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하네스 아그리콜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하네스 아그리콜라(1494–1566)는 독일의 종교 개혁가이자 루터교 신학자이다. 그는 마르틴 루터의 제자로서 종교 개혁 초기에 활동했으며, 율법과 복음의 관계에 대한 견해 차이로 루터와 논쟁을 벌여 율법폐기론자로 지목받았다. 아이슬레벤의 성 니콜라이 교회 목사, 작센 선제후령의 제국 의회 목사 등을 역임했으며, 300개의 독일 속담집을 편찬하는 등 저술 활동도 활발히 했다. 1540년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2세 헥터의 궁정 설교자 및 총감독관으로 임명되어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 필리프 멜란히톤
필리프 멜란히톤은 마르틴 루터의 동료로서 종교 개혁 운동에 기여한 독일의 종교 개혁가, 신학자, 교육자, 인문주의자이다. - 독일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 마티아스 링만
마티아스 링만은 16세기 초 독일의 인문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 마르틴 발트제뮐러와 함께 신대륙을 '아메리카'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 《코스모그래피아 인트로덕티오》를 저술하고, 《갈리아 전기》 독일어 번역, 《지리학》 연구, 《그라마티카 피구라타》 제작 등 다양한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 16세기 독일 작가 - 요하네스 브렌츠
요하네스 브렌츠는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운동에 참여하여 슈바비슈 할에서 종교 개혁을 주도하고, 독일 농민 전쟁 당시 질서를 옹호했으며, 《뷔르템베르크 신앙 고백》 준비, 성경 주해, 회의 참여, 칼뱅주의와의 논쟁, 편재설 옹호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종교 개혁 확산에 기여하고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교회 및 교육 재조직에 헌신한 독일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이다. - 16세기 독일 작가 - 안드레아스 오시안더
안드레아스 오시안더는 독일의 종교 개혁가이자 신학자로, 뉘른베르크 루터교 목사로 활동하며 종교 개혁에 참여했고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서문 작성, 칭의론에 대한 견해 제시 등으로 논쟁을 일으켰고, 그의 신학은 기독교 신비주의적 경향을 띠며 현대 신학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받는다. - 1566년 사망 - 쉴레이만 1세
쉴레이만 1세는 오스만 제국의 10대 술탄으로, 활발한 군사 활동과 법률 개혁을 통해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행정 체계를 정비하여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예술의 황금기를 열었다. - 1566년 사망 - 디안 드 푸아티에
디안 드 푸아티에는 프랑수아 1세와 앙리 2세 시대에 영향력을 행사한 귀족 여성으로, 앙리 2세의 총애를 받으며 왕실 정책에 관여하고 건축 사업에 참여했으나, 앙리 2세 사후 권력에서 물러나 여생을 보냈으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요하네스 아그리콜라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요한 슈네데만 |
출생 | 1494년 4월 20일, 루터슈타트 아이슬레벤 |
사망 | 1566년 9월 22일, 베를린 |
배우자 | 엘스 모슈하우어 |
출신 학교 | 라이프치히 대학교, 비텐베르크 대학교 |
경력 | |
직업 | 신학자, 종교개혁가 |
종교 개혁 활동 | |
신학적 입장 | 반율법주의 논쟁 (초기), 마르틴 루터의 지지자 (후기) |
주요 활동 지역 | 비텐베르크, 아이슬레벤, 베를린 |
관련 인물 | 마르틴 루터, 필리프 멜란히톤 |
2. 생애
요하네스 아그리콜라는 1494년 루터슈타트 아이스레벤에서 태어났다. 브라운슈바이크와 라이프치히에서 교육받았고,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마르틴 루터와 필리프 멜란히톤의 제자가 되어 신학 학사를 취득했다.[1] 1519년, 루터와 함께 라이프치히 회합에 참석하여 기록 비서 역할을 했다.
1518년 루터판 주기도문을 출판하고, 95개조 반박문과 라이프치히 논쟁 연구를 도왔다. 1520년 12월 10일, 루터가 교황 레오 10세의 파문 교황 칙서를 불태울 때 함께 있었으며, 교황 칙서 입수를 도왔다.[11] 1525년 루카 복음서 해설을 발표하고, 1520년에는 필리프 멜란히톤의 변증법 교양학 서적에 서문을 썼다.
1525년 아이스레벤의 성 니콜라이 교회 목사이자 성 안드레아스 학교 교장이 되었다. 그는 최초의 학교 규칙을 제정하고, 1526년부터 1527년까지 독일어 교리 문답을 썼으며, 성경 번역과 독일어 속담 수집에도 힘썼다. 1526년부터 1529년까지, 아우크스부르크에서는 1530년에 작센 선제후령 선제후 요한 불변공 아래 슈파이어 제국 의회 소속 목사였으며, 루터교의 기본 가르침인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제정에 참여했다.
