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코프리스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온코프리스티스는 멸종된 연골어류의 한 속으로, 톱가오리와 유사한 특징을 지녔다. 최대 4.25m까지 자랐으며 톱날 모양의 주둥이를 이용해 먹이를 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아메리카, 뉴질랜드,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스피노사우루스와 연관된 화석도 보고되었다. 현재까지 O. numida, O. dunklei 등이 확인되었으며, 다클라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으로 마스트리히트절까지 생존했음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온코프리스티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Onchopristis |
명명자 | 스트로머, 1917 |
모식종 | Onchopristis numida |
모식종 명명자 | (하우그, 1905) |
속 하위 분류 | 기타 종 |
속 하위 분류 목록 | Onchopristis dunklei McNulty & Slaughter, 1962 |
속 동의어 | Platyspondylus (Haug, 1905) Onychopristis (조던, 1923) (오기) Peyeria (Weiler, 1935) Sechmetia (Werner, 1989) Onchopristes (커크랜드, 1996) (오기) Ochopristis (헌트, Santucci, & Kenworthy, 2006) (오기) |
종 동의어 (O. numida) | Gigantichthys numidus (Haug, 1905) Platyspondylus foureaui (Haug, 1905) Squatina aegyptiaca (Stromer, 1927) Sechmetia aegyptiaca (Stromer, 1927) Peyeria libyca (Weiler, 1935) |
종 동의어 (O. dunklei) | Onchopristis dunklei praecursor (Thurmond, 1971) Sechmetia cruciformis (Werner, 1989)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연골어강 |
상목 | 가오리상목 |
목 | 매가오리목 |
아목 | †스클레로링크스아목 |
과 | †Onchopristidae |
과 권위자 | Villalobos-Segura, Kriwet, Vullo, Stumpf, Ward, & Underwood, 2021 |
생물학적 특징 | |
화석 범위 | 바렘절 - 마스트리흐트절 |
![]() |
2. 특징
온코프리스티스는 톱가오리와 유사하게 생긴 연골어류이지만, 목 수준에서 다르며 매가오리목에 속한다.[24] 이 속을 포함하는 스클레로링크스아목은 영어로 "sawskate(saw=톱, skate=가오리)"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25] 북아메리카와 뉴질랜드, 북아프리카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분리된 주둥이 치상 돌기는 ''Onchopristis''의 가장 흔한 화석이지만, 주둥이, 연골두개, 턱, 구강 치아, 척추, 그리고 피부 치상 돌기도 발견되었다.[1][12] ''Onchopristis''로 잠정적으로 언급된 분리된 어류 척추는, 스피노사우루스의 가능한 표본(MSNM V 4047)의 치아 치조골과 연관되어 있다.[13] 마찬가지로, ''스피노사우루스 이집티아쿠스''의 하악골 조각 MPDM 31은 ''Onchopristis''의 주둥이 치아와 연관되어 있다.[14]
2. 1. 형태
