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니세이스크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니세이스크 현은 17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존재했던 러시아 제국의 행정 구역이다. 1629년까지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의 일부였으며, 이후 예니세이스크, 크라스노야르스크, 칸스크 등에 요새가 설치되었다. 1708년 표트르 대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시베리아 현에 편입되었고, 1719년 이르쿠츠크 현과 함께 설치되었다. 1822년 미하일 스페란스키의 제안으로 알렉산드르 1세가 예니세이스크 현 설치를 승인, 크라스노야르스크가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9세기에는 오비-예니세이 운하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다수의 러시아인과 시베리아 원주민이 거주했다. 1934년에는 자파드노시비르 지방과 보스토치노시비르 지방으로 분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역사 - 카라수크 문화
    카라수크 문화는 기원전 2300년에서 기원전 700년 사이 시베리아 남부에서 번성한 청동기 시대 문화로, 농업과 목축을 기반으로 움집에서 생활하며, 곡선형 칼과 마구를 특징으로 하는 청동기 제작 기술이 발달했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역사 - 아파나시에보 문화
    아파나시에보 문화는 기원전 3300년경부터 기원전 2500년경까지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준가리아에 이르는 지역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의 고고학 문화로서, 폰토스-카스피 스텝의 얌나야 문화와 유전적으로 가깝고 초기 목축 및 구리, 청동 야금술을 사용했으며 쿠르간 문화와의 연관성을 통해 초기 인도유럽어족과의 관련성이 제기된다.
  • 시베리아의 역사 -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은 16세기 말부터 17세기에 걸쳐 모피 무역을 위해 이루어졌으며, 러시아 차르국은 제국주의적 팽창을 통해 야사크를 징수하고 원주민을 수탈하며 시베리아를 통치했다.
  • 시베리아의 역사 - 아무르 병합
    아무르 병합은 러시아 제국이 17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흑룡강 유역을 병합한 과정으로, 청나라와의 대립,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 그리고 여러 요인들의 작용을 통해 러시아가 극동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태평양으로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한 사건이다.
  • 러시아 제국의 현 - 티플리스현
    티플리스현은 1846년 러시아 제국이 조지아-이메레티 주를 해체하면서 설립된 행정 구역으로,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우예즈드와 오크루그로 재편되었고, 조지아 민주 공화국 존속 후 조지아가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며 해체되어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라이온으로 재편성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사용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현 - 바사주
    바사 주는 1634년에 설립되어 1997년에 폐지된 핀란드의 역사적 행정 구역으로, 오스트로보트니아 주에서 분리되었고 중앙수오미 주가 분리되는 등 변화를 거쳐 서핀란드 주 등으로 통합되었다.
예니세이스크현
일반 정보
일반 명칭크라스노야르스크
유형
국가러시아 제국(1822–1917), 러시아 공화국 및 RSFSR(1917–1925)
수도크라스노야르스크
시작 연도1822년
종료 연도1925년
예니세이스크 현의 문장 1878
예니세이스크 현의 문장, 1878년
러시아 제국 내 예니세이스크 현 (1914)
러시아 제국 내 예니세이스크 현
선행톰스크 현
후행시베리아 지방
면적 (1897년)2,516,930
인구 (1897년)570,161
현재 국가러시아
관련 미디어예니세이스크 현
역사
설립1822년
추가 정보
언어 (러시아어)Енисе́йская губе́рния

2. 역사

예니세이스크현의 역사는 17세기 러시아 제국시베리아 개척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토볼스크를 중심으로 한 광대한 지역의 일부였으나, 18세기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치며 그 지위가 변화했다. 1822년 알렉산드르 1세의 칙령과 미하일 스페란스키의 개혁안에 따라 톰스크현에서 분리되어 공식적으로 설치되었으며, 크라스노야르스크가 행정 중심지로 지정되었다. 이후 1934년 소비에트 연방 시기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될 때까지 동시베리아의 중요한 행정 단위로 기능했다.[13][14][15]

2. 1. 17세기

1629년까지 현재의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영토는 토볼스크 시를 중심으로 한 광대한 지역의 일부였다.[13][14][15] 이후 예니세이스크, 크라스노야르스크, 칸스크 등에 오스트로크(요새)가 세워졌으며, 이 지역들은 톰스크 라즈랴드에 할당되었다.

