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보르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보르 대학교(Aalborg University, AAU)는 1974년 덴마크 올보르에 설립된 공립 대학교이다. 5개의 학부와 3개의 캠퍼스(올보르, 에스비에르, 코펜하겐)를 운영하며, 학제 간 연구와 문제 기반 학습(올보르 모델)을 특징으로 한다. 헬스 기술, 무선 통신, 에너지,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ECIU(유럽 혁신 대학교 컨소시엄) 회원으로 국제 협력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대학교 - 코펜하겐 대학교
    코펜하겐 대학교는 1479년 덴마크 크리스티안 1세에 의해 설립된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며,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으로 폐쇄되었다가 재건된 후 학위 시험 제도 도입, 학부 개편 등을 거쳐 성장하여, 현재 6개의 학부와 4개의 캠퍼스를 운영하며, 국제 연구 대학 연합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덴마크의 대학교 - 오르후스 대학교
    오르후스 대학교는 1928년에 설립된 덴마크의 공립 종합대학교로서, 5개의 학부 체제를 갖추고 다양한 연구 시설을 운영하며 국제 협력 및 교류를 통해 저명인사를 배출하고 학생 활동을 지원한다.
  • 1974년 개교 - 서울프랑스학교
    서울프랑스학교는 1974년 개교하여 1985년 서초구 서래마을로 이전했으며, 프랑스 문화가 짙게 남아있는 지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했다.
  • 1974년 개교 - 낙동고등학교
    낙동고등학교는 1974년에 개교하여 1980년 교사를 이전하고 1996년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으며, 2010년 자율형 공립고로 지정되었다.
올보르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올보르 대학교 로고
올보르 대학교 로고
본래 이름Aalborg Universitet (AAU)
표어Ad nye veje (덴마크어), Viis Novis (라틴어)
표어 (번역)새로운 길
설립일1974년
종류공립 대학교
예산3,092,985,000 DKK (2021년)
총장페르 미카엘 요한센
이사회 의장안드레 로가체프스키
교직원 수 (정규직 환산)2,346 FTE (2021년)
행정 직원 수 (정규직 환산)1,303 FTE (2021년)
학생 수19,410명 (2021년)
박사 과정 학생 수820명 (2021년)
위치올보르
북유틀란트 지역
국가덴마크
좌표57.015000° N, 9.985000° E
캠퍼스올보르, 에스비에르, 코펜하겐
소속ECIU, ENTREE, CESAER
색상AAU 파란색 및 흰색
웹사이트올보르 대학교
관련 템플릿
대학 관련 스텁P:교육/PJ대학
덴마크 관련 스텁프로젝트:북유럽/Portal:유럽

2. 역사

올보르 대학교 설립 논의는 1960년대 북유틀란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1970년 폴케팅(덴마크 의회)에서 대학 설립 법안이 통과되었고, 1974년 9월 1일 마르그레테 2세 덴마크 여왕에 의해 올보르 대학교 센터(AUC)로 공식 개교했다. 개교 초기에는 위스콘신 대학교-그린베이와 같은 해외 대학과의 교류를 시작했으며, 대학 인근에 지식 단지가 설립되기도 했다.

1994년에는 대학 명칭을 현재의 올보르 대학교(AAU)로 변경했다. 이후 에스비에르 공과대학(1995년), 코펜하겐 공과대학(2003년)과의 합병 및 협력을 통해 각각 올보르 대학교 - 에스비에르와 올보르 대학교 코펜하겐 캠퍼스를 설립하며 규모를 확장했다. 2007년에는 덴마크 건축 연구소와 합병했으며, 2010년에는 의과대학을 신설하여 교육 및 연구 분야를 넓혔다.[2]

2. 1. 설립 배경 (1960년대 ~ 1970년대 초)

올보르 대학교 설립에 대한 논의는 1961년 북유틀란 지역(North Jutland Region) 고등 교육 기관 위원회가 구성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1969년 8월 19일, 올보르 대학교 협회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에이길 하스트럽(Eigil Hastrup)을 위원장으로 하는 기획 그룹이 조직되어 구체적인 설립 준비에 착수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북유틀란 지역 주민 약 1,000명이 폴케팅(덴마크 의회) 앞에서 대학 설립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970년, 덴마크 의회는 올보르에 대학교 센터를 설립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1972년에는 스웨덴 출신의 역사학자이자 교수인 요르겐 바이불(Jörgen Weibull)이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마침내 1974년 9월 1일, 마르그레테 2세 덴마크 여왕이 참석한 가운데 올보르 대학교 센터(Aalborg University Centre, AUC)가 공식적으로 개교하였다.