몸길이가 최대 4.25m에 달하고 몸무게가 70kg에서 150kg인 거대한 어류로 톱처럼 생긴 주둥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늘이 달린 이빨이 마치 톱날처럼 죽 늘어서 있다. 이 톱으로 현재의 톱가오리들처럼 담수나 얕은 바다의 바닥을 뒤지다가, 먹이가 감지되면 톱을 강하게 휘저은 뒤 잡아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다른 경상어류와 마찬가지로, 온코프리스티스는 주둥이가 길고, 치상 돌기가 커서 톱가오리와 톱상어와 유사했다. 이 특징은 수렴 진화의 결과이며, 현존하는 가장 가까운 친척은 실제로 가오리이다.[1]
온코프리스티스는 톱가오리와 유사한 연골어류이지만, 톱가오리와는 목 수준에서 다르며, 이 속은 매가오리목에 포함된다[24]。이 속을 포함하는 스클레로링크스아목은 영어로 "sawskate(saw=톱, skate=가오리)"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25]。 근연종에 따르면 전체 길이는 3~4.2m 정도이다.[26]。현생의 톱가오리와 마찬가지로, 눈은 머리 꼭대기에 있으며, 입과 아가미는 몸의 복부에 붙어 있다[31]。톱날 모양의 주둥이는 1~2m의 길이를 갖는다[27]。모식종 ''O. numida''[28](이전에는 ''O. numidus''로 불린 종)에서는 모든 이빨에 1개의 갈고리가 있다. ''O. dunklei''에서는 이빨에 2~5개, 그 아종 ''O. d. praecursor''에서는 2~3개의 갈고리를 갖추고 있다[30]。주둥이는 현생의 일부 연골어류에서 보이는 것처럼 전자기 센서로, 먹이를 탐색하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온코프리스티스는 호수나 하천에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31]。
2. 2. 이빨
톱처럼 생긴 주둥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늘이 달린 이빨이 톱날처럼 늘어서 있다. 모식종 ''O. numida''[28](이전에는 ''O. numidus''로 불린 종)에서는 모든 이빨에 1개의 갈고리가 있다. ''O. dunklei''에서는 이빨에 2~5개, 그 아종 ''O. d. praecursor''에서는 2~3개의 갈고리가 있다.[30] 주둥이는 현생의 일부 연골어류에서 보이는 것처럼 전자기 센서로, 먹이를 탐색하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3. 분류
온코프리스티스는 톱가오리와 유사한 연골어류이지만, 톱가오리와는 목 수준에서 다르며, 이 속은 매가오리목에 포함된다[24]。 스클레로링크스아목은 영어로 "sawskate" (saw=톱, skate=가오리)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25]。 북아메리카와 뉴질랜드, 북아프리카에서 알려져 있다. 근연종에 따르면 전체 길이는 3~4.2미터 정도이다[26]。 현생의 톱가오리와 마찬가지로, 눈은 머리 꼭대기에 있으며, 입과 아가미는 몸의 복부에 붙어 있다[31]。 톱날 모양의 주둥이는 1~2m의 길이를 갖는다[27]。
모식종 ''O. numida''[28] (이전에는 ''O. numidus''로 불린 종)의 모든 이빨에는 1개의 갈고리가 있다. ''O. dunklei''의 이빨에는 2~5개, 그 아종 ''O. d. praecursor''의 이빨에는 2~3개의 갈고리가 있다[30]。 주둥이는 현생의 일부 연골어류에서 보이는 것처럼 전자기 센서로, 먹이를 탐색하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온코프리스티스는 호수나 하천에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31]。
3. 1. 종
온코프리스티스 속에는 2개의 유효한 종이 있다.- ''기가티크티스 numidus''는 1905년 알제리의 대륙 간 삽입층에서 발견된 조각난 주둥이 이빨을 바탕으로 에밀 호그에 의해 명명되었다. 1917년, 에른스트 슈트로머는 새로운 속인 ''온코프리스티스''(''Onchopristis'')를 명명하고, 종의 모식종으로 "''G''". ''numidus''를 지정했다.[2] "''온코프리스티스 누미두스''"(Onchopristis numidus)라는 표기가 흔히 사용되지만, 문법적으로 옳지 않으며, ''O. numida''로 수정되었다.[15] 모식종 ''O. numida''[28]에서는 모든 이빨에 1개의 갈고리가 있다.
