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는 AKB48 멤버들로 구성된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으로, 2008년 '오카시나 시스터즈'로 시작하여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로 변경된 후, 2010년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으로 활동했다. 2009년 싱글 '첫사랑 대시/푸른 미래'로 데뷔하여 오리콘 차트 10위를 기록했으며, '완벽~하지'가 애니메이션 '페어리 테일'의 엔딩 테마로 사용되며 인지도를 높였다. 2010년 '앗칸베 바시'로 오리콘 차트 1위를 달성했으나, 2013년 멤버의 졸업과 함께 해체되었으며, 2014년 마지막 콘서트를 개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JKT48 - 카와모토 사야
카와모토 사야는 홋카이도 벳카이정 출신으로, AKB48 팀4의 멤버이자 현재는 Incubation과 A-music 소속으로 배우 활동을 하는 일본의 연예인이다. - JKT48 - 첫날
첫날은 BNK48의 세 번째 싱글로, AKB48의 곡들을 커버하여 2018년 5월 7일에 발매되었다. - 2014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씨리얼 (음악 그룹)
씨리얼은 브레이브 형제가 프로듀싱한 5인조 걸 그룹으로 2011년 데뷔하여 "Joma Joma", "Sorry But I", "Danger Girl" 등의 싱글을 발표하며 활동했으나, 2013년 활동을 중단하고 사실상 해체되었다. - 2014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올맨 브라더스 밴드
올맨 브라더스 밴드는 1969년 조지아주 메이컨에서 결성되어 블루스, 재즈, 컨트리 융합 사운드와 즉흥 연주로 유명한 서던 록의 선구자 밴드이며, 멤버들의 비극적인 사건과 해체, 재결합을 거쳐 45년간 활동 후 해체되었지만 음악적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 포니 캐년 음악가 - 칸다 사야카
칸다 사야카는 배우 칸다 마사키와 가수 마츠다 세이코의 딸로, 배우, 가수, 성우로서 활동하며 영화, 무대, 음악, 더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으나 2021년 사망했다. - 포니 캐년 음악가 - 호리 치에미
호리 치에미는 1981년 데뷔하여 1982년 가수로 데뷔한 일본의 가수 겸 배우로, 1980년대 드라마 주연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은퇴 후 복귀, 2019년 혀암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 끝에 완치 판정을 받아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그룹명 |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 |
| 원어 그룹명 | 渡り廊下走り隊7 (일본어) |
| 로마자 표기 | Watarirōka Hashiritai Sebun |
| 활동 기간 | 2008년 ~ 2014년 2월 9일 |
| 장르 | J-POP |
| 레이블 | 포니캐년 |
| 소속사 | 프로덕션 오기 (와타나베 마유, 키쿠치 아야카, 나카가와 하루카, 오오타 아이카, 코모리 미카, 히라지마 나츠미, 우라노 카즈미) 나가라 프로덕션 (이와사 미사키) |
| 관련 활동 | AKB48 (와타나베 마유, 키쿠치 아야카, 이와사 미사키) HKT48 (오오타 아이카) JKT48 (나카가와 하루카) |
| 이전 그룹명 |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 오카시나 시스타즈 |
| 관련 인물 | 아키모토 야스시, AKB48 |
| 구성원 | |
| 멤버 | 나카가와 하루카 와타나베 마유 오오타 아이카 키쿠치 아야카 이와사 미사키 우라노 카즈미 (잠정 멤버) |
| 이전 멤버 | 히라지마 나츠미 코모리 미카 |
| 웹사이트 | |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AKB48과 마찬가지로 아키모토 야스시가 프로듀싱한 오냥코클럽의 파생 유닛 우시로가미히카레타이의 동생뻘 그룹으로, 2008년 3월에 '''오카시나 시스터즈'''가 결성되었다. 같은 해 히라지마 나츠미가 가입한 후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로 이름을 바꾸고 2009년 1월에 첫 싱글을 발매했다.
