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혈수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혈수속(Dracaena)은 줄기에 독특한 이차 비대 분열조직을 가진 식물로, 아스파라거스목에 속하며 용설란아과 및 크산토로에아과와 특징을 공유한다. 나무 형태 또는 뿌리줄기 형태의 두 가지 성장 유형으로 구분되며, 실내 식물로 널리 재배된다. 몇몇 종은 관엽식물로 인기가 높으며, 애완동물에게는 독성이 있을 수 있다. 용혈수속은 문화적으로도 중요하며, 특히 중화 문화권과 일본에서 행운을 상징하는 식물로 여겨진다. 이 속에는 다양한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코르딜리네속과 유사하여 혼동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혈수속 - 개운죽
    개운죽은 카메룬 등 아프리카 지역이 원산지인 초본으로, 잎은 녹색, 꽃은 흰색 또는 크림색이며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 용혈수속 - 스투키
    스투키는 여러 개의 짧은 줄기에서 잎이 뭉쳐 자라는 다육질 식물로, 짙은 녹색에 대리석 무늬를 띠며 봄이나 가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재배가 용이하다.
  • 1767년 기재된 식물 - 흰말채나무
    흰말채나무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잎, 줄기, 꽃, 열매의 특징을 가지며 조경 및 관상용으로 이용된다.
  • 1767년 기재된 식물 - 베리고추
    베리고추는 남아메리카 원산의 가지과 고추속 식물 ''C. baccatum'' 종으로, 흰색 또는 크림색 꽃과 다양한 모양의 열매를 맺으며, 특히 아마리요고추는 페루 및 볼리비아 요리에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용혈수속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비짜루목
비짜루과
아과놀리나아과
용혈수족 (Dracaeneae)
족 명명Dumort., 1829
용혈수속 (Dracaena)
속 명명L., 1767
학명Dracaena Vand. ex L.
한국어 이름드라세나
드래곤 트리
영어 이름dracaena
dragon tree
종 다양성
종 수약 200 종
종 목록 링크드라세나속 종 목록
이명
모식종
모식종용혈수 (D. draco (L.) L.)
이미지
[[이코드 데 로스 비노스]]의 [[용혈수]] (''[[Dracaena draco]]'')
용혈수 (Dracaena draco) - 이코드 데 로스 비노스
드라세나속의 일종 ''D. deremensis''
드라세나속의 일종 D. deremensis

2. 특징

''드라세나'' 속 식물은 줄기에 이차 비대 분열조직을 가지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를 드라세노이드 비대라고 부른다. 이는 쌍떡잎식물에서 발견되는 비대 분열조직과는 상당히 다른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아스파라거스목의 다른 식물군 중 용설란아과 및 크산토로에아과의 식물들과 공유한다.

''드라세나'' 속 식물은 크게 두 가지 성장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나무형 드라세나: 지상 줄기가 있으며, 꽃이 피거나 성장점이 잘린 후 마디에서 가지가 뻗어 나온다. 대표적인 예로는 ''드라세나 프라그란스'', ''드라세나 드라코'', ''드라세나 시나바리'' 등이 있다.
  • 뿌리줄기형 드라세나: 지하 뿌리줄기를 가지며, 잎이 땅 표면으로 자라 나온다. 잎의 형태는 띠 모양에서 원통형까지 다양하다. 대표적인 예로는 ''드라세나 트리파시아타'', ''드라세나 앙골렌시스'' 등이 있다.


많은 ''드라세나'' 종은 낮은 조도에서도 잘 자라고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견디는 특성 때문에 실내 식물로 인기가 많다.

원산지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이며, 매우 다양한 변종이 아프리카 전역에 분포한다. 자생하는 관목 종류만 해도 50종 이상이다. 아열대 기후 환경에서의 생명력이 매우 강하며, 19세기 카나리아 제도에서는 수령 1000년이 넘는 나무가 발견된 기록도 있다. 관엽 식물로서 인기가 높은데[4], 아름다운 잎과 더불어 줄기가 비교적 부드럽고 변형에 강해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판매하기 용이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3. 이용

몇몇 용혈수속 관목 종, 예를 들어 ''D. fragrans'', ''D. surculosa'', ''D. marginata'', 그리고 ''D. sanderiana'' 등은 관엽식물로 인기가 많다. ASPCA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 따르면 이들 중 다수는 사람에게는 해롭지 않지만,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에게는 독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D. sanderiana''의 줄기 삽수는 흔히 "행운목"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데, 이는 실제 대나무와는 겉모습만 비슷할 뿐 관련이 없다.