1676년에는 예니세이스크 오스트로크가 도시 지위를 얻었다. 이에 따라 예니세이강 유역의 모든 정착지와 자바이칼까지 뻗어 있는 우안(右岸) 지역이 예니세이스크의 관할 구역으로 편입되었다.

2. 2. 18세기

1708년 표트르 1세는 국가 행정 효율화를 위해 영토 및 행정 개혁을 단행했다.[13][14][15] 이 개혁으로 러시아 제국 영토는 8개의 현(губерния, 구베르니야)으로 나뉘었으며, 각 현은 주(провинция, 프로빈치야)로, 주는 다시 우예즈드로 구성되었다. 1708년 12월 18일 칙령에 따라 시베리아우랄산맥 일부 지역은 토볼스크를 중심지로 하는 시베리아현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광대한 영토와 부족한 통신 수단으로 인해 시베리아현의 관리는 매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이 필요해졌다. 1719년 시베리아현 내에 뱟카(Вятская), 솔리캄스크(Соликамская), 토볼스크(Тобольская) 3개 주가 설치되었다. 5년 후인 1724년에는 이르쿠츠크현과 예니세이스크를 중심지로 하는 예니세이스크현이 추가로 설립되었다. 당시 예니세이스크현에는 만가제이스키(Мангазейский), 예니세이스키(Енисейский), 크라스노야르스키(Красноярский, 크라스노야르스크), 톰스키(Томский, 톰스크), 쿠즈네츠키(Кузнецкий, 노보쿠즈네츠크), 나림스키(Нарымский, 나림), 케츠키(Кетский) 우예즈드가 속했다.

1764년 예카테리나 2세의 칙령으로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또 다른 행정 개혁이 이루어졌다. 이르쿠츠크현이 두 번째 현으로 신설되었고, 기존의 예니세이스크현은 이 이르쿠츠크현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1775년 예니세이스크현은 폐지되었다. 폐지된 지 약 20년 후, 옛 예니세이스크현에 속했던 우예즈드들은 3개의 현으로 나뉘어 편입되었다. 예니세이스크아친스크토볼스크현으로, 크라스노야르스크콜리반현으로, 나머지는 이르쿠츠크현으로 편입되었다.

1797년에는 예니세이강 유역의 모든 영토가 토볼스크현으로 편입되었다. 이 지역은 1804년까지 토볼스크현에 속했으며, 이후 1822년까지는 톰스크현의 일부가 되었다.[13][14][15]

2. 3. 19세기

1803년 러시아 제국은 행정 관리를 중앙 집중화하기 위해 토볼스크현, 이르쿠츠크현, 톰스크현을 통합하여 이르쿠츠크를 중심지로 하는 시베리아 총독부를 설치했다.

1822년 이 총독부는 폐지되고, 서시베리아 총독부(중심지 토볼스크)와 동시베리아 총독부(중심지 이르쿠츠크)로 나뉘었다.[16] 같은 해 1월 26일(2월 7일), 알렉산드르 1세 황제는 당시 시베리아 영지를 시찰하던 미하일 스페란스키의 행정 개혁안에 따라 "시베리아를 두 개의 총독부로 나누는 것에 관하여"라는 칙령을 내렸다. 이 개혁의 일환으로 7월 22일(8월 3일), 톰스크현에서 분리되어 동시베리아 총독부에 속하는 예니세이스크현이 신설되었다. 새로운 현의 행정 중심지는 크라스노야르스크로 지정되었다.

