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스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스텍어는 멕시코 중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3개의 방언(서부, 중부, 동부)으로 나뉜다. 서부 방언은 산루이스포토시주에서, 중부 방언은 베라크루스주에서, 동부 방언은 베라크루스주 북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음운론적으로는 무성 치 마찰음 θ를 가지며, 다른 마야어와 달리 원순 모음화된 연구개 파열음 kʷ kʷʼ을 음소로 가진다. 문법적으로는 A형과 B형의 인칭 접사를 사용하며, VOS 또는 VSO 어순을 따른다. 와스텍어의 분기 시기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으며, 기원전 2200년경에 다른 마야어에서 분리되었다는 추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와스텍어
기본 정보
이름와스텍어
다른 이름Huasteco
자칭Teenek
사용 국가멕시코
사용 지역산루이스포토시주, 베라크루스주, 타마울리파스주
사용자와스텍족
사용자 수168,729명 (2020년 인구 조사)
언어학적 분류
어족마야어족
어파와스텍어파
언어 코드
ISO 639-3hus
Glottologhuas1242

2. 방언

와스텍어에는 3개의 방언이 있으며 이들이 갈라진 시기는 길어야 400년 전으로 보인다. 와스텍어는 멕시코 중동부의 와슈테카-포토시나(Huaxteca-Potossina)라 불리는 지역에서 사용된다.

와스텍어는 베라크루스 방언, 산루이스포토시 방언, 남동 방언 (Chontla|촌틀라 방언영어)으로 크게 나뉘며, 2005년 에스놀로그 제15판에서는 이들을 3개의 다른 언어로 분류했지만, 2009년에 하나의 언어로 통합되었다.[8][9]

2. 1. 서부 (포토시노) 방언

산루이스포토시주의 시우다드바예스, 아키스몬, 웨웨틀란, 탄칸위츠, 탄라하스, 산안토니오, 탐파몰론, 탕키안, 탕콰얄라브 등의 9개 마을에서 48,000명이 사용한다.[25]

2. 2. 중부 (베라크루스) 방언

베라크루스주 북부의 템포알, 탄토유카 2개 마을에서 22,000명이 사용하는 방언이다.[25]

2. 3. 동부 (오톤테펙) 방언

베라크루스주 북부의 7개 마을(촌틀라, 탄티마, 탕코코, 치남파, 나랑호스, 아마틀란, 타미아와)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동남 와스텍어라고도 불린다. Ana Kondic (2012)의 보고에 따르면 촌틀라, 치남파, 아마틀란, 타미아와에 화자가 1,700명밖에 남지 않았다.[25]

3. 음운론

와스텍어는 마야어족 중 유일하게 무성 치 마찰음을 가진다. 또한, 원순 모음화된 연구개 파열음을 음소로 가진다는 점에서도 다른 마야어족과는 다르다. 예: thakw 「돌」[13][14]

는 역사적으로 *s가 변화한 것이기 때문에, 와스텍어에서는 s가 적다.[15]

원시 마야어의 설단음 및 연구개음파열음파찰음의 대응은 방언마다 차이가 있다.[6][16]

원시 마야어베라크루스산 루이스 포토시촌트라치콤셀테코어
*tz *tzʼt tʼt tʼt tʼt tʼ
*ty *tyʼt tʼt tʼt tʼt tʼ
*t *tʼts tsʼtʃ tʃʼʈ ʈʼtʃ tʃʼ
*ch *chʼtʃ tʃʼts tsʼtʃ tʃʼ
*k *kʼtʃ tʃʼts tsʼtʃ tʃʼtʃ tʃʼ



자음 b는 다른 마야어와 같은 성문 폐쇄음(내파음)이 아닌 일반적인 유성음이다. 다만 카우프만에 따르면, 보수적인 촌트라 방언에서는 성문 폐쇄음이 나타난다고 한다.[13]

3. 1. 모음

와스텍어는 단모음 a, e, i, o, u와 장모음 aa, ee, ii, oo, uu를 구분한다.





