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코스카 D4Y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코스카 D4Y는 일본 해군이 운용한 급강하 폭격기로, 1938년 개발이 시작되어 2차 세계 대전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독일 Heinkel He 118의 영향을 받아 설계되었으며, 아이치 아쓰타 엔진을 탑재한 D4Y1, 미쓰비시 킨세이 엔진을 탑재한 D4Y3, 자살 공격용 D4Y4 등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했다. D4Y는 정찰, 급강하 폭격, 야간 전투 등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었으며, 특히 미드웨이 해전, 마리아나 해전, 레이테 만 해전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 일부 기체는 현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D4Y2는 최고 속도 550km/h, 항속 거리 1,465km, 2명의 승무원을 갖춘 제원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0년 첫 비행한 항공기 - 호커 타이푼
    호커 타이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공군에서 운용된 단발 전투기 겸 전투 폭격기로, 호커 허리케인의 후속 기종으로 개발되어 네이피어 세이버 엔진을 탑재, 초기 결함에도 불구하고 지상 공격기로 활약하며 연합군을 지원했다.
  • 1940년 첫 비행한 항공기 - 하인켈 He 280
    하인켈 He 280은 하인켈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제트 전투기 중 하나로, 쌍발 터보제트 엔진과 사출 좌석을 갖추었으나 엔진 문제와 개발 중단으로 인해 총 9대의 시제기만 제작되었다.
  • 견인식 단발기 - 호커 허리케인
    호커 허리케인은 1930년대 호커 항공에서 개발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초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활약하며 독일 공군에 맞서 싸운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을 장착한 단엽 전투기로, 다양한 파생형으로 전투기, 요격기, 전투폭격기 등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 견인식 단발기 - 포커 Dr.I
    포커 Dr.I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 항공대에서 사용된 삼엽기 전투기로, 뛰어난 기동성을 가졌지만 날개 파손 문제로 1918년 생산이 중단되었다.
  • 함재기 - 그러먼 F6F 헬캣
    그러먼 F6F 헬캣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해군의 주력 함상 전투기로, 견고한 구조와 강력한 엔진을 바탕으로 뛰어난 운동 성능과 방어력을 갖춰 일본 항공 전력 격멸에 기여하고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높은 격추 대 손실 비율을 기록하며 태평양 전쟁에서 맹활약, 수많은 에이스를 배출했다.
  • 함재기 - 호커 허리케인
    호커 허리케인은 1930년대 호커 항공에서 개발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초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활약하며 독일 공군에 맞서 싸운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을 장착한 단엽 전투기로, 다양한 파생형으로 전투기, 요격기, 전투폭격기 등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요코스카 D4Y
개요
요코스카 D4Y3 모델 33
요코스카 D4Y3 모델 33 "스이세이"
유형급강하 폭격기, 정찰기, 야간 전투기
제작사요코스카
원산지일본
첫 비행1940년 12월
도입1942년
퇴역1945년
주요 사용자일본 제국 해군 항공대
생산 기간1942년–1945년
생산 대수2,038대
일본어 이름(스이세이, "혜성")
연합군 보고 명칭"Judy" ("주디")
명칭
일본어空技廠 D4Y 彗星 (구기쇼 D4Y 스이세이)
영어Yokosuka D4Y
한국어요코스카 D4Y 혜성
형식
일본어二式艦上偵察機 (니시키 칸죠 테이사츠키)
한국어2식 함상 정찰기
용도함상 정찰기
분류정찰기
설계자해군 항공 기술창, 야마나 마사오
제작사아이치 항공기
운용자(일본 해군)
첫 비행일1940년 11월 15일
생산 시작일1941년 11월
운용 시작일1942년 5월
운용 상황퇴역
2식 함상 정찰기 11형
생산
생산 대수 (2식 함상 정찰기 포함)2,253기
생산 시작1943년 6월
운용 시작1943년 후반
역사
설계야마나 마사오
개발해군 항공 기술창

2. 설계 및 개발

D4Y는 1938년 요코스카 해군 항공 기술 창고(해군 항공 기술창)에서 개발이 시작되었다. 일본 해군 항공 본부는 아이치 D3A를 대체할 신형 항공모함 탑재 급강하 폭격기에 대한 요구 사항을 발표했고, 이에 따라 D4Y의 설계가 진행되었다.[6] 이 설계는 나치 독일로부터 획득한 Heinkel He 118에서 영감을 받았다.[6]

일본 해군은 런던 해군 군축 조약으로 인해 항공모함 보유 수가 영국과 미국에 비해 불리한 상황이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함상 폭격기의 주 임무를 적 항공모함에 대한 선제 공격으로 정하고, 고성능 함폭 개발을 목표로 했다. 당시 일본 해군이 요구한 함폭의 주요 성능은 다음과 같았다.[27]

요구 성능



1940년 11월 1일, 13시 함폭 시제 1호기가 완성되었다.[27] 이후 시험에서 해군기 최고 속도인 551.9km와 3780km라는 긴 항속력을 기록했다. 5대의 시제기가 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플러터 문제가 발생하여 급강하 폭격 시 기체에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초기 생산 항공기는 정찰기로 사용되었다.