신설된 예니세이스크현은 크라스노야르스크, 예니세이스크(투루한스크 지역 포함), 아친스크, 미누신스크, 칸스크의 5개 오크루크(округ, 구역)로 구성되었다. 지리적으로는 동시베리아 서부에 위치하여 북위 52°20'에서 77°33', 동경 95°에서 128° 사이에 걸쳐 있었다. 남쪽으로는 청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북쪽으로는 북극해까지 이르렀으며, 서쪽으로는 서시베리아 총독부 및 톰스크현, 동쪽으로는 야쿠츠크주 및 이르쿠츠크현과 접했다. 현의 면적은 2,211,589 베르스타²(약 2517000km2)에 달해, 당시 러시아 제국 내에서 야쿠츠크주 다음으로 넓은 행정 구역이었다.[13][14][15]

1831년 2월 26일, 원로원은 예니세이스크현의 우편 시스템을 정비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크라스노야르스크에 현 우체국이, 예니세이스크아친스크에 우편 원정대가 설치되었고, 칸스크, 미누신스크, 투루한스크에는 우체국이 문을 열었다.

1879년에는 행정 구역 단위인 오크루크가 우예즈드(уезд, 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886년에는 미누신스크 우예즈드에서 우신스키 국경 오크루크(Усинский пограничный округ, 우신스키 변경 지역)가 분리되어 별도의 행정 구역이 되었다.[17][18]

1882년에는 오비강예니세이강을 연결하는 오비-예니세이 운하 건설이 시작되어 1891년에는 소형 선박의 통행이 가능해졌다.[19]



1892년 프랑스인 샤를 바페로(Charles Vapereau)는 베이징에서 파리까지 시베리아를 횡단하며 여행했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사진에서 가져온 삽화가 포함된 여행기를 출판했다.[20][21] 그는 예니세이스크현의 농업 잠재력에 주목하며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예니세이스크 주는 매우 비옥하다; 주지사는 우리에게 미누신스크 구역의 남쪽 200베르스트에서 호밀이 푸드당 5코펙이며, 1889년 수확이 현재 판매되고 있다고 말한다. 단지 경작되고 있다. 하류로 통하는 교통 수단이 있다면, 이 나라는 시베리아의 곡창 지대가 될 것이다. 여기는 팔 곡물이 없지만, 서쪽으로 1,000베르스트에는 부족과 기근이 있으며, 굶주린 농민들은 이주를 강요받고 있다.
— 샤를 바페로, De Pékin à Paris : la Corée, l'Amour et la Sibérie|베이징에서 파리까지: 한국, 아무르, 시베리아fra, "XXII.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 톰스크까지."

2. 4. 20세기

소련의 브치크(ВЦИК)는 1934년 12월 7일 예니세이스크 현을 자파드노시비르 지방과 보스토치노시비르 지방으로 분할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에 속했던 지역은 하카시야 자치주, 타이미르-예벤키 국가 구역, 보고톨스키군, 비릴류스키군, 아친스키군, 나자롭스키군, 우주르스키군, 미누신스키군, 쿠라긴스키군, 카라투스키군, 예르마콥스키군, 우신스키군, 투루한스키군, 예니세이스키군, 카자치노예니세이스키군, 피롭스키군, 보구찬스키군, 케젬스키군, 볼셰무르틴스키군, 타세옙스키군, 수호보짐스키군, 제르진스키군, 아반스키군, 칸스키군, 니즈네인가시스키군, 이르베이스키군, 우야르스키군, 리빈스키군, 만스키군, 노보셀롭스키군, 발라흐틴스키군, 우데레이스키군, 일란스키군, 파르티잔스키군, 세베로예니세이스키군, 크라스노투란스키군과 이가르카시였다.[13][14][15]

3. 행정 구역

예니세이스크 현이 설립되었을 때, 이전 에서 분리된 5개의 오크루크를 포함했다.[33]


  • 크라스노야르스크 오크루크
  • 예니세이스크 오크루크: 폐지된 투루한스크 지방의 영토를 포함했다.
  • 아친스크 오크루크: 크라스노야르스크 군의 서쪽 부분, 예니세이 군의 남서쪽 및 톰스크 군의 북동쪽 일부로 구성되었다.
  • 미누신스크 오크루크: 크라스노야르스크 군의 남부에서 분리되었다.
  • 칸스크 오크루크: 크라스노야르스크 군, 예니세이 군, 일란 볼로스트 및 이르쿠츠크 현의 니즈네우딘스크 군 비류신스크 볼로스트의 일부(칸 강까지)로 구성되었다.


