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차키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차키우는 드니프로강 하구에 위치한 우크라이나의 도시로,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의 교차로였다. 고대에는 그리스 식민 도시 알렉토르가 건설되었고, 중세 시대에는 보지아로 불리며 타타르인의 지배를 받았다. 1492년에는 외주-칼레로, 이후 오차키우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을 거치며 전략적 요충지로 부상했다. 현재는 휴양 도시이자 어항으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포격을 받기도 했다.
오차키우라는 이름은 튀르키예 도시의 명칭에서 유래되었다.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로 표기된 후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
오차키우는 드니프로강 하구, 드니프로-부흐 강어귀에 위치해 있다. 도시 북쪽 강둑의 오차키우 곶과 남쪽 강둑의 킨번 사주 사이의 거리는 3.6km에 불과하다. 과거 오차키우 요새와 킨번 요새는 이러한 지리적 특징을 이용하여 드니프로강과 부흐강 입구를 통제하는 역할을 했다.
4월부터 10월까지 약 150일에서 160일 가량 맑은 날씨를 보인다. 이 기간 동안 평균 기온은 25.7°C이다. 특히 6월부터 8월까지의 여름철 평균 기온은 32.6°C까지 오른다. 연중 바람이 강하게 부는 특징이 있으며, 연평균 풍속은 6.5에서 8.4 m/s 사이이다. 따뜻한 시기의 수온은 24°C에서 26°C 정도를 유지한다.
오차키우가 위치한 땅은 고대 시대에 트라키아인과 스키타이인이 거주했으며, 기원전 7세기경 그리스인들이 알렉토르라는 식민 도시를 건설했다. 이후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으나, 잦은 민족 이동으로 쇠퇴하였다. 중세에는 루마니아인들이 '보지아'라고 불렀으며, 몰다비아 공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타타르로부터 해방시키고 요새를 재건했다. 14세기에는 제노바 상인들이 성을 쌓기도 했으나 몰다비아에 의해 탈취되었다.
오늘날 오차키우는 휴양 도시이자 어항이다.
[1]
웹사이트
Очаковская городская громада
https://gromada.info[...]
Портал об'єднаних громад України
2. 지명 유래
3. 지리
4. 기후
5. 역사
1492년 크림 타타르가 도시를 점령하고 '외주-칼레'(드니프로 요새)라고 명명했으며, '카라-케르만'(검은 도시)으로도 불렸다. 이후 오차키우는 전략적 위치 때문에 몰다비아, 자포로지예 시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오스만 제국 간의 각축장이 되었다. 결국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17세기 초 왈라키아의 미하일 용감공이 잠시 점령하기도 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오스만과 타타르의 지배하에서도 루마니아인(몰다비아인)들이 다수 거주하고 있었다.[3]
18세기 러시아-튀르크 전쟁 과정에서 오차키우는 러시아 제국의 주요 공격 목표가 되었다. 여러 차례의 격렬한 오차코프 포위전 끝에 러시아는 도시를 점령했으며, 1792년 야시 조약을 통해 공식적으로 러시아 영토로 편입하고 '오차코프'(Оча́ков|오차코프ru)로 개명했다. 러시아 제국은 이곳을 흑해 북부 연안의 중요 군사 거점으로 삼았다. 크림 전쟁 중 인근 요새가 점령되기도 했으나, 전쟁 후 해안 방어 시설은 재건 및 강화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에도 전략 기지로 활용되었으며, 러시아 혁명 이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영토가 되면서 우크라이나어 명칭이 공식화되었다. 이후 소련의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루마니아에 점령되기도 했다.[7]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는 미콜라이우 라욘에 속해 있다.[8][9]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군의 직접적인 점령은 피했지만, 여러 차례 포격을 받았다.[12]
5. 1. 고대
오차키우가 위치한 땅에는 고대 시대에 트라키아인과 스키타이인이 거주했으며, 이 지역은 대 스키타이의 일부로 알려졌다. 기원전 7세기와 6세기에는 그리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트라키아 해안 근처에 알렉토르라는 상업 식민 도시를 건설했다. 고고학 발굴을 통해 이 지역 근처에 밀레토스인들이 세운 오래된 식민지 폰토스 올비아가 있었음이 밝혀졌으며, 알렉토르 역시 동일한 그리스 원정대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세기, 알렉토르는 로마 식민지가 되어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 지역은 루마니아인의 민족 형성이 이루어진 곳 중 하나였으며, 여러 이주민과 부족들이 거쳐 가는 통과 지점이기도 했다. 잦은 이주로 인해 도시는 점차 쇠퇴하였고, 주민들은 부흐강과 드니프로강 기슭에 세워진 작은 정착지들에서 살아가게 되었다.