- ''Onchopristis dunklei''는 1962년 찰스 맥널티 주니어와 밥 슬로터에 의해 텍사스의 우드바인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명명되었다.[4] ''O. dunklei''에서는 이빨에 2~5개, 그 아종 ''O. d. praecursor''에서는 2~3개의 갈고리를 갖추고 있다.[30] 1971년, 존 서먼드는 아종 ''O. dunklei praecursor''를 명명했지만, 아마도 ''O. dunklei''와 구별되지 않을 것이다.[11][17]
뉴질랜드에서 발견된 주둥이 이빨은 ''오스트랄로프리스티스 위페니''로 재분류되었다.[18][19] 2024년, 이집트의 다클라 지층에서 네 개의 조각난 주둥이 이빨과 1.46m 길이의 매우 큰 ''온코프리스티스'' sp.의 주둥이가 보고되었으며, 이 속의 알려진 화석 범위를 바레미안절-세노마니아절 연령에서 마스트리히트절 연령으로 확장시켰다.[23]
3. 2. 과거 분류

기가티크티스 누미두스( ''G. numidus'')는 1905년 알제리의 대륙 간 삽입층에서 발견된 조각난 주둥이 이빨을 바탕으로 에밀 호그에 의해 명명되었다. 호그는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척추뼈를 기반으로 ''Platyspondylus foureaui''도 명명했다.[3] 이후 완전한 골격 표본을 통해 주둥이 이빨과 척추뼈가 같은 종에 속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1][12] 1917년, 에른스트 슈트로머는 새로운 속인 ''온코프리스티스''(''Onchopristis'')를 명명하고, ''G. numidus''를 모식종으로 지정했다.[2] ''온코프리스티스 누미두스''(''Onchopristis numidus'')라는 표기가 흔히 사용되지만, 문법적으로 옳지 않으며 ''O. numida''로 수정되었다.[15]
이집트의 바하리야 지층에서 발견된 구강 치아는 1927년 슈트로머에 의해 ''스쿠아티나 aegyptiaca''로 명명되었으나, 1989년 크리스타 베르너에 의해 별도의 속인 ''Sechmetia''로 재명명되었다.[10][7] 그러나 완전한 골격 표본을 통해 이 치아들이 ''O. numida''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1][12] 1935년, 빌헬름 바일러는 바하리야 지층에서 발견된 톱가오리의 주둥이 이빨로 추정되는 화석에 대해 ''Peyeria libyca''를 명명했다.[6] 하지만 ''온코프리스티스''의 근연종인 ''이시르히자 미라''의 관련 표본은 ''Peyeria''가 실제로는 ''O. numida''의 피부 이빨임을 보여준다.[16]
텍사스의 우드바인 지층에서 발견된 두 번째 유효 종인 ''Onchopristis dunklei''는 1962년 찰스 맥널티 주니어와 밥 슬로터에 의해 명명되었다.[4] 1971년, 존 서먼드는 아종 ''O. dunklei praecursor''를 명명했지만, ''O. dunklei''와 구별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11][17] 이전에 ''O. d. praecursor''로 언급되었던 뉴질랜드에서 발견된 주둥이 이빨은 현재 별도의 속과 종인 ''오스트랄로프리스티스 위페니''로 재분류되었다.[18][19]
4. 생태
몸길이가 최대 4.25m에 달하고 몸무게가 70~150kg인 거대한 어류로 톱처럼 생긴 주둥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늘이 달린 이빨이 마치 톱날처럼 죽 늘어서 있다. 이 톱으로 현재의 톱가오리들처럼 담수나 얕은 바다의 바닥을 뒤지다가, 먹이가 감지되면 톱을 강하게 휘저은 뒤 잡아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온코프리스티스는 톱가오리와 유사한 연골어류이지만, 톱가오리와는 목 수준에서 다르며, 이 속은 매가오리목에 포함된다[24]。이 속을 포함하는 스클레로링크스아목은 영어로 "sawskate(saw=톱, skate=가오리)"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25]。북아메리카와 뉴질랜드, 북아프리카에서 알려져 있다. 근연종에 따르면 전체 길이는 3~4.2m 정도가 된다[26]。현생의 톱가오리와 마찬가지로, 눈은 머리 꼭대기에 있으며, 입과 아가미는 몸의 복부에 붙어 있다[31]。톱날 모양의 주둥이는 1~2m의 길이를 갖는다[27]。모식종 ''O. numida''[28](이전에는 ''O. numidus''로 불린 종)에서는 모든 이빨에 1개의 갈고리가 있다。''O. dunklei''에서는 이들에 2~5개, 그 아종 ''O. d. praecursor''에서는 2~3개의 갈고리를 갖추고 있다[30]。주둥이는 현생의 일부 연골어류에서 보이는 것처럼 전자기 센서로, 먹이를 탐색하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온코프리스티스는 호수나 하천에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31]。
5. 분포
''온코프리스티스''는 북아메리카, 뉴질랜드, 북아프리카에서 발견된 멸종된 연골어류 속이다.