1898년부터 예니세이 현의 오크루크는 다시 으로 불렸다. 19세기 말 예니세이스크 현은 5개의 군과 투루한스크 지방으로 구성되었다. 각 군과 지방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중심지문장면적, 베르스트²인구
(1897년)[34]
볼로스트[35][36]
1아친스크 군아친스크 (6,699명)
아친스크 문장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1785)
51,071.0111,466발라흐틴스카야, 나자로프스카야, 포크롭스카야, 멜레츠카야 이노로드스카야 회의, 키질스카야 스텝 두마, 우주르스카야 볼로스트
2예니세이스크 군예니세이스크 (11,506명)
예니세이스크 문장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1804)
384,303.767,536아누이페로프스카야, 벨스카야, 카자친스카야, 케제므스카야, 마클라코프스카야, 핀추그스카야, 얄란스카야
3칸스크 군칸스크 (7,537명)
칸스크 문장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1855)
70,962.796,202안치르스카야, 이르베이스카야, 리빈스카야, 타세예프스카야, 틴스카야, 우스탸스크카야, 우린스카야, 셸라예프스키 협회
4크라스노야르스크 군크라스노야르스크 (26,699명)
크라스노야르스크 문장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1851)
19,024.099,156보즈네센스카야, 보토이스카야, 잘레데예프스카야, 옐로프스카야, 나흐발스카야, 포고렐스카야, 수호부짐스카야, 차스토스트로프스카야
5미누신스크 군미누신스크 (10,231명)
미누신스크 문장 (1854)
79,571.9182,733아바칸스카야, 아바칸스카야 외국 회의, 아스키즈스카야 스텝 두마, 베이스카야 볼로스트, 에르마콥스카야 볼로스트, 이드린스카야, 쿠라긴스카야, 노보셀로프스카야, 사가이스카야, 테신스카야, 슈셴스카야, 우신스키 국경 오크루크
지방중심지문장면적, 베르스트²인구
(1897년)[34]
행정 구역[35][36]
6투루한스크 지방투루한스크 (212명)
투루한스크 문장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1804)
1,609,824.210,9593개 섹션



예니세이 현의 행정 구역은 1924년까지 기본적으로 변경되지 않았으며, 볼로스트 분할만 변경되었다. 현의 볼로스트 수는 총 35개였고, 투루한스크 지방은 3개의 섹션(사실상 볼로스트)으로 나뉘었다.[4]

4. 인구

1760년대에서 1780년대에 시베리아로의 유형이 널리 퍼졌다. 1820년대에는 유배자들이 미누신스크 주민의 두 번째로 큰 집단을 구성했다. 1863년에는 예니세이스크현에 44,994명의 유배자들이 살았는데, 이는 현 전체 인구의 1/7에 해당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예니세이스크현의 인구 형성은 지속적인 자발적 및 조직적인 이주 과정의 결과로 이루어졌다.[36][37][38] 1897년의 일반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베리아인 - старожилы|스타로질리ru (직역: 구 거주자, 구 정착민)와 나중에 정착민[39] "라세이스키에"로 구성된 러시아어 사용 인구가 우세했고, 시베리아 원주민[6][16][41][42]으로 구성된 이노로드치 인구가 다수를 차지했다.[40]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현에는 570,200명이 거주했으며, 이 중 도시 인구는 62,900명(11.7%)이었다. 종교 구성은 정교회가 93.8%로 가장 많았고, 구교도 2.1%, 가톨릭 1.1%, 유대교 1.1%, 이슬람교 0.8%, 루터교 0.7%가 있었다.