1527년 작센에서 최초의 교회 참관이 시작되며 루터와 멜란히톤의 첫 논쟁이 벌어졌을 때, 아그리콜라는 멜란히톤의 회개에 대한 견해에 반대했지만, 루터는 멜란히톤을 지지했다.
1536년 알브레히트 7세 폰 만스펠트 영주와의 갈등으로 비텐베르크로 이주하여 루터의 집에서 지내며 교회에서 예배와 설교를 했다. 1537년 슈말칼덴 동맹 회의 이후, 아그리콜라는 독자적인 길을 걸으며 루터와 다시 논쟁을 벌였고, 결국 법원의 개입으로 비텐베르크 체류에 제한을 받았다.
1540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2세의 보호를 받아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궁정 설교자, 총감독, 브란덴부르크 주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시찰 방문자로 일했다. 1541년 루터와 개인적인 화해를 했지만, 같은 해에 레겐스부르크 의사당 설교자 일부를 맡았다.
1548년 황제 카를 5세의 명으로 아우크스부르크에서 나움부르크·차이츠 주교 율리우스 폰 프플루크 등과 함께 교리 관련 임시 타협안을 작성했으나, 프로테스탄트의 기본 요구가 생략되었다는 이유로 다른 프로테스탄트 개혁가들에게 비판받았다.
아그리콜라는 1529년 300개의 독일 속담집을 편찬했고, 이후 추가하여 1534년 "Sybenhundert und Funfftzig Teutscher Sprichwörter, verneuwert und gebessert"(신개독언 750집)을 출판했다.
1536년부터 율법폐기론 논쟁으로 루터와 갈등을 겪었다. 아그리콜라는 그리스도인이 십계명으로부터 자유롭다고 주장했고, 루터는 그를 율법폐기론자로 지명했다.[2] 멜란히톤의 율법에 대한 견해에 대해서도 이견을 보이며, 칭의 이후에는 율법이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3]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2세 헥터의 총애를 받아 궁정 설교자와 총감독으로 활동했다.[6] 1548년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약 작성에 참여했으나, 개신교 신학자들에게 이단으로 여겨졌다. 아디아포라 논쟁을 진정시키려 했지만 실패했다.
1566년 9월 22일 베를린에서 흑사병으로 사망했다.[11] 말년에는 루터파 정통주의자들의 지지를 얻었다.[12]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요하네스 아그리콜라는 1494년 아이스레벤에서 슈나이더마이스터 알브레히트 슈니터의 아들로 태어났다.[1] 이 때문에 그는 때때로 마이스터 일레비우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는 브라운슈바이크의 마르티노이움 김나지움에 입학했고, 1506년에는 라이프치히의 학교로 전학했다. 1509년 겨울 학기에 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입학하여 교양 학부에서 공부를 시작하여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브라운슈바이크에서 교사가 되었다.1516년 봄, 비텐베르크 대학교에 복학하여 마르틴 루터의 제자가 되었다. 1518년 초에 교양 학부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필리프 멜란히톤에게서도 배웠으며, 1519년 10월 13일에 신학 학사를 취득했다.[1] 1519년, 그는 루터와 함께 독일 신학자들의 대규모 회합인 라이프치히 회합에 참석하여 기록 비서 역할을 했다.
2. 2. 종교 개혁 활동
1518년에는 이미 루터판 주기도문을 출판했다. 아그리콜라는 95개조 반박문과 라이프치히 논쟁을 연구하는 동안 루터의 비서로도 활동했다. 1520년 12월 10일, 루터가 엘스터 문 앞에서 교황 레오 10세의 파문 교황 칙서를 불태울 때 함께 있었으며, 교황 칙서 입수를 도왔다.[11] 바르트부르크 성에 루터가 은신했던 1521년부터는 의학을 공부했으나, 2년 후 아내와 Justus Jonas der Ältere|유스투스 요나스 데어 엘테레de의 도움으로 신학으로 돌아왔다. 1525년에는 루카 복음서 해설을 발표했고, 1520년에는 멜란히톤의 변증법 교양학 서적에 서문을 썼다.비텐베르크에서 적절한 교사 일자리를 찾을 수 없었던 아그리콜라는 1525년 성 니콜라이 교회 목사, 아이슬레벤의 라틴어 학교인 성 안드레아스 학교 교장이 되었다. 아이슬레벤에서 최초의 학교 규칙을 제정하고, 1526년부터 1527년까지 독일어 교리 문답을 썼다. 성경 번역, 독일어 속담 수집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아그리콜라는 유능한 설교가로, 1526년부터 1529년까지, 아우크스부르크에서는 1530년에 작센 선제후령 선제후 요한 불변공 아래 슈파이어 제국 의회 소속 목사였다. 루터교의 기본 가르침인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제정에도 참여했다.