드라세나 관엽식물은 대체로 습한 환경과 적당한 물주기를 좋아한다. 건조한 기간을 견딜 수는 있지만, 이 경우 잎 끝이 갈색으로 변할 수 있다.[3] 식물이 자라면서 아랫부분의 잎은 자연스럽게 노랗게 변하여 떨어지고, 윗부분에서 새 잎이 자라면서 줄기가 길어진다.[3] 깍지벌레나 솜벌레와 같은 해충에 취약할 수 있다.[3]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밝은 붉은색 수지인 용혈수(Dragon's blood)는 고대에는 카나리아 드라세나(''D. draco'')와 소코트라 드라세나(''D. cinnabari'')에서 주로 채취되었다. 그러나 현대에 유통되는 용혈수는 용혈수속 식물이 아닌, 칼라무스 등나무 야자(과거 ''Daemonorops'' 속)에서 얻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 이 수지는 전통적으로 약용이나 염료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많은 아프리카 사회에서는 용혈수속 식물을 무덤, 성지, 농경지 등을 표시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용혈수속 식물은 강인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어 인테리어용으로 부담 없이 기를 수 있다. 음식점이나 사무실 등 상업 공간에서도 흔히 볼 수 있으며, 깨끗한 이미지와 비교적 쉬운 관리 덕분에 공공 시설이나 병원 등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관엽 식물로 유통되는 주요 종류로는 "콤팩타", "송 오브 자마이카", "산데리아나" 등이 있으며, 품종에 따라 모양이나 잎의 색깔 등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재배 난이도는 낮은 편이다. 화분에서 키울 경우, 흙 표면이 마르면 물을 흠뻑 주는 것이 기본이다. 다만, 추운 시기에는 물 주는 횟수와 양을 줄여야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관리만 잘 해주면 오랫동안 키울 수 있다. 수경 재배도 비교적 쉬운 편이다. 번식을 원할 경우에는 여름철에 취목(공중 휘묻이)을 하여 뿌리가 내리면 잘라서 물에 꽂거나 화분에 심는다. 햇빛을 가끔 보여주는 것이 좋지만, 기본적으로 음지에서도 잘 자라므로 실내에서 키우기에 적합하다. 물에 꽂아 키울 때는 줄기 아랫부분의 잎을 제거하고 윗부분의 잎만 남기면 흔히 "밀리언 뱀부"라고 불리는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4. 문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밝은 붉은색 수지인 용혈수는 고대에는 카나리아 드라세나(''D. draco'')와 소코트라 드라세나(''D. cinnabari'')에서 채취되었다. 그러나 현대의 용혈수는 이들과 관련이 없는 칼라무스 등나무 야자에서 채취될 가능성이 더 높다. 이 야자의 열매 비늘 사이에서 분비되는 붉은 수지는 약용 및 염료로 사용된다. 또한 많은 아프리카 사회에서는 무덤, 성지, 농경지를 표시하는 사회적 기능도 한다.

중화 문화권, 특히 대만에서는 금전을 불러오는 식물로 여겨지며, 여러 줄기를 묶어 리본과 금색 방울로 장식한 화분이 길상 장식품으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도 '만년죽(万年竹)'이라 칭하며 사랑받고 있으며, '행운을 가져다주는 식물'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식물이다.

많은 유사 품종이 있으며, 그중에는 전문가가 아니면 구별하기 어려운 종류도 존재한다. 특히 코르딜리네속(''Cordyline'')과 매우 유사하여, 원예상 '드라세나'라고 불리는 것 중에는 코르딜리네속에 속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하와이에서 행운의 상징으로 의례용 장식품 등에 예로부터 사용되는 코르딜리네 터미널리스 티(''Cordyline terminalis'')가 외관이나 길상 식물로서의 취급이 유사하여 '드라세나'로 잘못 소개되기도 한다.