5. 2. 오스만 제국 시대
1735년부터 1739년까지 벌어진 오스트리아-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오차키우는 흑해 북부 연안에서 오스만 제국(튀르크) 함대의 중요한 기지로 기능하였다. 1792년에는 파괴된 오스만 제국(튀르크) 요새 부지에 도시가 건설되어 항만 도시로서의 입지가 확립되었다.
5. 3. 러시아 제국 시대
러시아-튀르크 전쟁 (1735-1739) 중, 러시아 제국은 오스만 제국의 오차키우 요새를 흑해 연안 장악의 핵심 거점으로 보고 1737년에 포위 공격을 감행했다. 폰 뮌니히 원수가 이끄는 러시아군은 1737년 7월에 요새를 함락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다음 해에 요새를 포기했고 1739년 조약에 따라 오스만 제국에 반환했다.[2] 이 1737년 포위전은 허구적인 이야기인 뮌히하우젠 남작의 모험담 중 하나의 배경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러시아-튀르크 전쟁 (1768-1774) 중인 1771년 7월 말에서 8월 2일 사이에도 러시아는 다시 오차키우를 포위했으나, 이번에는 점령에 실패했다.
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1792) 기간 동안,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장군이 지휘하는 러시아 육군과 존 폴 존스 제독이 이끄는 해군 부대는 1788년 여름부터 6개월에 걸쳐 다시 오차키우를 포위했다. 1788년 12월, -23°C에 달하는 혹독한 추위 속에서 러시아군은 요새를 공격하여 점령했지만, 이 과정에서 양측 모두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다. 이 포위 공격은 러시아의 시인 가브릴라 데르자빈의 유명한 송시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5] 오차코프 해전 역시 같은 해 7월, 포위전의 일부로 도시 근해에서 벌어졌다. 전쟁이 끝난 후 1792년에 체결된 야시 조약에 따라 오차키우는 공식적으로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러시아는 도시 이름을 '''오차코프'''(Оча́ков|오차코프ru)로 변경했다.
처음에 러시아 제국은 몰다비아, 발라키아 및 기타 루마니아어 사용 지역의 루마니아인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새로운 몰다비아"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루마니아인들은 러시아 제국의 슬라브 정착 정책의 결과로 이 지역에서 소수가 되었다.[6]
오차키우는 러시아 제국에 의해 흑해 북부 연안의 전략적 전초 기지가 되었다. 1735년부터 1739년까지의 오스트리아-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흑해 북안에 있는 튀르크 함대의 중요한 기지가 되었다.
1792년, 파괴된 튀르크 요새 부지에 도시가 건설되어 오차키우의 항만 도시로서의 입지가 확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차키우에 있던 요새는, 바다로부터의 침입을 막기 위한 전략 기지로서 이용되었다.
5. 4. 근현대
1792년, 파괴된 튀르크 요새 부지에 도시가 건설되어 항만 도시로서의 입지가 확립되었다. 이후 러시아 제국은 오차키우를 흑해 북부 연안의 전략적 전초 기지로 삼았다.