1941년 10월 21일, 제1항공함대는 13시 함폭 2기를 정찰기형으로 개조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진주만 공격에는 늦어졌다.[27] 1942년 5월, 정찰기로 개조된 시제기 2대가 소류에 배치되어 미드웨이 해전에서 미 해군 기동함대를 발견하는 데 기여했다.

D4Y는 빠른 속도와 긴 항속거리를 가졌지만, 자가 밀봉 연료 탱크나 장갑이 없어 피격 시 화재에 취약했다.[9] 초기에는 엔진의 신뢰성 문제도 있었으나, 미쓰비시 킨세이 62 엔진으로 교체하면서 개선되었다.

함상 폭격기 "혜성"과 "2식 함상 정찰기"는 같은 13시 함상 폭격기에서 제식화된 기체이다. 하나의 시제기에서 두 개의 제식기가 채용되는 것은 드문 일이다.

2. 1. 기술적 특징

D4Y는 단발, 전금속 저익 단엽기로, 광폭 가변식 착륙 장치와 날개에 장착된 급강하 브레이크를 갖추고 있었다. 조종사와 항법사/무선 통신사/사수로 구성된 2명의 승무원이 탑승했으며, 긴 유리로 된 캐노피 아래에 앉아 전방위 시야를 확보했다.[7]

초기 모델은 독일 다임러-벤츠 DB 601의 라이선스 사본인 아이치 아쓰타 액체 냉각 역 V12 엔진을 장착하여 1200hp의 출력을 냈다. 라디에이터커티스 P-40 워호크와 마찬가지로 3엽 프로펠러 뒤와 아래에 위치했다.

D4Y는 수평 비행 및 급강하 시 높은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슬림한 동체를 가지고 있었으며, 높은 날개 하중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기동성을 보였다.[8] 폭탄은 날개 아래와 내부 동체 폭탄창에 장착되었다. 일반적으로 500kg 폭탄 1개를 탑재했지만, D4Y가 때때로 250kg 폭탄 2개를 탑재했다는 보고도 있었다.

기수에는 7.7 mm 97식 항공기 기관총 2정과 조종석 후방에 높은 발사 속도를 위해 선택된 7.92 mm 1식 기관총 1정이 장착되었다. 후방 기관총은 13 mm 2식 기관총으로 교체되었다.[26]

2. 2. 개발 과정

1938년 요코스카 해군 항공 기술 창고에서 요코스카 D4Y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일본 해군 항공 본부는 아이치 D3A를 대체하기 위해 해군 실험 13-시 항공모함 탑재 급강하 폭격기에 대한 요구 사항을 발표했다.[6]

5대의 원형기 중 첫 번째 기체는 1940년 11월에 완성되었고, 1940년 12월에 첫 비행을 했다.[10][11] 원형기 시험 후 플러터 문제가 발생했는데, 이는 급강하 폭격 시 항공기 골조에 치명적인 결함이었다. 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초기 생산 항공기는 정찰 항공기인 '''D4Y1-C'''로 사용되었으며, 빠른 속도와 장거리를 활용했다.[8] 1943년 3월까지 D4Y1-C의 생산은 소량으로 계속되었으나, D3A로 인한 손실이 증가함에 따라 D4Y1 급강하 폭격기로 생산이 전환되었고, 항공기의 구조적 문제는 마침내 해결되었다.[9]

요코스카 D4Y1 이륙 전


D4Y의 초기 버전은 아이치 아쓰타 엔진의 신뢰성 문제로 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요코스카 D4Y3 모델 33은 신뢰성이 높은 미쓰비시 MK8P ''킨세이'' 62 14기통 2열 왕복 엔진으로 재설계되었다.

새로운 엔진은 상승률과 천장을 10000m 이상으로 향상시키고 3000m까지 4.5분 만에 상승할 수 있게 했지만, 연료 소비가 증가하여 항속 거리와 순항 속도가 감소했으며, 엔진이 조종사의 전방 및 하방 시야를 가려 항공모함 운용을 방해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새로운 변형기의 가용성이 증가했기 때문에 용인되었다.[12]

마지막 버전은 1945년 2월에 생산에 들어간 단좌 ''가미카제'' 항공기인 '''D4Y4 특별 공격 폭격기'''로, 800kg 폭탄 1개를 탑재할 수 있었다. 이 항공기에는 터미널 급강하 가속을 위해 3개의 로켓 부스터가 장착되었다.[13]

'''D4Y5 모델 54'''는 1945년에 설계된 계획된 버전이었다. 이 모델은 1361kW 출력을 내는 나카지마 NK9C ''호마레'' 12 왕복 엔진, 정속형의 새로운 4엽 금속 프로펠러, 승무원과 연료 탱크를 위한 더 많은 장갑을 장착할 예정이었다.

