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냥코클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냥코클럽은 1985년 후지TV의 버라이어티 쇼 '저녁놀 냥냥'의 어시스턴트 여성 그룹으로 데뷔한 일본의 아이돌 그룹이다. '연예인이 아닌 평범한 여고생' 컨셉으로 중고생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으며, '세일러복을 벗지 마'를 포함한 다수의 히트곡을 발표했다. 멤버들의 졸업 시스템을 도입하고, 파생 유닛 활동, 다양한 미디어 믹스를 통해 1980년대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87년 해산 이후에도 멤버들의 솔로 활동과 재결성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냥코클럽 - 우시로유비사사레구미
우시로유비사사레구미는 TV 애니메이션 《고교! 기면조》의 주제가 담당을 위해 결성된 일본의 여성 듀오로, 오냥코 클럽의 멤버 타카이 마미코와 이와이 유키코로 구성되어 1985년 데뷔 싱글을 발표하고 오리콘 차트 5위에 오르는 등 인기를 얻었으나 1987년 해체되었다. - 오냥코클럽 - 냥기라스
냥기라스는 후지 TV 프로그램 《유야케 냥냥》에서 탄생한 타츠미 리카, 키하라 아키, 나고야 미카, 시라이시 마코로 구성된 일본 아이돌 그룹으로, "나는 리카 짱"으로 데뷔하여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하는 등 인기를 얻었으며, 독특한 컨셉과 음악으로 아이돌 시장에 영향을 미쳤고 2012년 재결합했다. - 2002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화이트스네이크
화이트스네이크는 데이비드 커버데일이 이끄는 영국의 하드 록 밴드로서, 블루스 록에서 하드 록으로 음악 스타일을 변화시키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멤버 교체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활동을 통해 글로벌 록 밴드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 2002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N.EX.T
N.EX.T는 1992년 신해철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테크노와 록을 결합한 음악을 선보이며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앨범을 발표했으며, 1997년 해체 후 재결성하여 활동하다가 신해철의 사망으로 활동이 불투명해진 대한민국의 록 밴드이다. - 1987년 해체된 음악 그룹 - 허스커 두
허스커 두는 1979년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결성되어 하드코어 펑크 기반에 멜로디를 강조한 음악으로 1980년대 미국 인디 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멤버 간 갈등과 매니저의 죽음으로 1987년 해체된 밥 몰드, 그랜트 하트, 그렉 노턴으로 구성된 미국의 록 밴드이다. - 1987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베이 시티 롤러스
베이 시티 롤러스는 1965년 결성된 스코틀랜드 록 밴드로, 1970년대 중반 롤러마니아 팬덤을 형성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여러 멤버 교체와 재결성을 거쳐 2023년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오냥코클럽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오냥코 클럽 (おニャン子クラブ) |
로마자 표기 | Onyanko Kurabu |
별칭 | 키티 클럽 |
국적 | 일본 |
장르 | J-pop 가요 틴 팝 |
활동 기간 | 1985년 – 1987년 2002년 2010년 |
레이블 | 캐니언 레코드 키리기리스 |
스핀오프 | 냥기라스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 우시로유비 사사레구미 무스코 클럽 |
구성원 | |
과거 구성원 | 멤버 목록 참조 |
2. 역사
2. 1. 결성 배경 (1983년 ~ 1985년 4월)
1983년부터 시작된 후지TV 토요일 심야 생방송 프로그램 《올 나이트 후지》는 "여대생 붐"을 일으키는 등 사회적 현상이라고 할 정도로 히트를 쳤고,[70] 그 히트의 한 축을 담당했던 프로그램 어시스턴트 여성 그룹인 올나이터즈도 아이돌적인 인기와 활동 전개로 번성했다. 그녀들은 기존의 연예인이 아닌 아마추어 여대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전까지 숭고한 존재였던 아이돌상과는 상반되었기에 주목을 받았다. 아마추어 여대생 집단인 올나이터즈가 레코드를 내거나 탤런트로 전향하는 흐름은 오냥코 클럽이나 오냥코 이후의 그룹 아이돌의 원점이며, 후세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그 성공을 바탕으로 후지TV는 같은 스태프에 의해 평일 저녁 시간대에 중고생을 메인 타겟으로 방송하는 《올 나이트 후지》와 유사한 생방송 정보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저녁노을냥냥(夕やけニャンニャン)'''》의 시작과 올나이터즈에 상당하는 프로그램 어시스턴트 여성 그룹, 오냥코 클럽의 결성을 기획한다.
1985년 4월에 데뷔한 오냥코클럽은 '연예인이 아닌 어디까지나 보통 여자아이'라는 컨셉으로, 프로그램보다 학업을 우선시키는 등, 그 아마추어스러움과 친근함이 방과후 여학교나 동아리, 아르바이트, 클럽 활동 느낌의 이미지를 주었다.[70] 멤버 선출은 노래나 댄스 실력, 미소녀 여부에 한정되지 않고, '어디에나 있을 법한 평범한 여고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당시 여대생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던 올나이터즈를 저연령화 시킨 것으로, 당시의 남자 중고생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70]
2. 2. 1985년 (쇼와 60년)
1985년 4월 1일, 후지 TV의 생방송 버라이어티 쇼 《저녁놀 냥냥》의 첫 방송과 함께 오냥코클럽이 데뷔했다. 초기 멤버는 11명으로, 프로그램 내 오디션 코너 '더 스카우트 아이돌을 찾아라!'를 통해 멤버를 충원했다.프로그램 시작 3주 만에 멤버 6명이 주간문춘에 흡연 사진이 찍혀 5명이 그룹에서 제명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7월 5일, 데뷔 싱글 〈세일러복을 벗기지 마〉가 발매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이 곡은 오리콘 차트에서 최고 5위를 기록했고, 발매 기념 악수회에는 4,000명 이상의 팬이 몰려 안전 문제로 행사가 취소되기도 했다. 이를 계기로 《저녁놀 냥냥》은 방송 네트워크를 전국 규모로 확장했고, 시청률도 상승했다. 오냥코클럽은 타 방송국 음악 프로그램에도 출연하며 전국적인 인지도를 높였다.
9월에는 멤버 카와이 소노코가 〈눈물의 재스민 LOVE〉로 솔로 데뷔하여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했다. 9월 21일에는 첫 정규 앨범 《킥 오프》가 발매되어 오리콘 앨범 차트 2위를 기록했다. 9월 30일, 타카이 마미코와 이와이 유키코로 구성된 첫 번째 유닛 우시로유비사사레구미가 데뷔했다.
10월 1일, 공식 팬클럽 '코냥코클럽'이 출범하여 최전성기에는 18만 명의 회원을 확보했다. 10월 5일, 히비야 야외음악당에서 첫 콘서트 '킥 오프'를 개최했다.
후지 TV는 'CX 은하 계획'이라는 미디어 전략을 통해 오냥코클럽을 활용한 굿즈 판매 등 수익 사업을 확장했다.
