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암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암부는 앙골라 중앙 고원에 위치한 도시로, 1928년 포르투갈에 의해 노바 리스보아(Nova Lisboa)로 명명되었다가 1975년 독립 후 원래 이름으로 돌아갔다. 벵겔라 철도 건설과 함께 발전했으며, 앙골라 내전 기간 동안 격렬한 전투의 중심지가 되었다. 2002년 조나스 사빔비 사망 이후 평화를 되찾았으며, 현재 알바노 마샤도 공항과 벵겔라 철도를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골라의 도시 - 벵겔라
벵겔라는 앙골라 서부의 역사적인 무역 도시로, 포르투갈에 의해 건설되어 노예 무역 등으로 성장했으나 내전으로 쇠퇴, 현재는 재건 사업과 로비토 항구 재활성화, 교육 기관을 통해 무역 중심지로서의 회복을 도모하고 빈민가 문제 해결 과제를 안고 있다. - 앙골라의 도시 - 루안다
루안다는 1575년 포르투갈인에 의해 건설된 앙골라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아프리카 흑인 노예 무역의 중심지에서 석유 및 다이아몬드 산업 발전을 통해 성장했지만, 빈부격차와 기후 변화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우암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지위 | 지방 자치체 |
다른 이름 | 노바 리스보아 (새로운 리스본) |
기후 | Cwb |
행정 구역 | |
주 | 우암부주 |
지리 | |
면적 (전체) | 2711 km2 |
고도 | 1721 m |
인구 통계 | |
인구 (2014년 인구 조사) | 713,134명 |
인구 (광역시) | 1,896,147명 |
시간대 | |
시간대 | WAT |
UTC 오프셋 | +1 |
기타 정보 |
2. 역사
우암부의 역사는 중앙 앙골라 고원지대에 존재했던 오빔분두 왕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포르투갈의 식민 통치가 시작되고 벵겔라 철도 건설이 추진되면서 이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1912년 포르투갈에 의해 공식적으로 도시가 설립되었다.
1928년, 당시 앙골라를 식민 지배하던 포르투갈은 이곳을 장차 식민지의 수도로 삼으려는 의도로 도시 이름을 포르투갈어로 "새로운 리스본"을 의미하는 '''Nova Lisboa|노바 리스보아pt'''로 개명했다. 이 이름은 1975년 앙골라가 독립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독립 이후 도시는 원래 이름인 우암부로 되돌아갔으나, 곧이어 발발한 앙골라 내전의 중심지가 되어 큰 피해를 입었다. 2002년 내전 종식 이후 평화가 정착되면서 재건과 발전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우암부라는 이름은 중앙 앙골라 고원지대에 존재했던 14개의 오래된 오빔분두 왕국 중 하나인 '왐부(Wambu)'에서 유래했다. 본래 동아프리카에서 이주해 온 민족 집단인 오빔분두족은 15세기에 바이룬두 지역에 중앙 왕국을 세웠다. 왐부는 이 바이룬두 왕국에 속한 여러 소왕국 중 하나였으며, 바이룬두 왕의 통치 아래 있었지만 상당한 수준의 자치권을 누렸다.[3]18세기와 19세기의 기록에서 바이룬두는 비예(비에)와 연결된 무역로와 관련하여 언급되기도 했으나, 왐부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포르투갈이 벵겔라 철도 건설을 시작하면서부터였다. 당시 바이룬두와 왐부의 왕들, 특히 에쿠이쿠이 2세와 카티아발라 1세는 철도 노동자와 정착민을 공격하며 건설에 반대했다. 그러나 이러한 저항은 결국 포르투갈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고, 1912년 8월 8일 당시 앙골라 총독이었던 노턴 드 마토스에 의해 우암부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3]

우암부의 탄생과 포르투갈 행정 하에서의 경제적 성장은 1902년 해안 도시 로비투에서 시작된 벵겔라 철도(Caminho de Ferro de Benguela) 건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철도는 영국 사업가 로버트 윌리엄스 경이 벨기에령 콩고의 카탕가주에 있는 풍부한 구리 광산을 가장 효율적으로 해안까지 연결하여 광물을 수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상되었다. 로비투 만은 아프리카 대륙 전체에서도 손꼽히는 천혜의 항구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철도 건설 초기에는 험준한 지형, 말라리아의 확산, 그리고 원주민들의 저항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우암부는 여러 이유로 전략적 요충지로 여겨졌다. 해발 1700m 고지에 위치하여 기후가 온화하고 주변에 수자원이 풍부하여 철도 허브를 건설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였다. 우암부에 철도 중심지가 마련되자 건설 작업은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어 1929년에는 벨기에령 콩고 국경까지 연결되었다. 이 시기에 우암부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철도 작업장 중 하나로 부상했다.