크림 전쟁 중에는 오차키우 맞은편의 킨부른 요새가 1855년 10월 17일 킨부른 전투에서 영국-프랑스 함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 요새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연합군 수중에 있었으며, 이 기간 동안 러시아군은 오차키우를 포기하고 요새를 파괴했다. 전쟁 이후 오차키우 주변의 해안 방어 시설이 재건되고 강화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차키우의 요새는 바다로부터의 침입을 막기 위한 전략 기지로 이용되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영토가 되었고, 도시의 우크라이나어 명칭이 공식화되었다. 이후 소련의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했으며, 1928년부터 1937년까지 여러 군사 기지가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추축국의 일원이었던 루마니아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 시기 안톤 골로펜티아는 오차키우에 거주하던 루마니아인 생존자들에 대한 민족학 및 사회학 연구를 수행했는데, 이는 도시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7]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2020년 7월 18일까지 오차키우는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로 분류되었다. 또한 오차키우 라욘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해당 라욘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2020년 7월,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미콜라이우주의 라욘 수가 4개로 줄어들면서 오차키우시는 미콜라이우 라욘에 통합되었다.[8][9]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오차키우는 러시아군에 직접 점령되지는 않았으나 여러 차례 포격을 받았다. 특히 2022년 6월 28일에는 주택가가 포격당해 6세 어린이를 포함한 3명이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했다.[12]
5. 5. 현대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차키우의 요새는 바다로부터의 침입을 막기 위한 전략 기지로 이용되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도시의 우크라이나어 명칭이 공식화되었다. 이후 오차키우는 소련의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으며, 1928년부터 1937년 사이에는 몇몇 군사 기지가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부터 1944년까지는 나치 독일의 동맹국인 루마니아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 시기 안톤 골로펜티아는 오차키우에 거주하던 루마니아인 생존자들에 대한 민족학 및 사회학 연구를 수행했는데, 이는 도시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7]
오늘날 오차키우는 휴양 도시이자 어항이다. 2001년 기준으로 추정 인구는 약 16,900명이며, 군인이 지역 인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도시의 주요 명소로는 15세기에 모스크로 사용되었던 건물이 있다. 이 건물은 1804년에 성 니콜라스 교회로 개조되었고, 1842년에 러시아 양식으로 재건되어 현재 수보로프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오차키우에는 우크라이나 해군의 해양 작전 센터가 위치해 있다. 이 시설은 2010년대 후반 미국군의 지원으로 건설된 여러 건물 중 하나이다.[11][10] 도시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역사-고고학 보존 지역인 "올비아"와 베레잔 섬이 있다. 킨번 반도에는 국립공원 "스뱌토슬라프의 백색 은행"과 흑해 생물권 보존 구역의 일부인 "볼진 숲"이 자리 잡고 있다.
행정적으로 오차키우는 2020년 7월 18일까지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로 분류되었다. 당시 오차키우 라욘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해당 라욘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2020년 7월, 미콜라이우주의 라욘 수를 4개로 줄이는 우크라이나의 행정 개혁에 따라 오차키우시는 미콜라이우 라욘에 통합되었다.[8][9]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오차키우는 직접 러시아군의 점령 하에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지속적인 러시아군의 포격에 노출되었다. 특히 2022년 6월 28일에는 주택가가 포격을 받아 6세 어린이를 포함한 민간인 3명이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했다.[12] 이 해군 기지는 침공 초기 러시아군의 공격 목표가 되기도 했다.[11][10]
6. 명소
이 도시의 주요 명소는 15세기에 모스크로 사용되었던 수보로프 박물관 건물이다. 이 건물은 1804년에 성 니콜라스 교회로 개조되었고 1842년에 러시아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도시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역사-고고학 보존 지역인 "올비아"와 베레잔 섬이 위치해 있다. 킨번 반도에는 국립공원 "스뱌토슬라프의 백색 은행"과 흑해 생물권 보존 구역의 "볼진 숲"이 있다.
7. 갤러리
참조
[2]
EB1911
[3]
웹사이트
Transnistria înainte şi acum - partea I
http://romaniancoins[...]
[4]
서적
A System Of Geography: Or, A New & Accurate Description Of The Earth In all its Empires, Kingdoms and States. Illustrated with History and Topography, And Maps of every Country, Fairly Engraven on Copper, according to the latest Discoveries and Corrections
[5]
웹사이트
Осень во время осады Очакова (Державин) — Викитека
https://ru.wikisourc[...]
[6]
웹사이트
Zaporojia-teritoriu de etnogeneza a poporului român
http://foaienational[...]
[7]
Webarchive
https://web.archive.[...]
2016-03-04
[8]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10-03
[9]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10]
뉴스
Ukraine naval base drew Putin's wrath, then Russian fire
https://www.politico[...]
2023-08-18
[11]
UNIAN
Ukrainian interest. Putin's maneuvers, Waszczykowski’s advice, and Merkel's rating
https://www.unian.in[...]
UNIAN
2022-12-28
[12]
웹사이트
ウクライナ南部の住宅に砲撃、6歳含む3人死亡 ミサイル攻撃も続く
https://www.asahi.co[...]
朝日新聞DIGITAL
2023-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