모식종 ''O. numida''는 1905년 알제리의 대륙 간 삽입층에서 발견된 조각난 주둥이 이빨을 바탕으로 에밀 호그에 의해 명명되었다.[3]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척추뼈는 ''Platyspondylus foureaui''로 명명되었으나,[3] 완전한 골격 표본을 통해 주둥이 이빨과 척추뼈가 같은 종에 속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1][12] 1917년 에른스트 슈트로머는 새로운 속인 ''온코프리스티스''(''Onchopristis'')를 명명하고, ''O. numida''를 모식종으로 지정했다.[2]
이집트 바하리야 지층에서 발견된 구강 치아는 1927년 슈트로머에 의해 ''스쿠아티나 aegyptiaca''로 명명되었으나, 1989년 별도의 속인 ''Sechmetia''로 재명명되었다.[10][7] 그러나 완전한 골격 표본은 이 치아들이 ''O. numida''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1][12] 1935년 빌헬름 바일러는 ''Peyeria libyca''를 명명했지만,[6] ''온코프리스티스''의 근연종인 ''이시르히자 미라''의 관련 표본은 "''Peyeria''"가 실제로 ''O. numida''의 피부 이빨임을 나타낸다.[16]
텍사스 우드바인 지층에서 발견된 두 번째 유효한 종인 ''Onchopristis dunklei''는 1962년 찰스 맥널티 주니어와 밥 슬로터에 의해 명명되었다.[4] ''O. dunklei''는 스페인과 프랑스의 세노마니아절에서도 발견되며, 불완전한 자료를 바탕으로 튀니지의 알비절에서도 발견된다.[1] 1971년 존 서먼드는 아종 ''O. dunklei praecursor''를 명명했지만, 아마도 ''O. dunklei''와 구별되지 않을 것이다.[11][17] 뉴질랜드에서 발견된 주둥이 이빨은 ''오스트랄로프리스티스 위페니''로 재분류되었다.[18][19]
2024년, 이집트 다클라 지층에서 ''온코프리스티스'' sp.의 주둥이가 보고되었으며, 이 속의 알려진 화석 범위를 바레미안절-세노마니아절 연령에서 마스트리히트절 연령으로 확장시켰다.[23]
참조
[1]
논문
The skeletal remains of the euryhaline sclerorhynchoid †''Onchopristis'' (Elasmobranchii) from the 'Mid'-Cretaceous and their palaeontological implications
2021
[2]
논문
Ergebnisse der Forschungreisen Prof. E. Stromers in den Wüsten Ägyptens. II. Wirbeltier-Reste der Baharîje-Stufe (unterstes Cenoman). 4. Die Säge des Pristiden ''Onchopristis numidus'' Haug sp. und über die Sägen der Sägehaie
https://www.zobodat.[...]
1917
[3]
서적
Documents scientifiques de la mission saharienne, mission Foureau-Lamy d'Alger au Congo par le Tchad. Fascicule 3
https://gallica.bnf.[...]
Masson
1905
[4]
논문
A new sawfish from the Woodbine Formation (Cretaceous) of Texas
1962
[5]
논문
A classification of fishes, including families and genera as far known.
1923
[6]
논문
Ergebnisse der Forschungsreisen Prof. E. Stromers in den Wüsten Ägyptens. II. Wirbeltierreste der Baharîje-Stufe (unterstes Cenoman). 16. Neue Untersuchungen an den Fischresten
https://www.zobodat.[...]
1935
[7]
논문
Die Elasmobranchier-Fauna des Gebel Dist Member der Bahariya Formation (Obercenoman) der Oase Bahariya, Ägypten
1989
[8]
논문
Paleontology of the Greenhorn cyclothem (Cretaceous: late Cenomanian to middle Turonian) at Black Mesa, northeastern Arizona
https://www.academia[...]
