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항 (울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산항은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어항이다. 신라 시대에는 '간진'으로 불렸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정어리 가공공장이 있었다. 태백산맥으로 인해 동서 간 교류는 적었지만, 남북으로 연결된 국도로 교통이 편리하다. 1992년 기본 시설 계획을 수립하여 1993년부터 개발을 시작, 1996년 항내 매몰 방지 대책을 수립하고 2002년 해안 침식 방지 대책을 수립했다. 2007년 개발 계획 변경 고시에 따라 다양한 어항 시설이 확충되었으며, 광어, 가자미, 방어, 오징어 등 다양한 어종이 어획된다. 주변에는 성류굴, 불영사계곡, 망양정 등 관광 명소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진군의 어항 - 죽변항
죽변항은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에 위치한 동해안의 주요 어항으로, 오징어, 명태, 울진대게 등의 어획으로 유명하며 국방상 중요한 어업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고 항구 주변에는 다양한 관광 명소가 위치해 있다. - 울진군의 어항 - 기성항
기성항은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지방어항으로, 가자미, 숭어, 양미리 등이 잡히는 곳이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남당항 (홍성군)
남당항은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가을에는 대하 축제, 봄에는 새조개 축제가 열려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대변항
대변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이며 멸치젓갈 생산과 미역 양식이 유명하고, 영화 친구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오산항 (울진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산항 |
유형 | 국가어항 |
주소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오산리 |
지정일 | 1999년 3월 1일 |
관리청 |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
시설관리자 | 울진군수 |
위도 | 36.8916262 |
경도 | 129.4164404 |
2. 어항 연혁
오산항은 1992년 기본시설 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1]
2. 1. 울진의 역사
울진은 신라 시대에 '간진'이라 불렸으며, 삼국 통일 이후 김유신 장군에 의해 '울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항구로서의 뚜렷한 기록은 없으나, 정어리 가공공장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2. 2. 오산항 개발
오산항은 위치적으로 태백산맥의 험준한 산세를 끼고 있어 동서 간의 인적, 물적 교류는 드문 편이다. 반면 남북으로는 국도가 이어져 있어 교통이 비교적 원활하다. 이러한 지리적 여건 속에서 오산항은 1992년 기본시설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1993년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 이후 1996년에는 항내 매몰 방지 대책을 수립했으며, 2002년에는 해안 침식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등 지속적인 개발 노력이 이루어졌다.[1]3. 어항 구역
오산항의 어항 구역은 법적으로 지정된 범위로, 다음과 같이 크게 수역(水域)과 육역(陸域)으로 나뉜다.[2][3] 수역은 항구의 바다 쪽 영역을 의미하며, 육역은 항구 시설 등이 위치한 육지 쪽 영역을 포함한다. 각 구역의 구체적인 범위는 관련 법령에 따라 정해져 있다.
3. 1. 수역
오산항의 어항구역 중 수역은 북방파제 바깥쪽 끝 지점에서 북동쪽 45도(N45°E) 방향으로 30m 떨어진 지점을 시작점으로 한다. 이 시작점에서 정동쪽으로 500m 나아간 해상 지점, 그리고 그 지점에서 다시 정남쪽으로 1445m 이동한 해상 지점을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이 남쪽 지점에서 정서쪽으로 육지와 만나는 지점까지 선을 그었을 때, 이 선 안쪽에 있는 공유수면이 오산항의 수역에 해당한다.[2]3. 2. 육역
경상북도 울진군 원남면 오산리 1048-1 외 9필지(상세내역은 생략)[3]4. 개발 계획
2007년 1월 29일 변경 고시된 개발 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4]
시설 | 규모 |
---|---|
북방파제 | 670m |
남방파제 | 465m |
방사제 | 375m |
물양장 | 330m |
호안 | 45m |
선양장 | 30m |
해안 보호공 | 130m |
이안제 | 280m |
준설 | 41200m3 |
5. 주요 어종
오산항을 이용하는 어선들이 주로 잡는 어종으로는 광어, 가자미, 방어, 오징어, 고등어, 꽁치, 문어, 멍게 등이 있다. 이는 오산항이 동해안의 풍부한 어족 자원을 바탕으로 어업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6. 여행 정보
오산항은 싱싱한 해산물과 아름다운 동해 바다의 경관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매력적인 여행지이다. 어민들의 따뜻한 인심과 시원한 파도는 매년 많은 관광객과 스쿠버 다이버들의 발길을 이끌고 있다.[5] 인근에는 성류굴, 불영사계곡, 망양정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6. 1. 해산물
오산항 앞바다에는 다양한 어종이 고루 분포하고 있는데 특히 꽁치는 담백하면서도 싱싱하다. 갓 잡은 생선으로 만들어 먹는 자연산 회 또한 일품이다.[5]6. 2. 주변 관광지
오산항 앞바다에는 꽁치를 비롯한 다양한 어종이 풍부하며, 갓 잡은 생선으로 만든 자연산 회는 맛이 뛰어나다. 어민들의 따뜻한 인심과 동해 바다의 시원한 파도는 매년 많은 관광객과 스쿠버 다이버들의 발길을 이끌고 있다.[5]오산항 인근에는 다음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다.
- 성류굴
- 불영사계곡
- 망양정
참조
[1]
웹사이트
동해어업지도사무소 자료
http://eastship.mifa[...]
[2]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지형도면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3]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육역)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4]
간행물
개발계획변경
해양수산부
2007-01-29
[5]
서적
두바퀴로 네바퀴로
농림수산식품부
20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