최근 원예점이나 잡화점 등에서 '밀리언 뱀부'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것은 대나무아과의 식물이 아니라, 잎을 제거하고 줄기 상태로 만든 드라세나속의 산데리아나(''Dracaena sanderiana'', 일본명 은엽천년목(ギンヨウセンネンボク))이다. 물꽂이로 쉽게 뿌리를 내리기 때문에 매우 키우기 쉽고 저렴하게 재배할 수 있어 인기가 많다.

5. 주요 종

용혈수속에는 매우 다양한 종이 포함된다. 아프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지로, 아프리카 전역에 50종 이상의 관목 종류가 자생하며 아열대 기후에서 강한 생명력을 보인다. 19세기 카나리아 제도에서는 수령 1000년이 넘는 나무가 발견되기도 했다. 잎이 아름답고 줄기가 비교적 유연하여 원하는 형태로 만들기 쉬워 다양한 모습으로 가공되어 판매되므로 관엽 식물로 인기가 높다.[4]

한국에서 잘 알려지거나 원예용으로 인기 있는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


  • 개운죽 (''Dracaena braunii'' Engl.): 흔히 '럭키 뱀부'로 불리지만 대나무와는 관련이 없다.
  • 스투키 (''Dracaena stuckyi'' (God.-Leb.) Byng & Christenh.): 원통형 잎이 특징적인 다육질 식물이다.
  • 용혈수 (''Dracaena draco'' (L.) L.): 카나리아 제도가 원산지이며, 줄기에 상처를 내면 붉은 수액이 나와 '용의 피'라는 이름이 붙었다. 크게 자라는 나무이다.
  • 행운목 (''Dracaena fragrans'' (L.) Ker Gawl.): 흔히 '행복의 나무'라고 불리는 '마상게아나' 품종(''D. fragrans'' 'Massangeana')이 이 종에 속한다. 옥수수 잎과 비슷한 잎 모양 때문에 '콘 플랜트(Corn Plant)'라고도 불린다.
  • ''드라세나 리플렉사'' Lam.: '송 오브 자메이카', '송 오브 인디아' 등의 원예 품종이 있다.
  • ''드라세나 산데리아나'' Mast.: '만년죽', '밀리언 뱀부' 등의 이름으로 판매된다.
  • ''드라세나 마기나타'' (''Dracaena reflexa'' var. ''angustifolia'' Baker): ''D. reflexa''의 변종으로, 잎 가장자리에 붉은색 테두리가 있는 품종이 많아 '홍복륜천년목(Red-edged Dracaena)'으로 불리기도 한다.[5][6] '타잔', '마젠타', '키위' 등의 원예 품종이 있다.
  • ''드라세나 시나바리'' Balf.f.: 소코트라 섬 고유종으로, 용혈수와 마찬가지로 붉은 수액이 나온다.
  • ''드라세나 트리파시아타'' (Prain) Mabb.: 과거 산세비에리아(''Sansevieria'') 속으로 분류되었던 종으로, '스네이크 플랜트'로도 알려져 있다.
  • ''드라세나 수르쿨로사'' Lindl.: 잎에 금가루를 뿌린 듯한 반점이 있어 '골드 더스트 드라세나(Gold Dust Dracaena)'라고도 불린다.


5. 1. 유사 종

용혈수속(''Dracaena'')으로 잘못 분류되었던 일부 종들은 다음과 같다.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이데스'' (L.) Druce (과거 ''D. medeoloides'' L.f.로 분류)
  • ''코르딜리네 오스트랄리스'' (G.Forst.) Endl. (과거 ''D. australis'' G.Forst.로 분류)
  • ''코르딜리네 프루티코사'' (L.) A.Chev. (과거 ''D. terminalis'' Lam.로 분류)
  • ''코르딜리네 인디비사'' (G.Forst.) Steud. (과거 ''D. indivisa'' G.Forst.로 분류)
  • ''코르딜리네 오브테크타'' (Graham) Baker (과거 ''D. obtecta'' Graham로 분류)
  • ''코르딜리네 스트릭타'' (Sims) Endl. (과거 ''D. stricta'' Sims로 분류)
  • ''다이아넬라 엔시폴리아'' (L.) DC. (과거 ''D. ensifolia'' L.로 분류)
  • ''리오페 그라미니폴리아'' (L.) Baker (과거 ''D. graminifolia'' L.로 분류)
  • ''로만드라 필리포르미스'' (Thunb.) Britten (과거 ''D. filiformis'' Thunb.로 분류)


용혈수속과 유사한 품종이 많으며, 그중에는 전문가가 아니면 구별하기 어려운 종류도 있다. 특히 코르딜리네속( ''Cordyline'' ) 식물과 매우 유사하여, 원예 시장에서 '드라세나'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것 중에는 실제로는 코르딜리네속에 속하는 식물이 섞여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하와이에서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져 의례용 장식 등에 사용되는 티( ''Cordyline fruticosa'' )가 '드라세나'로 소개되기도 하는데, 이는 외관이나 길상 식물로 취급되는 점이 비슷하여 혼동된 것이다.

