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운동경기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동경기서는 1617년과 1633년, 제임스 1세와 찰스 1세 시대에 각각 발표된 선언으로, 기독교 안식일에 허용되는 스포츠와 오락 활동을 규정했다. 이 선언은 랭커셔 지역의 청교도와 가톨릭 신자 간 분쟁을 해결하고, 안식일주의에 대한 반발로 발표되었다. 궁술, 춤, 메이 게임 등을 허용하고, 곰 미끼, 황소 미끼, 볼링 등은 금지했다. 찰스 1세 시대에는 선언 낭독을 거부하는 성직자를 처벌했으나, 청교도 세력의 반발과 잉글랜드 내전으로 인해 폐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랭커셔주의 역사 - 랭커스터 공국
    랭커스터 공국은 1265년 헨리 3세가 에드먼드 크라우치백에게 토지를 하사한 것에서 시작된 영국의 왕실 재산으로, 현재 국왕의 사적 재산이며 랭커스터 공국 재상이 관리하고, 부동산과 자산을 통해 수입을 창출하지만 조세 회피처 투자 및 NHS와의 임대 계약 논란이 있다.
운동경기서

2. 제임스 1세 시대의 선언

제임스 1세는 1617년 랭커셔 지역의 청교도젠트리(주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 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체스터주교였던 토머스 모턴과 협의하여 '운동경기서'(Book of Sports)로 알려진 선언을 처음 발표했다.[1] 이 선언은 처음에는 랭커셔에만 적용되었으나, 1618년 잉글랜드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1618년의 선언은 기존 내용에 전국 확대 결정을 알리는 서문을 추가한 형태였다. 제임스 1세는 전국의 성직자들에게 이 선언을 설교단에서 읽도록 지시했으나, 강한 반대에 부딪혀 명령을 철회하기도 했다.[1]

선언문은 안식일에 허용되는 오락과 금지되는 오락을 명시했다. 궁술, 춤, 도약, 뜀틀 등 해롭지 않은 오락과 메이 게임, 휘트선 에일, 모리스 댄스, 메이폴 세우기 등은 허용되었다. 반면, 곰 미끼, 황소 미끼, 막간극, 볼링 등은 금지되었다.[1]

이 선언은 기독교의 안식일 준수를 엄격하게 요구하는 청교도들을 비판하는 동시에, 예배에 참석한 사람만이 오락에 참여할 수 있다고 규정하여 예배에 불참하는 가톨릭 신자 등을 견제하려는 이중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1]

2. 1. 랭커셔 분쟁과 초기 선언

이 선언은 원래 체스터주교인 토머스 모턴과 협의하여 발표되었으며, 랭커셔 지역에서 청교도젠트리 (그 중 다수는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였다)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졌다.[1] 처음에는 랭커셔에만 적용되었으나, 1618년 제임스 1세는 이 선언을 잉글랜드 전국으로 확대했다. 1618년의 선언은 1617년 버전과 주요 내용이 거의 같았지만, 왕이 전국적으로 적용하기로 결정했다는 설명이 추가되었다. 제임스 1세는 전국의 성직자들에게 선언문을 설교단에서 읽도록 명령했으나, 강한 반대에 부딪혀 결국 명령을 철회했다.[1]

선언문은 궁술, 춤, "도약, 뜀틀 또는 기타 해롭지 않은 오락"을 허용된 스포츠로 명시했다. 또한 "메이 게임", 휘트선 에일, 모리스 댄스, 그리고 메이폴 세우기도 허용 목록에 포함되었다. 여성들이 옛 관습에 따라 교회를 장식하기 위해 갈대 다발을 교회로 가져오는 것도 허용되었다.

반면, 곰과 황소 미끼, "막간극", 그리고 볼링은 금지된 활동이었다.[1]

이 선언은 한편으로는 청교도기독교 안식일(안식일주의)의 엄격한 준수를 주장하는 이들을 비판하는 성격을 띠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교회 예배에 먼저 참석한 사람만이 오락에 참여할 자격이 있다고 명시하며, 예배에 참석하지 않는 가톨릭 신자나 다른 사람들을 겨냥하기도 했다.