3. 운용 역사

비행 중인 요코스카 D4Y3 33형 "스이세이"


장갑과 자체 밀봉 연료 탱크가 부족했던 "스이세이"는 연합군 전투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9] 그러나 프랭클린 (단일 D4Y로 추정되는 공격으로 거의 침몰), 프린스턴 (단일 D4Y 공격으로 침몰)을 포함하여 함선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D4Y는 치토세, 치요다, 히요, 준요, 신요, 쇼카쿠, 소류, 다이호, 운류, 운요, 즈이카쿠 등 일본 항공모함에서 운용되었다.

1943년 6월, 기체 강도를 향상시킨 함상 폭격기형 혜성 11형(D4Y1)이 양산에 들어가, 1943년 후반 솔로몬 전투부터 실전 투입되었다. 1943년 5월에는 출력과 정비성을 향상시킨 아츠타 32형 엔진을 탑재한 혜성 12형(D4Y2) 시제 1호기가 완성되었다. 그러나 니켈 등 희토류 부족, 공구 부족, 공원 기량 저하 등으로[36] 아츠타 32형 생산이 지연되어, 기체와 엔진 생산 수 불균형으로 "목 없는 기"(엔진이 없는 기체)가 공장 밖에 늘어서는 사태가 벌어졌다. 1943년 12월부터는 공급에 여유가 있고 출력이 높은 금성 62형 공랭 엔진을 장착한 혜성 33형이 생산되었다.[67] 이는 3식 전투기의 하140 엔진(DB601 국산화) 문제와 유사하며, 5식 전투기가 공랭 엔진으로 변경 생산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전선에서는 구식화된 99식 함상폭격기를 대신해 혜성이 주력 폭격기로 운용되었다. 해군은 기지 항공대 주전력으로 혜성을 대량 생산할 계획이었고, 1943년 10월 3일 "발동기 생산 상황을 고려한 현용기 장비 발동기 변경에 관한 협의각서"를 통해 0식 함상 전투기 등 주력기 엔진 변경을 계획했다.[68] 이 계획에는 혜성도 포함되어 공랭형 혜성 제조를 뒷받침했다.[33] 그러나 혜성 12형은 고성능으로 인해 33형과 병행 생산되었고, 아이치 항공기 대신 구레 제11해군 항공창에서 종전까지 생산되었다.[36] 11형 705기, 12형 약 710기, 33형 · 43형 합계 약 830기가 생산되었으며, 제11해군 항공창에서 생산된 수냉형 혜성 430기는 모두 야간 전투기 용도였다.[32]

1944년 6월 마리아나 해전에서 제2항공전대 제652해군항공대 소속 준요 탑재기는 99식 함폭과 혜성을 함께 운용했는데, 저속의 99식 함폭이 먼저 발함하고 고속의 혜성이 뒤따르는 복잡한 운용을 했다.[71]

함상 폭격기로서 이례적인 속도를 냈지만, 착함 속도도 빨라지고 무게도 증가하여 쇼카쿠형 같은 대형 항공모함이 아니면 기체만으로 발착함이 어려웠다. 준요 함장은 "운용이 어려웠다"고 증언했다. 해군은 함상 폭격기와 함상 공격기 통합을 계획하고 유성을 개발 중이었다. 차기 주력 함상기 탑재량 조사 시 렛푸와 유성으로 계산되었고, 혜성은 유성 실용화 전까지의 중간 기체로 여겨졌다.

3. 1. 주요 전투

요코스카 D4Y는 여러 주요 전투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 '''미드웨이 해전(1942년)''': D4Y1-C 정찰기 2대가 소류에 배치되었으며, 이 중 하나는 소류가 폭격을 받으면서 손실되었다.[9] 다른 하나는 정찰 임무를 수행하고 히류로 돌아왔지만, 히류가 폭격을 받으면서 함께 손실되었다.[14]

  • '''마리아나 해전(1944년)''': D4Y는 미 해군 전투기에 의해 대규모로 격추되었다. D4Y는 그루먼 F4F 와일드캣보다 빨랐지만, 그루먼 F6F 헬캣보다는 느렸다.

  • '''레이테 해전 및 필리핀 전역(1944년)''': D4Y는 육상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수냉식 엔진 D4Y2와 공랭식 엔진 D4Y3 모두 미 해군 함대를 상대로 싸웠다. D4Y는 일반적인 공격과 가미카제 공격으로 항공모함에 피해를 입혔다. 1944년 10월 24일에는 D4Y 1기가 프린스턴을 폭격하여 격침시켰다.