1920년대에 이르러 우암부는 이미 포르투갈령 앙골라의 주요 경제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4] 주요 식품 가공 공장들이 들어섰고, 지역의 풍부한 농업 자원을 수출하는 거점 역할을 했다. 또한 농업 연구소(현재 농업 과학 대학의 일부)를 비롯한 여러 교육 시설이 위치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1928년, 우암부는 '노바 리스보아(Nova Lisboa|노바 리스보아pt)', 즉 '새로운 리스본'이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이는 당시 포르투갈 식민 행정부가 이곳을 장차 식민지의 수도로 삼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 이름은 1975년 앙골라가 독립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2. 2. 포르투갈 식민 통치
오빔분두 왕국 중 하나였던 Wambu 지역은 포르투갈의 벵겔라 철도 건설이 시작되면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 철도는 1902년 해안 도시 로비투에서 시작되었으며, 영국 사업가 로버트 윌리엄스 경이 벨기에령 콩고 카탕가주의 구리 광산을 해안과 연결하기 위해 추진했다. 로비투 만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좋은 자연 항구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철도 건설 초기에는 험준한 지형, 말라리아 확산,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저항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바이룬두와 Wambu의 왕들은 노동자와 정착민을 공격하며 건설에 반대했으나, 결국 포르투갈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후 우암부는 1912년 8월 8일, 당시 앙골라 총독이었던 조제 멘데스 노턴 드 마토스에 의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3]
우암부는 해발 1700m의 고지대에 위치하여 기후가 온화하고 수자원이 풍부하여 철도 허브로서 전략적인 이점을 가졌다. 이러한 조건 덕분에 철도 건설은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어 1929년 벨기에령 콩고 국경까지 연결되었고, 우암부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철도 작업장 중 하나가 되었다.
1920년대에 이르러 우암부는 포르투갈령 앙골라의 주요 경제 중심지 중 하나로 성장했다.[4] 중요한 식품 가공 공장이 들어섰고, 지역의 풍부한 농산물을 수출하는 주요 거점 역할을 했다. 또한 농업 연구소(현재 농업 과학 대학의 일부)를 비롯한 여러 교육 시설이 설립되어 교육 중심지로서의 면모도 갖추었다.
1928년, 포르투갈 식민 행정부는 우암부를 '새로운 리스본'이라는 뜻의 '''노바 리스보아'''(Nova Lisboa)로 개명했다. 이는 향후 이곳을 식민지의 수도로 삼으려는 의도를 내포한 것으로 해석된다.
1966년에는 앙골라 일반 대학교 연구(1968년부터 앙골라 대학교)의 수의학, 농학, 임학 과정이 노바 리스보아에 개설되었다.
1960년대 후반에는 국제적인 스포츠카 경주인 '노바 리스보아 6시간 경주'가 개최되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도 했다.[5][6] 1975년 앙골라가 독립하기 전까지 노바 리스보아시는 지속적인 확장과 경제 성장을 이루며 포르투갈 앙골라 해외 영토 내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7][8]
2. 3. 앙골라 독립과 내전

1975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하면서 도시는 식민지 시대 이름인 노바 리스보아 대신 원래 이름인 우암부로 되돌아갔다. 그러나 독립 직후 발발하여 2002년까지 이어진 앙골라 내전은 앙골라 전체와 우암부의 발전을 가로막았고, 도시 기반 시설의 상당 부분을 파괴했다.[9]
우암부는 독립부터 반군 UNITA 지도자 조나스 사빔비가 2002년 사망할 때까지 지속된 MPLA 정부와 UNITA 간의 치열한 내전의 중심지가 되었다. 특히 '55일 전쟁'과 같은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으며, 도시는 포위되고 광범위하게 파괴되었고, 많은 시민들이 학살당하거나 도시를 떠나야 했다.