2010년 2월 7일 키쿠치 아야카의 가입이 발표되었고, 3월 17일 네 번째 싱글 앗칸베 바시 발매일에 정식 가입하였다. 2011년 2월 2일에는 코모리 미카와 이와사 미사키를 멤버로 추가해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이 되었다.
2012년에는 멤버 변동이 있었는데, 2월 5일 히라지마 나츠미가 탈퇴하였고, 3월 10일에는 우라노 카즈미가 잠정 멤버로 가입하였다. 2013년 7월 7일에는 코모리 미카가 AKB48을 졸업 및 은퇴하였다.
2013년 11월 13일, 베스트 앨범을 12월 25일에 발매하는것과 동시에 해체가 정식 발표되었다. 2014년 2월 9일 Zepp 도쿄에서 해산 콘서트를 갖고 해산했다. 와타나베 마유는 무대에서 눈물을 흘리며 "가슴이 벅차서 터질것 같습니다. 그룹의 해산을 처음 경험하므로, 이렇게나 애절하고 힘들다고 실감하고 있습니다. 가장 나답게 있을 수 있는 장소였습니다. 달린 날은 나의 청춘이었죠. 지금까지 정말 고마웠습니다"라고 말했다. 은퇴한 코모리도 참여해 27곡을 불렀다.[19]
2. 1. 결성 배경 및 초기 활동 (2008년 ~ 2009년)
아키모토 야스시가 프로듀싱한 오냥코클럽의 파생 유닛 우시로가미히카레타이의 동생뻘 그룹으로, 2008년 3월에 '''오카시나 시스터즈'''(お菓子なシスターズ|오카시나 시스터즈일본어)가 결성되었다. 오카시나 시스터즈는 NHK 교육 텔레비전의 '미라클 미미카'의 엔딩 테마곡 '사랑의 츄잉'(恋のチューイング|코이노 츄-잉구일본어)을 불렀다.[1]2008년 10월, 히라지마 나츠미가 합류하면서 그룹명을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渡り廊下走り隊|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일본어)로 변경했다. 그룹명은 오냥코클럽의 파생 유닛인 우시로유비사사레구미의 데뷔곡 가사에서 유래했다.[20]
2009년 1월, 포니 캐년에서 싱글 '첫사랑 대시/푸른 미래'(初恋ダッシュ/青い未来|하츠코이 닷슈/아오이 미라이일본어)로 데뷔했다.[2] 이 싱글은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10위를 기록했다.[3] 2009년 4월에는 싱글 '할기 불꽃'(やる気花火|야루키 하나비일본어)을 발매하여 9위를 기록했다.[3]
2009년 11월에는 싱글 '완벽~하지'(完璧ぐ〜のね|칸페키 구-노네일본어)를 발매했다. 이 곡은 애니메이션 ''페어리 테일''의 엔딩 테마곡으로 사용되어 인지도를 높였으며,[3] 오리콘 차트 7위를 기록했다.[4]
| 음악 | 사용된 곳 | 수록 작품 | 비고 |
|---|---|---|---|
| 푸른 미래(青い未来|아오이 미라이일본어) | TV 도쿄 『블루 드래곤 제2기 천계의 7마리의 용』 오프닝 테마 | 1st 싱글 '첫사랑 대시/푸른 미래' | |
| 사랑의 츄잉(恋のチューイング|코이노 츄-잉구일본어) | NHK 교육 텔레비전 『미라클 미미카』 2008년 엔딩 테마 | 오카시나 시스터즈 | |
| 할기 불꽃(やる気花火|야루키 하나비일본어) | TV 도쿄 『스키바라』 엔딩 테마 TV 도쿄 『피라메키노』 2009년 4월 엔딩 테마 | 2nd 싱글 '할기 불꽃' | |
| 흰 튤립(白いチューリップ|시로이 츄-릿푸일본어) | BS후지 『컨닝의DAI안☆길일 | 』 2009년 4월 엔딩 테마 | |
| 완벽~하지(完璧ぐ〜のね|칸페키 구-노네일본어) | TV 도쿄 『페어리 테일』 엔딩 테마 TV 도쿄 『애니송 플러스』 2009년 10월 엔딩 테마 | 3rd 싱글 '완벽~하지' | |