  • '''일본 본토 방어 (1945년)''': 1945년 3월, 제58기동부대는 오키나와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일본 남부에 접근하여 군사 목표를 공격했다. 일본은 많은 D4Y가 사용된 대규모 가미카제 공격으로 대응했다.

3. 2. 야간 전투기

D4Y는 A6M 제로보다 빨랐으며, 일부는 전쟁 말기에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폭격기에 대항하는 '''D4Y2-S''' 야간 전투기로 사용되었다. 야간 전투기 개조는 히로의 제11 해군 항공창에서 이루어졌다. 각 D4Y2-S는 폭탄 투하 시스템과 장비를 제거하고 후방 조종석에 20mm 99식 20mm 기관포를 장착하여 독일의 ''Schräge Musik'' 무장 장착 방식과 유사하게 총신을 위로 향하게 했다(1943년 5월 일본 해군 항공대가 나카지마 J1N에서 처음 사용).[32] 일부는 날개 아래에 10cm 공대공 로켓 2~4발을 장착했다. 야간 요격을 위한 레이더 부족, 부족한 상승률 및 B-29의 높은 고도로 인해 D4Y2-S는 야간 전투기로서의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월광의 야간 전투기화에서 실적이 있던 302공 사령관 고조노 야스나 대좌 등의 진언에 따라, 12형에 20mm 사총을 추가 장비(시제기만 30mm 기총)한 12형 무형(D4Y2-S)이 제조되었다. 야간 전투기형 혜성은 제국 수도 방어를 임무로 하는 302공, 332공, 352공 등 본토 방공 부대에 배치되어, 주로 B-29 요격에 투입되었다.[55] 제302공에서는 월광과 함께 야간 전투기의 주력으로 활약했으며, 나카 요시미츠 상등비조와 가나자와 히사오 중위는 B-29 5기 격추를 보고했다. 요코스카 해군 항공대에도 배치되어, 고조노와 협력하여 혜성의 사총 탑재에 진력한 야마다 마사하루 대위가 직접 야간 전투기형 혜성으로 출격하여, 사총으로 B-29 1기를 격추, 1기를 격파하는 전과를 올린 후 전사했다.[56]

야간 전투기 부대로 편성된 부용 부대에도 배치되었지만, 실제로는 적 함선이나 적 비행장으로의 폭격에 사용되었다.[35] 부용 부대에서는 사총을 철거하고 사용했지만,[57] 오키나와전 후기에는 야간 전투기에게 격추되는 기체가 늘어남에 따라 그 대책으로, 사총 장비의 야간 전투기형 혜성을 그대로 작전에 투입했다.[58] 그러나 부용 부대의 혜성은 야간 전투기라는 이름과 달리, 탑승원은 "진공 폭격" 임무 특화 방침에 따라 사격 훈련 등 공중전 훈련을 받지 않았다. 1945년 5월 중순, 야쿠시마 상공에서 P-61 블랙 위도우를 목격한 혜성 12형 무형 탑승의 쓰무라 구니오 상등비조는, 자신에게 공중전 기술이 없음을 인식하고, 미군의 강력한 야간 전투기를 상대로는 역습을 당할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여 공격하지 않고 퇴피했지만, 쓰무라의 보고를 들은 미노베는 "어째서 사총을 쏘지 않았는가!?"라고 질책했다.[59]

1945년 6월 10일, 야간 전투기 월광으로 B-24를 몸통 박치기로 격파(후에 전손으로 폐기)한 전적을 가진[60] 부용 부대 소속의 나카가와 요시마사 상등비조-가와조에 후시 중위가 탑승하는 혜성 12형 무형이, P-61로 추정되는 미군 야간 전투기를 공격하여 격추했다고 보고했다. (미군 기록에서는 같은 날 P-61 손실은 전투·비전투 모두 없었다.[61])

야간 전투기형 혜성은 B-29 요격을 위해 각지의 항공 부대에 배치되어 활약했다. 1945년 5월 25일(폭격은 다음 날 26일 새벽까지)의 도쿄 대공습에서는, 일본군 측에 의하면, 제302해군항공대만으로 혜성 4기, 월광 7기, 뇌전 5기, 0식 전투기 5기가 요격하여 B-29 16기 격추를 보고하는 등(미군 공식 기록에서는 이날 B-29 손실은 26기), 지속적으로 전과를 보고했다.[80] 그 중에서도 나가카와 미츠루 상등 비행병과 가나자와 히사오 중위는 혜성으로 B-29 5기 격추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요코스카 해군 항공대나[56] 제332해군항공대 등에서 B-29 격추·격파가 기록되는 등, 본토 방공전에서 활약했다.[54] 제302해군항공대의 야간 전투기형 혜성은 아쓰기 항공대 사건에도 사용되었고, 반란 장병이 육군의 결기를 촉구하기 위해 13기의 혜성에 탑승하여 아쓰기 해군 비행장에서 육군 고다마 비행장으로 향했지만, 8월 24일에 설득에 응하여 혜성은 그 자리에서 무장 해제되었다.[81]

