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연구개 파열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의 뒤쪽과 연구개로 조음되는 자음으로,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며, 입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구강음이다. 기류는 혀의 중앙으로 빠져나가고, 폐에서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폐장기류음이며, 조음기관 내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는 파열음이다.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일반적인 [k], 유기음 [kʰ], 구개음화된 [kʲ], 순음화된 [kʷ], 무파열음 [k̚], 긴장음 [k͈], 방출음 [kʼ] 등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며, 각 언어별로 발음과 표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열음 - 성문 파열음
성문 파열음은 조음기관 내 공기 흐름을 막아 성문을 닫은 상태에서 발음되며, 무성음으로 분류되고, 아랍어 등 여러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난다. - 파열음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발음되는 소리로, 혀로 공기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의 ㄷ, ㅌ, ㄸ, 영어의 't', 일본어의 た(タ) 등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연구개음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성대 진동을 동반하여 혓바닥과 연구개가 만나 공기를 막았다 터뜨리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ɡ'로 표기되며, 일부 언어에서는 발음의 어려움이나 다른 소리와의 혼동이 있을 수 있고 한국어 'ㄱ' 발음의 한 예시이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마찰음
무성 연구개 마찰음은 혀의 뒷부분과 연구개 사이의 좁은 틈으로 공기를 통과시켜 내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x/로 표기되며 여러 변이음을 가지고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무성 연구개 파열음 | |
---|---|
발음 정보 | |
국제 음성 기호 | k |
음성 기호 번호 | 109 |
십진수 | 107 |
엑스-샘파 | k |
브라유 | k |
음성 설명 | 무성 연구개 파열음 |
2. 특징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혓바닥과 연구개로 조음하는 연구개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 기류의 발생원 - 폐기류 기전에 의한 호기.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지 않는 무성음.
- 조음
- * 조음 위치 - 후설면과 연구개에 의한 연구개음.
-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완전한 폐쇄를 만들고, 한꺼번에 열어서 발생하는 파열음.
- ** 구개범의 위치 - 구개범을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강음.
3. 변종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변종에 따라 다른 기호를 붙여 나타낸다.
3. 1. 일반적인 k
대부분의 언어에서 나타나는 기본적인 무성 연구개 파열음이다.
IPA | 설명 |
---|---|
k | 일반적인 k |
3. 2. 유기음 kʰ
유기음 k는 숨을 더 많이 내쉬면서 내는 소리이다. 한국어의 'ㅋ', 영어의 'k'(어두 또는 강세 음절), 중국어 병음의 'k' 등이 있다.3. 3. 구개음화된 kʲ
혀의 가운데 부분을 경구개(입천장) 쪽으로 올리면서 내는 소리이다.IPA | 설명 |
---|---|
kʲ | 구개음화된 k |
3. 4. 순음화된 kʷ
순음화된 k이다.IPA | 설명 |
---|---|
kʷ | 순음화된 k |
3. 5. 무파열음 k̚
무성 연구개 파열음에서 폐쇄는 이루어지지만, 파열이 없는 소리이다. 한국어의 받침 'ㄱ'이 여기에 해당한다.3. 6. 유성음 k̬ (ɡ)
성대가 울리면서 나는 소리로, IPA 기호는 [ɡ]이다. 한국어에서는 'ㄱ'이 유성음 사이에서 변이음으로 나타난다.3. 7. 긴장음 k͈
성문을 닫거나 좁혀서 내는 소리로, 한국어의 'ㄲ'이 여기에 해당한다.IPA | 설명 |
---|---|
k͈ | 긴장 k |
3. 8. 방출음 kʼ
성문을 닫았다가 열면서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이다. 연구개 격렬음 k라고도 한다.4. 언어별 발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자음이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참고 | |
---|---|---|---|---|---|
압하지어 | ақалақь|ak̇halak̇h'ab | [ˈakalakʲ] | '도시' | 압하지어 음운론 참조 | |
아디게어 | 샤프수크 | [kʲat] | '닭' | 방언에 따라 다름; 다른 방언에서는 [t͡ʃ]에 해당함. | |
테미르고이 | [pskan] | '기침하다' | |||
아흐트나어 | 'g'istaann | [kɪstʰɐːn] | '여섯' | ||