1975년 독립과 동시에 사빔비는 우암부를 MPLA 정부에 대항하는 UNITA의 수도로 선포했다. 그러나 MPLA는 쿠바 군대의 지원을 받아 1976년 2월 8일 도시를 탈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변 농촌 지역 대부분은 여전히 UNITA의 통제하에 있었다.[10] 1976년 중반까지 쿠바 원정군은 우암부 주 내 주요 거점에 주둔하며 MPLA 정부를 지원했지만, UNITA는 그 외 거의 모든 영토를 장악하고 있었다.

내전이 격화되면서 많은 피난민들이 안전과 인도적 지원을 찾아 도시로 몰려들었다. 1979년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를 시작으로 인도주의 기구들이 활동을 시작했다. 1984년에는 분쟁이 더욱 격화되어 피난민 수가 급증했고, 중앙 고원의 주요 도시들을 중심으로 대규모 구호 작전이 펼쳐졌다. 당시 대부분의 도로는 UNITA가 통제하고 있었고 지뢰가 많이 매설되어 접근이 어려웠다.
1991년 5월, MPLA와 UNITA 사이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국제 연합(UN) 기구와 비정부 기구(NGO)들이 활동을 재개했다. 상황은 점차 개선되어 1992년 9월 총선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UNITA는 선거 결과에 불복했고, 자신들의 정치적 근거지로 여기던 우암부에 지도부와 군대를 집결시키며 긴장이 고조되었다.
결국 1992년 말 모든 외국 구호 기관이 철수했고, UNITA는 1993년 초 끔찍한 시가전을 벌여 도시를 완전히 장악했다. '55일 전쟁'[11]이라 불리는 이 전투는 55일간 지속되었으며, MPLA 정부군은 철수하고 UNITA가 도시를 완전히 통제하게 되었다. 중앙 고원의 다른 주요 도시들도 비슷한 시기에 UNITA에 점령되었다.

1994년 8월 다시 무력 충돌이 발생했고, 정부군은 대규모 공세를 통해 같은 해 11월 9일 우암부를 탈환했다. 이후 다른 지방 수도들도 속속 되찾았다. UNITA 본부는 쿠안도 쿠방고 주의 잠바로 이전했다. 전쟁은 1994년 11월 20일 루사카 의정서 서명으로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이후 UNITA는 본부를 다시 우암부 주 북부의 바이룬두로 이전했는데, 이는 평화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1995년에는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어느 정도 재개되었고, 국제 연합 평화 유지군(UNAVEM III)이 루사카 의정서에 따라 우암부에 배치되었다. 1996년과 1997년에는 민간인의 생활 여건이 다소 개선되었지만, 귀환과 재건은 더디었고 상업 활동도 예전 같지 않았다.
UN 안전 보장 이사회가 루사카 의정서 이행 지연과 비무장화를 거부하는 UNITA에 대해 제재를 가하자(1997년 10월), 우암부의 불안은 다시 커졌다. 특히 1998년 하반기에 상황이 악화되었고, 12월 초 정부는 UNITA가 점령한 마지막 요새들을 탈환하기 위한 공세를 시작하면서 전쟁이 다시 발발했다.
전쟁 재발로 농촌 지역 주민들이 다시 우암부, 쿠이토, 카알라 등지로 대거 피난했으며, 이들 도시에는 대규모 국내 실향민 수용소가 설치되었다. 안보 상황은 극도로 불안정해졌고, UNITA는 점령 지역에서 우암부 등 주요 도시에 포격을 가했다. 이 과정에서 국제 연합 평화 유지 임무단(UNAVEM III) 소속 록히드 C-130 허큘리스 수송기 두 대가 빌라 노바 상공에서 격추되는 비극도 발생했다(1998년 12월 26일, 1999년 1월 2일).