3. 3. 최종 작전

전쟁 말기, D4Y는 여전히 미 해군을 상대로 작전에 투입되었다. 1944년 10월 24일 레이테 만 해전에서 D4Y 1기가 급강하 폭격으로 경항공모함 프린스턴에 명중탄을 입혔다. 피해는 경미했지만, 화재가 발생하여 결국 아군에 의해 자침 처분되었다.[72] 11월 25일에는 에식스에 신풍 특별 공격대 소속 D4Y가 돌입하여 비행 갑판에 명중, 큰 피해를 입혔다.[73]

규슈 항공전에서는 D4Y를 포함한 다수의 특공기가 미군 기동 부대를 공격했다. 와스프에 D4Y 특공기가 명중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 프랭클린에도 D4Y로 추정되는 항공기가 완강하 폭격으로 치명적인 손상을 입혔다.[77] 오키나와 전투에서는 0식 전투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251기의 D4Y가 특공에 투입되어 140기가 돌아오지 못했다.[79]

야간 전투기형 D4Y는 B-29 요격을 위해 각지에 배치되어 활약했다. 1945년 5월 25일 도쿄 대공습에서 제302해군항공대 소속 D4Y와 월광 등이 B-29 16기 격추를 보고했다.[80]

부용 부대의 D4Y는 지휘관의 방침에 따라 통상 폭격 임무에 투입되었다. 보노미사키 해전에서 제5항공함대 사령부로부터 야마토 호위를 요청받았지만, 공중전 훈련 부족을 이유로 거부했다.[83] 이후 함선 공격과 비행장 야간 공격을 했지만, 큰 전과는 없었고 많은 손실을 입었다.[97]

최종 양산형은 43형(D4Y4)으로 특공 사양기였다. 1945년 8월 15일, 우가키 마토메 중장이 종전 당일 오키나와 해역의 미 함대에 특공 출격했을 때 복좌형 43형에 탑승했다.

4. 운용 국가

일본 제국 해군 항공대[16][17][18][19]

운용 부대



미국 해군은 평가 목적으로 노획한 항공기를 운용했다.

5. 파생형


  • D4Y1 ''실험 13형 함상 급강하 폭격기'' (十三試艦上爆撃機, ''13-Shi Kanjō Bakugekiki''): 초기 시제기로 5대가 생산되었다. 이 중 2번기와 3번기는 정찰기로 개조되어 항공모함 소류에 탑재, 미드웨이 해전에 참전했다.[20][21] 4번기 역시 정찰기로 개조되어 쇼카쿠에 탑재, 산타크루즈 제도 해전에 투입되었다.
  • D4Y1-C ''2식 정찰기 11형'' (二式艦上偵察機一一型, ''Nishiki Kanjō Teisatsuki 11-Gata''): 아이치 나고야 공장에서 생산된 정찰기 버전으로, 1942년 7월 7일에 개발되었다.
  • D4Y1 ''스이세이 11형'' (彗星一一型, ''Suisei 11-Gata''): 최초 양산형 급강하 폭격기. 1200hp 아이치 AE1A 아츠타 12 엔진을 장착했다. 1943년 12월 개발.
  • D4Y1改일본어 ''스이세이 21형'' (彗星二一型, ''Suisei 21-Gata''): 이세와 휴가를 위한 사출기 장착형 D4Y1. 1944년 3월 17일에 개발되었다.
  • D4Y2 ''스이세이 12형'' (彗星一二型, ''Suisei 12-Gata''): 1400hp 아이치 AE1P 아츠타 32 엔진 채용. 1944년 10월 개발.
  • D4Y2a ''스이세이 12갑형'' (彗星一二甲型, ''Suisei 12 Kō-Gata''): D4Y2의 후방 조종석에 13mm 기관총을 장착한 버전. 1944년 11월 개발.
  • D4Y2-S ''스이세이 12정형'' (彗星一二戊型, ''Suisei 12 Bo-Gata''): D4Y2의 야간 전투기 버전. 폭탄 장비를 제거하고 20mm 상향 발사 기관포를 장착했다.
  • D4Y2改일본어 ''스이세이 22형'' (彗星二二型, ''Suisei 22-Gata''): 전함 ''이세''와 ''휴가''를 위한 사출기 장착형 D4Y2.
  • D4Y2a改일본어 ''스이세이 22갑형'' (彗星二二甲型, ''Suisei 22 Kō-Gata''): 후방 조종석에 13mm 기관총을 장착한 D4Y2改일본어.
  • D4Y2-R ''2식 정찰기 12형'' (二式艦上偵察機一二型, ''Nishiki Kanjō Teisatsuki 12-Gata''): D4Y2의 정찰기 버전. 1944년 10월 개발.
  • D4Y2a-R ''2식 정찰기 12갑형'' (二式艦上偵察機一二甲型, ''Nishiki Kanjō Teisatsuki 12 Kō-Gata''): 후방 조종석에 13mm 기관총을 장착한 D4Y2-R.
  • D4Y3 ''스이세이 33형'' (彗星三三型, ''Suisei 33-Gata''): 육상 기지 폭격기 변형. 1560hp 미쓰비시 킨세이 62형 성형 엔진 채용. 테일 후크도 제거되었다.
  • D4Y3a ''스이세이 33갑형'' (彗星三三甲型, ''Suisei 33 Kō-Gata''): 후방 조종석에 13mm 기관총을 장착한 D4Y3.
  • D4Y3 ''스이세이 33형 야간 전투기 변형'' (彗星三三型改造夜戦, ''Suisei 33-Gata Kaizō yasen''): 임시로 개조된 야간 전투기 버전으로, D4Y3 2대에서 개조되었다.[22] 20mm 상향 발사 기관포를 장착했으나, 해군 규격 장비는 아니었다. 개발 코드 ''D4Y3-S''(또는 ''스이세이 33정형'')는 일본 해군 공식 문서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 D4Y4 ''스이세이 43형'' (彗星四三型, ''Suisei 43-Gata''): 최종 생산 변형. 폭탄 탑재량이 800kg로 증가했으며, 주 폭탄은 폭탄창에 반 매립되었다. 조종석 앞쪽에 75mm 방탄 유리, 조종석 앞뒤에 5mm와 9mm 두께의 장갑판이 있었다. 연료 탱크에도 추가 보호 기능이 부여되었으며, 가동식 후방 기관총은 제거되었다.[2] 5개의 RATO 부스터(동체 하단부에 3개, 엔진 아래 양쪽에 2개)의 추가가 고려되었다. 일반적으로 D4Y4는 특별 공격 작전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23]
  • D4Y5 ''스이세이 54형'' (彗星五四型, ''Suisei 54-Gata''): 나카지마 ''호마레'' 성형 엔진, 4엽 프로펠러, 더 많은 장갑 보호 기능을 갖춘 버전으로 계획되었다.

