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드마다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드 마다니는 수단 제지라주의 도시로, 청나일강 동쪽에 위치하며, 하르툼에서 남동쪽으로 약 136km 떨어져 있다. 19세기 초 작은 마을이었으나, 1925년 제지라 계획 관개 사업 이후 급속도로 성장하여 제지라 농업 지역의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와드 마다니는 수단의 인기 가수, 인권 변호사 등 유명 인사를 배출했으며, 게지라 대학교 등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3년 수단 전쟁 중 신속지원군과 수단군 간의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의 도시 - 옴두르만
옴두르만은 수단 하르툼 서쪽 나일 강 건너편에 위치한 도시로, 마흐디스트 운동의 군사 기지에서 시작하여 마흐디 국가의 수도였으며, 수단 내전의 격전지가 되는 등 수단의 정치적 격변 속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주요 문화 및 산업 중심지이다. - 수단의 도시 - 헤글리그
헤글리그는 수단과 남수단 국경 지역의 무글라드 분지에 위치한 곳으로, 아랍어로 "사막 야자"를 의미하며, 남수단의 상당한 원유 매장량을 포함하고 있는 헤글리그 유전과 아비에이 지역 경계 분쟁으로 인해 수단과 남수단 간의 갈등의 중심지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와드마다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마다니/메다니 |
로마자 표기 | Wat Madani |
위치 | 수단 |
주 | 알자지라 주 |
행정 | |
국가 | 수단 |
주 | 알자지라 주 |
정부 | 해당 정보 없음 |
리더 직함 | 해당 정보 없음 |
리더 이름 | 해당 정보 없음 |
지리 | |
고도 | 해당 정보 없음 |
면적 | 해당 정보 없음 |
인구 | |
총 인구 (2008년) | 345,290명 |
민족 | 해당 정보 없음 |
종교 | 해당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시간대 | 해당 정보 없음 |
UTC 오프셋 | 해당 정보 없음 |
우편 번호 유형 | 해당 정보 없음 |
우편 번호 | 해당 정보 없음 |
지역 코드 | 해당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정보 없음 |
2. 역사
19세기 초 와드마다니는 무함마드 알리 왕조 시대의 작은 투르코-이집트 전초 기지였다.[4] 이후 영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1925년 지역 경제 개발을 위한 제지라 계획 관개 사업이 시작되면서 도시가 급속도로 성장했다.[5] 와드마다니는 이 계획의 중심지로서 제지라 농업 지역의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생산된 면화의 주요 집산지가 되었다.
2023년 수단 전쟁 중 전투가 벌어졌고, 같은 해 12월 신속지원군에 의해 점령되었다.[6][7][8]
2. 1. 19세기 ~ 20세기 초: [[무함마드 알리 왕조]]와 [[영국]] 통치 시기
19세기 초, 와드마다니의 지역 총독은 다파알라 무함마드였으며, 그는 푼지 귀족 여성 나스라 빈트 아들란과 결혼했다. 그들은 마다니 근처에 수리바라는 마을과 함께 궁전을 지었다.[4] 당시 와드마다니는 무함마드 알리 왕조 시대에 작은 마을이었으며, 투르코-이집트의 전초 기지가 주둔했다.이 지역이 영국령이 된 후, 1925년에 지역 경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지라 계획 관개 사업이 시작되면서 와드마다니는 이 계획의 중심지로서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5] 이 계획으로 와드마다니는 제지라 농업 지역의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주로 주거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제지라 계획으로 생산된 대량의 면화 집산지가 되었고, 면화 재배 실험장도 이곳에 자리 잡았다. 와드마다니는 물품이 풍부한 수크(시장)를 중심으로 활발한 상업 활동이 이루어졌다.
2. 2. 20세기 ~ 현재: 제지라 계획과 도시 발전
19세기에는 무함마드 알리 왕조의 주둔지가 있는 작은 투르코-이집트 전초 기지에 불과했다. 이 지역이 영국령이 된 후, 1925년 지역 경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지라 계획 관개 사업이 시작되면서 와드마다니는 계획의 중심지로서 급속도로 성장했다.[5] 계획을 통해 생산된 대량의 면화 집산지가 되었고, 면화 재배 실험장도 이곳에 자리 잡았다.와드마다니는 제지라 농업 지역의 상업 중심지이며, 주로 주거 지역으로 기능한다. 물품이 풍부한 수크에서 활발한 상업 활동이 이루어진다. 에티오피아에서 수단으로 흘러 들어오는 청나일강 동쪽 강둑에 위치하며, 도시 시설은 하르툼 지역을 제외하면 수단의 다른 지역보다 현대적인 편이다.
