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자핑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자핑절은 1962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페름기 후기의 지질 시대이다. 콘돈트 종 ''클라키나 포스트비테리 포스트비테리''의 출현으로 정의되며, 콘돈트 종 ''클라키나 왕기''의 출현으로 상한이 정해진다. 우자핑절 동안 대멸종이 발생했으며, 다양한 어류 화석이 발견된다. 주요 지층으로는 함바스트 지층, 멀 슬레이트 지층 등이 있다. 일본 미에현 시마시 이소베초의 구로세가와대에서 우자핑절에 해당하는 방산충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야마구치현 아키요시다이 석회암 최상부에서는 우자핑절에 대비되는 푸줄리나 화석대가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자핑절 | |
|---|---|
| 지질 시대 정보 | |
| 이름 | 우치아핑기안 |
| 로마자 표기 | Uchiapingian |
| 형식 | 공식 |
| 사용 | 국제 층서 위원회 (ICS) |
| 연대 단위 | 세 |
| 층서 단위 | 절 |
| 하위 경계 정의 | 코노돈트 Clarkina postbitteri postbitteri의 최초 출현 시점 |
| 하위 GSSP 위치 | 광시 성라이빈 시펑라이탄 단면, 중국 |
| 하위 GSSP 좌표 | 23.6953° N, 109.3211° E |
| 하위 GSSP 승인일 | 2004년 |
| 상위 경계 정의 | 코노돈트 Clarkina wangi의 최초 출현 시점, 저장 성메이산, 중국 |
| 상위 GSSP 위치 | 메이산, 저장 성, 중국 |
| 상위 GSSP 좌표 | 31.0819° N, 119.7064° E |
| 상위 GSSP 승인일 | 2005년 |
| 시간 시작 | 259.51 |
| 시간 시작 불확실성 | 0.21 |
| 시간 종료 | 254.14 |
| 시간 종료 불확실성 | 0.07 |
| 지층 및 암석 정보 | |
![]() | |
| 언어별 명칭 | |
| 시대 관계 | |
| 속하는 시대 | 페름기 |
| 이전 시대 | 카피탄기 |
| 다음 시대 | 창싱기 |
| 기타 | |
| 관련 정보 | 陕西汉中梁山吴家坪灰岩的再研究 (Restudies on the Wujiaping Limestone Liangshan of Hanzhong, Shaanxi) |
2. 층서학적 정의
우자핑절은 1962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당시 중국 남서부의 로핑계가 창싱절과 우자핑절로 나뉘었다. 1973년에는 우자핑절이 처음으로 연대층서적 단위(즉, 지층과 반대되는 단계이며, 지층은 암석층서적 단위이다)로 사용되었다.[6][18]
우자핑절 동안 대멸종의 물결이 일어났으며, 생물군이 회복되고 있을 때 또 다른 대규모 멸종 물결인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이 생물을 황폐화시켰다.[7][20]
우자핑절의 기저는 콘돈트 종 ''클라키나 포스트비테리 포스트비테리''(Clarkina postbitteri postbitteri)가 처음 나타나는 층서 기록 지점으로 정의된다. 이 경계에 대한 세계적인 기준 단면(GSSP)은 중국 광시의 라빈 근처에 위치해 있다.[1][19]
우자핑절의 상한(창싱절의 기저)은 콘돈트 종 ''클라키나 왕기''(Clarkina wangi)가 처음 나타나는 지점이다.
우자핑절에는 두 개의 암모노이드 생물대가 포함되어 있다: 속 ''아락소케라스''(Araxoceras)와 속 ''로아도케라스''(Roadoceras) 및 ''도울린고케라스''(Doulingoceras)이다.