6. 현존 기체

1988년, 복원된 D4Y1 (일련 번호 ''4316'')가 도쿄 야스쿠니 신사의 유슈칸 박물관에 기증되어 현재 전시되어 있다. 이 잔해는 얍 섬의 콜로니아 비행장에서 수습되었으며, 1979년부터 1980년까지 키사라즈 비행장에서 복원되었다.[24]

엔진이 없는 D4Y3는 1991년 인도네시아 바보 비행장에서 수습되었다. 이 기체는 플레인 오브 페임 항공 박물관(캘리포니아주 치노 소재)에 인수되어 비행 불가능 상태로 복원되었다. 이 기체는 미국의 프랫 & 휘트니 R-1830 엔진을 사용하여, 왕복 엔진을 장착한 D4Y3로 복원되었다. 이 엔진은 작동 가능한 상태이며, 지상 운행 및 택싱 시연을 위해 시동할 수 있다.[25]

형식기체 사진국명보존 시설/관리자공개 상황상태비고
33형--미국플레인스 오브 페임 항공 박물관[103]공개정태 전시동 박물관에서 보관되었던 잔해가 2013년에는 자가 운전 가능 상태까지 복원되었다. 단, 엔진은 오리지널이 아닌 공랭식 프랫 & 휘트니 R-1830 엔진으로 교체되었기 때문에, 33형인지 43형인지 외형이 되었다. 동 박물관의 웹사이트에서는 "Yokosuka D4Y3 Model 33 Suisei"라고 소개하고 있지만, 33형, 43형 중 어느 것을 상정하고 복원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없다. 또한 착함 훅도 장비하고 있다.[104]
11형
일본유슈칸[106]공개정태 전시아쓰타 21형 발동기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 기체 번호는 "매-13".
11형
(추정)
미국
북마리아나 연방
미상공개엔진
북마리아나 연방의 로타섬의 공항 주차장 옆에 아쓰타 21형 엔진 1기가 프로펠러가 붙은 상태로, 영전의 영 21형 3기, 텐잔의 화성 25형 1기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 전시라고 해도, 콘크리트 받침대 위에 비를 맞으며 놓여 있을 뿐, 울타리나 해설 등도 전혀 없다. 이전에는 제로센의 기체 잔해들도 놓여 있었지만 현재는 없다. 전시라기보다는 방치에 가까워 자유롭게 만질 수 있다. 전후에 동 지역을 방문한 전 로타섬 수비대원의 증언에 따르면 마리아나 해전 때 F6F 헬캣 전투기에 쫓겨 로타섬 해군 항공 기지(현 로타 국제공항)에 불시착한 기체라고 한다. 1944년 6월 19일에 항공모함 "준요"를 발진한 혜성 1기(아베 요시로 대위·나카지마 요네키치 소위)가 1시간 가까이 F6F에 쫓겨 간신히 활주로에 착륙하고 있는[105] 기록과 부합한다.
미상팔라우 공화국미상공개잔해팔라우 공화국의 본섬인 바벨다오브 섬의 파인애플 공장 터 앞에 엔진과 수평 꼬리 날개, 기타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이 꼬리 날개는 작동 가능하며 자유롭게 만질 수도 있다.


