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티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세티야는 캅카스 산맥을 경계로 북오세티야와 남오세티야로 나뉘는 지역이다. 북오세티야는 러시아 연방의 공화국이며, 남오세티야는 조지아의 자치주였으나 1993년 독립을 선언하고 실효 지배하며, 2008년 러시아에 의해 승인되었다. 오세티야는 6세기경 오세티야인이 이주해 오면서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17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소련 해체 이후 남오세티야는 조지아와의 분쟁을 겪었으며, 2006년 독립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지지했다.
캅카스 산맥을 경계로 북오세티야와 남오세티야로 나뉘며, 속한 국가도 다르다. 북오세티야는 러시아 연방의 한 공화국으로, 1996년까지 '북오세티야 공화국'으로 불렸다. 남오세티야는 조지아의 자치주였지만, 1993년 독립 선언 후 실효 지배하고 있다. 2008년 러시아가 남오세티야를 승인했다.[1]
2. 지역 구분
2. 1. 북오세티야
캅카스 산맥을 경계로 북오세티야(Цæгат Ирыстон|체가트 이르스톤os, Северная Осетия|세베르나야 오세티야ru)와 남오세티야로 나뉘며, 속한 국가도 다르다.
북오세티야는 러시아 연방의 한 공화국으로, 정식 명칭은 북오세티야-알라니아 공화국이다. 1996년까지는 북오세티야 공화국으로 불렸다.
2. 1. 1. 주요 도시
2. 2. 남오세티야
캅카스 산맥을 경계로 북오세티야(Цæгат Ирыстон|체갓 이리스톤os, Северная Осетия|세베르나야 오세티야ru)와 남오세티야(Хуссар Ирыстон|후사르 이리스톤os, Южная Осетия|유즈나야 오세티야ru)로 나뉘며, 속한 국가도 다르다.남오세티야는 조지아 공화국의 남오세티야 자치주였지만, 1993년 남오세티야 공화국으로 독립 선언을 하고 남오세티야 전역을 실효 지배하에 두었다. 다만, 당시에는 UN 가맹국 중 승인국은 없었다. 그 후, 2008년 8월 26일에 러시아 연방에 의해 승인되었다.
2. 2. 1. 주요 도시
알란과 사르마티아인의 이전 역사에 대해서는 남오세티야의 역사와 북오세티야-알라니아의 역사를 참조하라.
3. 역사
1991년 소련 멸망 이후, 오세티야는 캅카스 산맥을 경계로 북오세티야와 남오세티야로 나뉘었다. 북오세티야는 러시아 연방 소속이고, 남오세티야는 조지아 (조지아 공화국)의 남오세티야 자치주였으나, 1993년 독립을 선언하고 실효 지배하고 있다. 2008년 러시아 연방이 남오세티야를 승인했다.[19]
3. 1. 초기 역사
6세기경, 현재의 오세티야 주변으로 오세티야인이 이주해 왔다. 다만, 당시 오세티야인 거주지는 현재의 오세티야 북동부를 중심으로 한 저지대·구릉지였으며, 중심 도시는 현재 잉구셰티야 공화국의 마가스였다. 13세기에는 몽골 제국의 지배하에 놓였다.
14세기경, 오세티야인은 북쪽의 조치 울루스의 압력에 의해 남하하여 산악 지대에 살게 되었다. 그 후, 오세티야인은 북오세티야에서는 서쪽의 카바르다인, 남오세티야에서는 남쪽의 조지아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러시아 제국의 지배력이 강해지면서 코카서스 일대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1944년, 스탈린에 의해 체첸인과 잉구시인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하고, 체첸-잉구시 자치 공화국이 폐지되었다. 이때 체첸-잉구시 서부가 북오세티야에 편입되었다. 이것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북오세티야의 영역이 된다.