3. 생물 다양성
상대적으로 다양한 어류 화석군이 동시대의 쿠퍼쉬퍼(베라 지층, 독일), 마를 슬레이트 지층(영국), 라브네펠트 지층(그린란드)에서 발견되었으며, 여기에는 아센트로포루스(Acentrophorus), 아크로폴리스(Acropholis), 보레올레피스(Boreolepis), 실러캔스(Coelacanthus), 도리프테루스(Dorypterus), 야나사(Janassa), 메나스피스(Menaspis), 고생어(Palaeoniscum), 플라티소무스(Platysomus), 피고프테루스(Pygopterus) 그리고 보드니카(Wodnika) 속이 포함된다.[8][9] 이란의 함바스트 지층에서는 우자핑절에서 창싱절에 이르는 지질 연대의 연골어류 화석군이 발견되었다. 우자핑절 지층에서는 유게노돈트과에 속하는 ''보브도두스(Bobbodus)''의 이빨이 산출되었다.[10]
4. 주요 지층
일본 미에현시마시이소베초의 구로세가와대에서는 후기 페름기의 방산충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코노돈트 화석대 ''Clarkina subcaritana''대에 상당하며 우자핑절에서 전기 창싱절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후기 페름계 정연층이 시코쿠를 거쳐 시마 반도까지 분포함을 알 수 있다. 야마구치현 서부 아키요시 석회암 최상부에서는 우자핑절에 대비되는 푸줄리나 화석대가 보고되었으나, 중기 페름기 최후기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5. 한국의 우자핑절
일본에서는 미에현 시마시 이소베초의 구로세가와대에서 전기 백악기 마쓰오층군으로 생각되었던 지층에서 후기 페름기의 방산충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방산충 화석은 코노돈트 화석대 ''Clarkina subcaritana''대에 해당하며, 우자핑절 - 전기 창싱절에 대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발견으로 후기 페름계 정연층이 시코쿠를 거쳐 시마 반도까지 분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21]
야마구치현 서부 아키요시 석회암 최상부에서는 우자핑절에 대비되는 푸줄리나 화석대가 보고되었지만, 이는 속 구성에서 중기 페름기 최후기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22]
참조
[1]
논문
The Global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GSSP) for the boundary between the Capitanian and Wuchiapingian Stage (Permian)
https://stratigraphy[...]
2006-12
[2]
논문
The Global Boundary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GSSP) for the base of Changhsingian Stage (Upper Permian)
2006-09
[3]
웹사이트
陕西汉中梁山吴家坪灰岩的再研究 (Restudies on the Wujiaping Limestone Liangshan of Hanzhong, Shaanxi)
http://www.nigpas.ac[...]
2012-11-29
[4]
서적
A Geologic Time Scale 2004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Wuchiapingian
http://stratigraphy.[...]
GeoWhen Databas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ICS)
2010-03-04
[6]
서적
The Permian and Triassic Systems and their mutual boundary
[7]
논문
Recovery from the most profound mass extinction of all time
[8]
논문
Die Richelsdorfer Kupferschiefer und seine Fossilien, III
1977
[9]
논문
Permian-Triassic Osteichthyes (bony fishes): diversity dynamics and body size evolution
2016-02
[10]
논문
A first Late Permian fish fauna from Baghuk Mountain (Neo-Tethyan shelf, central Iran)
[11]
문서
基底年代の数値では、この表と本文中の記述では、異なる出典によるため違う場合もある。
[12]
문서
百万年前
[13]
문서
「始生代」の新名称、日本地質学会が2018年7月に改訂
[14]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国際年代層序表)
http://www.geosociet[...]
日本地質学会
2020-04-09
[15]
웹사이트
地質調査総合センター研究資料集 No.486 地質図─地質用語(TS図案:2008)
https://www.gsj.jp/d[...]
地質調査総合センター
2020-04-09
[16]
웹사이트
陕西汉中梁山吴家坪灰岩的再研究 (Restudies on the Wujiaping Limestone Liangshan of Hanzhong, Shaanxi)
http://www.nigpas.ac[...]
2012-11-29
[17]
웹사이트
Wuchiapingian
http://stratigraphy.[...]
GeoWhen Database, 国際層序委員会
2010-03-04
[18]
서적
Permian-Triassic relationships and faunal changes in the eastern Tethys
[19]
논문
The Global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GSSP) for the boundary between the Capitanian and Wuchiapingian Stage (Permian)
[20]
논문
Recovery from the most profound mass extinction of all time
http://journals.roya[...]
[21]
논문
三重県志摩半島の黒瀬川帯から見出された後期ペルム紀整然層と広域対比
https://doi.org/10.5[...]
日本地質学会
2016-05-15
[22]
논문
石炭-ペルム系秋吉石灰岩の堆積作用とカルスト化作用
https://doi.org/10.5[...]
日本地質学会
2019-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