2023년 12월 15일, 수단 전쟁 중 와드 마다니에서 전투가 벌어져 신속지원군이 이 지역의 수단군을 공격했다.[6] 수단군은 12월 17일 공격을 격퇴했으나, 다음 날 신속지원군이 다시 도시를 공격하여[7] 결국 수단군이 철수하고 신속지원군이 도시를 장악했다.[8]
2. 3. 2023년 수단 전쟁
2023년 12월 15일, 수단 전쟁 중 전투가 와드 마다니에서 벌어졌으며, 신속지원군이 이 지역의 수단군을 공격했다.[6] 이 공격은 2023년 12월 17일에 격퇴되었다. 그러나 불과 하루 만에 신속지원군이 다시 도시를 공격했다.[7] 이 공격은 성공했으며, 수단군이 철수한 후 신속지원군이 도시를 장악했다.[8]3. 지리
청나일강 서안에 위치하며, 수도 하르툼에서 남동쪽으로 약 136km 떨어져 있다.
3. 1. 기후
와드 마다니는 연간 강수량이 300.7mm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증발산량으로 인해 쾨펜 기후 구분상 열대 사막 기후(BWh)를 보인다.[14]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역대 최고 기온 (°C) | 41.3°C | 44.8°C | 45.6°C | 46.6°C | 47.4°C | 47°C | 44.6°C | 41°C | 43°C | 44.5°C | 41.6°C | 40.8°C | 47.4°C |
평균 최고 기온 (°C) | 33.4°C | 35.9°C | 38.9°C | 41.8°C | 42°C | 40.7°C | 36.9°C | 34.5°C | 36.2°C | 38.4°C | 37.2°C | 34.5°C | 37.5°C |
일평균 기온 (°C) | 24.1°C | 26.4°C | 29.2°C | 32.2°C | 33.5°C | 33°C | 30.2°C | 28.5°C | 29.4°C | 30.3°C | 27.9°C | 25.1°C | 29.1°C |
평균 최저 기온 (°C) | 14.9°C | 16.9°C | 19.5°C | 22.6°C | 25°C | 25.3°C | 23.6°C | 22.5°C | 22.5°C | 22.1°C | 18.6°C | 15.7°C | 20.8°C |
역대 최저 기온 (°C) | 4.2°C | 4.4°C | 9°C | 12°C | 17.6°C | 18.7°C | 17.7°C | 13.2°C | 17.6°C | 12°C | 8.2°C | 5.5°C | 4.2°C |
강수량 (mm) | 0.5mm | 0mm | 0mm | 0.7mm | 13.2mm | 26.4mm | 91.8mm | 108.1mm | 44.9mm | 14.6mm | 0.5mm | 0mm | 300.7mm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0.1 | 0.0 | 0.0 | 0.2 | 1.6 | 3.1 | 6.6 | 8.8 | 4.2 | 2.0 | 0.1 | 0.0 | 26.7 |
평균 상대 습도 (%) | 32 | 27 | 22 | 22 | 30 | 41 | 59 | 69 | 65 | 52 | 36 | 35 | 41 |
월평균 일조 시간 | 319.3 | 291.2 | 310.0 | 300.0 | 279.0 | 261.0 | 217.0 | 213.9 | 249.0 | 297.6 | 315.0 | 322.4 | 3375.4 |
출처: 미국 해양대기청 (NOAA)[9] |
4. 교통
와드마다니를 통과하는 두 개의 범아프리카 자동차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카이로-케이프타운 고속도로
- 은자메나-지부티 고속도로
또한 하르툼과 센나르로 철도가 연결되어 있다.
5. 교육
와드 마다니에는 유치원과 보육 시설부터 초등학교, 중등학교까지 4단계의 교육 기관이 있다.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게지라 대학교(University of Gezira영어)[10]와 와드 메다니 아흘리아 대학교(Wad Medani Ahlia University영어)가 있다.
