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운산군 (왕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산군 이계는 밀성군의 아들로, 세조의 총애를 받아 어린 나이에 사서와 경서를 배웠다. 예종 대에 운산군에 봉해졌으며, 성종 대에 종부시 도제조를 역임했다. 연산군 시대에는 갑자사화에 연루되었으나 연산군의 옹호로 면죄되었고,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이 되었다. 1510년에 사망했으며, 시호는 공소이다.

2. 생애

1468년(예종) 운산군(雲山君)에 봉해졌으며 1480년(성종 11) 가덕대부로 승진했고, 성종 때 흥록대부로 승진한 뒤 이때부터 계속 종부시도제조직을 맡아보았다. 1495년(연산군 1) 현록대부가 되었다. 1499년(연산군 5) 흥록대부로 강등되었고 종부시제조, 영문소전사(文昭殿), 영사옹원사(司饔院)를 겸직했다.

1506년 박원종, 성희안 등의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 2등(秉忠奮義翊運靖國功臣二等)에 책록되었다. 1509년 종친부제조와 종부시제조, 사옹원제조를 겸직했다.

1510년(중종 5) 12월 17일 가벼운 병으로 사망하였다. 중종은 그의 부음을 듣고 2일간 조회를 중단하였다. 시호는 공소(恭昭)이다.

2. 1. 출생과 가계

밀성군 침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풍덕군부인 여흥민씨이다. 자는 신옹(愼翁), 시호는 공소(恭昭)이다.

처음에 운산정(雲山正)에 제수되었고 12세에 정의대부(正義大夫)를 제수받았다. 세조의 총애를 받아 세조에게 직접 사서(史書)와 경서(經書)를 배웠다. 그 뒤 계천령(溪川令)에 봉해졌다가 1461년 계천감(溪川監)이 되고, 세조는 미성년자인 그를 승헌대부(承憲大夫)로 승진시켰다. 1468년(예종 1) 10월 운산군(雲山君)에 봉해졌다.

2. 2. 세조 치세 기간

세조의 총애를 받아 직접 사서(史書)와 경서(經書)를 배웠다. 12세에 정의대부(正義大夫)에 제수되었다. 그 뒤 계천령(溪川令)에 봉해졌다가 1461년 계천감(溪川監)이 되었고, 세조는 미성년자인 운산군을 승헌대부(承憲大夫)로 승진시켰다. 1468년(세조 13) 다시 계천령에 봉해졌다.

2. 3. 성종 ~ 중종 치세 기간

1480년(성종 11) 가덕대부로 승진했고, 성종 때 흥록대부로 승진한 뒤 이때부터 계속 종부시도제조직을 맡아보았다. 1495년(연산군 1) 현록대부가 되었다. 1499년(연산군 5) 흥록대부로 강등되었고 종부시제조를 거쳐 종부시 도제조, 영문소전사(文昭殿), 영사옹원사(司饔院)를 겸직했다.

1504년(연산군 9) 누군가의 모함으로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가 거론되었으나 연산군의 옹호로 면죄되었다. 연산군 치세 후반, 연산군의 통치가 위태로워보였지만 손을 쓸 수 없어 근심하다가 술만 마셨다. 1506년(연산군 11) 박원종, 성희안 등의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그 공으로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 2등(秉忠奮義翊運靖國功臣二等)에 책록되었다. 1509년 6월 종친부제조와 종부시제조, 사옹원제조를 겸직 임명되었다.

2. 4. 갑자사화와 연루

1504년(연산군 9) 누군가의 모함으로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가 거론되었으나 연산군의 옹호로 면죄되었다. 연산군 치세 후반, 연산군의 통치가 위태로워보였지만 손을 쓸 수 없어 근심하다가 술만 마셨다.

2. 5. 사망

1510년(중종 5년) 12월 17일 가벼운 병으로 정침에서 사망하였다. 중종은 그의 부음을 듣고 2일간 조회를 중단하였다. 바로 시호를 공소(恭昭)라 하였는데, 경순사상왈공(敬順事上曰恭), 조덕유노왈소(昭德有勞曰昭)이다.