2. 3. 1986년 (쇼와 61년)
1986년은 오냥코클럽에게 있어 그룹 및 멤버 개인 활동 모두에서 정점을 찍은 해였다. 1월, 닛타 에리가 "겨울의 오페라 글라스"로 솔로 데뷔하여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 3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1] 이 기록은 신인 여성 가수의 데뷔곡으로는 최초였다.[14] 2월에는 고쿠쇼 사유리가 "발렌타인 키스"로 솔로 데뷔하여 역시 높은 인기를 얻었다.[1]3월, 나카지마 미하루와 카와이 소노코가 그룹을 졸업했다.[1] 나카지마 미하루는 학업에 전념하기 위해, 카와이 소노코는 솔로 활동을 위해 그룹을 떠났다. 이들의 졸업식은 《저녁놀 냥냥》 방송과 콘서트 투어에서 성대하게 치러졌으며, 이는 이후 오냥코클럽의 졸업 시스템으로 자리 잡았다.[15] 이는 모닝구무스메나 AKB48, 노기자카46 등 후대 아이돌 그룹의 졸업 시스템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이러한 멤버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냥코클럽은 7월 와타나베 미나요[16], 10월 와타나베 마리나[2] 등 새로운 인기 멤버들을 영입하며 전성기를 이어갔다. 쿠도 시즈카, 이키나 아키코 등도 이 시기에 합류했다.[18]
1986년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오냥코클럽 관련 곡은 52주 중 36주 동안 1위를 차지했으며, 총 46곡 중 30곡이 1위를 기록하는 등[1] 히트 차트를 석권하며 '오냥코 현상'을 심화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독주에 대한 반발도 나타났다. 특히 TBS의 음악 프로그램 《더 베스트 텐》과는 순위 선정 방식을 두고 갈등을 빚었다. 후지 TV와 《저녁놀 냥냥》 측은 《더 베스트 텐》의 순위에 이의를 제기하며 7월부터 오냥코클럽 및 관련 아티스트들의 출연을 보이콧했고, 이는 1987년 4월까지 이어졌다.[59][60]
9월에는 닛타 에리, 나고시 미카, 후쿠나가 에키, 요시자와 아키에, 야마모토 수잔 쿠미코 등 5명의 초기 멤버가 졸업했다.[18] 그 직후, 슈에이샤의 잡지 《Seventeen》과의 협력을 통해 카이세 노리코 등 새로운 멤버들이 대거 합류했다.[18]
그러나 1986년 후반부터 오냥코클럽의 인기는 하락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8월 개봉한 주연 영화 《오냥코 더 무비 위기 일발!》는 흥행에 실패했고, 5월부터 골든 타임에 방송된 《저녁 식사 냥냥》은 9월에 조기 종영되었다.[43] 또한, 오기노메 요코, 미나미노 요코 등 다른 아이돌 그룹들의 활약으로 아이돌 시장은 다변화되었다.[44]
2. 4. 1987년 (쇼와 62년)
1987년 1월 5일, ''유야케 냥냥''에서 키하라 아키, 고쿠쇼 사유리, 우츠미 카즈코, 타치미 리카, 타카이 마미코 5명이 4월에 그룹을 "졸업"한다고 발표되었다.[1][2][19] 고쿠쇼, 우츠미, 타카이는 솔로 활동을 시작하고, 키하라와 타츠미는 연예계를 은퇴하기로 결정했다.[1][2][19] 1월 9일, 오냥코클럽의 일곱 번째 싱글 "No More Ren'ai Gokko"가 ''유야케 냥냥''에서 처음 공개되었고,[1] 1월 21일 발매되어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1][2][19] 같은 날, 타카이 마미코의 첫 솔로 앨범 ''Itoguchi''가 발매되어 오리콘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다.[1][2][19]2월 21일, 우시로유비 사사레구미의 마지막 싱글 "Kashiko"가 발매되어 싱글 차트 1위를 차지, 5연속 1위 싱글이 되었다.[1] 같은 날 오냥코클럽의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 ''Side Line''이 발매되었다.[1] 2월 26일에는 와타나베 마리나의 첫 솔로 앨범 ''MARINA''가 발매되어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했다.[1][2][19] 2월 15일, 일본 무도관에서 와타나베의 앨범 발매 기념 이벤트 "Sweet Little Sixteen"이 열려 약 10,000명이 참석했다.[1][2][19]
3월 11일, 우시로유비 사사레구미의 컴필레이션 앨범 (''Unlimited'')가 발매되어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했다.[1] 타카이 마미코의 탈퇴로 우시로유비 사사레구미가 해체되기 한 달 전, 타카이 마미코의 네 번째 솔로 싱글 "Kagerou"와 이와이 유키코의 첫 솔로 싱글 "Tenshi no Bodyguard"가 3월 9일 ''유야케 냥냥''에서 처음 공개되었다.[1][2][19] 같은 날, 타치미 리카의 첫 번째이자 마지막 솔로 싱글 "Sonna Tsumorija Nakattanoni"도 공개되었다.[1][2][19] 3월 18일, 타카이의 네 번째 싱글과 타츠미의 첫 번째 싱글이 각각 싱글 차트 1위와 34위를 기록했다.[1][2][19] 3월 20일, ''유야케 냥냥''에서 모리야 토시에, 타카다 나오코, 요시다 유미코, 나카지마 사나에, 토미나가 히로코, 야마자키 마유미의 "졸업식"이 열렸다.[1][2][19]
3월 25일, 이와이 유키코("유우유")의 첫 솔로 싱글이 "오냥코 클럽과 함께하는 유우유"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어 싱글 차트 2위로 데뷔했다.[2] 3월 28일, 세 번째 전국 콘서트 투어 "오냥코 세일링 유메코조"가 오사카에서 시작되어 총 20만 명의 관객을 모았다.[2] 3월 30일, ''유야케 냥냥''에서 키하라, 고쿠쇼, 우츠미, 타츠미, 타카이의 "졸업식"이 열렸다.[1][21][22] 4월 4일과 5일, 요요기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콘서트를 통해 키하라, 고쿠쇼, 우츠미, 타츠미, 타카이가 오냥코클럽 멤버로서의 활동을 마무리했다.[1][21][22] 이 콘서트들은 비디오와 라이브 앨범으로 발매되었다.[1][21][22]
4월 6일, 오냥코클럽 B-구미 멤버 요시미 미츠코, 스기우라 미유키, 미야노 쿠미코가 오냥코클럽으로 승격했다.[21] 4월 13일, ''유야케 냥냥''에서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 (쿠도 시즈카, 이쿠이나 아키코, 사이토 마키코)가 첫 싱글 "Toki no Kawa wo Koete"를 공연하며 데뷔했다.[21]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는 우시로유비 사사레구미의 후속 그룹으로 결성되었다.[21] 4월 17일, 스즈키 와카코가 오디션에서 우승하여 52번째 멤버가 되었다.[21] 4월 28일, 오냥코클럽의 여덟 번째 싱글 "달팽이 삼바"가 ''유야케 냥냥''에서 처음 공개되었다.[1][21] 5월 7일,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의 첫 싱글,[1] 5월 21일, 오냥코클럽의 여덟 번째 싱글이 발매되어 모두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1][21] 같은 날, ''유야케 냥냥'' 500회 방송이 방영되었다.[1][21]
6월 15일, ''유야케 냥냥''에서 오냥코클럽이 9월에 해체되고, ''유야케 냥냥''이 8월 31일에 종료된다고 발표되었다.[1][3] 7월 15일, 와타나베 마리나의 네 번째 싱글 "Natsuyasumi Dakeno Side Seat",[1] 7월 29일, 와타나베 미나요의 다섯 번째 싱글 "Amaryllis"가 발매되어 모두 차트 1위를 차지했다.[1][3] "Amaryllis"는 와타나베 미나요의 솔로 데뷔 이후 5연속 1위 싱글이 되었다.[1][3]
7월 29일, 이와이 유키코의 첫 솔로 앨범 ''Yuuyu Kousen''이 오리콘 LP 차트 1위로 데뷔했다.[1][19] 8월 5일, 오냥코클럽의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 ''Circle''이 발매되어 앨범 차트 2위에 올랐다.[1][19] 8월 1일, "오냥코 클럽 해산 기념 전국 종단 파이널 콘서트"가 삿포로에서 시작되었다.[1]
8월 12일,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의 두 번째 싱글 "Anata wo Shiritai"가 발매되어 싱글 차트 2위로 데뷔했다.[1][3] 8월 10일, 오냥코클럽의 아홉 번째 싱글 "웨딩 드레스"가 ''유야케 냥냥''에서 처음 공개되었고,[1][3] 8월 21일 발매되어 싱글 차트 2위로 데뷔했다.[1][3]
8월 31일, ''유야케 냥냥''이 2시간 특별 생방송으로 종료되었다.[1] 해고된 멤버를 제외한 대부분의 전 멤버들이 출연했고, 남은 19명의 "졸업식"이 열렸다.[1] 같은 날, 쿠도 시즈카의 첫 솔로 싱글 "킨단노 텔레파시"가 발매되어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1] 9월 19일과 20일, 요요기 국립 경기장에서 마지막 콘서트를 열고 활동을 마무리했다.[1] 마지막 콘서트에는 11명의 "졸업" 멤버들이 합류하여 공연했다.[1] 20일 오후 쇼의 일부는 후지 TV에서 생방송으로 중계되었고, 저녁 쇼 전체는 비디오로 발매되었다.[1] 해산 당시, 그룹, 멤버, "졸업" 멤버 및 하위 그룹의 71개 싱글 중 43개가 오리콘 차트 1위를 차지했다.[1]
3월과 4월, 우츠미 카즈코, 키하라 아키, 고쿠쇼 사유리, 타치미 리카, 타카이 마미코가 탈퇴했다. 5월, 이쿠이나 아키코, 쿠도 시즈카, 사이토 마키코로 구성된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가 "시간의 강을 넘어"로 데뷔했다. 6월 15일, ''유야케 냥냥''에서 프로그램 종료와 오냥코클럽 해산이 발표되었다.
8월 21일, 마지막 싱글 "웨딩드레스"를 발매했다. 8월 31일, ''유야케 냥냥''이 종료되었다. 9월 20일, 요요기 제1체육관 콘서트에서 해산했다. 약 2년 반 만의 해산이었으며, 여전히 인기가 있었지만 이른 해산이었다. 오냥코클럽 활동 중 데뷔했던 멤버들은 연예계에 남았지만, 그 외 멤버들은 후지 TV가 매니지먼트를 맡아 활동 속행이 불가능해져 은퇴했다.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는 오냥코클럽 해산 후에도 활동을 계속했다.
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1체육관에서 열린 해산 콘서트에는 전국에서 3만 명 가까운 팬들이 모였다.[67] 회장 앞 광장에는 티켓을 구하지 못한 수백 명의 팬들이 몰려 하라주쿠역까지 이어지는 육교를 가득 메웠다.[67] 이들은 회장에서 들려오는 노래를 들으며 응원을 보냈다.[67]
마지막 공연 앙코르 때 일부 팬들이 폭주하여 친위대를 중심으로 수십 명이 입구 유리를 깨뜨리는 등 난입했고, 다른 팬 수백 명도 "우리도 들어갈 권리가 있다!"라고 외치며 몰려들었다.[67] 이 사건은 다음 날 뉴스나 스포츠 신문에서 크게 다루어졌다.[67] 이후 매년 9월 20일, 팬들은 요요기 공원에 모여 집회(해산 콘서트 비디오 상영회)를 열고 있다.[67]
2. 5. 해산 이후
오냥코클럽 해산 이후, 멤버들은 솔로 활동 및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와 같은 유닛 활동을 통해 음반 발매와 미디어 출연을 이어갔다. 1987년 11월, 멤버 아갓츠마 카요가 솔로 싱글을 발매했고, 1988년에는 야마자키 마유미, 이쿠이나 아키코, 사이토 마키코 등이 솔로 데뷔를 했다. 코쿠쇼 사유리, 와타나베 미나요, 와타나베 마리나, 이쿠이나 아키코는 배우, 가수, TV 연예인으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으며, 조노우치 사나에는 엔카 가수로 활동했다. 이쿠이나 아키코는 2022년 참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다.1990년대에는 "그 사람은 지금"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전 멤버들이 모여 '재결성'이라는 이름으로 세일러복을 벗기지 마를 부르기도 했다. 1993년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는 사토 준의 편곡상 수상을 기념해 특별 출연하여 새로운 버전의 세일러복을 벗기지 마를 선보였다.