6. 문화
와드마다니 시에서 영화는 한때 중요한 공공 문화 생활의 중심이었다. 국가 독립 이후 영화는 "신선한 자유의 숨결"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당시 많은 도시 거주자들에게 유일한 공공 오락 형태였다. 교육 수준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영화를 즐겼는데, 여성과 소녀들은 남성 친척과 동반하여 입장할 수 있었다.[11]
와드마다니와 같은 지방 도시에서의 영화 상영은 1950년대 초 이동 영화관 형태로 시작되었다. 정보부가 스크린과 영사기를 갖춘 자동차를 이용하여 여러 지역을 순회하며 상영했고, 전문 영사기사가 이를 관리했다. 이후 정기적인 상영을 위해 전용 야외 영화관들이 건설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와드마다니에 6개의 영화관이 운영되었다. 상영작은 정보부 산하 '수단 영화 기관'에서 선정했으며, 아랍 영화, 인도 영화를 비롯해 "초대받지 않은 손님"이나 "전쟁과 평화" 같은 외국 영화, 그리고 BBC와 같은 국제 뉴스 방송도 포함되었다. 사회 문화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특별 위원회에서 검열을 시행했지만, 영화의 줄거리와 예술적 특징은 존중되었다. 영화관에서 보낸 저녁은 공동체를 하나로 묶는 역할을 했는데, "영화가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이어지는 사회적 자리에서 상영된 영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촉발"했기 때문이다.[11]
그러나 1970년대부터 텔레비전이 보급되면서 영화관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결정적으로 1983년 9월, 자파르 니메이리 정권 하의 이슬람 정부가 새로운 세금 부과와 함께 제한적인 법률 및 더욱 엄격해진 검열을 도입하면서 영화관들은 점차 문을 닫고 황폐해졌다. 영화관을 자주 찾던 사람들도 점차 발길을 끊었는데, 이는 상영되는 영화들이 더 이상 인종 차별, 불공정, 정치와 같이 사회 내외부의 문제들에 대한 비판 의식을 공유하고 저항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12]
7. 인물
와드마다니 출신의 유명 인물로는 수단의 인기 가수 인사프 마다니, 가수 겸 밴드 리더인 압델 아지즈 엘 무바라크, 가수 모하메드 알 아민, 싱어송라이터 이브라힘 알 카시프 등이 있다. 또한, 유명한 인권 변호사이자 수단 인권 감시 위원회 회장인 아민 메키 메다니 박사와 국민 합의 세력 의장 파루크 아부 이사가 있다. 수단계 영국 배우인 알렉산더 시디그 역시 와드마다니 출신이다.
역사적으로는 19세기 초 지역 총독 다파알라 무함마드와 결혼한 푼지 귀족 여성 나스라 빈트 아들란이 있다.[4]
이름 | 직업/설명 |
---|---|
나스라 빈트 아들란 | 19세기 푼지 귀족 여성 [4] |
인사프 마다니 | 가수 |
압델 아지즈 엘 무바라크 | 가수, 밴드 리더 |
모하메드 알 아민 | 가수 |
이브라힘 알 카시프 | 싱어송라이터 |
아민 메키 메다니 | 인권 변호사, 수단 인권 감시 위원회 회장 |
파루크 아부 이사 | 국민 합의 세력 의장 |
알렉산더 시디그 | 수단계 영국 배우 |
참조
[1]
간행물
Wad Madani
Microsoft Encarta
2001
[2]
웹사이트
Wad Madani {{!}} Location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7-05
[3]
웹사이트
College Start
http://www.wadmedani[...]
Wad Medani Ahlia College
2011-09-17
[4]
서적
Nasra bint ʿAdlan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1-01
[5]
간행물
Wad Madani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6]
뉴스
Thousands flee Wad Madani, Sudan’s second city, to escape fighting
https://www.theguard[...]
2023-12-16
[7]
웹사이트
Wad Madani: RSF push back after intense clashes with Sudanese army
https://sudantribune[...]
2023-12-17
[8]
웹사이트
RSF takes control of Sudan army and police bases in Wad Madani
https://www.dabangas[...]
2023-12-20
[9]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Wad Madani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23
[10]
웹사이트
universities list by region
https://www.usnews.c[...]
[11]
웹사이트
Memory of Places (Part 1 of 2)
https://andariya.com[...]
2021-07-01
[12]
웹사이트
Memory of Places (Part 2 of 2) by Alaa Gamal
https://andariya.com[...]
2021-07-04
[13]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Wad Madani, Sudan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1
[14]
웹인용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Wad Madani, Sudan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