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188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르요스 파판드레우(1888년)는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자유주의 성향의 정치 경력을 거쳐 총리직을 역임했다. 그는 아테네 대학교에서 법학을, 베를린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를 지지하며 정치적 위기에 참여했다. 1935년 그리스 민주사회당을 창당했으나, 군주제 복귀와 독재로 인해 망명 생활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망명 정부에서 총리를 역임했고, 1944년 그리스 해방 후에도 총리직을 수행했다. 이후 1961년 중앙 연합을 창당하여 총리로 재선되었으나, 국왕과의 갈등과 군부 쿠데타로 인해 체포되었고, 1968년 가택 연금 상태에서 사망했다. 그는 민주주의를 위한 투사로 평가받으며, "민주주의의 노인"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2. 초기 생애 및 교육

요르요스 파판드레우는 1888년 2월 13일 그리스 남부 아카이아현 칼렌치에서 정교회 대사제(protopresvyteros)인 안드레아스 스타브로풀로스 신부의 아들로 태어났다.[1] 그의 성은 아버지의 기독교식 이름과 "사제"를 뜻하는 "파파스"에서 유래했다. 아테네에서 법학을, 베를린에서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독일 사회 민주주의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군주제에 강하게 반대했고, 관대한 사회 정책을 지지했지만, 그리스 공산당에 반대하는 반공주의자였다.[1]

젊은 시절에는 자유주의 지도자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를 지지하며 정치에 참여했다.[1] 그는 폴란드인 소피아 미네이코(Sofia Mineykopl)와 결혼하여 1919년 키오스섬에서 장남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를 낳았다. 이후 배우 시벨레 안드리아누와 재혼하여 아들 요르요스 파판드레우를 얻었다.

3. 정치 경력

요르요스 파판드레우는 젊은 시절부터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의 자유주의 정책을 지지하며 정치에 참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그리스의 참전 문제를 둘러싼 국가 분열 시기에 그는 베니젤로스를 지지하며 반군주제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16년 베니젤로스가 아테네를 떠났을 때, 파판드레우는 그를 따라 크레타로 갔고, 이후 레스보스로 가서 섬에서 반군주주의 지지자들을 동원하여 베니젤로스의 연합군 지지 정부테살로니키에서 지원했다.[1]

1920년 총선에서 레스보스 지역구에 무소속 자유주의자로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1921년 변호사로서 그는 콘스탄티노스 국왕을 비판한 혐의로 재판을 받던 알렉산드로스 파파나스타시우를 변호했다. 콘스탄티노스 국왕의 퇴위를 요구하는 기사 때문에 그는 왕당파 정권에 의해 투옥되었고, 나중에는 레스보스 섬에서 왕당파 극단주의자들의 암살 시도를 간신히 모면했다.

1922년 혁명의 지도자인 플라스티라스와 곤나타스 대령, 그리고 정치 고문인 요르요스 파판드레우(왼쪽)

200px


1923년 스타일리노스 곤나타스 내각에서 내무부 및 행정 재건 장관을 역임했다. 1923년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레스보스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4] 1925년 6월에는 재무 장관, 1930~1932년에는 교육부 장관, 1933년에는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4] 교육부 장관 재임 시절에는 그리스 학교 시스템을 개혁하고 그리스-터키 전쟁 난민 어린이들을 위한 많은 학교를 건설하는 등 큰 업적을 남겼다.[4]

3. 1. 그리스 민주사회당 창당과 망명

1935년, 요르요스 파판드레우는 그리스 민주 사회당을 창당했다.[4] 같은 해, 게오르기오스 콘딜리스 장군의 왕당파 쿠데타로 군주제가 복귀되자, 그는 국내에 유배되었다. 평생 동안 그리스 군주제에 반대했던 그는 1938년 그리스 왕당파 독재자 요안니스 메탁사스에 의해 다시 추방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리스의 추축국 점령 이후, 그는 이탈리아 당국에 의해 투옥되었다. 이후 중동으로 도망쳐 이집트 왕국에 기반을 둔, 주로 베니젤로스주의자로 구성된 망명 정부에 합류했다. 영국의 지원을 받아 게오르기오스 2세 국왕은 그를 총리로 임명했고, 그의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레바논 회의 (1944년 5월)와 이후 카세르타 협정 (1944년 9월)이 열려 그리스의 위기와 EAM과 비 EAM 세력 간의 갈등(내전의 전조)을 막고 국민 통합 정부를 수립하려 했다.[4]

3. 2. 그리스 해방과 내전 시기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와 다른 사람들이 추축국으로부터 해방된 후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리스의 추축국 점령이 끝나고 1944년 10월, 파판드레우는 그리스 망명 정부 총리로서 일부 그리스군 부대 및 영국군과 함께 아테네에 입성했다.[4] 같은 달, 그는 그리스 망명 정부를 계승한 Κυβέρνηση Γεωργίου Παπανδρέου Εθνικής Ενότητος 1944|그리스 국민 연합 정부 (1944)|그리스 국민 연합 정부el의 총리가 되었다. 그는 카세르타 협정에 따라 모든 연합군의 책임을 맡은 로널드 스코비 중장(영국)과 협력하며, EAM과 비 EAM 세력 간의 극심한 대립을 해소하려 노력했다.