문맹률은 13.7%였다.

1906년 추정 인구는 거의 전적으로 러시아인이었으며, 나머지 약 10%는 사모예드족, 타타르족, 퉁구스족, 야쿠트족, 몽골족, 오스탸크족으로 구성되었다.[5]

5. 지리

동시베리아 서부에 위치했으며, 북위 52°20'에서 77°33', 동경 95°에서 128° 사이에 걸쳐 있었다. 이 지역은 남쪽의 청나라 국경에서 북쪽의 북극해까지 광활하게 펼쳐져 있었다.

관구의 형태는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길게 늘어진 불규칙한 다각형 모양이었다. 남쪽 청나라와의 국경에서 아시아 대륙 최북단인 타이미르 반도 동쪽 끝까지의 최대 길이는 약 2800 베르스타였으며, 서쪽에서 동쪽까지의 최대 너비는 약 1300 베르스타에 달했다.

주요 경계는 다음과 같다.


  • 북쪽: 북극해
  • 북동쪽: 야쿠츠크주의 빌류이스크 지역
  • 동쪽 및 남동쪽: 이르쿠츠크 관구의 키렌스크 및 니즈네우딘스크 지역
  • 남쪽: 청나라
  • 서쪽: 서시베리아 일반 관구
  • 남서쪽 및 서쪽: 톰스크 관구의 쿠즈네츠크, 마린스크, 나림 지역
  • 북서쪽: 토볼스크 관구의 베료조프스크 지역


예니세이스크 관구의 총 면적은 2,211,589 제곱 베르스타로, 당시 러시아 제국 내에서 야쿠츠크주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행정 구역이었다.

6. 문장

1880년 예니세이스크 현의 러시아 제국 공식 문장


예니세이 현의 문장은 1878년 7월 5일 러시아 제국 황제 알렉산드르 2세에 의해 승인되었다. 문장은 "진홍색 방패에, 하늘색 눈과 혀, 검은 발톱을 가진 금색 사자가 오른발에 같은 낫을 들고 있다. 방패는 제국 왕관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성 안드레아 리본으로 연결된 금색 떡갈나무 잎으로 둘러싸여 있다."라고 묘사된다.

문장의 사자는 힘과 용기를 상징한다. 낫과 삽(삽은 원본의 상징 설명에 언급됨)은 주민들의 주요 생업이었던 농업과 광업, 특히 채굴을 나타낸다.

1886년에는 문장학부 산하 문장 부서에서 도시 방패 장식을 제거하는 변화가 있었다.

7. 행정관

이름원어 이름재임 기간
알렉산드르 스테파노프Александр Петрович Степановru1823년1831년
이반 코발레프Иван Гаврилович Ковалевru1831년1835년
바실리 코필로프Василий Иванович Копыловru1835년1845년
바실리 파달카Василий Кириллович Падалкаru1845년1861년
파벨 자먀트닌Павел Николаевич Замятнинru1861년1868년
아폴론 로흐빈츠키Аполлон Давыдович Лохвицкийru1869년1881년
이반 페다셴코Иван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Педашенкоru1882년1889년
레오니트 텔랴콥스키Леонид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Теляковскийru1890년1896년
콘스탄틴 스베틀리츠키Константин Николаевич Светлицкийru1897년1898년
미하일 플레츠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лецru1898년1902년
니콜라이 아이구스토프Николай Алексеевич Айгустовru1903년1905년
빅토르 다비도프Виктор Федорович Давыдовru1905년1906년
알렉산드르 기르스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Гирсru1906년1909년
야코프 볼로곱스키Яков Дмитриевич Бологовскийru1909년1913년
이반 크랍트Иван Иванович Крафтru1913년1914년
야코프 골롤로보프Яков Георгиевич Гололобовru1915년1917년
블라디미르 크루톱스키Владимир Михайлович Крутовскийru1917년1918년
P. 오제르니흐П.Озерныхru1918년
표트르 트로츠키Петр Иванович Троцкийru1918년1919년
이반 자바츠키Иван Абрамович Завадскийru1920년
보리스 슈먀츠키Борис Захарович Шумяцкийru1921년
알렉세예비치 페옥티스트Алексеевич Березовский Феоктистru1921년
레프 골디치Лев Ефимович Гольдичru1921년1923년
파벨 시하노프Павел Иванович Шихановru1923년1925년
파벨 아쿨리누시킨Павел Дмитриевич Акулинушкинru1934년1937년