2. 2. 초기 발전 (1974년 ~ 1990년대)

올보르 대학교 설립 아이디어는 1961년 북유틀란 지역 고등 교육 기관 위원회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 1969년 올보르 대학교 협회가 설립되었고, 에이길 하스트럽(Eigil Hastrup)을 위원장으로 하는 기획 그룹이 결성되었다. 같은 해 12월, 약 1,000명의 지역 주민들이 폴케팅 앞에서 대학 설립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1970년에는 올보르에 대학 센터를 설립하는 법안이 덴마크 의회를 통과했다. 1972년 스웨덴의 역사학자 요르겐 바이불(Jörgen Weibull)이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974년 9월 1일, 마르그레테 2세 덴마크 여왕에 의해 올보르 대학교 센터(Aalborg Universitetscenter, AUC)가 공식적으로 개교했다. 1976년에는 스벤 카스퍼슨(Sven Caspersen)이 요르겐 바이불의 뒤를 이어 2대 총장이 되었고, 대학 평의회(Konsistorium) 아래 새로운 관리 조직이 설립되었다. 1980년에는 위스콘신 대학교-그린베이와 첫 공식 협력 협정을 체결하며 국제 교류의 발판을 마련했다. 1989년에는 대학 인근에 북유틀란 지식 단지(NOVI)가 설립되어 산학 협력의 기반을 다졌다.

1993년에는 외부 인사가 대학 평의회에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1994년에는 공식 명칭을 올보르 대학교 센터(AUC)에서 현재의 올보르 대학교(Aalborg University, AAU)로 변경했다. 1995년에는 에스비에르 공과대학과의 합병을 통해 올보르 대학교 - 에스비에르 캠퍼스를 설립했다. 1998년에는 NOVI 과학 단지가 올보르 대학교와 공식적으로 연계되었다.[2]

2. 3. 명칭 변경 및 확장 (1994년 ~ 현재)

1994년, 올보르 대학교 센터(AUC)는 현재의 명칭인 올보르 대학교(AAU)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듬해인 1995년에는 에스비에르 공과대학과의 합병을 통해 올보르 대학교 - 에스비에르가 설립되었다. 1998년에는 NOVI 과학 단지가 올보르 대학교와 연결되었다.

2003년에는 코펜하겐 공과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올보르 대학교 코펜하겐이 설립되었다. 2004년 2월 1일에는 새로운 대학교 이사회가 구성되었고, 요르겐 외스터가르드(Jørgen Østergaardda)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2005년에는 핀 키에르스담이 대학교 이사회에 의해 총장으로 고용되었다.

2007년에는 올보르 대학교와 덴마크 건축 연구소가 합병했다. 2010년에는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의학 교육 과정을 개설하며 교육 분야를 확장했다. 2014년에는 페르 미하엘 요한센이 대학교 이사회에 의해 총장으로 임명되었다.[2]

3. 역대 총장 목록

올보르 대학교는 1974년 설립 이후 총 다섯 명의 총장이 재임하였다.

기간이름연구 분야
1974–1976요르겐 바이불역사
1976–2004스벤 카스퍼센경제학
2004–2005요르겐 외스테르고르공학
2005–2014핀 키에르스담측량학 및 도시 계획
2014–현재페르 미카엘 요한센공학물리학


4. 교육 및 연구 특징

올보르 대학교는 기존의 전통적인 덴마크 대학들과는 차별화되는 특징으로 학제 간, 학부 간 연구에 중점을 둔다.[1] 교육 방식에 있어서도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하는 독특한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국제적으로 '올보르 모델'로 알려져 있으며 문제 기반 학습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1] 이러한 교육 및 연구 특징은 국제적으로도 주목받고 있으며, 문제 기반 학습 분야에서 유네스코 의자로 지정되기도 하였다.[1]

4. 1. 올보르 모델 (문제 기반 학습)

올보르 대학교는 다른 오래되고 전통적인 덴마크 대학들과 달리 학제 간, 학부 간 연구에 중점을 둔다는 특징이 있다. 교육 과정 역시 실험적인 학제 간 기초 과정을 바탕으로 하며, 이후 전문화 과정에서는 교육 및 연구와 관련된 문제 중심의 실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국제적으로 올보르 모델(Aalborg Modeleng)로 알려져 있으며 널리 인정받고 있다.

