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은 1990년 콴타스 항공이 중화민국 노선 운항을 위해 설립한 자회사이다.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 때문에 콴타스 항공이 직접 중화민국에 취항할 수 없었기에, 별도의 회사로 설립되었다. 보잉 747SP 및 보잉 767-300ER 기종을 운용했으며, 1996년 콴타스 항공의 민영화로 인해 운항이 중단되었다. 당시 타이베이와 시드니를 오가는 노선을 운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해체된 항공사 - 이스트 웨스트 항공 (인도)
    1992년 설립된 인도의 민간 항공사인 이스트 웨스트 항공 (인도)은 보잉 737 항공기를 도입하여 빠르게 성장했으나, 전무 이사의 암살 사건과 재정난, 정비 불량, 부정부패 등으로 인해 1996년 운항을 중단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없어진 항공사 - V 오스트레일리아
    V 오스트레일리아는 2006년 설립되어 보잉 777-300ER 기종으로 시드니를 허브 공항으로 하여 국제선을 운항하다가 2011년 버진 블루와 합병된 항공사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없어진 항공사 -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오스트레일리아 항공은 콴타스 항공이 설립하여 관광객을 대상으로 운항하다 콴타스 항공에 합병된 항공사로, 보잉 767-300ER 기종을 전 좌석 이코노미 클래스로 운영했다.
  • 1990년 설립된 항공사 - 퍼시픽 항공
    퍼시픽 항공은 1991년에 설립되어 제트스타 퍼시픽 항공으로 변경되었다가 2020년 베트남 항공에 인수되었으며, 2024년 6월 베트남 항공의 항공기를 임차하여 국내선과 국제선을 운항하고 있다.
  • 1990년 설립된 항공사 - 페가수스 항공
    페가수스 항공은 1990년부터 운항을 시작한 터키의 저비용 항공사로,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의 53개국 148개 노선에 취항하며 성장해왔으나, 데이터 유출 사고 및 러시아 노선 운항 지속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운항 정보
허브 공항시드니
타이베이–타오위안
취항지 수1

2. 역사

1990년 콴타스 항공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 때문에 중화민국에 국제선 노선을 직접 취항할 수 없게 되자, 중화민국 노선 운항을 위해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을 설립했다.[2] 일본 아시아 항공처럼 별도의 회사로 운영되었으며, 영국 아시아 항공이나 KLM 아시아와는 달리 다른 법인으로 운영되었다.

콴타스 항공으로부터 보잉 747SP[6]보잉 767-300ER[7] 항공기를 이전받았다. 이 항공기들은 호주 국기나 캥거루 로고 대신 수직 꼬리 날개에 빨간색 바탕에 두 개의 A를 형상화한 리본 모양의 심볼마크가 그려진 특별한 도색을 사용했다. 초기에는 IATA 코드 '''IM'''을 사용했으나, 1994년에 콴타스의 '''QF'''로 변경했다.[3]

1996년 콴타스 항공이 완전 민영화되면서 대만 노선에 자체적으로 취항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은 운항을 중단했다.[5]

2. 1. 설립 배경

1990년 콴타스 항공중화민국에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기 위해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을 설립했다. 당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때문에 콴타스 항공은 중화인민공화국 노선을 유지하면서 중화민국에 취항할 수 없었다.[2] 영국 아시아 항공, KLM 아시아와 달리,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은 일본 아시아 항공처럼 별도의 회사로 운영되었다.

일부 보잉 747SP[6]보잉 767-300ER[7] 항공기는 콴타스 항공으로부터 이전받았다. 수직 꼬리 날개에는 빨간색 바탕에 두 개의 A를 형상화한 리본 모양의 심볼 마크가 그려져 있었다. 이 항공사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외교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의 항공사가 대만(중화민국)으로 운항하는 것을 반대하여 설립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을 자국에서 분리된 지역으로 간주했다.[2]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은 콴타스에서 임대한 보잉 747SP 2대[3]보잉 767 1대를 운항했으며, 호주 국기나 캥거루 로고 대신 역동적인 리본으로 대체된 수정된 도색을 사용했다. 초기에는 IATA 코드 '''IM'''을 사용했으나, 1994년에 콴타스의 '''QF'''로 변경했다.

1996년 콴타스가 완전 민영화되면서 자체적으로 대만에 취항할 수 있게 되자,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은 운항을 중단했다.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의 항공기는 콴타스 운항에 다시 투입되었다.[5]

2. 2. 운항 기종 및 도색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은 콴타스 항공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문제로 인해 중화민국(대만)에 직접 취항할 수 없게 되자, 1990년에 대만 노선 운항을 위해 설립한 자회사이다. 일본 아시아 항공처럼 별도의 회사로 운영되었으며, 영국 아시아 항공이나 KLM 아시아와는 달리 다른 법인으로 운영되었다.[2]

콴타스 항공으로부터 보잉 747SP[6] 기종과 보잉 767-300ER[7] 기종을 이관받아 운항하였다. 이 항공기들은 오스트레일리아 국기나 캥거루 로고 대신, 수직 꼬리 날개에 빨간색 바탕에 두 개의 A를 형상화한 리본 모양의 심볼마크가 그려진 특별한 도색을 사용했다.[3]

1994년까지는 IATA 코드 'IM'을 사용했으나, 이후 콴타스 항공의 'QF' 코드로 변경하여 운항했다.

1996년 콴타스 항공이 완전 민영화되면서 대만 노선에 자체적으로 취항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은 운항을 중단했다. 이후 해당 항공기들은 콴타스 항공으로 복귀하여 운항되었다.[5]

운항 기종은 다음과 같다.

2. 3. 운항 중단

1996년 콴타스 항공이 민영화되면서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은 운항을 중단하고 소멸되었다.[5] 콴타스가 자체적으로 대만에 취항할 수 있게 되면서,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의 항공기는 콴타스 운항에 다시 투입되었다.[5] 현재 콴타스는 브리즈번 공항에서 에바 항공과 코드쉐어 협정으로 운항하고 있다.

3. 취항지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항공은 중화민국 (대만) 타이베이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를 운항했으며, 필리핀 마닐라를 경유했다.

3. 1. 아시아

국가도시공항비고
필리핀마닐라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경유
중화민국 (대만)타이베이장제스 국제공항


3. 2. 오세아니아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시드니 – 킹스포드 스미스 공항('''거점''')

4. 보유 기종


참조

[1] 웹사이트 Expanding Overseas...and at Home http://www.qantas.co[...] Qantas 2004-05-25
[2] 서적 Taiwan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3] 웹사이트 Australia Asia Airlines Fleet | Airfleets aviation http://www.airfleets[...] Airfleets.net 2013-01-07
[4] 웹사이트 VH-OGA Boeing 767 http://www.aussieair[...] Aussieairliners.org 2013-01-07
[5] 웹사이트 Australia Asia Airlines Fleet Details and History – Planespotters.net Just Aviation https://www.planespo[...] Planespotters.net 2013-01-07
[6] 웹사이트 http://www.airfleets[...]
[7] 웹사이트 http://www.aussieair[...]
[8] 웹사이트 http://www.airlin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