2002년에는 초기 멤버 14명이 재결성하여 싱글 쇼미키겐을 발매하고, 이벤트 및 방송에 출연했다. 같은 해 FNS 가요제에서는 후기 멤버들을 포함하여 쇼미키겐과 세일러복을 벗기지 마를 불렀다. 2010년에는 TV CM에서 11명의 멤버가 재결성하여 이토 아츠시와 함께 세일러복을 벗기지 마의 후렴구를 부르기도 했다.
2015년에는 그룹 결성 30주년을 기념하여 CD-BOX ''싱글 레코드 복각 냥냥''이 발매되었다. 이 박스 세트는 1985년부터 1989년까지 발매된 그룹, 하위 그룹, 멤버들의 모든 싱글을 포함하고 있다.
이외에도 2005년에는 파칭코 게임기 ''CR 오냥코 클럽''이 출시되었고, 2018년에는 THE MUSIC DAY 2018 전하고 싶은 노래에 일부 멤버들이 출연하는 등 팬들에 의한 기념행사는 계속되고 있다.
3. 멤버
오냥코클럽의 멤버는 다음과 같다. 회원 번호 순으로 나열한다.
회원번호 | 이름 | 비고 |
---|---|---|
1 | 오쿠다 미카 |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탈퇴.[23][29] |
2 | 에노키다 미치코 |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탈퇴.[23][29][30] |
3 | 요시노 카요코 |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탈퇴.[29] |
4 | 닛타 에리 | 제2회 졸업생. 1997년, 후지테레비 사장과 결혼. 현재도 예능 활동중. 활동 당시 고쿠쇼 사유리와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짐. 팬들도 파벌이 나뉨.[23] |
5 | 나카지마 미하루 | 제1회 졸업생.[23] |
6 | 키하라 아키 | 제5회 졸업생. 냥기라스 멤버.[23][29] |
7 | 토모다 마미코 |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탈퇴.[31][32] |
8 | 고쿠쇼 사유리 | 제5회 졸업생. 현재도 예능 활동중인 오냥코 1대 리더.[23] |
9 | 나고야 미카 | 제2회 졸업생. 냥기라스 멤버.[23] |
10 | 사토 마유미 |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탈퇴.[23] |
11 | 후쿠나가 사토미 | 제2회 졸업생.[23] |
12 | 카와이 소노코 | 제1회 졸업생. 고토 츠구토시의 부인.[23] |
13 | 우츠미 카즈코 | 제5회 졸업생.[24] |
14 | 토미카와 하루미 | 해산시 멤버. 그룹 멤버중 회원 번호가 최소(= 재적 기간 최장).[24] |
15 | 타츠미 리카 | 제5회 졸업생. 냥기라스 멤버.[24] |
16 | 타카이 마미코 | 제5회 졸업생. 1988년에 아키모토 야스시와 결혼 후 은퇴. 우시로유비사사레구미 멤버.[24] |
17 | 죠노우치 사나에 | 해산시 멤버. 고쿠쇼 사유리가 졸업한 후 2대 리더를 맡았던 멤버. 현재도 엔카 가수로서 활동중.[24] |
18 | 나가타 루리코 | 해산시 멤버.[12][24] |
19 | 이와이 유키코 | 해산시 멤버. 애칭 유유. 1997년에 결혼 후 은퇴. 우시로유비사사레구미 멤버.[24] |
20 | 테라모토 요코 | 1985년 9월 탈퇴.[12][24] |
21 | 코미오카 타마키 | 1985년 9월 탈퇴.[12][24] |
22 | 시라이시 마코 | 해산시 멤버. 냥기라스 멤버.[24] |
23 | 하야시 카오리 | 오사카 주재원.[24] |
24 | 미타 후미요 | 히로시마 주재원. 전 모모코클럽 멤버. 뉴욕에서 연극 공부중.[24] |
25 | 요시자와 아키에 | 제2회 졸업생. 합격 후, 1985년 곧바로 솔로 데뷔했으나, 은퇴. 스케반데카 소녀철가면전설에서 야지마 유키노역으로 출연.[24] |
26 | 아카사카 요시에 | 재적 기간 일주일간. 전 모모코클럽 멤버.[24][33] |
27 | 마츠모토 아키 | 합격한 것 봐로 활동은 없음. 전 모모코클럽 멤버.[12][24][33] |
28 | 요코타 무츠미 | 해산시 멤버.[24] |
29 | 와타나베 미나요 | 해산시 멤버. 현재도 예능 활동중.[24] |
30 | 미카미 치아키 | 트라이앵글 블루의 오디션도 합격.[25] |
31 | 야지마 유코 | 영 파라다이스 이미지걸 콘테스트에 합격.[25] |
32 | 야마모토 수잔 쿠미코 | 제2회 졸업생. 오냥코의 유일한 혼혈인.[25] |
33 | 후카와 토모코 | 해산시 멤버. 전 시부카키타이의 후카와 토시카즈의 여동생.[25] |
34 | 유미오카 마미 | 제3회 졸업생. 중학교를 졸업해 1986년 3월 14일부터 활동.[25] |
35 | 오카모토 타카코 | 제3회 졸업생. 유미오카 마미와 같이 1986년 3월 14일부터 활동.[25] |
36 | 와타나베 마리나 | 해산시 멤버. 현재도 예능 활동중. 2005년, 웃음 트리오 넵튠의 나구라 쥰과 결혼.[25] |
37 | 오오누키 카오리 | 합격 후 프로그램에 1일만 출연. 전 모모코클럽 멤버. 탤런트, 모델로서 활동중.[25][29][33] |
38 | 쿠도 시즈카 | 해산시 멤버. 전 모모코클럽 멤버. 현재도 가수로서 활동중. 키무라 타쿠야와 속도위반 결혼.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 멤버.[25] |
39 | 다카바타케 마키 | 제3회 졸업생. 신 회원 번호의 노래에 참가.[25] |
40 | 이쿠이나 아키코 | 해산시 멤버. 해산 후에 솔로 데뷔. 그 후도 예능 활동을 계속. 결혼, 출산기에 활동을 일시 휴지하고 있었지만 재개.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 멤버.[25][26] |
41 | 카이세 노리코 | 해산시 멤버. 미스 세븐 틴 그랑프리. 당초 うしろ髪(우시로가미)에 들어갈 예정이었다.[25] |
42 | 사이토 마키코 | 해산시 멤버. 미스 세븐 틴 준 그랑프리. 해산 후에 솔로 데뷔. 1998년 결혼 후 은퇴.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 멤버.[25] |
43 | 모리야 토시에 | 제4회 졸업생. 미스 세븐 틴 준 그랑프리. 솔로 데뷔의 예정도 있었다.[25] |
44 | 다카다 나오코 | 제4회 졸업생. 미스 세븐 틴 특별상.[25] |
45 | 요시다 유미코 | 제4회 졸업생. 단독으로 CM 출연해, 개인 활동중.[25] |
46 | 나카지마 사나에 | 제4회 졸업생. 전 모모코클럽 멤버.[25] |
47 | 야마모리 유리코 | 해산시 멤버. 오냥코에 두 번째로 합격을 완수한다.[25] |
48 | 아가츠마 카요 | 해산시 멤버. 해산 후에 솔로 데뷔. 현재도 예능 활동중. 세리자와 나오미의 여동생. 결혼→이혼.[25] |
49 | 요시미 미츠코 | 해산시 멤버. B조 1번→정식 멤버로 승격. 미스 세븐 틴 특별상. 전 모모코클럽 멤버. 해산 후 누드를 공개.[25][29] |
50 | 스기우라 미유키 | 해산시 멤버. B조 2번→정식 멤버로 승격. 미스 세븐 틴 특별상. 해산 후는 레이스 퀸에 활동했으나, 현재는 모델(예명은 스기 미유키).[25] |
51 | 미야노 쿠미코 | 해산시 멤버. B조 3번→정식 멤버로 승격. 미스 세븐 틴 특별상. 해산 후는 「Kiss」라는 그룹에 재적. 현재도 예능 활동중.[25] |
52 | 스즈키 와카코 | 해산시 멤버. 마지막 합격 멤버.[25] |
B-1 | 요시미 미츠코 | → 49번 |
B-2 | 스기우라 미유키 | → 50번 |
B-3 | 미야노 쿠미코 | → 51번 |
B-4 | 토미나가 히로코 | 제4회 졸업생. 미스 세븐 틴 특별상.[25] |
B-5 | 야마자키 마유미 | 제4회 졸업생.[25] |
연수생 | 요린다 얀 | 유일한 외국인 멤버.[1] |
3. 1. 오리지널 멤버 (1985년 4월 1일)
- 오쿠다 미카 (奥田美香) -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탈퇴.
- 에노키다 미치코 (榎田道子) -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탈퇴.
- 요시노 카요코 (吉野佳代子) -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탈퇴.
- 닛타 에리 (新田恵利) - 제2회 졸업생. 1997년, 후지테레비 사장과 결혼. 현재도 예능 활동중. 활동당시 고쿠쇼 사유리와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짐. 팬들도 파벌이 나뉨.
- 나카지마 미하루 (中島美春) - 제1회 졸업생.
- 키하라 아키 (樹原亜紀) - 제5회 졸업생.