참조

[1] 웹사이트 Первая всеобщ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1897 г. http://demoscope.ru/[...]
[2] 웹사이트 ЕНИСЕЙСКАЯ ГУБЕРНИЯ •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электронная версия https://bigenc.ru/do[...] 2022-09-07
[3] 웹사이트 ЭСБЕ/Енисейская губерния — Викитека https://ru.wikisourc[...] 2022-09-07
[4] 서적 Енисейская губерния, ее прошлое и настоящее https://books.google[...] Рипол Классик 1892
[5] 간행물
[6] 웹사이트 ГПИБ {{!}} Макаренко А. А. Сибирский народный календарь в этнографическом отношении : Восточная Сибирь. Енисейская губерния. - СПб., 1913. - (Записки имп. рус. геогр. о-ва по отд-нию этнографии; т. XXXVI). http://elib.shpl.ru/[...] 2022-09-13
[7] 웹사이트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законо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Собрание (1649 - 1825) : Том 38 (1822 - 1823). Закон 28.892. О разделении Сибирских Губерний на Западное и Восточное управления https://nlr.ru/e-res[...] 2022-09-07
[8] 웹사이트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законо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Собрание Первое. Том XXXVIII. 28.892. О разделении Сибирских Губерний на Западное и Восточное управления. https://runivers.ru/[...] 2022-09-07
[9] 서적 Eastbound through Siberia: Observations from the Great Northern Expeditio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20-05-05
[10] 서적 Siberia: A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Andrews UK Limited 2012-05-02
[11] 논문 Структура губернского и област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в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в 1822–1917 гг.: принципы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и региональные особенности http://nbpublish.com[...] 2017
[12] 웹사이트 ГПИБ {{!}} [Вып.] 51 : Енисейская губерния. http://elib.shpl.ru/[...] Center. stat. com. Min. internal Affairs 2022-09-07
[13] 웹사이트 Енисейские губернские ведомости https://www.lib.tsu.[...] 2022-09-08
[14] 서적 Енисейская губерния https://www.prlib.ru[...]
[15] 서적 Енисейский округ и его жизнь https://www.prlib.ru[...] Publishing house of the Imperial Russian Geographical Society, under the auspices of V. A. Kokorev
[16] 논문 Переселенцы и инородческое население в Енисейской губернии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XIX – начале XX вв. (на материалах Минусинского и Ачинского округов): проблема взаимоотношений http://nbpublish.com[...] 2018
[17] 웹사이트 ЭСБЕ/Усинский пограничный округ — Викитека https://ru.wikisourc[...] 2022-09-09
[18] 웹사이트 МЭСБЕ/Усинский пограничный округ — Викитека https://ru.wikisourc[...] 2022-09-09
[19] 웹사이트 ЭСБЕ/Обско-Енисейский канал — Викитека https://ru.wikisourc[...] 2022-09-23
[20] 웹사이트 De Pékin à Paris : la Corée, l'Amour et la Sibérie/Texte entier - Wikisource https://fr.wikisourc[...] 2022-09-23
[21] 논문 "De Pékin à Paris : la Corée, l'Amour et la Sibérie" https://catalog.hath[...] 1894
[22] 웹사이트 Енисейский край https://www.lib.tsu.[...] 2022-09-08
[23] 웹사이트 Енисейский край. Ежедневная, внепартийная-прогрессивная, экономико-политическая и литературная газета https://www.lib.tsu.[...] 2022-09-08
[24] 웹사이트 Енисейское слово https://www.lib.tsu.[...] 2022-09-08