강세는 장모음을 가진 마지막 음절에 놓이며, 장모음이 없는 경우에는 단어의 첫 번째 음절에 놓인다.[17]

3. 1. 1. 단모음


3. 1. 2. 장모음



와스텍어는 단모음 a, e, i, o, u와 장모음 aa, ee, ii, oo, uu를 구분한다. 강세는 장모음을 가진 마지막 음절에 놓이며, 장모음이 없는 경우에는 단어의 첫 번째 음절에 놓인다.[17] aː는 성문 파열 자음 뒤에서 성문화된 a̰ː로 실현될 수 있다.

3. 2. 자음

와스텍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와스텍어의 자음
colspan="2" rowspan="2" |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기본방출기본방출기본방출기본방출
비음mn
파열음무성ʼ
유기음tk
유성음b
파찰음기본tsʼchʼrowspan="1" |rowspan="1" |
유기음ptsch
마찰음szxj
접근음wly
탄음r



와스텍어는 마야어족 중 유일하게 무성 치 마찰음을 가진다. 또한, 원순 모음화된 무성 연구개 파열음을 음소로 가진다는 점에서도 다른 마야어족과는 다르다.

원시 마야어의 설단음 및 연구개음파열음파찰음의 대응은 방언마다 차이가 있다. 자음 b는 다른 마야어와 같이 성문 폐쇄음(내파음)이 아닌 일반적인 유성음이다.

3. 2. 1. 파열음 및 파찰음

와스텍어의 파열음 및 파찰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colspan="2" rowspan="2" |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기본방출음기본방출음기본방출음기본방출음
파열음무성 ʼ 
유기음tk
유성음b
파찰음기본tsʼchʼrowspan="1" |rowspan="1" |
유기음ptsch


  • 무기 파열음과 파찰음은 단어 중간에서만 나타나며, 다른 위치에서는 유기음으로 소리 난다. 는 단어 끝에서 유성음 로 바뀔 수 있다.
  • 파찰음 는 로도 소리 날 수 있다.
  • 는 마찰음 로, 단어 끝에서는 무성 마찰음 로도 소리 날 수 있다.
  • 방출 연구개음 은 단어 중간에서 유성음 로 소리 날 수 있다.


와스텍어는 다른 마야어족 언어와 달리 원순 모음화된 무성 연구개 파열음 을 음소로 가진다. (예: thakw 「돌」)[13][14]

원시 마야어의 설단음 및 연구개음파열음파찰음은 지역 방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6][16]

원시 마야어베라크루스산 루이스 포토시촌트라치콤셀테코어
*tz *tzʼt tʼt tʼt tʼt tʼ
*ty *tyʼt tʼt tʼt tʼt tʼ
*t *tʼts tsʼtʃ tʃʼʈ ʈʼtʃ tʃʼ
*ch *chʼtʃ tʃʼts tsʼtʃ tʃʼ
*k *kʼtʃ tʃʼts tsʼtʃ tʃʼtʃ tʃʼ



자음 b는 다른 마야어와 같이 성문 폐쇄음(내파음)이 아닌 일반적인 유성음이다. 다만, 보수적인 촌트라 방언에서는 성문 폐쇄음이 나타난다고 한다.[13]

3. 2. 2. 마찰음

와스텍어는 마찰음에서 무성 치 마찰음 θ|θes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마야어족 중에서는 유일하다. 또한, 원순 모음화된 연구개 파열음 kʷ kʷʼ|kʷ kʷʼes를 음소로 가진다는 점도 다른 마야어족과 구별된다. 예를 들어 '돌'을 뜻하는 'thakw'가 있다.[13][14]

θ|θes는 역사적으로 *s가 변화했기 때문에, 와스텍어에는 s가 적게 나타난다.[15]

다음은 마찰음에 대한 와스텍어의 음소 표이다.

rowspan="2"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평음순음화
마찰음f|fesθ|θess|sesʃ|xesh|jes


  • f|fes 소리는 스페인어 차용어에서 나타날 수 있다.
  • h|jes 앞의 i|ies는 연구개음 x|xes로 실현될 수 있다.[4]

3. 2. 3. 비음

와스텍어에서 비음은 순음 mes치경음 nes이 있다.