7. 제원 (D4Y2)

wikitext

요코스카 D4Y-4 3면도


요코스카 D4Y4의 계기판

  • 승무원: 2명
  • 길이: 10.22m
  • 날개폭: 11.5m
  • 높이: 3.74m
  • 날개 면적: 23.6m2
  • 공허 중량: 2440kg
  • 총 중량: 4250kg
  • 엔진: 아이치 아츠타 AE1P 32 V-12 액체 냉각 왕복 엔진 (1400hp) 1개
  • 최고 속도: 550kmh
  • 항속 거리: 1465km
  • 상승률: 14m/s
  • 날개 하중: 180kg/m2
  • 출력/질량: 0.25kW/kg
  • 무장:[26]
  • * 2 × 전방 발사 7.7 mm 97식 항공기총
  • * 1 × 후방 발사 7.92 mm 1식 기관총
  • * 500kg 폭탄 (설계)
  • * 800kg 폭탄 (자살 공격기)


형식 명칭2식 함상 정찰기 11형혜성 11형혜성 12형혜성 33형
기체 약호D4Y1-CD4Y1D4Y2D4Y3
전폭11.5m
전장10.22m동좌[98]
전고3.295m(3점 시)3.175m3.069m
주익 면적23.6m2
자중2440kg2510kg2635kg2501kg
과하중 중량3870kg3960kg4353kg4657kg
발동기아츠타 21형(이륙 1200hp)아츠타 32형(이륙 1400hp)금성 62형(이륙 1560hp)
최대 속도(고도 3000m)546.3kmh(고도 4750m)579.7kmh(고도 5250m)574.1kmh(고도 6050m)
상승력고도 3000m까지 5분 45초고도 5000m까지 9분 28초고도 5000m까지 7분 14초고도 6000m까지 9분 18초
항속 거리1519km(정규)1783km(정규)~2196km(과하중)1517km(정규)~2389km(과하중)1519km(정규)~2911km(과하중)
무장기수 7.7mm 고정 기총 2정(휴대 탄수 각 600발)
후상방 7.7mm 선회 기총 1정(97발 탄창×6)
기수 7.7mm 고정 기총 2정(휴대 탄수 각 400발)
후상방 7.7mm 선회 기총 1정(97발 탄창×6)[99][100]
기수 7.7mm 고정 기총 2정(휴대 탄수 각 400발)
후상방 7.92mm 선회 기총 1정(75발 탄창×3)[100]
폭장없음동체 250kg 또는 500kg 폭탄 1발동체 250kg 또는 500kg 폭탄 1발
익하 30kg~60kg 폭탄 2발
동체 250kg 또는 500kg 폭탄 1발[101]
익하 250kg 폭탄 2발[102]
승무원2명