최근 원예점이나 잡화점 등에서 '밀리언 뱀부'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식물은 대나무아과와는 관련이 없다. 이는 용혈수속의 한 종류인 산데리아나( ''Dracaena sanderiana'', 일본명 은엽천년목)의 잎을 제거하고 줄기만 남겨 상품화한 것이다. 산데리아나는 물꽂이로 쉽게 뿌리를 내리고 잘 자라기 때문에 키우기 쉽고 가격도 저렴하여 인기가 높은 품종이다.

6. 하위 분류


  • 개운죽(''D. braunii'' Engl.)
  • 스투키(''D. stuckyi'' (God.-Leb.) Byng & Christenh.)
  • 용혈수(''D. draco'' (L.) L.)
  • * ''D. d.'' subsp. ''ajgal'' Benabid & Cuzin
  • 행운목(''D. fragrans'' (L.) Ker Gawl.)
  • ''D. acaulis'' Baker
  • ''D. acutissima'' Hua
  • ''D. adamii'' Hepper
  • ''D. aethiopica'' (Thunb.) Byng & Christenh.
  • ''D. afromontana'' Mildbr.
  • ''D. aletriformis'' (Haw.) Bos
  • ''D. americana'' Donn.Sm.
  • ''D. angolensis'' (Welw. ex Carrière) Byng & Christenh.
  • ''D. angustifolia'' (Medik.) Roxb.
  • ''D. arborea'' (Willd.) Link
  • ''D. arborescens'' (Cornu ex Gérôme & Labroy) Byng & Christenh.
  • ''D. ascendens'' (L.E.Newton) Byng & Christenh.
  • ''D. aubryana'' Brongn. ex É.Morren
  • ''D. aubrytiana'' (Carrière) Byng & Christenh.
  • ''D. aurea'' H.Mann
  • ''D. bacularis'' (Pfennig ex A.Butler & Jankalski) Byng & Christenh.
  • ''D. bagamoyensis'' (N.E.Br.) Byng & Christenh.
  • ''D. ballyi'' (L.E.Newton) Byng & Christenh.
  • ''D. bhitalae'' (Webb & Newton) Takaw.-Ny. & Mucina
  • ''D. bicolor'' Hook.
  • ''D. borneensis'' (Merr.) Jankalski
  • ''D. brachyphylla'' Kurz
  • ''D. breviflora'' Ridl.
  • ''D. bueana'' Engl.
  • ''D. bugandana'' Byng & Christenh.
  • ''D. bukedea'' Takaw.-Ny. & Mucina
  • ''D. burdettii'' (Chahin.) Byng & Christenh.
  • ''D. burmanica'' (N.E.Br.) Byng & Christenh.
  • ''D. bushii'' Damen
  • ''D. calocephala'' Bos
  • ''D. cambodiana'' Pierre ex Gagnep.
  • ''D. camerooniana'' Baker
  • ''D. canaliculata'' (Carrière) Byng & Christenh.
  • ''D. cantleyi'' Baker
  • ''D. caulescens'' (N.E.Br.) Byng & Christenh.
  • ''D. cerasifera'' Hua
  • ''D. chahinianii'' (Webb & Myklebust) Takaw.-Ny. & Mucina
  • ''D. chiniana'' I.M.Turner
  • ''D. cincta'' Baker
  • ''D. cinnabari'' Balf.f.
  • ''D. cochinchinensis'' (Lour.) S.C.Chen
  • ''D. concinna'' Kunth
  • ''D. conferta'' Ridl.
  • ''D. congoensis'' Hua
  • ''D. conspicua'' (N.E.Br.) Byng & Christenh.
  • ''D. cristula'' W.Bull
  • ''D. cubensis'' Vict.
  • ''D. curtisii'' Ridl.
  • ''D. cuspidata'' Ridl.
  • ''D. dawei'' (Stapf) Byng & Christenh.
  • ''D. dhofarica'' (T.A.McCoy & Lavranos) Takaw.-Ny. & Mucina
  • ''D. dooneri'' (N.E.Br.) Byng & Christenh.
  • ''D. downsii'' (Chahin.) Byng & Christenh.
  • ''D. dumetescens'' (L.E.Newton) Byng & Christenh.
  • ''D. ebracteata'' (Cav.) Byng & Christenh.
  • ''D. eilensis'' (Chahin.) Byng & Christenh.
  • ''D. ellenbeckiana'' Engl.
  • ''D. elliptica'' Thunb. & Dalm.
  • ''D. erythraeae'' (Mattei) Byng & Christenh.
  • ''D. fasciata'' (Cornu ex Gérôme & Labroy) Byng & Christenh.
  • ''D. fernaldii'' (H.St.John) Jankalski