2. 2. 전국 확대 (1618년)

1618년에 제임스 1세는 이 선언을 전국적으로 확대했다. 1618년 선언은 1617년 버전과 거의 동일한 주요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왕이 선언을 잉글랜드 전체에 적용하기로 결정했다는 내용을 설명하는 단락이 처음에 추가되었다. 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 전체의 성직자들에게 선언문을 설교단에서 읽도록 명령했지만,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여 명령을 철회했다.[1]

2. 3. 허용 및 금지 활동

선언문은 궁술, 춤, "도약, 뜀틀 또는 기타 해롭지 않은 오락"을 허용된 스포츠로 열거했다. 또한 "메이 게임, 휘트선 에일 및 모리스 댄스, 그리고 메이폴 세우기"도 허용되는 활동에 포함되었다. 이와 함께 "여성은 옛 관습에 따라 교회를 장식하기 위해 갈대다발을 교회로 가져갈 수 있다"는 내용도 허용되었다.

금지된 활동으로는 곰 미끼와 황소 미끼, "막간극" 및 볼링이 있었다.[1]

2. 4. 청교도와 가톨릭에 대한 입장

선언문은 청교도와 기타 "엄격한 사람들"을 꾸짖었으며, 이는 기독교의 안식일(안식일주의)에 대한 엄격한 금욕을 요구하는 청교도들의 목소리가 커지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1] 다른 한편으로는, 선언문은 교회 예배에 참석하지 않은 가톨릭 신자와 다른 사람들을 비난하며, 먼저 예배에 참석한 사람들만이 그 이후에 오락에 참여할 자격이 있다고 명시했다.[1]

3. 찰스 1세 시대의 재발표

1633년 10월 18일, 찰스 1세는 아버지 제임스 1세의 '운동경기서'를 "국왕 폐하의 백성들에게 사용될 합법적인 스포츠에 관한 선언"이라는 제목으로 재발표했다.[2] 이 선언은 기존 내용을 바탕으로 제례맥주 축제(시골 축제[3])를 허용된 오락 목록에 추가하는 등 일부 내용이 변경되었으며, 찰스 1세는 모든 목사에게 이를 교회에서 낭독하도록 강제했다.

이러한 강압적인 조치는 청교도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의회 내에서 청교도 세력이 성장하면서 '운동경기서'에 대한 적대감은 더욱 커져 잉글랜드 내전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결국 선언 시행 시도는 윌리엄 로드 대주교의 몰락과 함께 중단되었으며, 1643년 의회는 이 선언서를 공개적으로 불태우도록 명령했다.

3. 1. 윌리엄 로드의 역할

윌리엄 프린은 1633년 찰스 1세가 재발행한 선언서, 즉 "국왕 폐하의 백성들에게 사용될 합법적인 스포츠에 관한 선언"이 당시 새로운 캔터베리 대주교였던 윌리엄 로드에 의해 작성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로드 자신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했으며, 그가 선언의 재발행을 지지하고 촉진했다는 증거만이 존재한다.[2] 찰스 1세는 이 선언을 읽기를 거부하는 모든 목사에게 직위를 박탈하라고 명령했다. 청교도의회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이것이 잉글랜드 내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스포츠의 서"에 대한 반감은 더욱 커졌다. 1640년 로드 대주교가 정치적으로 몰락하면서 선언을 시행하려는 시도는 중단되었고, 의회는 1643년에 로드가 처형되기 2년 전, 해당 선언서를 공개적으로 불태우도록 명령했다.

3. 2. 내용 변화

1633년 10월 18일, 찰스 1세는 "국왕 폐하의 백성들에게 사용될 합법적인 스포츠에 관한 선언"이라는 제목으로 이 선언을 다시 발표했다. 윌리엄 프린은 이 새로운 선언이 찰스 1세가 새로 임명한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로드에 의해 작성되었다고 주장했지만, 로드 자신은 이를 부인했다. 다만, 로드가 선언의 재발행을 지지하고 추진했다는 증거는 남아 있다.[2]

1633년의 선언은 1617년과 1618년에 발표된 제임스 1세의 선언과 주요 내용은 같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허용되는 오락 활동 목록에 제례맥주 축제(시골 축제[3])를 추가했다는 점이다.