- 토모다 마미코 (友田麻美子) -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탈퇴.
- 고쿠쇼 사유리 (国生さゆり) - 제5회 졸업생. 현재도 예능 활동중인 오냥코 1대 리더.
- 나고야 미카 (名越美香) - 제2회 졸업생.
- 사토 마유미 (佐藤真由美) -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탈퇴.
- 후쿠나가 사토미 (福永恵規) - 제2회 졸업생.
- 카와이 소노코 (河合その子) - 제1회 졸업생. 고토 츠구토시의 부인
- 우츠미 카즈코 (内海和子) - 제5회 졸업생.
- 토미카와 하루미 (富川春美) - 해산시 멤버. 그룹 멤버중 회원 번호가 최소(= 재적 기간 최장).
- 타츠미 리카 (立見里歌) - 제5회 졸업생.
- 타카이 마미코 (高井麻巳子) - 제5회 졸업생. 1988년에 아키모토 야스시와 결혼 후 은퇴.
- 죠노우치 사나에 (城之内早苗) - 해산시 멤버. 고쿠쇼 사유리가 졸업한 후 2대 리더를 맡았던 멤버. 현재도 엔카 가수로서 활동중.
- 나가타 루리코 (永田ルリ子) - 해산시 멤버.
- 이와이 유키코 (岩井由紀子) - 해산시 멤버. 애칭 유유. 1997년에 결혼 후 은퇴.
- 테라모토 요코 (寺本容子) - 1985년 9월 탈퇴.
- 코미오카 타마키 (五味岡たまき) - 1985년 9월 탈퇴.
- 시라이시 마코 (白石麻子) - 해산시 멤버.
- 하야시 카오리 (林香織) - 오사카 주재원.
- 미타 후미요 (三田文代) - 히로시마 주재원. 전 모모코클럽 멤버. 뉴욕에서 연극 공부중.
- 요시자와 아키에 (吉沢秋絵) - 제2회 졸업생. 합격 후, 1985년 곧바로 솔로 데뷔했으나, 은퇴. 스케반데카 소녀철가면전설에서 야지마 유키노역으로 출연.
- 아카사카 요시에 (赤坂芳恵) - 재적 기간 일주일간. 전 모모코클럽 멤버.
- 마츠모토 아키 (松本亜紀) - 합격한 것 봐로 활동은 없음. 전 모모코클럽 멤버.
- 요코타 무츠미 (横田睦美) - 해산시 멤버.
- 와타나베 미나요 (渡辺美奈代) - 해산시 멤버. 현재도 예능 활동중.
- 미카미 치아키 (三上千晶) - 트라이앵글 블루의 오디션도 합격.
- 야지마 유코 (矢島裕子) - 영파라 이미지걸 콘테스트에 합격.
- 야마모토 수잔 쿠미코 (山本スーザン久美子) - 제2회 졸업생. 오냥코의 유일한 혼혈인.
- 후카와 토모코 (布川智子) - 해산시 멤버. 전 시부카키타이의 후카와 토시카즈의 여동생.
- 유미오카 마미 (弓岡真美) - 제3회 졸업생. 중학교를 졸업해 1986년 3월 14일부터 활동.
- 오카모토 타카코 (岡本貴子) - 제3회 졸업생. 유미오카와 같이 1986년 3월 14일부터 활동.
- 와타나베 마리나 (渡辺満里奈) - 해산시 멤버. 현재도 예능 활동중. 2005년, 웃음 트리오 넵튠의 나구라 쥰과 결혼.
- 오오누키 카오리 (大貫かおり) - 합격 후 프로그램에 1일만 출연. 전 모모코클럽 멤버. 탤런트, 모델로서 활동중.
- 쿠도 시즈카 (工藤静香) - 해산시 멤버. 전 모모코클럽 멤버. 현재도 가수로서 활동중. 키무라 타쿠야와 속도위반 결혼.
- 다카바타케 마키 (高畠真紀) - 제3회 졸업생. 신 회원 번호의 노래에 참가.
- 이쿠이나 아키코 (生稲晃子) - 해산시 멤버. 해산 후에 솔로 데뷔. 그 후도 예능 활동을 계속. 결혼, 출산기에 활동을 일시 휴지하고 있었지만 재개.
- 카이세 노리코 (貝瀬典子) - 해산시 멤버. 미스 세븐 틴 그랑프리. 당초 うしろ髪(우시로가미)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 사이토 마키코 (斉藤満喜子) - 해산시 멤버. 미스 세븐 틴 준 그랑프리. 해산 후에 솔로 데뷔. 1998년 결혼 후 은퇴.
- 모리야 토시에 (守屋寿恵) - 제4회 졸업생. 미스 세븐 틴 준 그랑프리. 솔로 데뷔의 예정도 있었다.
- 다카다 나오코 (高田尚子) - 제4회 졸업생. 미스 세븐 틴 특별상.
- 요시다 유미코 (吉田裕美子) - 제4회 졸업생. 단독으로 CM 출연해, 개인 활동중.
- 나카지마 사나에 (中島早苗) - 제4회 졸업생. 전 모모코클럽 멤버.
- 야마모리 유리코 (山森由里子) - 해산시 멤버. 오냥코에 두 번째로 합격을 완수한다.
- 아가츠마 카요 (我妻佳代) - 해산시 멤버. 해산 후에 솔로 데뷔. 현재도 예능 활동중. 세리자와 나오미의 여동생. 결혼→이혼.
- 요시미 미츠코 (吉見美津子) - 해산시 멤버. B조 1번→정식 멤버로 승격. 미스 세븐 틴 특별상. 전 모모코클럽 멤버. 해산 후 누드를 공개.
- 스기우라 미유키 (杉浦美雪) - 해산시 멤버. B조 2번→정식 멤버로 승격. 미스 세븐 틴 특별상. 해산 후는 레이스 퀸에 활동했으나, 현재는 모델(예명은 스기 미유키).
- 미야노 쿠미코 (宮野久美子) - 해산시 멤버. B조 3번→정식 멤버로 승격. 미스 세븐 틴 특별상. 해산 후는 「Kiss」라는 그룹에 재적. 현재도 예능 활동중.
- 스즈키 와카코 (鈴木和佳子) - 해산시 멤버. 마지막 합격 멤버.
- 토미나가 히로코 (冨永浩子) - 제4회 졸업생. B조 4번. 미스 세븐 틴 특별상.
- 야마자키 마유미 (山崎真由美) - 제4회 졸업생. B조 5번.
- 요린다 얀 (ヨリンダ・ヤン) - 연수생. 유일한 외국인 멤버.
3. 1. 1. 탈퇴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정보를 제공해 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3. 1. 2. 졸업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도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주어진 정보가 없으므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3. 2. 1985년 4월 이후 가입 멤버
1985년 4월 25일, 주간 문춘 흡연 사건으로 오쿠다 미카(奥田美香), 에노키다 미치코(榎田道子), 요시노 카요코(吉野佳代子), 토모다 마미코(友田麻美子), 사토 마유미(佐藤真由美)가 탈퇴했다.닛타 에리(新田恵利)는 제2회 졸업생이다. 1997년, 후지테레비 사장과 결혼했으며, 현재도 예능 활동 중이다. 활동 당시 고쿠쇼와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팬들도 파벌이 나뉘었다.
나카지마 미하루(中島美春)는 제1회 졸업생이다.
키하라 아키(樹原亜紀)는 제5회 졸업생이다.
고쿠쇼 사유리(国生さゆり)는 제5회 졸업생이며, 현재도 예능 활동 중인 오냥코클럽 1대 리더였다.
나고야 미카(名越美香)는 제2회 졸업생이다.
후쿠나가 사토미(福永恵規)는 제2회 졸업생이다.
카와이 소노코(河合その子)는 제1회 졸업생이며, 고토 츠구토시의 부인이다.
우츠미 카즈코(内海和子)는 제5회 졸업생이다.
토미카와 하루미(富川春美)는 해산 시 멤버였다. 그룹 멤버 중 회원 번호가 가장 낮아 재적 기간이 가장 길었다.
타츠미 리카(立見里歌)는 제5회 졸업생이다.
타카이 마미코(高井麻巳子)는 제5회 졸업생이다. 1988년에 아키모토 야스시와 결혼 후 은퇴했다.
죠노우치 사나에(城之内早苗)는 해산 시 멤버였다. 고쿠쇼 사유리가 졸업한 후 2대 리더를 맡았다. 현재도 엔카 가수로서 활동 중이다.
나가타 루리코(永田ルリ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이와이 유키코(岩井由紀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애칭은 유유이며, 1997년에 결혼 후 은퇴했다.
테라모토 요코(寺本容子)는 1985년 9월 탈퇴했다.
코미오카 타마키(五味岡たまき)는 1985년 9월 탈퇴했다.
시라이시 마코(白石麻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하야시 카오리(林香織)는 오사카 주재원이었다.
미타 후미요(三田文代)는 히로시마 주재원이었다. 전 모모코클럽 멤버이며, 뉴욕에서 연극 공부를 했다.
요시자와 아키에(吉沢秋絵)는 제2회 졸업생이다. 합격 후 1985년 곧바로 솔로 데뷔했으나, 은퇴했다. 스케반데카 소녀철가면전설에서 야지마 유키노 역으로 출연했다.
아카사카 요시에(赤坂芳恵)는 재적 기간이 일주일이었다. 전 모모코클럽 멤버이다.
마츠모토 아키(松本亜紀)는 합격했지만 활동은 없었다. 전 모모코클럽 멤버이다.