3. 2. 러시아 제국 시대
1774년 오세티야 북부가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1] 1801년에는 남부 지역도 조지아와 함께 러시아에 편입되었다.[1]
3. 3. 소비에트 연방 시대
1922년 소련의 공화국으로서 북부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남부는 자캅카스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분리되었다. 1936년 남부가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1944년 스탈린에 의해 체첸인과 잉구시인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하고, 체첸-잉구시 자치 공화국이 폐지되었다.[3] 이때 체첸-잉구시 서부가 북오세티야에 편입되었다.[3]
3. 4. 현대
러시아의 중재와 유럽 안보 협력 기구의 감시하에 1992년 남오세티야에서 휴전이 시행되었지만, 그루지야-오세티야 분쟁[13]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비록 최근 그루지야 정부가 제안한 평화 계획이 남오세티아인에게 더 큰 자치를 약속하고 분쟁의 정치적 해결에 대한 국제적 참여 확대를 약속했지만, 남오세티야의 분리주의 당국은 독립 또는 러시아 내에 있는 북오세티야와의 통일을 요구하고 있으며, 국제 사회는 이를 그루지야의 일부로 인정하고 압하지야를 포함한다.[14]
2006년 11월 12일, 남오세티아인(대부분 오세티아인)은 그루지야로부터의 지역 독립에 관한 국민투표에 참여했다.[15][16] 투표 결과는 독립 찬성이었으며, 당시 투표 자격이 있는 7만 명의 지역 주민 중 95% 이상이 투표에 참여했다.[17] 당시 사실상 국가의 대통령이었던 에두아르트 코코이티의 연임에 대한 투표도 있었다.
남오세티아에서는 러시아 연방에 합병하고 북오세티야와 통일하자는 제안이 있었다.[18][19]
캅카스 산맥을 경계로 북오세티야(Цæгат Ирыстон|체아가트 이르스톤os, )와 남오세티야(Хуссар Ирыстон|후사르 이르스톤os, )로 나뉘며, 속한 국가도 다르다.
북오세티야는 러시아 연방의 북오세티야-알라니아 공화국(1996년까지의 구칭은 북오세티야 공화국)이다.
남오세티야는 조지아 공화국의 남오세티야 자치주였지만, 1993년 남오세티야 공화국으로 독립 선언을 하고 남오세티야 전역을 실효 지배하에 두었다. 다만, 그 당시에는 UN 가맹국 중 승인국은 없었다. 그 후, 2008년 8월 26일에 러시아 연방에 의해 승인되었다.
1944년, 스탈린에 의해 체첸인과 잉구시인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하고, 체첸-잉구시 자치 공화국이 폐지되었다. 이때 체첸-잉구시 서부가 북오세티야에 편입되었다. 이것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북오세티야의 영역이 된다.
참조
[1]
서적
The Ossetes: Modern-Day Scythians of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
간행물
Appendix B: Map of South Ossetia
2010
[3]
간행물
South Ossetia and Abkhazia: Placing the Conflict in Context
https://www.jstor.or[...]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08
[4]
간행물
Abkhazia and South Ossetia – Russia's Intervention in Georgia (August 2008)
https://www.jstor.or[...]
Konrad Adenauer Stiftung
2008
[5]
간행물
The South Ossetia conflict
https://www.jstor.or[...]
Verlag Barbara Budrich
2022-03-16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s23.postimg.[...]
2017-02-04
[7]
웹사이트
http://s50.radikal.r[...]
[8]
문서
Sokirianskaia
http://pdc.ceu.hu/ar[...]
CEU
[9]
뉴스
South Ossetia profile
https://www.bbc.com/[...]
2020-09-25
[10]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South Ossetia (unrecognized state)
https://www.refworld[...]
2022-03-16
[11]
문서
Helsinki
http://www.gcsp.ch/e[...]
[12]
문서
Ehatipoglu
http://www.obiv.org.[...]
Obiv
[13]
서적
Understanding ethnopolitical conflict : Karabakh, South Ossetia, and Abkhazia wars reconsidered
https://www.worldcat[...]
2013
[14]
서적
Up in flames : humanitarian law violations and civilian victims in the conflict over South Ossetia
https://www.worldcat[...]
Human Rights Watch
2009
[15]
뉴스
Results Due In South Ossetian Referendum
https://www.rferl.or[...]
2012-02-02
[16]
뉴스
Ossetia votes on independence
https://www.aljazeer[...]
2006-11-12
[17]
웹사이트
South Ossetia: Russian, Georgian... independent?
http://www.opendemoc[...]
OpenDemocracy
2008-08-10
[18]
뉴스
South Ossetia says it will seek to join Russia
https://eurasianet.o[...]
Eurasianet
2022-03-31
[19]
뉴스
Вопрос о присоединении Южной Осетии к России будет решаться после выборов в республике
https://www.vedomost[...]
2022-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