알류트어 | [kiːkaχ] | '크랜베리 덤불' |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 كتب|kataba|rtl=yesar | [ˈkatabɐ] | '그는 썼다' | 아랍어 음운론 참조 |
아르메니아어 | 동아르메니아어 | քաղաք|''kaġak/kaghakhy | [kʰɑˈʁɑkʰ] | '마을' | 무기음 형태와 대조됨. |
아삼어 | কম|komas | [kɔm] | '적은' | ||
아시리아 신아람어 | [ktava] | '책' | 대부분의 방언에서 사용되지만, 우르미아와 노치야 방언에서는 [t͡ʃ]에 해당함. | ||
바스크어 | katu|katubas | [kat̪u] | '고양이' | ||
벵골어 | কম|kombn | [kɔm] | '적은' | 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벵골어 음운론 참조 | |
불가리아어 | как|kakbg | [kak] | '어떻게' | 불가리아어 음운론 참조 | |
카탈루냐어 | cors|corsca | [ˈkɔ(ɾ)s] | '마음' | 카탈루냐어 음운론 참조 | |
추바시어 | кукка|куккаcv | [ku'kːɑ] | '어머니의 오빠' | ||
체코어 | kost|kostcs | [kost] | '뼈' | 체코어 음운론 참조 | |
덴마크어 | 표준[3] | gås|gåsda | [ˈkɔ̽ːs] | '거위' | 일반적으로 IPA에서 [ɡ̊] 또는 [ɡ]로 표기됨. 유기음 형태와 대조되며, 일반적으로 IPA에서 [kʰ] 또는 [k]로 표기됨.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
네덜란드어 | koning|koningnl | [ˈkoːnɪŋ] | '왕' |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 |
에스페란토어 | rakonto|rakontoeo | [raˈkonto] | '이야기' | 에스페란토어 음운론 참조 | |
에스토니아어 | [kɑl] | '년' | |||
페르시아어 | [kɑrd] | '칼' | |||
폴란드어 | buk/bukpl | '너도밤나무' | 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 ||
포르투갈어 | corpo/corpopt | [ˈkoɾpu] | '몸' |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 | |
펀자브어 | kar/ਕਰpa | [kəɾ] | '하다' | 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 |
루마니아어 | când/cândro | [ˈkɨnd] | '언제' | 루마니아어 음운론 참조 | |
러시아어 | короткий/короткийru | '짧은' | 러시아어 음운론 참조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кост/костsh / kost/kostsh | [kȏːs̪t̪] | '뼈'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조 | |
슬로바키아어 | kosť/kosťsk | [kɔ̝sc] | '뼈' | 슬로바키아어 음운론 참조 | |
슬로베니아어 | [ˈkôːs̪t̪] | '뼈' | 좁은 모음 앞에서 유기음.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조 | ||
스페인어 | casa/casaes | [ˈkäsä] | '집' | 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 |
스웨덴어 | ko/kosv | [ˈkʰuː] | '소' |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 |
실헤티어 | kita/ꠇꠤꠔꠣsyl | [kɪt̪à] | '무엇' | ||
타밀어 | kai/கைta | [kəɪ̯] | '손' | 타밀어 음운론 참조 | |
텔루구어 | kāki/కాకిte | [kāki] | '까마귀' | 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 |
태국어 | ไก่/ไก่th | [kaj˨˩] | '닭' | 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 |
터키어 | kulak]]/kulaktr || [kʰuɫäk] || 귀 || 터키어 음운론 참조 | ||||
우비크어 | kawar/кауарuby | [kawar] | '나무판' | 대부분 차용어에서 발견됨. 우비크어 음운론 참조 | |
우크라이나어 | колесо/колесоuk | [ˈkɔɫɛsɔ] | '바퀴' |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 |
베트남어 | cam/camvi | [kam] | '오렌지' | 베트남어 음운론 참조 | |
웨일스어 | calon/caloncy | [kalɔn] | '심장' | 웨일스어 음운론 참조 | |
서프리지아어 | keal/kealfy | [kɪəl] | '송아지' | 서프리지아어 음운론 참조 | |
이어어 | ge/ꇰii | [kɤ˧] | '어리석은' | 유기음과 무기음 형태 대조. | |
사포텍어 | 틸키아판 | 'c'anza | [kanza] | '걷는' |
- 한국어에서 '가사'는 ㄱ으로 표기된다. 한국어에서는 유성음과의 대립 구조가 없어, [ɡ]로 발음해도 의미를 구분하지 않는다. ㄱ은 어중간에 유성음으로 둘러싸이면 유성화되어 나타나고, 어말 등에서는 내파음으로 나타난다. 아가([aɡa]), 대학([tɛhak̚])과 같이 사용된다. 반면에 유기음·경음과의 3항 대립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ㅋ·ㄲ이라는 자모로 표기되어 의미가 구분된다. 개다([kɛda]), 캐다([kʰɛda]), 깨다([k͈ɛda])와 같이 다르게 발음된다.