  • ''D. finlaysonii'' Baker
  • ''D. floribunda'' Baker
  • ''D. fontanesiana'' Schult. & Schult.f.
  • ''D. forbesii'' (O.Deg.) Jankalski
  • ''D. forskaliana'' (Schult. & Schult.f.) Byng & Christenh.
  • ''D. francisii'' (Chahin.) Byng & Christenh.
  • ''D. frequens'' (Chahin.) Byng & Christenh.
  • ''D. glomerata'' Baker
  • ''D. goldieana'' Bullen ex Mast. & T.Moore
  • ''D. gracillima'' (Chahin.) Byng & Christenh.
  • ''D. granulata'' Hook.f.
  • ''D. griffithii'' Regel
  • ''D. haemanthoides'' Bos ex Damen
  • ''D. halapepe'' (H.St.John) Jankalski
  • ''D. halemanuensis'' Jankalski
  • ''D. hallii'' (Chahin.) Byng & Christenh.
  • ''D. hanningtonii'' Baker
  • ''D. hargeisana'' (Chahin.) Byng & Christenh.
  • ''D. hewittii'' Ridl.
  • ''D. hokouensis'' G.Z.Ye
  • ''D. hosei'' (Ridl.) Jankalski
  • ''D. humiflora'' (D.J.Richards) Byng & Christenh.
  • ''D. hyacinthoides'' (L.) Mabb.
  • ''D. impressivenia'' Yu H.Yan & H.J.Guo
  • ''D. itumei'' (Mbugua) Byng & Christenh.
  • ''D. jayniana'' Wilkin & Suksathan
  • ''D. kaweesakii'' Wilkin & Suksathan
  • ''D. kirkii'' Baker
  • ''D. konaensis'' (H.St.John) Jankalski
  • ''D. kupensis'' Mwachala, Cheek, Eb.Fisch. & Muasya
  • ''D. laevifolia'' (R.H.Webb & L.E.Newton) Takaw.-Ny. & Mucina
  • ''D. lancea'' Thunb. & Dalm.
  • ''D. lancifolia'' (Ridl.) Jankalski
  • ''D. lavranii'' (Webb & Myklebust) Takaw.-Ny. & Mucina
  • ''D. laxissima'' Engl.
  • ''D. liberica'' (Gérôme & Labroy) Byng & Christenh.
  • ''D. longiflora'' (Sims) Byng & Christenh.
  • * ''D. l.'' var. ''fernandopoensis'' (N.E.Br.) Byng & Christenh.
  • ''D. longifolia'' Ridl.
  • ''D. longistyla'' (la Croix) Byng & Christenh.
  • ''D. lunatifolia'' (L.E.Newton) Byng & Christenh.
  • ''D. maingayi'' Hook.f.
  • ''D. malawiana'' Byng & Christenh.
  • ''D. mannii'' Baker
  • ''D. marina'' Bos ex Damen
  • ''D. masoniana'' (Chahin.) Byng & Christenh.
  • ''D. mokoko'' Mwachala & Cheek
  • ''D. multiflora'' Warb. ex P.Sarasin & Sarasin
  • ''D. newtoniana'' (T.G.Forrest) Byng & Christenh.
  • ''D. nilotica'' (Baker) Byng & Christenh.
  • ''D. nitens'' Welw. ex Baker
  • ''D. nitida'' (Chahin.) Byng & Christenh.
  • ''D. novoguineensis'' Gibbs
  • ''D. nyangensis'' Pellegr.
  • ''D. ombet'' Heuglin ex Kotschy & Peyr.
  • * ''D. o.'' subsp. ''schizantha'' (Baker) Bos
  • ''D. ovata'' Ker Gawl.
  • ''D. pachyphylla'' Kurz
  • ''D. parva'' (N.E.Br.) Byng & Christenh.
  • ''D. parviflora'' Baker
  • ''D. patens'' (N.E.Br.) Byng & Christenh.
  • ''D. pearsonii'' (N.E.Br.) Byng & Christenh.
  • ''D. pedicellata'' (la Croix) Byng & Christenh.
  • ''D. penangensis'' Ridl.
  • ''D. pendula'' Ridl.
  • ''D. perrotii'' (O.Warburg) Byng & Christenh.
  • ''D. perrottetii'' Baker
  • ''D. pethera'' Byng & Christenh.
  • * ''D. p.'' var. ''pulchra'' (N.E.Br.) Byng & Christenh.
  • ''D. petiolata'' Hook.f.