요코타 무츠미(横田睦美)는 해산 시 멤버였다.
와타나베 미나요(渡辺美奈代)는 해산 시 멤버이며, 현재도 예능 활동 중이다.
미카미 치아키(三上千晶)는 트라이앵글 블루 오디션에도 합격했다.
야지마 유코(矢島裕子)는 영파라 이미지걸 콘테스트에 합격했다.
야마모토 수잔 쿠미코(山本スーザン久美子)는 제2회 졸업생이다. 오냥코클럽의 유일한 혼혈 멤버였다.
후카와 토모코(布川智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전 시부카키타이 멤버 후카와 토시카즈의 여동생이다.
유미오카 마미(弓岡真美)는 제3회 졸업생이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1986년 3월 14일부터 활동했다.
오카모토 타카코(岡本貴子)는 제3회 졸업생이다. 유미오카 마미와 같이 1986년 3월 14일부터 활동했다.
와타나베 마리나(渡辺満里奈)는 해산 시 멤버이며, 현재도 예능 활동 중이다. 2005년 웃음 트리오 넵튠의 나구라 쥰과 결혼했다.
오오누키 카오리(大貫かおり)는 합격 후 프로그램에 1일만 출연했다. 전 모모코클럽 멤버이며, 탤런트, 모델로서 활동 중이다.
쿠도 시즈카(工藤静香)는 해산 시 멤버였다. 전 모모코클럽 멤버이며, 현재도 가수로서 활동 중이다. 키무라 타쿠야와 속도위반 결혼을 했다.
다카바타케 마키(高畠真紀)는 제3회 졸업생이다. 신 회원 번호의 노래에 참가했다.
이쿠이나 아키코(生稲晃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해산 후 솔로 데뷔했으며, 그 후에도 예능 활동을 계속했다. 결혼, 출산기에 활동을 일시 중지했지만 재개했다.
카이세 노리코(貝瀬典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미스 세븐 틴 그랑프리 출신이며, 당초 うしろ髪(우시로가미)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사이토 마키코(斉藤満喜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미스 세븐 틴 준 그랑프리 출신이며, 해산 후 솔로 데뷔했다. 1998년 결혼 후 은퇴했다.
모리야 토시에(守屋寿恵)는 제4회 졸업생이다. 미스 세븐 틴 준 그랑프리 출신이며, 솔로 데뷔 예정도 있었다.
다카다 나오코(高田尚子)는 제4회 졸업생이다. 미스 세븐 틴 특별상 출신이다.
요시다 유미코(吉田裕美子)는 제4회 졸업생이다. 단독으로 CM 출연, 개인 활동을 했다.
나카지마 사나에(中島早苗)는 제4회 졸업생이다. 전 모모코클럽 멤버이다.
야마모리 유리코(山森由里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오냥코클럽에 두 번째로 합격했다.
아가츠마 카요(我妻佳代)는 해산 시 멤버였다. 해산 후 솔로 데뷔했으며, 현재도 예능 활동 중이다. 세리자와 나오미의 여동생이며, 결혼 후 이혼했다.
요시미 미츠코(吉見美津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B조 1번에서 정식 멤버로 승격되었다. 미스 세븐 틴 특별상 출신이며, 전 모모코클럽 멤버이다. 해산 후 누드를 공개했다.
스기우라 미유키(杉浦美雪)는 해산 시 멤버였다. B조 2번에서 정식 멤버로 승격되었다. 미스 세븐 틴 특별상 출신이며, 해산 후 레이스 퀸으로 활동했으나, 현재는 모델(예명은 스기 미유키)이다.
미야노 쿠미코(宮野久美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B조 3번에서 정식 멤버로 승격되었다. 미스 세븐 틴 특별상 출신이며, 해산 후 「Kiss」라는 그룹에 재적했다. 현재도 예능 활동 중이다.
스즈키 와카코(鈴木和佳子)는 해산 시 멤버였다. 마지막 합격 멤버이다.
토미나가 히로코(冨永浩子)는 제4회 졸업생이다. B조 4번, 미스 세븐 틴 특별상 출신이다.
야마자키 마유미(山崎真由美)는 제4회 졸업생이다. B조 5번이었다.
요린다 얀(ヨリンダ・ヤン)은 연수생이었다. 유일한 외국인 멤버이다.
3. 2. 1. 졸업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3. 2. 2. 탈퇴
요약(summary)과 원본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3. 2. 3. 해산 시 멤버
해산 시 멤버는 소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3. 2. 4. 연수생
연수생과 관련된 어떠한 자료도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 모두 빈칸입니다. 따라서 오냥코클럽의 연수생 섹션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4. 파생 유닛
우시로유비사사레구미(うしろゆびさされ組)는 타카이 마미코와 이와이 유키코로 구성된 첫 번째 하위 그룹으로, 1985년부터 1987년까지 6개의 싱글과 3개의 앨범을 발매했다.[1] 냥기라스(ニャンギラス)는 키하라 아키, 나고야 미카, 타츠미 리카, 시라이시 마코로 구성되었으며, 두 개의 싱글과 한 개의 앨범만을 발표하며 가장 짧은 활동 기간을 가졌다.[1] 우시로가미 히카레타이(うしろ髪ひかれ隊)는 쿠도 시즈카, 이쿠이나 아키코, 사이토 마키코로 구성되었으며 1987년과 1988년에 싱글 5장, 정규 앨범 2장, 라이브 앨범 1장을 발매했다.[1]
유닛명 | 멤버 | 활동 기간 | 비고 |
---|---|---|---|
우시로유비사사레구미 | 회원 번호 16번 타카이 마미코 회원 번호 19번 이와이 유키코 | 1985년 - 1987년 | ・타카이가 오냥코 클럽 졸업에 따라 해산. |
냥기라스 | 회원 번호 6번 키하라 아키 회원 번호 9번 나고시 미카 회원 번호 15번 타치미 리카 회원 번호 22번 시라이시 아사코 | 1986년 | ・나고시의 오냥코 클럽 졸업에 따라 해산. |
우시로가미히카레타이 | 회원 번호 38번 쿠도 시즈카 회원 번호 40번 이쿠이나 아키코 회원 번호 42번 사이토 마키코 | 1987년 - 1988년 | ・오냥코 클럽 해산 후에도 그룹 활동을 지속. ・1988년에 활동 휴지. |
오냥코 클럽 B조 | 회원 번호 B조 1번 요시미 미츠코 회원 번호 B조 2번 스기우라 미유키 회원 번호 B조 3번 미야노 쿠미코 회원 번호 B조 4번 토미나가 히로코 회원 번호 B조 5번 야마자키 마유미 | 1987년 | ・당초 5명으로 데뷔가 예정되었지만, 토미나가와 야마자키가 졸업. 그 후, 요시미, 스기우라, 미야노 3명에 의한 데뷔가 재계획되었지만, 오냥코 클럽의 해산으로 인해 중지되었다. ・미발표곡 「언제나 이레귤러」(1987년 6월 15일 발매 예정→중지) |
5. 음반
### 싱글
오냥코클럽의 싱글은 다음과 같다.
발매일 | 타이틀 | 레이블 | 형태 | 규격 품번 | 최고 순위 | 판매 매수 | |
---|---|---|---|---|---|---|---|
1st | 1985년 7월 5일 | 세일러복을 벗지 마 | CANYON | EP | 7A0502 | 5위 | 24.7만 장 |
2nd | 1985년 10월 21일 | 잘 부탁해 TEACHER | CANYON | EP | 7A0530 | 2위 | 18.0만 장 |
3rd | 1986년 2월 21일 | 안녕 | CANYON | EP | 7A0555 | 1위 | 28.1만 장 |
4th | 1986년 4월 21일 | 어머 CHIKAN! | CANYON | EP | 7A0575 | 1위 | 20.6만 장 |
5th | 1986년 7월 21일 | 실례합니다 | CANYON | EP | 7A0607 | 1위 | 16.0만 장 |
CT | 10P3008 | ||||||
6th | 1986년 11월 1일 | 사랑은 퀘스천 | CANYON | EP | 7A0646 | 1위 | 12.3만 장 |
CT | 10P3025 | ||||||
7th | 1987년 1월 21일 | NO MORE 연애 놀이 | CANYON | EP | 7A0676 | 1위 | 11.8만 장 |
CT | 10P3042 | ||||||
8th | 1987년 5월 21일 | 달팽이 삼바 | CANYON | EP | 7A0718 | 1위 | 7.2만 장 |
CT | 10P3078 | ||||||
9th | 1987년 8월 21일 | 웨딩드레스 | KiRiGiRiSu | EP | 7A0758 | 2위 | 9.0만 장 |
CT | 10P3133 | ||||||
CD | D15A0335 | ||||||
10th | 2002년 11월 20일 | 쇼미키겐 | PONY CANYON | CD | PCCA-70026 | 48위 | 0.8만 장 |
- 1985년 7월 5일에 발매된 첫 싱글 세일러복을 벗지 마는 닛타, 나카지마, 후쿠나가, 우츠미가 리드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5위를 기록했다.[2]
- 1985년 10월 21일에 발매된 잘 부탁해 TEACHER는 닛타, 나카지마, 후쿠나가, 우츠미가 프론트 보컬을 맡았고, B면은 닛타가 리드 보컬, 나카지마, 후쿠나가, 우츠미가 백 보컬을 불렀다.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2위를 기록했다.[2]
- 1986년 2월 21일에 발매된 안녕은 나카지마가 A면, 닛타, 나카지마, 후쿠나가, 우츠미가 B면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2]
- 1986년 4월 21일에 발매된 어머 CHIKAN!은 후쿠나가, 우츠미, 조노우치, 나가타, 요코타가 A면, 우츠미가 B면 프론트 보컬을 맡았고,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2]
- 1986년 7월 21일에 발매된 실례합니다는 토호가 배급한 영화 《오냥코 더 무비: 위험 일발!》의 주제가이다.[2] 토미카와, 이와이, 후카와, 와타나베가 A면, 우츠미가 B면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
- 1986년 11월 1일에 발매된 사랑은 퀘스천은 애니메이션 《안미츠 공주》의 오프닝 및 엔딩 테마이다.[2] 나가타, 이와이, 시라이시, 이쿠이나가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
- 1987년 1월 21일에 발매된 NO MORE 연애 놀이는 토미카와, 나가타, 이와이, 시라이시가 A면 프론트 보컬을 맡았고, B면은 발매 당시 모든 멤버가 불렀다. 카세트 테이프에는 "오냥코 메시지"가 수록되었다.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2]
- 1987년 5월 21일에 발매된 달팽이 삼바는 토미카와, 쿠도, 요시미, 스기우라가 A면, 나가타, 시라이시, 카이세, 아가츠마가 B면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2]
- 1987년 8월 21일에 발매된 웨딩드레스는 토미카와, 나가타, 시라이시, 요코타, 후카와가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2위를 기록했다.[2]
- 2002년 11월 20일에 발매된 재결성 기념 싱글 쇼미키겐은 닛타, 코쿠쇼, 우츠미, 조노우치, 이와이, 와타나베가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48위를 기록했다.[1]
### 오리지널 앨범
오냥코클럽은 1985년 9월 21일에 첫 앨범 KICK OFF를 발매했다.[3] 이 앨범은 오리콘 차트에서 최고 2위를 기록했다. 1986년 3월 10일에는 두 번째 앨범 꿈 카탈로그를 발매하여 오리콘 차트 1위를 차지했다.[3] 같은 해 7월 10일에는 세 번째 앨범 PANIC THE WORLD를 발매, 오리콘 차트 3위를 기록했다.[3]
1987년에는 2월 21일에 네 번째 앨범 SIDE LINE을 발매하여 다시 오리콘 차트 1위에 올랐으며,[3] 8월 5일에는 다섯 번째 앨범 Circle을 발매하여 2위를 기록했다.[3] 각 앨범은 LP, CT, CD 형태로 발매되었으며, 레이블은 CANYON(Circle은 KiRiGiRiSu(PONY CANYON))이었다.