이 문제 기반 프로젝트 중심 모델을 통해 올보르 대학교의 학기는 학생들이 그룹으로 함께 작업하면서 복잡한 실제 문제들에 대해 과학적인 방식으로 해답을 찾으려고 시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2007년 2월, 문제 기반 학습을 위한 UICEE 센터(UCPBL)의 설립은 올보르 대학교의 이러한 교육 방식을 인정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이후 올보르 대학교가 문제 기반 학습 분야에서 유네스코 의자(UNESCO Chair)로 임명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4. 2. 학부 및 학과 구성

올보르 대학교는 다음과 같은 여러 학과를 가진 5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11][12]

  • '''인문학부'''
  • * 커뮤니케이션 및 심리학과
  • * 문화 및 학습학과
  • '''사회과학부'''
  • * AAU 경영대학원
  • * 법학과
  • * 정치 및 사회학과
  • * 사회학 및 사회사업학과
  • '''IT 및 디자인 기술 학부'''
  • * 전자 시스템학과
  • * 컴퓨터 과학과
  • * 건축, 디자인 및 미디어 기술학과
  • * 계획학과
  • '''공학 및 과학 학부'''
  • * 건축 환경학과
  • * 재료 및 생산학과
  • * 화학 및 생명과학과
  • * 수학 과학과
  • * 에너지학과
  • '''의학부'''
  • * 보건 과학 기술학과
  • * 임상 의학과

4. 3. 주요 연구 분야

올보르 대학교는 모든 학부 내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특히 헬스 기술, 무선 통신, 에너지, 컴퓨터 과학, 혁신 경제학, 비교 복지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성과를 보인다.

국제적인 연구 협력도 활발히 진행하며, 인도 비를라 공과대학, 인도네시아 반둥 공과대학교, 이탈리아 로마 대학교에 통신 센터를 설립했다. 또한 중국 시안 교통대학교에는 헬스 기술 연구 센터를 설립했다.

큐브위성 기술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 첫 번째 올보르 대학교 큐브위성은 2003년 6월 30일에 발사되었고, 두 번째 위성인 AAUSAT-II는 2008년 4월 28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세 번째 위성 AAUSAT3는 2013년 1분기 발사를 예정했으며, 이후 네 번째 큐브위성 개발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올보르 대학교는 다양한 과학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학제 간 연구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5개의 학제 간 중점 연구 분야를 가지고 있다.

  • 지속 가능한 에너지, 환경 및 건설
  • 글로벌 생산, 혁신, 지식 개발 및 연결성
  • 정보 기술
  • 나노 기술 및 나노 생산
  • 경험 기술 및 디자인

4. 4. 학제간 연구 중점 분야

올보르 대학교는 여러 과학 분야의 기여를 필요로 하는 학제 간 문제 해결 접근 방식을 채택해 왔다. 올보르 대학교는 다음과 같은 5개의 학제 간 중점 분야를 가지고 있다.

  • 지속 가능한 에너지, 환경 및 건설
  • 글로벌 생산, 혁신, 지식 개발 및 연결성
  • 정보 기술
  • 나노 기술 및 나노 생산
  • 경험 기술 및 디자인

5. 캠퍼스

올보르 대학교(AAU)는 올보르, 에스비에르, 코펜하겐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올보르 대학교 에스비에르'''(Aalborg University Esbjerg|올보르 대학교 에스비에르영어, AAU-Esbjerg)는 올보르 대학교 산하의 조직 단위(학과)이지만 지리적으로는 에스비에르에 위치해 있다. 이 연구소의 공식 명칭은 "에스비에르 기술 연구소"이며, 이전에는 "화학 및 응용 공학 학과"였다.

AAUE는 약 500명의 학생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로 엔지니어를 교육하지만, 어업 기술과 컴퓨터 과학 교육 석사 학위(소프트웨어 공학 이학사)와 같은 틈새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올보르 대학교 에스비에르는 1995년 에스비에르 공과대학과 올보르 대학교의 합병을 통해 설립되었다. 합병 이후 올보르 대학교 에스비에르의 지원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여러 단계에 걸쳐 물리적 환경을 확장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대학은 소프트웨어 및 미디어 기술 학과와 함께 정보 기술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AAU-에스비에르의 학생 단체는 DSR-SE이며, 학생 바는 "The Loophole"(Smuthullet|스무툴렛da)이라고 불린다.

6. 국제 협력

올보르 대학교는 1997년 10개의 유럽 대학이 함께 설립한 유럽 혁신 대학교 컨소시엄(ECIU)의 회원이다. ECIU는 참여 대학들이 교육, 연구 및 지역 개발 프로젝트 분야에서 경험과 실무 지식을 교류할 수 있는 유럽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다. 2010년 기준으로 ECIU는 11개의 회원 대학과 3개의 해외 제휴 기관을 두고 있었다.