  • ''D. pfisteri'' (D.J.Richards) Byng & Christenh.
  • ''D. phanerophlebia'' Baker
  • ''D. phillipsiae'' (N.E.Br.) Byng & Christenh.
  • ''D. phrynioides'' Hook.
  • ''D. pinguicula'' (P.R.O.Bally) Byng & Christenh.
  • * ''D. p.'' subsp. ''disticha'' (Pfennig ex A.Butler) Byng & Christenh.
  • * ''D. p.'' subsp. ''nana'' (Chahin.) Byng & Christenh.
  • ''D. porteri'' Baker
  • ''D. powellii'' (N.E.Br.) Byng & Christenh.
  • ''D. powysii'' (L.E.Newton) Byng & Christenh.
  • ''D. praetermissa'' Bos
  • ''D. purpurea'' (Ridl.) Jankalski
  • ''D. raffillii'' (N.E.Br.) Byng & Christenh.
  • ''D. reflexa'' Lam.
  • * ''D. r.'' var. ''angustifolia'' Baker
  • * ''D. r.'' var. ''bakeri'' (Scott Elliot) H.Perrier
  • * ''D. r.'' var. ''brevituba'' H.Perrier
  • * ''D. r.'' var. ''condensata'' H.Perrier
  • * ''D. r.'' var. ''lanceolata'' H.Perrier
  • * ''D. r.'' var. ''linearifolia'' Ayres ex Baker
  • * ''D. r.'' var. ''nervosa'' H.Perrier
  • * ''D. r.'' var. ''occidentalis'' H.Perrier
  • * ''D. r.'' var. ''parvifolia'' Thouars ex H.Perrier
  • ''D. rockii'' (H.St.John) Jankalski
  • ''D. rosulata'' Mwachala & Eb.Fisch.
  • ''D. roxburghiana'' (Schult. & Schult.f.) Byng & Christenh.
  • ''D. sambiranensis'' (H.Perrier) Byng & Christenh.
  • ''D. sanderiana'' Mast.
  • ''D. sarawakensis'' (W.W.Sm.) Jankalski
  • ''D. scabra'' Bos
  • ''D. scimitariformis'' (D.J.Richards) Byng & Christenh.
  • ''D. senegambica'' (Baker) Byng & Christenh.
  • ''D. serpenta'' Byng & Christenh.
  • ''D. serrulata'' Baker
  • * ''D. s.'' subsp. ''dhofarica'' T.A.McCoy & Lavranos
  • * ''D. s.'' subsp. ''mccoyorum'' Lavranos
  • ''D. siamica'' Ridl.
  • ''D. singapurensis'' Ridl.
  • ''D. singularis'' (N.E.Br.) Byng & Christenh.
  • ''D. sinus-simiorum'' (Chahin.) Byng & Christenh.
  • ''D. sordida'' (N.E.Br.) Byng & Christenh.
  • ''D. spathulata'' Byng & Christenh.
  • ''D. specksii'' (Webb & Myklebust) Takaw.-Ny. & Mucina
  • ''D. spicata'' Roxb.
  • ''D. steudneri'' Engl.
  • ''D. subspicata'' (Baker) Byng & Christenh.
  • ''D. subtilis'' (N.E.Br.) Byng & Christenh.
  • ''D. suffruticosa'' (N.E.Br.) Byng & Christenh.
  • ''D. surculosa'' Lindl.
  • ''D. tamaranae'' Marrero Rodr., R.S.Almeira & M.Gonzáles-Martin
  • ''D. terniflora'' Roxb.
  • ''D. testudinea'' Byng & Christenh.
  • ''D. tholloniana'' Hua
  • ''D. thwaitesii'' Regel
  • ''D. timorensis'' Kunth
  • ''D. trachystachys'' Hook.f.
  • ''D. transvaalensis'' Baker
  • ''D. trifasciata'' (Prain) Mabb.
  • ''D. umbraculifera'' Jacq.
  • ''D. umbratica'' Ridl.
  • ''D. usambarensis'' Engl.
  • ''D. varians'' (N.E.Br.) Byng & Christenh.
  • ''D. viridiflora'' Engl. & K.Krause
  • ''D. volkensii'' (Gürke) Byng & Christenh.
  • ''D. wakaensis'' Damen & Quiroz
  • ''D. waltersiae'' Damen
  • ''D. xiphophylla'' Baker
  • ''D. yuccifolia'' Ridl.
  • ''D. zebra'' Byng & Christenh.
  • ''D. zeylanica'' (L.) Mabb.