발매일 | 타이틀 | 레이블 | 최고 순위 | 판매 매수 | |
---|---|---|---|---|---|
1st | 1985년 9월 21일 | KICK OFF | CANYON | 2위 | 27.8만장 |
2nd | 1986년 3월 10일 | 꿈 카탈로그 | CANYON | 1위 | 28.4만장 |
3rd | 1986년 7월 10일 | PANIC THE WORLD | CANYON | 3위 | 19.2만장 |
4th | 1987년 2월 21일 | SIDE LINE | CANYON | 1위 | 13.1만장 |
5th | 1987년 8월 5일 | Circle | KiRiGiRiSu (PONY CANYON) | 2위 | 10.1만장 |
### 베스트 앨범
오냥코클럽은 다양한 베스트 앨범을 발매했다. 주요 베스트 앨범으로는 1986년 10월 21일에 발매된 《슈퍼 베스트》, 1987년 3월 5일에 발매된 《가보》, 1987년 12월 5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베스트》, 1989년 8월 21일에 발매된 《포에버 아이돌 베스트 시리즈 오냥코 클럽》, 1997년 3월 21일에 발매된 《ULTRA NYANKO OMOTE SPECIAL》과 《ULTRA NYANKO URA SPECIAL》, 1999년 3월 17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A면 컬렉션 Vol.1, Vol.4, Vol.5》, 1999년 5월 21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A면 컬렉션 Vol.2, Vol.3》, 1999년 4월 21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B면 컬렉션 Vol.1, Vol.5》, 1999년 6월 19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B면 컬렉션 Vol.2, Vol.3, Vol.4》, 2001년 12월 5일에 발매된《MY 코레! 션 오냥코 클럽 BEST》, 2002년 12월 18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미니 베스트》와 《오냥코 클럽 솔로&유닛 미니 베스트》, 2005년 7월 6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대전집》, 2007년 7월 18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SINGLES 컴플리트》, 2010년 4월 21일에 발매된 《My Lite 오냥코 클럽》, 2012년 11월 21일에 발매된 《더 프리미엄 베스트 오냥코 클럽》, 2015년 12월 16일에 발매된 《싱글 레코드 복각 냥냥 [통상반] Vol.1, Vol.2, Vol.3, Vol.4, Vol.5, Vol.6, Vol.7, Vol.8》, 2017년 7월 19일에 발매된《플래티넘 베스트 오냥코 클럽》 등이 있다.
1986년 12월 21일에는 《NON-STOP 오냥코》가 발매되었고, 1993년 11월 19일에 재발매되었다. 1996년에는 《베스트 셀렉션》이 발매되었다. 2000년 9월 20일에는 《EURO 오냥코》가 발매되었다. 2005년 7월 27일에는 《30-35 VOL.3 「오냥코 클럽」 특집》이 발매되었다. 2006년 9월 20일에는 《데뷔 앨범에 바늘을 떨어뜨리고… 오냥코 클럽 편》이 발매되었다. 2008년 7월 16일에는 《My 초이스 14 꿈 카탈로그+싱글 컬렉션》이 발매되었다. 2008년 9월 17일에는 《오냥코 클럽 대전집 for HiQualityCD 상・하권 한정 CD-BOX》가 발매되었다. 2010년 4월 28일에는 《GOLDEN☆BEST 가와이 소노코・고쿠세이 사유리・조우노우치 사나에・와타나베 미나요・와타나베 마리나》가 발매되었다.
### 라이브 앨범
1987년 6월 3일에 라이브 앨범 ''오냥코 세일링 유메 공장 '87 LIVE''가 발매되었다.[16]
5. 1. 싱글
오냥코클럽의 싱글은 다음과 같다.발매일 | 타이틀 | 레이블 | 형태 | 규격 품번 | 최고 순위 | 판매 매수 | |
---|---|---|---|---|---|---|---|
1985년 7월 5일 | 세일러복을 벗지 마 | CANYON | EP | 7A0502 | 5위 | 24.7만 장 | |
1985년 10월 21일 | 잘 부탁해 TEACHER | CANYON | EP | 7A0530 | 2위 | 18.0만 장 | |
1986년 2월 21일 | 안녕 | CANYON | EP | 7A0555 | 1위 | 28.1만 장 | |
1986년 4월 21일 | 어머 CHIKAN! | CANYON | EP | 7A0575 | 1위 | 20.6만 장 | |
1986년 7월 21일 | 실례합니다 | CANYON | EP | 7A0607 | 1위 | 16.0만 장 | |
CT | 10P3008 | ||||||
1986년 11월 1일 | 사랑은 퀘스천 | CANYON | EP | 7A0646 | 1위 | 12.3만 장 | |
CT | 10P3025 | ||||||
1987년 1월 21일 | NO MORE 연애 놀이 | CANYON | EP | 7A0676 | 1위 | 11.8만 장 | |
CT | 10P3042 | ||||||
1987년 5월 21일 | 달팽이 삼바 | CANYON | EP | 7A0718 | 1위 | 7.2만 장 | |
CT | 10P3078 | ||||||
1987년 8월 21일 | 웨딩드레스 | KiRiGiRiSu | EP | 7A0758 | 2위 | 9.0만 장 | |
CT | 10P3133 | ||||||
CD | D15A0335 | ||||||
2002년 11월 20일 | 쇼미키겐 | PONY CANYON | CD | PCCA-70026 | 48위 | 0.8만 장 |
- 1985년 7월 5일에 발매된 첫 싱글 세일러복을 벗지 마는 닛타, 나카지마, 후쿠나가, 우츠미가 리드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5위를 기록했다.[2]
- 1985년 10월 21일에 발매된 잘 부탁해 TEACHER는 닛타, 나카지마, 후쿠나가, 우츠미가 프론트 보컬을 맡았고, B면은 닛타가 리드 보컬, 나카지마, 후쿠나가, 우츠미가 백 보컬을 불렀다.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2위를 기록했다.[2]
- 1986년 2월 21일에 발매된 안녕은 나카지마가 A면, 닛타, 나카지마, 후쿠나가, 우츠미가 B면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2]
- 1986년 4월 21일에 발매된 어머 CHIKAN!은 후쿠나가, 우츠미, 조노우치, 나가타, 요코타가 A면, 우츠미가 B면 프론트 보컬을 맡았고,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2]
- 1986년 7월 21일에 발매된 실례합니다는 토호가 배급한 영화 《오냥코 더 무비: 위험 일발!》의 주제가이다.[2] 토미카와, 이와이, 후카와, 와타나베가 A면, 우츠미가 B면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
- 1986년 11월 1일에 발매된 사랑은 퀘스천은 애니메이션 《안미츠 공주》의 오프닝 및 엔딩 테마이다.[2] 나가타, 이와이, 시라이시, 이쿠이나가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
- 1987년 1월 21일에 발매된 NO MORE 연애 놀이는 토미카와, 나가타, 이와이, 시라이시가 A면 프론트 보컬을 맡았고, B면은 발매 당시 모든 멤버가 불렀다. 카세트 테이프에는 "오냥코 메시지"가 수록되었다.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2]
- 1987년 5월 21일에 발매된 달팽이 삼바는 토미카와, 쿠도, 요시미, 스기우라가 A면, 나가타, 시라이시, 카이세, 아가츠마가 B면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로 데뷔했다.[2]
- 1987년 8월 21일에 발매된 웨딩드레스는 토미카와, 나가타, 시라이시, 요코타, 후카와가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2위를 기록했다.[2]
- 2002년 11월 20일에 발매된 재결성 기념 싱글 쇼미키겐은 닛타, 코쿠쇼, 우츠미, 조노우치, 이와이, 와타나베가 프론트 보컬을 맡았으며, 오리콘 싱글 차트 48위를 기록했다.[1]
5. 2. 오리지널 앨범
오냥코클럽은 1985년 9월 21일에 첫 앨범 KICK OFF를 발매했다.[3] 이 앨범은 오리콘 차트에서 최고 2위를 기록했다. 1986년 3월 10일에는 두 번째 앨범 꿈 카탈로그를 발매하여 오리콘 차트 1위를 차지했다.[3] 같은 해 7월 10일에는 세 번째 앨범 PANIC THE WORLD를 발매, 오리콘 차트 3위를 기록했다.[3]1987년에는 2월 21일에 네 번째 앨범 SIDE LINE을 발매하여 다시 오리콘 차트 1위에 올랐으며,[3] 8월 5일에는 다섯 번째 앨범 Circle을 발매하여 2위를 기록했다.[3] 각 앨범은 LP, CT, CD 형태로 발매되었으며, 레이블은 CANYON(Circle은 KiRiGiRiSu(PONY CANYON))이었다.