순음치경음
비음mesnes


  • 연구개음 앞의 nes은 구개 비음 ɲes로 실현된다.

3. 2. 4. 접근음

접근음에는 w|wes, l|les, y|yes가 있다. 이들은 단어 끝 위치에서 무성음 [w̥|w̥es, l̥|l̥es, j̊|j̊es]로 실현될 수 있다.

3. 2. 5. 탄음

와스텍어에서 탄음은 로 나타나며, 치경음에 속한다. r로 표기된다.[4]


4. 문법

와스텍어의 기본적인 어순은 VOS형 또는 VSO형이며, 주어가 목적어보다 유생성이 높을 때는 VOS 어순을 취한다[21]. 이를 마야 조어 이래의 어순으로 보는 설이 있다[22].

4. 1. 인칭 접사

와스텍어는 다른 마야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인칭 접사(혹은 접어)에 A형(능격)과 B형(절대격)의 구별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타동사의 주어(A)가 A형, 타동사의 목적어(O)와 자동사의 주어(S)가 B형 접사에 의해 표시된다. 그러나 와스텍어의 인칭에는 계층이 있으며, 타동사의 주어(A)와 목적어(O) 중 어느 한쪽이 1인칭 또는 2인칭인 경우, 계층이 높은 쪽만 접사에 의해 표시된다. O가 1인칭 또는 2인칭인 경우에는 계층의 역전을 표시하는 접두사 ti- (또는 t-)가 더해진다. 와스텍어에서는 1인칭이 가장 계층이 높고, 2인칭이 그 다음이며, 3인칭이 가장 계층이 낮다[18]. A와 O가 모두 3인칭인 경우, A가 O보다 근접(proximate)하는 경우에는 능동태, 반대의 경우에는 수동태를 사용하여 표현된다[19]. 와스텍어 외에 맘어의 카호라 방언도 유사한 구문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와스텍어(산 루이스 포토시 방언)의 인칭 접사는 다음과 같다[20].

와스텍어(산 루이스 포토시 방언)의 인칭 접사
A형B형
1인칭 단수uin
1인칭 복수iu
2인칭 단수ait
2인칭 복수aix / it
3인칭in∅ / u



A형과 B형의 조합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소 불규칙한 형태가 나타난다.


  • A가 2인칭 또는 3인칭이고 O가 1인칭인 경우에는 t-in (단수), t-u (복수)가 더해진다.
  • A가 3인칭이고 O가 2인칭인 경우에는 t-i가 더해진다.
  • A가 1인칭이고 O가 2인칭인 경우에는 t-u (2인칭 단수), t-(ix-)u (2인칭 복수)가 더해진다.

4. 2. 어순

와스텍어는 다른 마야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인칭 접사(혹은 접어)에 A형(능격)과 B형(절대격)의 구별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타동사의 주어(A)가 A형, 타동사의 목적어(O)와 자동사의 주어(S)가 B형 접사에 의해 표시된다. 그러나 와스텍어의 인칭에는 계층이 있으며, 타동사의 주어(A)와 목적어(O) 중 어느 한쪽이 1인칭 또는 2인칭인 경우, 계층이 높은 쪽만 접사에 의해 표시된다. O가 1인칭 또는 2인칭인 경우에는 계층의 역전을 표시하는 접두사 ti- (또는 t-)가 더해진다. 와스텍어에서는 1인칭이 가장 계층이 높고, 2인칭이 그 다음이며, 3인칭이 가장 계층이 낮다[18]. A와 O가 모두 3인칭인 경우, A가 O보다 근접(proximate)하는 경우에는 능동태, 반대의 경우에는 수동태를 사용하여 표현된다[19]. 와스텍어 외에 맘어의 카호라 방언도 유사한 구문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와스텍어(산 루이스 포토시 방언)의 인칭 접사는 다음과 같다[20].