참조

[1] 참고
[2] 서적 Japanese Special Attack Aircraft & Flying Bombs Mushroom Model Publications 2009
[3] 간행물 Kamikazes, Deconstructed https://www.historyn[...] World War II 2019-07-21
[4] 참고
[5] 참고
[6] 참고
[7] 참고
[8] 참고
[9] 참고
[10] 참고
[11] 참고
[12] 참고
[13] 참고
[14] 서적 Shattered Sword: The Untold Story of the Battle of Midway Potomac Books 2005
[15] 문서 Ishiguro 2009, p. 25.
[16] 문서 "''The Maru Mechanic'' 1981, p. 67."
[17] 문서 "''Famous Airplanes of the World'' 1998, pp. 34–40."
[18] 문서 "''Model Art'' 1993, pp. 86–87."
[19] 문서 "''Japan Center for Asian Historical Records (JACAR)''"
[20] 문서 "''The Maru Mechanic'' 1981, pp. 65–66."
[21] 문서 "''Famous Airplanes of the World'' 1998, pp. 18–33."
[22] 문서 "''The Maru Mechanic'' 1979, p. 32."
[23] 서적 Suicide Squads: Axis and Allied Special Attack Weapons of World War II: their Development and their Missions https://archive.org/[...] Salamander Books 1981
[24] 웹사이트 D4Y1 Judy Manufacture Number 4316 Tail Taka-13 https://pacificwreck[...] 2023-12-23
[25] 웹사이트 Video: Planes of Fame D4Y Judy's first engine test http://www.worldwarb[...] 2013-01-21
[26] 참고
[27] 문서 『丸 2019年 8月号』潮書房光人社 82頁
[28] 참고
[29] 문서 『別冊歴史読本 空母機動部隊』新人物往来社 154頁
[30] 문서 戦史叢書95 海軍航空概史 286頁
[31] 참고
[32] 참고
[33] 참고
[34] 참고
[35] 참고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パールハーバーの真実 技術戦争としての日米海戦 文庫版
[39] 문서
[40] 문서
[41] 서적 液冷戦闘機 飛燕 日独合体の銀翼 文春文庫
[42] 문서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문서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웹사이트 アジ歴 「第六〇一海軍航空隊戦時日誌 自昭和20年1月1日 至昭和20年1月31日 http://www.jacar.go.[...]
[63] 서적 青春天山雷撃隊 ヒゲのサムライ奮戦記 光人社
[64] 웹사이트 アジ歴 「第一海軍技術廠 引渡目録」 http://www.jacar.go.[...]
[65] 문서 昭和17年6月1日~昭和17年6月30日 ミッドウエー海戦 戦時日誌戦闘詳報(2)
[66] 간행물 海軍航空技術の粋を集めた 艦爆「彗星」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문서 艦爆隊長
[72] 웹사이트 Eyewitness to Tragedy: Death of USS Princeton http://www.historyne[...] HistoryNet 1997-08-19
[73] 웹사이트 " Air Group 4 - Casablanca to Tokyo" http://www.airgroup4[...] 2019-06-04
[74] 서적 戦史叢書17
[75] 서적 加藤浩
[76] 서적 Wasp
[77] 웹사이트 USS Franklin: Struck by a Japanese Dive Bomber During World War II https://www.historyn[...] HistoryNet 2006-12-06
[78] 웹사이트 USS Franklin CV-13 War Damage Report No. 56 https://www.history.[...] United States Navy 1946-09-15
[79] 서적 戦史叢書17
[80] 서적 豊田穣
[81] 서적 豊田穣
[82] 서적 伊沢
[83] 서적 境克彦
[84] 서적 渡辺洋二
[85] 서적 豊田穣
[86] 문서 芙蓉部隊天号作戦々史 自昭和20年2月1日至昭和20年8月末日 第3航空艦隊131航空隊芙蓉部隊」「(四)敵ヲ知ルニ真剣ニシテ之ガ対策ハ擧隊研究解決セリ(1)対空砲火二対シテ アジア歴史センター
[87] 문서 芙蓉部隊天号作戦々史 自昭和20年2月1日至昭和20年8月末日 第3航空艦隊131航空隊芙蓉部隊 アジア歴史センター
[88] 서적 美濃部正
[89] 문서 伊江島のアメリカ軍航空基地の損害がアメリカ陸軍の公式戦史に登場するのは、5月24日~5月25日の空襲により60名死傷者が出たという記録であるが、芙蓉部隊はこの飛行場攻撃には参加していないので芙蓉部隊の戦果ではない。
[90] 웹사이트 United States Army in World War II The War in the Pacific Okinawa: The Last Battle (1947) , p. 362. http://www.ibiblio.o[...]
[91] 웹사이트 United States Army in World War II The War in the Pacific Okinawa: The Last Battle (1947) , p. 489. http://www.ibiblio.o[...]
[92] 서적 渡辺洋二
[93] 서적 林博史
[94] 서적 林博史
[95] 서적 戦史叢書36
[96] 웹사이트 IE SHIMA, RYUKYU ISLANDS http://home.earthlin[...]
[97] 문서 作戦及練成より見たる機材消耗関係統計抜萃戦訓其の2 昭和20年6月」別表第一 別表第二 別表第三 アジア歴史センター
[98] 문서 愛知の資料では10.24 m。
[99] 문서 一二型の後期生産型は、三三型と同じく7.92mm旋回機銃を搭載。
[100] 문서 一二甲型と三三甲型は、いずれも、後上方旋回機銃を13mm機銃に換装。
[101] 문서 一二戌型は後上方旋回機銃を廃止し、20mm斜銃(携行弾数250発)を装備(三三戊型も同様)。
[102] 문서 翼下に250kg爆弾2発装備の場合は胴体も250kg爆弾1発。
[103] 웹사이트 Yokosuka D4Y3 Model 33 'Suisei' | Planes of Fame Air Museum https://planesoffame[...]
[104] 간행물 航空ファン (雑誌) 2013-02
[105] 문서 艦爆隊長
[106] 웹사이트 遊就館|靖國神社 https://www.yasukuni[...]
[107] 웹사이트 艦爆彗星のレストア http://mach.air-nift[...]
[108] 문서
[109] 웹사이트 Gunship Sequel: WW2 - Google Play のアプリ https://play.google.[...] 2023-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