1996
[9]
논문
A preliminary inventory of fossil fish from National Park Service units
https://www.academia[...]
2006
[10]
논문
Ergebnisse der Forschungsreisen Prof. E. Stromers in den Wüsten Ägyptens. II. Wirbeltierreste der Baharîje-Stufe (unterstes Cenoman). 9. Die Plagiostomen mit einem Anhang über käno- und mesozoische Rückenflossenstacheln von Elasmobranchiern
https://www.zobodat.[...]
1927
[11]
논문
Cartilaginous fishes of the Trinity Group and related rocks (Lower Cretaceous) of north central Texas
http://libres.uncg.e[...]
1971
[12]
서적
1st International Congress on North African Vertebrate Palaeontology. Program & Abstracts
http://www.terre-a-t[...]
2009
[13]
논문
New information on the skull of the enigmatic theropod ''Spinosaurus'', with remarks on its sizes and affinities
[14]
논문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Upper Cretaceous Kem Kem Group of eastern Morocco
[15]
논문
Corrections to the nomenclature of sawskates (Rajiformes, Sclerorhynchoidei)
2021
[16]
논문
Paleobiology of the Late Cretaceous sclerorhynchid sawfish, ''Ischyrhiza mira'' (Elasmobranchii: Rajiformes), from North America based on new anatomical data
2019
[17]
논문
'Borodinopristis schwimmeri'', a new ganopristine sawfish from the upper Blufftown Formation (Campanian) of the Upper Cretaceous of Georgia'
https://www.research[...]
1987
[18]
논문
Records of the northern hemisphere Cretaceous sawfish genus ''Onchopristis'' (order Batoidea) from New Zealand
[19]
논문
Aberrant rostral teeth of the sawfish ''Onchopristis numidus'' from the Kem Kem beds (?early Late Cretaceous) of Morocco and a reappraisal of ''Onchopristis'' in New Zealand
[20]
논문
The Campanian Terlingua local fauna, with a summary of other vertebrates from the Aguja Formation, Trans-Pecos Texas
1992
[21]
서적
At the Top of the Grand Staircase, the Late Cretaceous of Southern Utah
Indiana University Press
[22]
논문
An Upper Cretaceous (middle Campanian) marine chondrichthyan and osteichthyan fauna from the Rattlesnake Mountain sandstone member of the Aguja Formation in West Texas
[23]
논문
The first described ''Onchopristis'' Stromer, 1917, (Elasmobranchii: †Onchopristidae) from the Marine Maastrichtian of Dakhla Formation, Western Desert, Egypt
[24]
논문
The first three-dimensional fossils of Cretaceous sclerorhynchid sawfish: Asflapristis cristadentis gen. et sp. nov., and implications for the phylogenetic relations of the Sclerorhynchoidei (Chondrichthyes)
https://doi.org/10.1[...]
2019-11-02
[25]
웹사이트
Spinosaurus had penguin-like bones, a sign of hunting underwater
https://www.national[...]
2022-03-23
[26]
논문
The skeletal remains of the euryhaline sclerorhynchoid †Onchopristis (Elasmobranchii) from the ‘Mid’-Cretaceous and their palaeontological implications
https://doi.org/10.1[...]
2021-10-01
[27]
웹사이트
This huge ancient sawfish had harpoons on its face
https://www.earthtou[...]
2021-08-14
[28]
논문
Corrections to the nomenclature of sawskates (Rajiformes, Sclerorhynchoidei)
https://www.mapress.[...]
2021-09-28
[29]
논문
Ergebnisse der Forschungsreisen Prof. E. Stromers in den Wüsten Ägyptens: Wirbeltier-Reste der Baharije-Stufe (unterstes Cenoman)
[30]
논문
Records of the northern hemisphere Cretaceous Sawfish genus ''Onchopristis'' (order batoidea) from New Zealand
http://www.tandfonli[...]
[31]
서적
Planet Dinosaur: The Next Generation of Killer Giants
Firefly Books
[32]
서적
1st International Congress on North African Vertebrate Palaeontology. Program & Abstracts
http://www.terre-a-t[...]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