1527년 작센 쿠르클라이스(현재 루터슈타트 비텐베르크 지역)에서 최초의 교회 참관이 시작되며 루터와 멜란히톤의 첫 논쟁이 벌어졌다. 멜란히톤은 회개가 율법에 대한 두려움으로 유발된다는 내부 작업 문서를 썼는데, 아그리콜라는 이에 반대했다. 그러나 루터는 멜란히톤을 지지하며 아그리콜라에게 이의 제기를 않도록 권고했다.
1536년 아이슬레벤에서 공무를 수행하던 Albrecht VII. von Mansfeld|알브레히트 7세 폰 만스펠트de 영주와의 긴장 상태로 가족과 함께 비텐베르크로 이주, 루터의 집에서 받아들여졌다. 비텐베르크에서 아그리콜라와 루터는 교회를 대표하여 예배와 설교를 했다.
1537년 루터가 슈말칼덴 동맹 회의에서 돌아왔을 때, 아그리콜라는 Johannes Bugenhagen|요하네스 부겐하겐de과 결별하며 독자적인 길을 걸었다. 루터와의 논쟁은 일시적으로 화해했으나, 다시 벌어졌다. 결국, 선거 법원이 개입하여 아그리콜라의 비텐베르크 체류에 제한을 가했다.
가족의 생명 유지를 위해, 아그리콜라는 8월 중순 몰래 비텐베르크를 떠나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2세의 보호를 받았다. 거기서 그는 새로 건립된 베를린의 구 대성당과 궁전 교회[11]에서 궁정 설교자, 총감독, 브란덴부르크 주에 설립된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시찰 방문자로 일했다.
1541년 출판물과 주장을 철회하고 루터와 개인적인 화해를 했음에도, 같은 해에 아그리콜라는 레겐스부르크 의사당 설교자 일부를 맡았다.
1548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나움부르크·차이츠 주교 율리우스 폰 프플루크, 시돈에서 주교 칭호를 가진 미하엘 헬디히와 함께 교리 관련 임시 타협안을 작성하도록 황제 카를 5세에게 임명되었다. 이 타협에서 프로테스탄트의 기본 요구가 생략되었다는 이유로 다른 프로테스탄트 개혁가들에게 비판받고 조롱받았다.
아그리콜라는 루터주의와 계속된 신학 논쟁 와중에 죽기 몇 년 전 루터파 정통주의자들의 중심 인물들의 찬성을 얻어 필립파[12]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었다.
1529년 아그리콜라는 300개의 독일 속담집을 편찬했다. 이 첫 번째 속담집에 이어 450종류를 수록한 속담집 두 번째 판이 나왔다. 1534년 두 부분을 합친 작품은 "Sybenhundert und Funfftzig Teutscher Sprichwörter, verneuwert und gebessert"(신개독언 750집)이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2. 3. 율법폐기론 논쟁
1536년 마르틴 루터는 요하네스 아그리콜라를 환영했지만, 곧 논쟁에 휩싸였다. 아그리콜라는 그리스도인이 십계명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고 주장했고, 루터는 그를 율법폐기론자로 지명했다.[2] 이 논쟁으로 두 신학자는 갈라서게 되었다.필리프 멜란히톤은 선행이 믿음의 결과이지 용서를 받는 이유가 아니라고 가르쳤지만, 아그리콜라는 멜란히톤의 율법에 대한 견해가 루터와 다르다고 생각했다. 그는 칭의 이후에는 율법이 필요 없다고 보았다.[3]
1527년 작센에서 최초의 교회 참관이 시작되었을 때, 멜란히톤은 회개가 율법에 대한 두려움에서 유발된다는 내용의 문서를 작성했다. 아그리콜라는 이에 반대했지만, 루터는 멜란히톤을 지지하며 아그리콜라에게 이의를 제기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1537년 루터가 슈말칼덴 동맹 회의에서 돌아온 후, 아그리콜라는 독자적인 길을 걷기 시작했다. 루터와의 논쟁은 일시적으로 화해했지만, 다시 논쟁이 벌어졌다. 결국, 선거 법원이 개입하여 아그리콜라의 비텐베르크 체류에 제한을 가했다.