1944년 12월, 데케브리아나 사건이 발발하면서 파판드레우는 총리직에서 물러났지만,[4] 1946년부터 1952년까지 여러 내각에서 노동부 장관, 물자부 장관, 교육부 장관, 재무부 장관, 공공 질서부 장관을 역임하며 그리스 재건에 힘썼다. 1950년부터 1952년까지는 부총리도 겸임했다. 그러나 이 시기 그리스는 극심한 정치적 혼란과 그리스 내전을 겪었다.

3. 3. 중도 연합 창당과 총리 재선

1961년 파판드레우는 구 자유주의 베니젤리스트, 사회 민주주의자, 불만을 품은 보수주의자들의 연합인 중앙 연합당을 창당하여 그리스 자유주의를 부활시켰다.[5] 1961년 "폭력과 부정"으로 치러진 선거 이후 파판드레우는 우익 ERE와 우익의 "파라크라토스"(그림자 정부)에 맞서 "끊임없는 투쟁"을 선언했다.

그의 당은 1963년 11월 선거와 1964년 선거에서 승리했는데, 특히 1964년 선거에서는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했다.[5] 총리로서 그의 진보적인 정책은 보수 진영에서 많은 반대를 불러일으켰고, 그의 아들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도 마찬가지였다. 안드레아스는 아버지보다 훨씬 더 좌익적인 것으로 여겨졌으며, 많은 중요한 문제에 대해 아버지와 의견이 달랐다. 그는 더 진보적인 정책을 옹호하기 위해 민주 연맹(''Dimokratikoi Syndesmoi'')이라는 정치 조직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중앙 연합의 청년 단체인 EDIN을 장악했다.

파판드레우는 키프로스 공화국의 건립으로 이어진 취리히-런던 협정에 반대했다.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터키계 키프로스인 공동체 간의 충돌 이후, 그의 정부는 그리스군 사단을 키프로스 섬으로 파견했다.[5]

3. 4. 콘스탄티노스 2세와의 갈등 및 군사 정권

콘스탄티노스 2세 국왕은 파판드레우 정부에 공개적으로 반대했고, 군대 내 극우주의 세력의 잦은 음모로 인해 정부는 불안정해졌다. 결국 국왕은 중앙 연합을 분열시켰고, 1965년 7월 ''율리아나''로 알려진 위기에서 국방부 통제권을 둘러싼 분쟁 이후 파판드레우를 총리직에서 해임했다.[5]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가 이끄는 대령 정권에 의한 1967년 4월 쿠데타 이후 파판드레우는 체포되었다. 1968년 11월 가택 연금 상태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장례식은 대규모 반독재 시위로 이어졌다.

4. 평가 및 유산

파판드레우는 그리스 정치계에서 최고의 웅변가 중 한 명이자 민주주의를 위한 끈질긴 투사로 평가받았다.[5] 군사 정권 시기와 사후에 그는 종종 "ο Γέρος της Δημοκρατίας" (''o Géros tis Dimokratías'', 민주주의의 노인)라는 애칭으로 불렸다.[5] 그의 손자 조지 A. 파판드레우가 정치에 입문한 이후, 대부분의 그리스 작가들은 조부에게는 'Γεώργιος' (''Geórgios'')를, 손자에게는 덜 격식을 갖춘 'Γιώργος' (''Giórgos'')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5.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추가 내용

요르요스 파판드레우는 그리스의 정치인이므로, 한국 정당의 관점을 추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Georgios Papandreou http://www.britannic[...] 2010-06-30
[2] 웹사이트 Βουλή των Ελλήνων https://www.hellenic[...] Hellenic Parliament
[3] 서적 Political leaders of contemporary Western Europe: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4] 서적 Who's Who in Greece Athens News
[5] 문서 変節(1965年の背教)、7月事件(Ιουλιανά)または国王クーデター(Το Βασιλικό Πραξικόπημα)と呼ばれる。
[6] 문서 아테네를 장악하지 못한 대립 정부의 수반.
[7] 문서 군사/독재 정권 수반.
[8] 문서 비상시 또는 과도 정부 수반.
[9] 문서 제2차 세계 대전 때 추축국이 그리스를 점령할 당시(1941~1944) 점령군에 협조한 그리스국의 수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