발매일 | 타이틀 | 레이블 | 최고 순위 | 판매 매수 | |
---|---|---|---|---|---|
1st | 1985년 9월 21일 | KICK OFF | CANYON | 2위 | 27.8만장 |
2nd | 1986년 3월 10일 | 꿈 카탈로그 | CANYON | 1위 | 28.4만장 |
3rd | 1986년 7월 10일 | PANIC THE WORLD | CANYON | 3위 | 19.2만장 |
4th | 1987년 2월 21일 | SIDE LINE | CANYON | 1위 | 13.1만장 |
5th | 1987년 8월 5일 | Circle | KiRiGiRiSu (PONY CANYON) | 2위 | 10.1만장 |
5. 3. 베스트 앨범
오냥코클럽은 다양한 베스트 앨범을 발매했다. 주요 베스트 앨범으로는 1986년 10월 21일에 발매된 《슈퍼 베스트》, 1987년 3월 5일에 발매된 《가보》, 1987년 12월 5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베스트》, 1989년 8월 21일에 발매된 《포에버 아이돌 베스트 시리즈 오냥코 클럽》, 1997년 3월 21일에 발매된 《ULTRA NYANKO OMOTE SPECIAL》과 《ULTRA NYANKO URA SPECIAL》, 1999년 3월 17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A면 컬렉션 Vol.1, Vol.4, Vol.5》, 1999년 5월 21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A면 컬렉션 Vol.2, Vol.3》, 1999년 4월 21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B면 컬렉션 Vol.1, Vol.5》, 1999년 6월 19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B면 컬렉션 Vol.2, Vol.3, Vol.4》, 2001년 12월 5일에 발매된《MY 코레! 션 오냥코 클럽 BEST》, 2002년 12월 18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미니 베스트》와 《오냥코 클럽 솔로&유닛 미니 베스트》, 2005년 7월 6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 대전집》, 2007년 7월 18일에 발매된 《「오냥코 클럽」SINGLES 컴플리트》, 2010년 4월 21일에 발매된 《My Lite 오냥코 클럽》, 2012년 11월 21일에 발매된 《더 프리미엄 베스트 오냥코 클럽》, 2015년 12월 16일에 발매된 《싱글 레코드 복각 냥냥 [통상반] Vol.1, Vol.2, Vol.3, Vol.4, Vol.5, Vol.6, Vol.7, Vol.8》, 2017년 7월 19일에 발매된《플래티넘 베스트 오냥코 클럽》 등이 있다.1986년 12월 21일에는 《NON-STOP 오냥코》가 발매되었고, 1993년 11월 19일에 재발매되었다. 1996년에는 《베스트 셀렉션》이 발매되었다. 2000년 9월 20일에는 《EURO 오냥코》가 발매되었다. 2005년 7월 27일에는 《30-35 VOL.3 「오냥코 클럽」 특집》이 발매되었다. 2006년 9월 20일에는 《데뷔 앨범에 바늘을 떨어뜨리고… 오냥코 클럽 편》이 발매되었다. 2008년 7월 16일에는 《My 초이스 14 꿈 카탈로그+싱글 컬렉션》이 발매되었다. 2008년 9월 17일에는 《오냥코 클럽 대전집 for HiQualityCD 상・하권 한정 CD-BOX》가 발매되었다. 2010년 4월 28일에는 《GOLDEN☆BEST 가와이 소노코・고쿠세이 사유리・조우노우치 사나에・와타나베 미나요・와타나베 마리나》가 발매되었다.
5. 4. 라이브 앨범
1987년 6월 3일에 라이브 앨범 ''오냥코 세일링 유메 공장 '87 LIVE''가 발매되었다.[16]6. 콘서트
오냥코클럽은 활동 기간 동안 1번의 단독 콘서트와 4번의 투어를 개최했다.[1]
1985년 10월 5일, 히비야 야외 음악당에서 첫 단독 콘서트 'KICK OFF'를 개최했다. 이 콘서트에서는 '세일러복을 벗기지 말아요', '너무 빠른 세대', '여름의 크리스마스' 등 18곡을 불렀으며, 앙코르 곡으로 다시 한번 '세일러복을 벗기지 말아요'를 열창했다.[1]
1986년 3월부터 4월까지는 전국 투어 '위험해~ 수업시간'을 진행했다. 닛토리 문화 홀, 히로시마 선 플라자, 나고야 국제 전시장, 카메이 아레나 센다이, 오사카 성 홀, 일본 무도관 등 6개 도시에서 공연을 가졌으며, 특히 3월 29일 오사카 공연에서는 하야시 카오리와 미타 후미요가, 4월 1일 도쿄 공연에서는 나카지마 미하루와 카와이 소노코가 졸업했다.[1] 이 투어에서는 '세일러복을 벗기지 마', '회원 번호의 노래', 'LIKE A CHERRY BOY' 등 26곡(파이널 공연에서는 28곡)을 선보였다.[1]
같은 해 7월부터 9월까지는 전국 투어 '오냥코 PANIC'을 개최했다. 요코하마 스타디움, 한큐 니시노미야 스타디움, 히로시마 선 플라자, 아이치 현 체육관 등 13개 도시에서 공연을 펼쳤으며, 9월 26일 일본 무도관 공연에서는 니이타 에리, 나고야 미카, 후쿠나가 사토미, 요시자와 아키에, 야마모토 "수잔" 쿠미코가 졸업했다.[1] 이 투어에서는 '소녀의 마음의 자유', '신 • 회원 번호의 노래', '세일러복을 벗지 말아요' 등 37곡을 불렀으며, 공연에 따라 일부 곡이 변경되기도 했다.[1]
1987년 봄에는 졸업 기념 콘서트 '오냥코 Sailing·꿈의 공장'을 개최했다.
7. 평가 및 영향
오냥코 클럽으로 대표되는 "너무 평범한" 아이돌의 증가는 고토 쿠미코와 같은 미소녀 붐을 일으키는 반작용을 낳았다. 평론가 세리자와 슌스케는 당시 미소녀 붐에 대해 "고쿠미(고토 쿠미코를 지칭)들의 출현은 오냥코들의 종언을 말하고 있다. 귀여움, 친근함에서 아름다움, 다가가기 어려움으로의 변화는 수평적인 아이돌 관계에서 수직적인 아이돌 관계로의 이행이다. 아이돌 내지 스타의 기준은 그 때마다 친근함과 아름다움의 양극 사이를 흔들리고 있다."라고 평가했다.[64]
사회학자 이나마스 타츠오는 오냥코 클럽의 붐이 1990년대 "여성 아이돌 겨울의 시대"를 초래했다고 지적하며, "아이돌은 70년대, 80년대와 각각 현상의 발전 형태로는 달랐지만, 많은 팬을 끌어들인 미디어 문화 현상으로 전개되었고, 특히 80년대의 마츠다 세이코의 등장에서 오냥코 클럽의 대 붐까지는 당시 우리나라의 "시뮬레이션 문화"의 전형적인 예였다. 그러나 오냥코 클럽에서 보였던, 아이돌의 탄생 메커니즘 자체를 스스로 폭로하고 상대화해 가는, 과격한 미디어 전략의 반동인지, 90년대에 들어서면서 특히 여성 아이돌의 침체가 두드러졌고 (남성 아이돌은 쟈니스 계열이 건재했다), 근년의 아무로 나미에나 SPEED의 등장까지는 뮤직 신의 무대에서 멀어져 버렸다."라고 분석했다.