- 일본어에서 'かき'(카키)는 /か/, /こ/ 등의 첫소리 자음으로 나타난다.
- 영어에서 cat([kæt]), cake([keɪk]), skin([skɪn])과 같이 c나 k로 표기된다. 영어에서는 어두나 강세가 놓인 음절에서는 [kʰ]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skin처럼 s 뒤에서는 무기음으로 발음된다. 또한 발화의 끝에서는 내파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 중국어(표준어)에서 幹 gàn([kan˥])과 같이 병음으로 g로 표기된다. 표준어에서는 유성음과의 대립 구조가 없어, [ɡ]로 발음해도 의미를 구분하지 않는다. 반면에 [kʰ]과의 대립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k로 표기되어 의미가 구분된다. 看 kàn([kʰan˥])과 같이 구별된다.
- 아랍어에서는 조음점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다.
4. 1. 한국어
- 첫소리 'ㄱ': 무성 무기음 [k]로 소리 난다. (예: 감 [kam])
- 받침 'ㄱ', 'ㄷ', 'ㅂ' 뒤에 오는 'ㄱ': 무성 무기음 [k]로 소리 난다.
- 첫소리 'ㅋ': 유기음 [kʰ]로 소리 난다. (예: 칼 [kʰal])
- 'ㄲ': 긴장음 [k͈]로 소리 난다. (예: 꿀 [k͈ul])
- 어중 유성음 사이 'ㄱ': 유성음 [ɡ]로 소리 나기도 한다. (예: 아가 [aɡa])
- 받침 'ㄱ': 무파열음 [k̚]로 소리 난다.
4. 2. 영어
영어에서 'k'는 IPA로 [k]로 소리 난다. 예를 들어 'kiss'는 [kʰɪs]와 같이 발음된다.[6] 'c'는 'e', 'i', 'y' 앞에 오지 않는 경우 [k]로 소리 난다. 단어의 첫 글자나 강세가 있는 음절의 'k'는 유기음 [kʰ]로 소리 나며, 's' 뒤의 'k'는 무기음 [k]로 소리 난다. 예를 들어 'skin'은 [skɪn]으로 발음된다.[6]다음은 영어에서 무성 연구개 파열음 [k]가 사용되는 예시이다.
4. 3. 중국어
표준 중국어에서 병음 'g'는 무성 무기음 [k]로 소리 나며, 예를 들어 '高'(gāo)는 [kɑʊ˥]로 발음된다.[6] 병음 'k'는 유기음 [kʰ]로 소리 나며, '烤'(kǎo)는 [kʰɑʊ˨˩˦]로 발음된다.[6]광둥어, 하카어 등 다른 중국어 방언에서도 병음 'g'와 'k'는 각각 무성 무기음과 유기음으로 나타난다.[6]
4. 4. 일본어
일본어의 か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かき|카키일본어는 [kakʲi]로 소리 난다.[6]4. 5. 기타 언어
아랍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등 수많은 언어에서 [k] 음가가 나타난다.[6]덴마크어와 룩셈부르크어에서는 첫소리 'g'가 무성음 [k]로 소리 나기도 한다.[3][4]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참고 | |
---|---|---|---|---|---|
압하지어 | ақалақь|ak̇halak̇h'ab | '도시' | 압하지어 음운론 참조 | ||
아디게어 | 샤프수크 | '닭' | 방언에 따라 다름; 다른 방언에서는 [t͡ʃ]에 해당함. | ||
테미르고이 | '기침하다' | ||||
아흐트나어 | 'g'istaann | '여섯' | |||
알류트어 | '크랜베리 덤불' |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 كتب|kataba|rtl=yesar | '그는 썼다' | 아랍어 음운론 참조 | |
아르메니아어 | 동아르메니아어 | քաղաք|''kaġak/kaghakhy | '마을' | 무기음 형태와 대조됨. | |
아삼어 | কম|komas | '적은' |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책' | 대부분의 방언에서 사용되지만, 우르미아와 노치야 방언에서는 [t͡ʃ]에 해당함. | |||
바스크어 | katu|katubas | '고양이' | |||
벵골어 | কম|kombn | '적은' | 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벵골어 음운론 참조 | ||
불가리아어 | как|kakbg | '어떻게' | 불가리아어 음운론 참조 | ||
광둥어 | '집' | 광둥어 음운론 참조 | |||
[kʰi:u˨˩] | '다리' | ||||
카탈루냐어 | cors|corsca | '마음' | 카탈루냐어 음운론 참조 | ||
추바시어 | кукка|куккаcv | [ku'kːɑ] | '어머니의 오빠' | ||
체코어 | kost|kostcs | '뼈' | 체코어 음운론 참조 | ||
덴마크어 | 표준 | gås|gåsda | '거위' | 일반적으로 IPA에서 [ɡ̊] 또는 [ɡ]로 표기됨. 유기음 형태와 대조되며, 일반적으로 IPA에서 [kʰ] 또는 [k]로 표기됨.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 |
네덜란드어 | koning|koningnl | '왕' |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 ||
영어 | kiss|'k'iss영어 | '키스' | 영어 음운론 참조 | ||