찰스 1세는 모든 목사에게 이 선언을 읽도록 명령했으며, 이를 거부하는 목사는 성직을 박탈하도록 했다. 그러나 잉글랜드 내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청교도 세력이 의회 내에서 힘을 얻게 되면서, '운동경기서'에 대한 반감이 커졌다. 1640년 로드 대주교가 실각하면서 선언을 강제로 시행하려는 시도는 중단되었고, 1643년 의회는 이 책을 공개적으로 불태우도록 명령했다. 이는 로드 대주교가 처형되기 2년 전의 일이었다.

3. 3. 선언 강요와 반발

1633년 10월 18일, 찰스 1세는 "국왕 폐하의 백성들에게 사용될 합법적인 스포츠에 관한 선언"이라는 제목으로 '운동경기서'를 다시 발행했다. 윌리엄 프린은 이 새로운 선언이 당시 캔터베리 대주교였던 윌리엄 로드에 의해 작성되었다고 주장했으나, 로드 자신은 이를 부인했다. 다만 로드가 선언의 재발행을 지지하고 장려했다는 증거는 있다.[2] 1633년의 선언은 기본적으로 1617년과 1618년 제임스 1세의 선언과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제례와 맥주 축제(시골 축제[3])를 허용된 오락 목록에 추가하는 서문과 결론이 덧붙여진 차이가 있었다.

찰스 1세는 모든 성직자에게 이 선언을 교회에서 낭독하도록 명령했으며, 이를 거부하는 이들에게는 직위를 박탈하겠다고 위협했다. 이러한 강압적인 조치는 청교도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청교도들이 의회에서 점차 세력을 얻고 잉글랜드 내전으로 치닫는 과정에서 '운동경기서'에 대한 적대감은 더욱 커져갔으며, 선언을 강제로 시행하려는 시도는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3. 3. 1. 의회의 조치 (1643년)

찰스 1세가 1633년 '운동경기서'를 재발행하고 이를 교회에서 낭독하도록 강제하자, 청교도를 중심으로 반발이 커졌다. 특히 의회 내에서 청교도 세력이 점차 강화되면서 '운동경기서'에 대한 적대감은 더욱 커져갔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640년, 선언 재발행을 지지했던[2]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로드가 몰락하면서 선언 시행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마침내 잉글랜드 내전 중이던 1643년, 의회는 '운동경기서'를 공개적으로 불태우도록 명령했다. 이는 로드 대주교가 처형되기 2년 전의 일이었다.

4. 추가 자료


  • 크레이기, 제임스, 편집. ''제임스 6세와 제임스 1세의 소설 작품''. 스코틀랜드 텍스트 협회, 1982: 217–241.
  • 조지, 데이비드, 편집. ''초기 영어 드라마 기록: 랭커셔''. 토론토 대학교 출판부, 1991.
  • 고베트, L. A. ''스포츠의 왕의 책: 제임스 1세와 찰스 1세의 선언의 역사, 일요일에 합법적인 스포츠의 사용에 관하여''. 런던, 1890.
  • 파커, 케네스. ''영국 안식일: 종교 개혁에서 내전까지의 교리와 훈련에 대한 연구''.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88.
  • 세멘자, 그레고리 M. 콜론.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스포츠, 정치, 문학''. 델라웨어 대학교 출판부/AUP, 2003.
  • 테이트, 제임스. "랭커셔의 스포츠 선언". ''영국 역사 검토'' 32 (1917): 561–568.

참조

[1] 서적 Sports, The Book of
[2] 간행물 Minor Prose Works of James VI and James I
[3] 웹사이트 What does ale mean? http://definitions.d[...] Dictionary.net 2012-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