A형B형
1인칭 단수uin
1인칭 복수iu
2인칭 단수ait
2인칭 복수aix / it
3인칭in∅ / u



A형과 B형의 조합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소 불규칙한 형태가 나타난다.


  • A가 2인칭 또는 3인칭이고 O가 1인칭인 경우에는 t-in (단수), t-u (복수)가 더해진다.
  • A가 3인칭이고 O가 2인칭인 경우에는 t-i가 더해진다.
  • A가 1인칭이고 O가 2인칭인 경우에는 t-u (2인칭 단수), t-(ix-)u (2인칭 복수)가 더해진다.


기본적인 어순은 VOS형 또는 VSO형이며, 주어가 목적어보다 유생성이 높을 때는 VOS 어순을 취한다[21]. 이를 마야 조어 이래의 어순으로 보는 설이 있다[22].

5. 분기 연대

마야어족의 원향으로부터의 이주 상상도


와스텍어가 언제 다른 마야어족에서 분리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와스텍어군과 초르-체르탈어군에는 공통된 음운 변화(*r>y, *q>k, *ty>t, *k>ch)와 문법적 특징(인간의 복수를 후치사로 나타냄)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독립적으로 발생했거나, 후고전기 교역 등의 언어 접촉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12]

5. 1. 테렌스 카우프만의 견해

테렌스 카우프만에 따르면 와스텍어와 다른 마야어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어근은 300개 정도에 불과하다.[10] 카우프만은 와스텍어가 다른 마야어에서 분열된 시기를 기원전 2200년경으로 추정한다.[11] 와스텍 지방의 다른 계통의 언어와의 사이에 오래된 차용어로 보이는 단어가 있는 것도, 와스텍어가 일찍부터 이 지역에 살았다는 근거가 되고 있다.[12]

5. 2. 존 로버트슨과 스티븐 휴스턴의 견해

테렌스 카우프만에 따르면 와스텍어와 다른 마야어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어근은 300개 정도에 불과하다.[10] 카우프만은 와스텍어가 다른 마야어에서 분열된 시기를 기원전 2200년경으로 추정한다.[11] 와스텍 지방의 다른 계통의 언어와의 사이에 오래된 차용어로 보이는 단어가 있는 것도, 와스텍어가 일찍부터 이 지역에 살았다는 근거가 되고 있다.[12]

와스텍어군과 초르-체르탈어군에는 공통의 음운 변화(*r>y, *q>k, *ty>t, *k>ch)가 일어나고 있으며, 문법 면에서도 인간의 복수를 후치사에 의해 나타내는 등의 공통적인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존 로버트슨이나 스티븐 휴스턴은 이 점을 와스텍어군과 초르-체르탈어군이 계통적으로 가까운 관계에 있다는 증거로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독립적으로 발생하거나, 후고전기에 교역 등의 언어 접촉에 의해 변화가 전파되었을 가능성도 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Lenguas indígenas y hablantes de 3 años y más, 2020 http://cuentame.ineg[...] INEGI
[2] 간행물 INEGI 2005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kellogg.nd.ed[...] 2013-01-09
[4] 서적 A descriptive grammar of Huastec (Potosino dialect) https://islandora-ai[...] Tulane University
[5] 서적 México.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en riesgo de desparación https://site.inali.g[...] INALI
[6] 문서 ワステック語
[7] 문서
[8] citation Huastec, San Luís Potosí (retired 2009) http://www.multitree[...] MultiTree
[9] citation Huastec, Southeastern (retired 2009) http://www.multitree[...] MultiTree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マヤ語族
[22] 문서
[23] 간행물 México: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http://site.inali.go[...] Instituto Nacional de Lenguas Indígenas
[24] 간행물 INEGI 2005
[25] 웹인용 Archived copy http://kellogg.nd.ed[...] 2013-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