올보르 대학교 외 ECIU 창립 회원 대학은 다음과 같다.

국가대학명
아일랜드더블린 시티 대학교
스웨덴린셰핑 대학교
포르투갈아베이루 대학교
스페인바르셀로나 자치 대학교
독일함부르크 공과대학교
노르웨이스타방에르 대학교
리투아니아카우나스 기술 대학교
핀란드탐페레 기술 대학교
네덜란드트웬테 대학교


7. 저명한 동문 및 관련 인물


  • 프랑크 아엔: 덴마크 경제학자이자 전 덴마크 의회 의원. 적녹동맹 소속으로 활동하며 진보적인 목소리를 냈다.
  • 군힐 모르테센 아게르: 덴마크 미디어사 교수.
  • 에릭 바흐: 덴마크 작곡가 겸 음악 교사.
  • 루이 베커: 덴마크 건축가 겸 강사.
  • 옌스 블루어트: 독일 과학자 겸 명예교수.
  • 프레데 블라아비에르: 재생 에너지 및 전력 전자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덴마크 연구원.
  • 아네테 보르코르스트: 덴마크 교수.
  • 블라디미르 부슐러: 우즈베키스탄 극장 감독 겸 교육자.
  • 안-도르테 크리스텐센: 덴마크 교수.
  • 헨릭 I. 크리스텐센: 덴마크 로봇 공학자 겸 석좌교수.
  • 예스퍼 데클라빌 크리스텐센: 덴마크 교수.
  • 클라우스 디트리히: 독일 컴퓨터 과학자.
  • 얀 파게르베르그: 노르웨이 교수.
  • 벤트 플리브셰르: 덴마크 사회 과학자.
  •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정치인. 사회민주당 대표이자 덴마크 총리로서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크리스토퍼 프리먼: 영국 경제학자.
  • 크리스티안 그라우가르: 덴마크 의사, 교수, 연구원, 평론가, 비평가, 시인, 작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지식인.
  • 라스 그라우가르: 덴마크 플루티스트, 작곡가, 음악 교사 및 연구원.
  • 카르스텐 그레베: 덴마크 교수.
  • 비르키르 홀름 구드나손: 아이슬란드 기업 리더이자 아이슬란드 항공 CEO.
  • 도르테 함머쇼이: 덴마크 교수.
  • 토마스 블롬 한센: 덴마크 인류학자.
  • 프레드릭 J. 해리스: 미국 교수.
  • 캐트린 하세: 특별 임무를 맡은 덴마크 교수.
  • 크리스티안 지오 헬트보: 덴마크 코미디언.
  • 페테르 헤르빅: 덴마크 인류학자 겸 교수.
  • 아를리 러셀 혹실드: 미국 교수.
  • 안데르스 포스트 야콥센: 덴마크 프로 축구 선수.
  • 프랑크 옌센: 덴마크 정치인.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전 코펜하겐 시장 및 장관을 역임하며 시정 발전에 기여했다.
  • 안야 요르겐센: 덴마크 교수.
  • 페르 미카엘 요한센: 덴마크 총장.
  • 로사베스 모스 칸터: 미국 교수.
  • 핀 셰르스담: 덴마크 전 총장 겸 교수.
  • 아네테 콜모스: 덴마크 교수.
  • 아르눌프 콜스타드: 노르웨이 사회 심리학자.
  • 킴 굴드스트란 라르센: 덴마크 과학자 겸 교수.
  • 마스 멘사 라르센: 덴마크 핸드볼 선수.
  • 토르벤 라르센: 덴마크 과학자.
  • 카르스텐 로리첸: DI 지사장. 전 덴마크 의회 의원으로, 보수 정당 벤스트레 소속이며 라스 뢰케 라스무센 2기 내각에서 세금 장관을 지냈다.
  • 스테펜 로리첸: 덴마크 교수.
  • 헨리크 룬: 덴마크 엔지니어 겸 교수.
  • 벵트-오케 룬드발: 덴마크 조직 이론가.
  • 브라이언 바드 마티센: 덴마크 엔지니어 겸 교수.
  • 모르텐 미델파르트: 덴마크 기업가, 발명가 및 응용 과학 기술자.
  • 쇠렌 할드 묄러: 덴마크 관료.
  • 헨리크 프리스티크 닐센: 덴마크 엔지니어 및 컴퓨터 과학자.
  • 말레네 프로이덴달-페데르센: 덴마크 교수.
  • 앤 필립스: 영국 교수.
  • 빈센트 푸어: 미국 학장 겸 교수.
  • 제논 J. 푸들로프스키: 폴란드 엔지니어 겸 교육자.
  • 로베르타 라벨로티: 경제학 교수.
  • 헤르베르트 푼디크: 덴마크의 유대인 언론인 겸 작가.
  • 토케 라이히슈타인: 덴마크 경제학자 겸 교수.
  • 마이크 산트보테: 독일 지식인 겸 철학자.
  • 헨리크 샤르페: 덴마크 교수.
  • 레네 시엘: 덴마크 가수.
  • 헤게 스케이에: 노르웨이 정치학자 겸 페미니스트.
  • 데이비드 스피겔홀터: 영국 통계학자.
  • 야콥 스토스트루프: 덴마크 교수.
  • 에밀 울프: 체코 출신의 미국 물리학자.
  • 요나스 케르레브: 비디오 게임 어 햇 인 타임 제작자.