| 모험 엣 세트라(冒険エトセトラ|보-켄 에토세토라일본어) | 온라인 게임 GRAND FANTASIA 테마송 |
2. 2. 멤버 변화 및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 (2010년 ~ 2012년)
2010년 2월, 키쿠치 아야카가 그룹에 합류하였다.[5] 같은 해 3월 17일, 네 번째 싱글 앗칸베 바시를 발매, 오리콘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6]2010년 6월 30일, 이와사 미사키와 코모리 미카가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에 합류하여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이 결성되었다.[23] 2011년 2월 2일,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 명의로 고쿠쇼 사유리의 곡을 리메이크한 발렌타인・키스를 발매하였다.[24]
2011년 8월 3일, 싱글 헷타피 윙크를 발매했다.[8][9][10] 11월 30일에는 TV 아사히의 애니메이션 크레용 신짱의 오프닝 테마로 사용된 싱글 희망산맥을 발매하였다.
2012년 1월 28일, 히라지마 나츠미가 탈퇴를 선언,[25] 2월 5일 도쿄 빅 사이트에서 열린 악수회를 마지막으로 AKB48 및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에서의 활동을 종료했다.[26] 3월 10일, 아키모토 야스시가 Google+에서 우라노 카즈미를 임시 멤버로 합류시키는 것을 발표하였다.[27] 5월 30일, 싱글 소년이여 거짓말을 해라!를 발매, 이 곡은 영화 크레용 신짱: 폭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2012년 8월 24일, AKB48 in TOKYO DOME ~1830m no Yume~ 콘서트 투어 동안 멤버 오오타 아이카와 나카가와 하루카는 각각 HKT48과 JKT48로 이적했다.
2. 3. 해체 (2013년 ~ 2014년)
2013년 7월 7일, 코모리 미카가 유학을 이유로 AKB48을 졸업하고 연예계를 은퇴했다.[31] 11월 13일, 베스트 앨범 '와타리로카를 천천히 걷고 싶어'를 12월 25일에 발매한다는 발표와 함께 해체가 공식 발표되었다.[32][33][34] 해체 이유는 "여학생"을 콘셉트로 하고 있지만 멤버 전원이 그에 맞지 않는 나이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부에서 불화설이 제기되었으나, 이는 뮤직비디오(MV) 속 연출이었으며, 소동을 일으킨 것에 대해 사과했다.[35][36][37]2014년 2월 9일, Zepp다이버시티 도쿄에서 마지막 콘서트를 갖고 해체했다. 와타나베 마유는 무대에서 눈물을 흘리며 "가슴이 벅차서 터질 것 같습니다. 그룹의 해산을 처음 경험하므로, 이렇게나 애절하고 힘들다고 실감하고 있습니다. 가장 나답게 있을 수 있는 장소였습니다. 달린 날은 나의 청춘이었죠. 지금까지 정말 고마웠습니다"라고 말했다. 은퇴한 코모리 미카도 참여해 27곡을 불렀다.[19] 이 콘서트가 유닛 단독으로는 처음이자 마지막 콘서트가 되었다.[19]
3. 멤버
(결성/가입 당시)
(신디)
가입 당시 SDN48(2012년 3월 31일 졸업), 前 AKB48
해산 발표 후, 베스트 앨범 및 이벤트, 해산 콘서트에 참가
2013년 7월 7일 AKB48 졸업, 2013년 8월 은퇴
탈퇴 후, 해산 콘서트에 게스트로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