정부군은 1999년 10월 바이룬두를 탈환하고, 같은 해 12월까지 론두임발리, 빌라 노바 등 주요 도시를 포함한 모든 지방 수도를 장악했다. 이후 전쟁은 정규전에서 UNITA가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벌이는 게릴라전 양상으로 바뀌었으며, 이들은 정부군 시설뿐 아니라 민간인 공동체까지 무차별적으로 공격했다. 민간인들의 우암부와 카알라로의 피난은 계속되었다.
2. 4. 21세기
2000년대 초, 카알라 마을에는 25,000명 이상의 피난민이 있었고, 우암보 시에는 40,000명 이상이 집중되었다. 국제 사회의 제재가 UNITA 주변으로 강화되면서 우암보에서의 군사적 행동은 더욱 빈번해지고 파괴적으로 변했으며, 2000년 말에는 폭력의 정점에 달했다.2001년 10월, 정부는 북부와 남부 지역에서 UNITA에 대한 새로운 공세를 시작했다. 이때 정부는 군사 작전과 함께 '청소 작전'으로 알려진 작전을 병행했는데, 이는 농촌 지역 주민들을 특정 집중 지점으로 강제로 이주시키는 것이었다. 이 전략의 목표는 게릴라가 농촌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잠재적 지원을 차단하고, 그들의 활동 기반을 없애는 것이었다.
단기적으로 이러한 작전은 우암보 시와 인근 안전 지역의 자원에 큰 부담을 주었으며, 분쟁 지역에 갇히거나 안전 지대에 도달하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기아로 사망하는 비극을 낳았다. 이 시기는 우암보 지역 농촌 민간인들이 전쟁 기간 동안 겪었던 고난이 가장 극심했던 때로 평가된다.

2002년 2월, UNITA의 지도자 조나스 사빔비가 사망하면서 상황은 극적으로 변화했다. 곧이어 새로운 휴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마침내 지역에 평화가 찾아왔다.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는 평화 프로세스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우암보와 앙골라 전체에 재건과 발전을 위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평화의 도래는 길었던 내전의 상처를 딛고 재활성화의 길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3. 지리
우암부(pt)는 앙골라 중앙 고원에 위치하며, 쿠네네강의 발원지 근처에 있다.[12] 우암부의 고도는 1721m로, 높은 고원에 자리 잡고 있다.
3. 1. 기후
우암부는 10월부터 4월까지 습한 여름과 5월부터 9월까지 건조한 겨울이 나타나는 아열대 고산 기후(쾨펜: Cwb)이다. 열대 지방에 위치하지만 높은 고도 덕분에 일 년 내내 봄처럼 온화한 기온을 유지한다. 이는 아열대 고산 기후 도시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월평균 기온은 9월이 21°C로 가장 높고, 6월이 16.2°C로 가장 낮다. 연간 강수량은 약 1400mm로 풍부하지만, 5월부터 9월까지 이어지는 건기에는 강수량이 매우 적으며, 특히 6월과 7월에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다. 높은 고도 때문에 기온은 약 2000km 남동쪽에 있는 프리토리아와 비슷한 수준이다. 연간 총 일조 시간은 2273시간이며, 여름보다 겨울(특히 6월과 7월)에 일조량이 더 많다.우암부의 기후 (1941년~1970년, 출처: 독일 기상청[17])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합계 |
---|---|---|---|---|---|---|---|---|---|---|---|---|---|
역대 최고 기온 (°C) | 31.2 | 31.1 | 29.8 | 29.5 | 29.0 | 28.4 | 28.5 | 30.9 | 32.0 | 32.0 | 30.7 | 30.4 | 32.0 |
평균 최고 기온 (°C) | 24.9°C | 25.2°C | 25°C | 25.5°C | 25.4°C | 24.6°C | 25°C | 27.2°C | 28.7°C | 27.3°C | 25.2°C | 24.9°C | 25.7°C |
일평균 기온 (°C) | 19.8°C | 19.8°C | 19.8°C | 19.6°C | 18°C | 16.2°C | 16.6°C | 18.8°C | 21°C | 20.8°C | 19.8°C | 19.8°C | 19.2°C |
평균 최저 기온 (°C) | 14.4°C | 14.2°C | 14.4°C | 13.7°C | 10.5°C | 7.8°C | 7.9°C | 10.3°C | 13°C | 14.2°C | 14.3°C | 14.3°C | 12.4°C |
역대 최저 기온 (°C) | 8.9 | 8.4 | 9.3 | 7.4 | 4.6 | 2.1 | 2.0 | 4.7 | 7.7 | 9.4 | 7.5 | 9.2 | 2.0 |