8. 올보르 대학교 출판부

올보르 대학교 출판사는 1978년에 설립되었으며, 주로 정치학, 사회학, 미디어 및 문화 연구 분야에 중점을 둔다.[16]

출판사는 다양한 학술 저널을 발행하고 있으며, 이 중 4개의 저널이 스코푸스(Scopus)에 등재되어 있다. 등재된 저널은 국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계획 및 관리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Energy Planning and Managementeng), 소마미학 저널(Journal of Somaestheticseng), 중국 및 국제 관계 저널(Journal of China and International Relationseng), 학술 분기(Akademisk kvarterdan, 인문학 연구 저널)이다.[14] 이 외에도 비즈니스 모델 저널(Journal of Business Modelseng), 코칭 심리학 - 덴마크 코칭 심리학 저널(Coaching Psychology – The Danish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eng), 고등 교육 문제 기반 학습 저널(Journal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eng), 지구: 언어, 문화 및 커뮤니케이션 저널(Globe: A Journal of Language, Culture and Communicationeng), 정신과 음악 치료 온라인(Online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eng) 등 다양한 저널을 발행한다.[15]

스코푸스(Scopus) 기준으로 가장 높은 평가와 인용 수를 기록한 저널은 국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계획 및 관리 저널이다.[14] 이 저널은 에너지 시스템 분석, 경제학, 사회 경제학, 타당성 연구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시스템의 구체적인 타당성 연구 및 분석에 중점을 둔다.[15]

출판사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널은 오픈 액세스 원칙을 따르며, 대부분의 콘텐츠는 동료 심사 과정을 거친 피어 리뷰 저널이다. 저자 대부분은 올보르 대학교 소속이지만, 국제적인 학문 교류를 지향하는 대학의 특성상 해외 학자들도 저자로 참여하고 있다.[16]

참조

[1] 웹사이트 AAU Design Guide: Primary Colors https://www.design.a[...]
[2] 웹사이트 Aalborg Universitets historie http://www.aau.dk/om[...] 2018-01-01
[3] 웹사이트 The Aalborg model for problem based learning http://www.en.aau.dk[...] 2018-01-01
[4] 웹사이트 UNESCO CHAIRS http://www.unesco.or[...] 2018-01-01
[5] 웹사이트 Best Global Universities for Engineering https://www.usnews.c[...] 2022-07-06
[6] 웹사이트 The global state of the art in engineering education https://jwel.mit.edu[...] 2022-07-06
[7] 웹사이트 Impact Ranking https://www.timeshig[...] 2021-05-23
[8] 웹사이트 Impact Ranking https://www.timeshig[...] 2022-07-06
[9] 웹사이트 Aalborg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3-07-03
[10] 웹사이트 The Aalborg University Board http://www.en.aau.dk[...] 2018-01-01
[11] 웹사이트 Faculties at AAU http://www.en.aau.dk[...] 2018-01-01
[12] 웹사이트 Departments at Aalborg University http://www.en.aau.dk[...] 2018-01-01
[13] 웹사이트 The University Library http://www.en.aub.aa[...] 2022-03-01
[14] 간행물 Scopus, Sources, Publisher: Aalborg University Press https://www.scopus.c[...]
[15] 간행물 Aalborg University Press Welcome to journals.aau.dk Open Access Journals at Aalborg University https://journals.aau[...] 2021-10-24
[16] 간행물 Aalborg University Press https://www.ipgbook.[...] 2021-10-24
[17] 웹사이트 AAUSAT 3 http://www.space.aau[...] 2015-07-20
[18] 웹사이트 AAUSAT 4 http://www.space.aau[...] 2015-07-20
[19] 웹사이트 European Consortium of Innovative Universities http://eciu.web.ua.p[...] 2015-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