7. 1. 긍정적 평가
7. 2. 부정적 평가/비판
7. 3. 한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8. 미디어 믹스
코믹 잡지 따위 필요 없어! (1986년, 토에이)
오냥코 더 무비 위기일발! (1986년, 도호)
석양 냥냥(1985년 7월 - 1987년 8월, 후지 TV)
밀을 수밖에 없는 Day (1985년 10월 - 1987년 3월, 후지 TV)
저녁 식사 냥냥 (1986년 5월 - 1986년 9월, 후지 TV)
퀴즈・도레미파 돈! (1986년・1987년, 후지 TV)
오냥코의 위험한 밤이야 생방송 (1986년 6월 3일, 후지 TV)
스케반 형사 II 소녀 철가면 전설(1985년 - 1986년, 후지 TV)
월요 드라마 랜드
- *나의 약혼자(1986년 1월 13일, 후지 TV)
- *오냥코 학원 위기 일발! 터무니없는 방과 후(1986년 5월 12일, 후지 TV)
- *혹시 약혼자!? (1986년 8월 18일, 후지 TV)
- *간호사 아카데미(1987년 3월 9일, 후지 TV)
- *갑자기 약혼자!! (1987년 3월 23일, 후지 TV)
목요 드라마 스트리트
- *위험한 과외 수업(1986년 6월 26일, 후지 TV)
밤의 히트 스튜디오(1985년 - 1987년, 후지 TV)
더 톱텐(1985년 - 1986년, 니혼 TV)
FNS 가요제(1985년 - 1986년 · 2002년, 후지 TV)
HEY! HEY! HEY! MUSIC CHAMP(2002년, 후지 TV)
오냥코의 위험한 밤이야 (1986년 - 1987년, 닛폰 방송) - 진행자
TOKYO 베스트 히트 (1986년 - 1987년, 닛폰 방송) - 보조
BOSS 贅沢微糖 텔레비전 CM 제8탄 「贅沢銀行」편 (2010년 1월, 산토리 식품)[66]
모델그래픽스(대일본회화)
- * 『아이돌 스타 MS 전기』
참조
[1]
문헌
[2]
문헌
[3]
문헌
[4]
문헌
[5]
문헌
[6]
문헌
[7]
문헌
[8]
간행물
おニャン子クラブパーフェクトbook
Gakken
1987-10-01
[9]
웹사이트
The Sakura Wars Creator, The Young Idol And The Rumored Sleepover
https://kotaku.com/t[...]
2010-10-13
[10]
간행물
For Japan's Justin Biebers, No Selena Gomezes Allowed
https://www.theatlan[...]
2012-08-15
[11]
서적
Japanese Schoolgirl Confidential: How Teenage Girls Made a Nation Cool
Kōdansha International
2010
[12]
문헌
[13]
문헌
[14]
문헌
[15]
문헌
[16]
문헌
[17]
문헌
[18]
문헌
[19]
문헌
[20]
문헌
[21]
문헌
[22]
문헌
[23]
뉴스
「おニャン子」全54人のメンバーの現在は!?
https://taishu.jp/ar[...]
Futabasha
2015-09-23
[24]
뉴스
「おニャン子」全54人のメンバーの現在は!?
https://taishu.jp/ar[...]
Futabasha
2015-09-23
[25]
뉴스
「おニャン子」全54人のメンバーの現在は!?
https://taishu.jp/ar[...]
Futabasha
2015-09-23
[26]
웹사이트
参議院選挙 東京選挙区 生稲晃子氏 初当選
https://www3.nhk.or.[...]
NHK
2022-07-11
[27]
Youtube
国生・内海・ニャンギラスに集まってもらって、おニャン子30周年記念BoxのPr動画を撮ったら、あまりに自由すぎて進行の立見がマトモに見えた!
https://www.youtube.[...]
2014-12-15
[28]
웹사이트
おニャン子クラブ結成30周年記念、圧巻の126枚組ボックス
https://natalie.mu/m[...]
2014-11-21
[29]
간행물
伝説の美女 友田麻美子
Kobunsha
2019-11-19
[30]
뉴스
おニャン子1のワル…喫煙写真事件の主犯格
https://datazoo.jp/t[...]
Wire Action
2017-12-08
[31]
뉴스
週刊文春 X おニャン子クラブ喫煙事件
https://datazoo.jp/t[...]
Wire Action
2016-06-03
[32]
간행물
伝説の美女 友田麻美子
Kobunsha
2019-11-19
[33]
간행물
おニャン子の10年
Takarajimasha
1996-04-03
[34]
웹사이트
Onyanko Club: Singles
http://www.idollica.[...]
[35]
CD insert booklet
Pony Canyon
[36]
간행물
'80年代を彩ったアイドルたち
オリコン・エンタテインメント
[37]
서적
増補完全版 昭和・平成 現代史年表
小学館
2019-07-06
[38]
서적
昭和史全記録
毎日新聞社
1989-03-05
[39]
문서
元号では昭和60年代。男女雇用機会均等法が成立してバブル世代の女性が社会進出した時期である。
[40]
문서
活動中期の1986年8月と9月に、中学生で加入してきたメンバーたち5人で括られた「おニャン子クラブB組」も作られた。高校生以上で構成される本体のおニャン子クラブとは区分されていたが、1987年4月にB組のメンバーが全員高校生になって本体に昇格したことで、発展的解消した。
[41]
간행물
おニャン子速報!城之内早苗が演歌でソロデビュー
角川書店
[42]
뉴스
おニャン子旋風 不況レコード界の“救世主”
朝日新聞
1986-07-17
[43]
간행물
おニャン子速報!6名の予備軍が入学、歌にドラマに登場
角川書店
[44]
간행물
フジテレビ『夕やけニャンニャン』視聴率低迷でおニャン子たちはどこへ行く?
講談社
[45]
뉴스
おニャン子クラブが日テレで一夜限りの復活ステージ
https://www.nikkansp[...]
2018-06-16
[46]
웹사이트
THE MUSIC DAY 伝えたい歌(番組公式サイト)
http://www.ntv.co.jp[...]
日本テレビ放送網
2018-06-16
[47]
문서
正式な発表があったわけではなく、『夕やけニャンニャン』の台本の会員名簿の画像を確認すると、9月10日には名前が記載されているが、翌9月11日には記載されていない。よって1985年9月10日が最終出演日と推察される。
[48]
문서
学校を退学したため、番組規定(学校からの許可と学校との両立が活動の絶対条件)に反するとして脱退。
[49]
문서
正式な発表があったわけではなく、『夕やけニャンニャン』へ最後の出演となった日付。
[50]
문서
当時はまだ番組内での「卒業式」を行ったことがなかったため、脱退を公式に発表せず、ある日突如番組から姿を消す形となった。
[51]
문서
学校からも除籍処分(自主退学が認められない退学処分)になった。
[52]
문서
学校の許可を得ずに合格したため、学校からも除籍処分(自主退学が認められない退学処分)になった。
[53]
문서
合格後、熱狂的なファンが自宅周辺まで待ち構え、押し掛ける等、プライバシーのない生活になってしまい、本人から脱退を申し出た。
[54]
간행물
講談社
[55]
문서
河合その子、渡辺美奈代、工藤静香、高井麻巳子、岩井由紀子、我妻佳代らなどは、おニャン子クラブ所属前からレコード会社や芸能事務所に所属していた。
[56]
문서
「※AKB調べ」2014年11月13日放送分より。
[57]
문서
おニャン子クラブB組のまま脱退した2人と『夕やけニャンニャン』番組末期に短期間だけ在籍した外国人の研修生1人には与えられなかった。
[58]
서적
ラグジュアリー歌謡
ディスクユニオン
2013-03-01
[59]
문서
「各方面」とお断りした後、次のランキングの歌手がフジテレビからの中継となり、追っかけマンの松宮一彦が中継の冒頭で「こちら各方面です」と揶揄する事があった。こうした現象が起きたのは、バラエティ部門における当時のおニャン子クラブのプロデューサーだった石田弘と確執のあった横澤彪および、石田と距離を置いていた王東順の制作班や、ドラマ部門の制作班が『ザ・ベストテン』との関係が悪くなかったことから中継部隊の立ち入り許可したためだった。
[60]
문서
うしろ髪ひかれ隊に関しては、番組出演が決まり、専用のセットまで組まれていたが、直前になり出演が取り止めになり、苦肉の策として、リハーサルで歌ったスタッフに歌わせている。
[61]
문서
『夕やけニャンニャン』放送終了後の1988年が初出場。
[62]
문서
'[https://smart-flash.jp/entame/210697/ 「『紅白』出場せず」中森明菜の「おニャン子クラブ」嫌い伝説 スタッフに「自分たちが恥ずかしくないの?」]'
https://smart-flash.[...]
[63]
뉴스
"'86夏ポップス考 おニャン子現象"
朝日新聞
1986-08-09
[64]
서적
愛
思潮社
1989-10-01
[65]
문서
CDVは、CDプレーヤーで音声部分(オーディオパート)が約20分、レーザーディスクプレーヤーで映像部分(ビデオパート)が約5分再生が可能なメディアで、オーディオパート4曲とビデオパート1曲で構成されている。
[66]
웹사이트
おニャン子クラブがCMで限定復活! 11名再結集し「セーラー服を脱がさないで」を歌い踊る
https://www.oricon.c[...]
オリコン顧客満足度ランキング(運営:oricon ME)
2010-01-21
[67]
문서
2010年10月5日放送日本テレビ放送網「超豪華!!スタア同窓会 ゲゲゲッ!の再会SP」より
[68]
웹사이트
メンバーによる紹介動画が公開!「おニャン子結成30周年記念CD-BOX」最新情報
https://web.archive.[...]
2022-08-26
[69]
문서
ニュージャパニーズの襲来 現代タレント像 ねずみっ子クラブ
月刊アドバタイジング
1993-01
[70]
문서
그러나 초기 멤버만 봐도 고쿠쇼 사유리, 나고야 미카, 후쿠나가 사토미, 카와이 소노코, 우츠미 카즈코, 타츠미 리카, 타카이 마미코는 이미 고등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실제로는 여고생으로만 이루어진 그룹이 아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