  • ''Dracaena fragrans'': 흔히 행운목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예 품종인 '마상게아나'(''Dracaena fragrans'' 'Massangeana')는 일본에서 "행복의 나무"라고 불린다. 다만, 원래 "goodluck plant"는 ''Cordyline fruticosa'' 'Ti'를 가리킨다. '드라세나 콤팩타'로 유통되는 품종도 이 종에 속하지만, '퍼플 콤팩타'는 ''Cordyline fruticosa'' 'Purple Compacta'이다. ''Dracaena deremensis''는 이 종의 동의어(시노님)이다.
  • ''Dracaena reflexa'': 원예 품종으로 '송 오브 자메이카'('Song of Jamaica'), '송 오브 인디아'('Song of India') 등이 있다.
  • ''Dracaena draco'': 용혈수(龍血樹)라고 불리며, 크게 자라는 나무이다. 줄기에 상처를 내면 붉은색 수액이 나온다.
  • ''Dracaena sanderiana'': 개운죽으로 알려져 있으며, 은엽천년목, 만년죽, 밀리언 뱀부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된다.
  • ''Dracaena marginata'': ''Dracaena reflexa'' var. ''angustifolia''와 동의어 관계이다[5]. 잎 가장자리에 붉은 테두리가 있는 품종이 많이 유통되며, '베니후쿠린센넨보쿠'(紅覆輪千年木, Red-edged Dracaena)라고 불리기도 한다[6]. 원예 품종으로 '타잔'('Tarzan'), '마젠타'('Magenta'), '키위'('Kiwi') 등이 있다.
  • ''Dracaena concinna'': '트리컬러'('Tricolor'), '레인보우'('Tricolor Rainbow'), '화이트 홀리'('White Holli') 등의 원예 품종이 있다. ''Dracaena marginata'' var. ''concinna''는 이 종의 동의어로 여겨진다[7][8].


참조

[1] 웹사이트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s://www.merriam-[...]
[2] 웹사이트 Fancy a plant that will grow old with you? http://www.theguardi[...] 2021-05-09
[3] 서적 How Not to Kill Your Houseplant DK Penguin Random House 2017
[4] 서적 ビジュアルで学ぶ木を知る図鑑 グラフィック社 2024-05-25
[5] 웹사이트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Royal Botanic Gardens, Kew https://wcsp.science[...]
[6] 문서 센넨보쿠
[7] 문서 species:Dracaena concinna
[8] 웹사이트 Dracaena marginata var. concinna https://wcsp.science[...]
[9] 문서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1829
[10] 문서 Systema Naturae, ed. 12 1767
[11] 논문 "''Sansevieria'' (Asparagaceae, Nolinoideae) is a herbaceous clade within Dracaena: inference from non-coding plastid and nuclear DNA sequence data" https://biotaxa.org/[...]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