에스페란토어 | rakonto|rakontoeo | '이야기' | 에스페란토어 음운론 참조 | ||
에스토니아어 | '년' | ||||
페르시아어 | [kɑrd] | '칼' | |||
폴란드어 | buk/bukpl | '너도밤나무' | 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 ||
포르투갈어 | corpo/corpopt | '몸' |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 | ||
펀자브어 | kar/ਕਰpa | '하다' | 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 ||
루마니아어 | când/cândro | '언제' | 루마니아어 음운론 참조 | ||
러시아어 | короткий/короткийru | '짧은' | 러시아어 음운론 참조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кост/костsh / kost/kostsh | '뼈'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조 | ||
슬로바키아어 | kosť/kosťsk | '뼈' | 슬로바키아어 음운론 참조 | ||
슬로베니아어 | '뼈' | 좁은 모음 앞에서 유기음.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조 | |||
스페인어 | casa/casaes | '집' | 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 ||
스웨덴어 | ko/kosv | '소' |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 ||
실헤티어 | kita/ꠇꠤꠔꠣsyl | '무엇' | |||
타밀어 | kai/கைta | '손' | 타밀어 음운론 참조 | ||
텔루구어 | kāki/కాకిte | '까마귀' | 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 ||
태국어 | ไก่/ไก่th | '닭' | 유기음 형태와 대조됨. | ||
터키어 | kulak]]/kulaktr || || 귀 || 터키어 음운론 참조 | ||||
우비크어 | kawar/кауарuby | '나무판' | 대부분 차용어에서 발견됨. 우비크어 음운론 참조 | ||
우크라이나어 | колесо/колесоuk | '바퀴' |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 ||
베트남어 | cam/camvi | '오렌지' | 베트남어 음운론 참조 | ||
웨일스어 | calon/caloncy | [kalɔn] | '심장' | 웨일스어 음운론 참조 | |
서프리지아어 | keal/kealfy | '송아지' | 서프리지아어 음운론 참조 | ||
이어어 | ge/ꇰii | '어리석은' | 유기음과 무기음 형태 대조. | ||
사포텍어 | 틸키아판 | 'c'anza | '걷는' |
- 한국어에서 '가사'는 ㄱ으로 표기된다. 하지만 한국어에서는 유성음과의 대립 구조가 없어, [ɡ]로 발음해도 의미를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ㄱ은 어중간에 유성음으로 둘러싸이면 유성화되어 나타나고, 어말 등에서는 내파음으로 나타난다. 아가([aɡa]) (아기), 대학([tɛhak̚]) (대학교)와 같이 사용된다. 반면에 유기음·경음과의 3항 대립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ㅋ·ㄲ이라는 자모로 표기되어 의미가 구분된다. 개다([kɛda]) (개운해지다), 캐다([kʰɛda]) (캐다), 깨다([k͈ɛda]) (깨다)와 같이 다르게 발음된다.
- 일본어에서 'かき'(카키)는 /か/, /こ/ 등의 첫소리 자음으로 나타난다.
- 영어에서 cat([kæt]) (고양이), cake([keɪk]) (케이크), skin([skɪn]) (피부)와 같이 c나 k로 표기된다. 영어에서는 어두나 강세가 놓인 음절에서는 [kʰ]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skin처럼 s 뒤에서는 무기음으로 발음된다. 또한 발화의 끝에서는 내파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 중국어(표준어)에서 幹 gàn([kan˥]) (행하다)와 같이 병음으로 g로 표기된다. 하지만 표준어에서는 유성음과의 대립 구조가 없어, [ɡ]로 발음해도 의미를 구분하지 않는다. 반면에 [kʰ]과의 대립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k로 표기되어 의미가 구분된다. 看 kàn([kʰan˥]) (보다)와 같이 구별된다.
- 아랍어에서는 조음점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다.
참조
[1]
문서
Alternative terms for "pre-velar"
[2]
문서
Alternative terms for "post-velar"
[3]
논문
[4]
논문
[5]
웹사이트
DEX Online
http://dexonline.ro/[...]
[6]
문서
Parenthetical inform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