10-02
[99]
웹사이트
State of the World's Mothers Report 2006
https://web.archive.[...]
Save the Children
[100]
웹사이트
Ptolemy X Alexander
http://virtualreligi[...]
[101]
웹사이트
Crime in the United States: Murder Circumstances by Relationship, 2012
https://ucr.fbi.gov/[...]
U.S.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15-07-03
[102]
뉴스
한국의 과학수사 ② 99.99%의 확실성 DNA의 증거능력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6-04
[103]
서적
성배와 잃어버린 장미 - 다빈치 코드의 비밀
루비박스
2004
[104]
서적
어머니
푸른숲주니어
2008
[105]
서적
도이치문학 용어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106]
뉴스
자식 잃은 어머니의 안타까운 절규 ‘전쟁은 이제 그만’
http://woman.donga.c[...]
동아일보
2006-04-04
[107]
서적
색다른 문학사
좋은책만들기
2008
[108]
서적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