평균 강수량 (mm) | 220mm | 179mm | 239mm | 146mm | 14mm | 0mm | 0mm | 1mm | 19mm | 119mm | 227mm | 234mm | 1398mm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20 | 17 | 22 | 14 | 3 | 0 | 0 | 0 | 4 | 16 | 21 | 21 | 138 |
평균 상대 습도 (%) | 72 | 67 | 73 | 66 | 48 | 38 | 33 | 29 | 38 | 57 | 69 | 71 | 55 |
월평균 일조시간 | 142.6 | 141.3 | 142.6 | 171.0 | 241.8 | 270.0 | 269.7 | 254.2 | 201.0 | 164.3 | 135.0 | 139.5 | 2273.0 |
일일 평균 일조시간 | 4.6 | 5.0 | 4.6 | 5.7 | 7.8 | 9.0 | 8.7 | 8.2 | 6.7 | 5.3 | 4.5 | 4.5 | 6.2 |
4. 교육 및 과학
우암부에는 두 개의 공립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하나는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 대학교이고, 다른 하나는 우암보 고등 교육 과학 연구소이다. 또한 연구 및 확장을 위한 수의학 연구소와 농업 연구소의 본부가 자리 잡고 있다.[14]
5. 교통
- 알바노 마샤도 공항 (이전 명칭: 노바・리스보아 공항)
- 벵겔라 철도
6. 유명 인물
이름 | 생몰년 | 직업/설명 |
---|---|---|
루시우 라라 | 1929–2016 | 앙골라 정치인 |
가브리엘라 안투네스 | 1937–2004 | 앙골라 작가 |
조제 에두아르두 아구아루자 | 문학가 | |
페드루 만트라스 | 축구 선수 |
참조
[1]
웹사이트
Resultados Definitivos Recenseamento Geral da População e Habitação – 2014 Província do Huambo
https://www.ine.gov.[...]
2020-05-03
[2]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major cities in Angola
https://www.citypopu[...]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gola
Rowman & Littlefield
[4]
학위논문
In Town and out of Town: A Social History of Huambo (Angola), 1902–1975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University of London
[5]
Youtube
Huambo 1973
https://www.youtube.[...]
[6]
웹사이트
Nova Lisboa
http://www.silhouet.[...]
2013-04-24
[7]
웹사이트
Huambo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19-06-30
[8]
Youtube
NovaLisboaAnosOuro.wmv
https://www.youtube.[...]
[9]
Youtube
New Lisbon's Ghost
https://www.youtube.[...]
[10]
서적
Africa South of the Sahara 2004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Limited
2018-06-03
[11]
웹사이트
Stories from Huambo
http://www.radioneth[...]
Radio Netherlands Archives
[12]
웹사이트
Kunene River
http://www.eoearth.o[...]
Encyclopedia of Earth.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Washington DC.
[13]
웹사이트
Klimatafel von Huambo (Nova Lisboa), Prov. Huambo / Angol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1-25
[14]
웹사이트
Instituto de Investigação Agronómica (IIA)
https://www.ciencia.[...]
Ciência Angola
[15]
웹사이트
Resultados Definitivos Recenseamento Geral da População e Habitação – 2014 Província do Huambo
https://www.ine.gov.[...]
2020-05-03
[16]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major cities in Angola
https://www.citypopu[...]
[17]
웹인용
Klimatafel von Huambo (Nova Lisboa), Prov. Huambo / Angola
https://web.archive.[...]
Deutscher Wetterdienst
2016-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