[25] 웹사이트 ГПИБ {{!}} Островских П. Е. Север Енисейской губернии в его прошлом и настоящем : (доклад П. Е. Островских в Российском морском союзе 26 мая 1908 г.). - [СПб.], 1909. - (Труды Российского морского союза ; Вып. 3). http://elib.shpl.ru/[...] 2022-09-13
[26] 논문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по истории купечества и коммерции Сибири": возвращенные имена и раскрытые судьбы https://qr.urfu.ru/o[...] 2015
[27] 서적 Through Siberia, the land of the future http://archive.org/d[...] London, W. Heinemann 1914
[28] 서적 The vegetation of the Siberian-Mongolian frontiers (the Sayansk region) http://archive.org/d[...] "[Trondhjem] K. Norske Videnskabers Selskab" 1921
[29] 서적 Til Jeneseis kilder; den Norske Sibirieskspeditions reise, 1914 http://archive.org/d[...] Kristiania J.W. Cappelen 1915
[30] 서적 A summer on the Yenesei (1914) http://archive.org/d[...] London : E. Arnold 1915
[31] 논문 Освоение Сибири: Енисейская (Оксфордская) экспедиция 1914–1915 гг. 2018
[32] 논문 Один год в Сибири: к 100-летию енисейской экспедиции Марии Чаплицкой https://www.academia[...] 2014-01-01
[33] 서적 Записки об Енисейской губернии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1831 года https://www.prlib.ru[...]
[34] 웹사이트 Первая Всеобщ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1897 года.(Губернские итоги). Т.Т.1-89. СПб.: 1903-1905 http://www.demoscope[...] 2022-09-08
[35] 웹사이트 ГПИБ {{!}} Зенченко Т. В. Енисейская губерния. - Полтава http://elib.shpl.ru/[...] 2022-09-12
[36] 웹사이트 ГПИБ {{!}} Енисейская губерния : краткое описание Енисейской губернии для переселенцев и ходоков. http://elib.shpl.ru/[...] 2022-09-12
[37] 웹사이트 ГПИБ: Движение населения в Европейской России. Статистические таблицы ... [по годам]. - СПб., 1890-1916. - (Статистика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http://elib.shpl.ru/[...] 2022-09-13
[38] 웹사이트 ГПИБ {{!}} Обзор Енисейской губернии ... [по годам]. - Красноярск, 1871-1916. http://elib.shpl.ru/[...] 2022-09-13
[39] 서적 Spravochnai͡a knizhka po Eniseĭskomu pereselenchskomu raĭonu na 1912 god https://books.google[...] Izd. Pereselencheskago upravlenīi͡a G. U. Z. i Z. 1912
[40] 웹사이트 Svet Azii. Rasprostranenie khristianstva v Sibiri v svi︠a︡zi s opisaniem byta, nravov, obychaev i religioznykh verovaniĭ inorodt︠s︡ev ėtogo krai︠a︡. https://www.loc.gov/[...] 2022-10-12
[41] 웹사이트 Статистические данные, показывающие племенно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Сибири, язык и роды инородцев (на основании данных специальной раз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а переписи 1897 г.) Т. 2 . Тобольская, Томская и Енисейская губ. Записки императорского Русского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общества по отделению статистики. http://elib.shpl.ru/[...] 2022-09-13
[42] 웹사이트 ГПИБ {{!}} Девель Ф. Д. Рассказы о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то есть о губерниях, Енисейской и Иркутской, об области Приморской и об округах Якутском и Забайкальском : с рисунками и картой Сибири. - М., 1896. http://elib.shpl.ru/[...] 2022-09-13
[43] 서적 Записки об Енисейской губернии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1831 года / составленные статским советником И. Пестовым. https://www.prlib.ru[...] Moscow: Univ. ty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