2. 4. 베를린에서의 활동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2세 헥터는 요하네스 아그리콜라를 총애하여 궁정 설교자이자 총감독으로 임명했다.[6] 그는 1566년 사망할 때까지 두 직책을 모두 수행했으며, 브란덴부르크에서의 그의 경력은 매우 활동적이고 영향력이 컸다.1548년, 나움부르크-차이츠 주교 율리우스 폰 플루크, 시돈 명목 주교 미하엘 헬딩과 함께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약을 준비했는데, 이는 개신교가 모든 가톨릭 권위를 받아들이도록 제안된 합의였다. 개신교는 양종 성찬과 결혼한 성직자에 대한 개신교적 가르침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음을 거부하는 것을 포함하여 가톨릭 교리와 관행을 받아들여야 했다.[6] 그 이후로 그는 개신교 신학자들 사이에서 이단아가 되었다. 가장 급진적인 종교 개혁가 중 한 명이 가톨릭에 굴복한 것으로 여겨지며 생을 마감했다는 것은 아이러니였다.
그는 아디아포라 논쟁을 진정시키려 했지만 실패했다.
1566년 9월 22일 베를린에서 흑사병 유행으로 사망했다.[11]
2. 5. 말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2세 헥터는 아그리콜라를 총애하여 궁정 설교자이자 총감독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1566년 사망할 때까지 두 직책을 모두 수행했으며, 브란덴부르크에서의 그의 경력은 매우 활동적이고 영향력이 컸다.[6]그는 아디아포라 논쟁을 진정시키려 했지만 실패했다.
1566년 9월 22일, 베를린에서 흑사병 유행으로 사망했다. 루터주의와의 신학 논쟁은 계속되었지만, 말년에는 루터파 정통주의자들의 지지를 얻었다.[12]
3. 가족
1520년 아그리콜라는 비텐베르크에서 엘스 모슈하우어와 결혼했다. 슬하에 9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중 한스 알브레히트(1528년생), 필립, 요한 아그리콜라 아이슬레벤 주니어의 이름이 알려져 있다.
4. 저술 활동
아그리콜라는 다수의 신학 저서를 집필했다. 그는 독일어 속담을 주석과 함께 엮어 최초로 출판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1529년에 300개의 속담을 담은 첫 번째 권(''300개의 흔한 독일 속담, 우리가 독일인들이 사용하지만, 그 기원을 알지 못하는 것들'')을 출판했고, 1530년에 450개의 속담을 담은 두 번째 권(''독일 속담의 두 번째 부분, 그 해설과 함께: 550개의 새로운 단어들'')을 출판했다. 1534년에는 이전 두 권의 750개 속담을 담은 개정판(''750개의 독일 속담, 새롭게 개정되고 개선됨'')을 출판했고, 이후 1592년 비텐베르크에서와 같이 철자가 업데이트되어 재출판되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일반적인 독일 속담 300개, 우리 독일인들이 사용하지만, 그 기원을 알지 못하는 것들 | 1528년 | 마그데부르크 |
일반 독일 속담의 두 번째 부분, 해설과 함께 550개의 새로운 단어가 있다 | 1530년 | 뉘른베르크 |
750개의 독일 속담, 새롭게 개정되고 개선됨 | 1534년 | 하게나우 |
나는 주 예수 그리스도께 부르짖습니다 | 불명 | 개신교 찬송가 343 |
5. 유산 및 평가
로버트 브라우닝은 1836년에 그를 초기 시적 독백인 "명상하는 요하네스 아그리콜라"의 주제로 사용했다.[1]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Hymnology
John Murray
1907
[2]
서적
Lutheran Cyclopedia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Johannes Agricola and the Distinction between Law and Gospel
https://www.1517.org[...]
2024-11-15
[4]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Romans 6:14-16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024-11-15
[5]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Romans 6:15-17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024-11-15
[6]
서적
Martin Luther: Catholic dissident
[7]
문서
Agricola(アグリコラ)はラテン語で農民の意味。
[8]
간행물
Agricola, Johann: (1492/94–1566)
R. Brockhaus Verlag
[9]
문서
イスレビウスは彼の生まれ故郷。
[10]
문서
Bauer(バウアー)はドイツ語で農民の意味。ラテン語のアグリコラを置き換えたもの。
[11]
문서
原文は Dom- und Schlosskirche で [[:de:Berliner Dom (1536–1747)|Berliner Dom (1536–1747)]] にリンクが張ってある。ベルリンの旧大聖堂は老朽化のため1747年に解体され、その後は建築や改築を繰り返し、1894年に土台から建て直された物が1905年に完成したが、第二次大戦の空襲で被害を受け、戦後に再建したのが現在の[[ベルリン大聖堂]]である。
[12]
문서
フィリップ・メランヒトンに同調する人々。「フィリピスト」や「メランヒトン派」という呼ばれ方もす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