2. 6. 사후

1511년(중종 6년) 3월 10일 처음 경기도 광주군 치서면(治西面) 사락리(蛇落里) 대덕원(大德原) 자좌(子坐)에 매장했다가 뒷날 아버지 밀성군 묘 뒷편 경기도 하남시 초이동 산4-1번지 언덕으로 이장되었다. 신도비문은 남곤이 짓고, 글씨는 김희수가 썼으며 관찰사 이언호가 새겼다. 뒷날 그의 묘는 2003년 11월 21일 하남향토유적 제6호로 지정되었다.

1519년(중종 14년) 10월 조광조가 위훈삭제를 할 때 대사간 이성동(李成童)과 함께 입계해 공이 없는 자들을 지목했는데 그 중 운산군도 끼어 있었다. 그러나 기묘사화 후 복작되었다.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가마리에 아버지 밀성군을 모신 사당에 배향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아버지밀성군 이침1430년 ~ 1479년
어머니풍덕군부인 여흥 민씨1428년 ~ 1497년 12월 4일판윤 증 찬성 민승서(閔承序)의 딸
정부인신천군부인 현풍 곽씨? ~ ?년 5월 22일주부 곽득륜(郭得倫)의 딸
계부인오천군부인 연일 정씨1459년 ~ 1511년 6월 29일군수 정자숙(鄭自淑)의 딸, 정철의 증조할머니
측실이름 미상? ~ ?
장녀 (정부인 소생)전주 이씨? ~ 1509년파평 윤씨 파천군 윤탕로에게 출가
장남 (계부인 소생)철성군 이갱(鐵城君 李鏗)? ~ ?문화 류씨와 혼인, 첨정 류인유(柳仁濡)의 딸
차남 (계부인 소생)고성부정 이강(固城副正 李鋼)? ~ ?
장녀 (계부인 소생)평양 조씨? ~ ?감찰 조신충(趙信忠)에게 출가
차녀 (계부인 소생)은진 송씨? ~ ?승사랑 증 승지 송세영(宋世英)에게 출가
서자 (측실 소생)광성정 이전(匡城正 李銓)1493년 ~ 1545년강릉 김씨와 혼인, 첨정 김유악(金由岳)의 딸
서자 (측실 소생)금계수 이장(錦溪守 李鏘)? ~ ?


3. 1. 아버지와 어머니

밀성군 이침(1430 ~ 1479)과 풍덕군부인 여흥 민씨(1428 ~ 1497년 12월 4일) 사이에서 태어났다. 풍덕군부인 여흥 민씨는 판윤(判尹) 증 찬성(贈 贊成) 민승서(閔承序)의 딸이다.

운산군은 첫번째 부인으로 신천군부인 현풍 곽씨(? ~ ?년 5월 22일)를 맞이하였는데, 주부(主簿) 곽득륜(郭得倫)의 딸이었다. 신천군부인 곽씨는 딸 1명을 두었다.

이후 운산군은 오천군부인 연일정씨(1459년 ~ 1511년 6월 29일)와 재혼하였다. 오천군부인 연일 정씨는 군수(郡守) 정자숙(鄭自淑)의 딸로, 정철의 증조모가 된다. 오천군부인 연일정씨는 아들 둘과 딸 둘을 두었다.

  • 장남: 철성군 이갱(鐵城君 李鏗)
  • * 며느리: 문화 류씨 - 첨정(僉正) 류인유(柳仁濡)의 딸
  • ** 손자: 평릉수(平陵守) 이호(李濠, 1498 ~ ?)
  • ** 손녀: 남양 홍씨 감사(監司) 홍서주(洪敍疇)의 처
  • 차남: 고성부정(固城副正) 이강(李鋼)
  • 장녀: 평양 조씨 감찰(監察) 조신충(趙信忠)의 처
  • 차녀: 은진 송씨 승사랑(承仕郞) 증 승지(贈 承旨) 송세영(宋世英)의 처


운산군은 또한 이름 미상의 측실과의 사이에서 서자 둘을 두었다.

  • 서자: 광성정(匡城正) 이전(李銓, 1493 ~ 1545)
  • * 며느리: 강릉 김씨 - 첨정(僉正) 김유악(金由岳)의 딸
  • ** 손녀: 전주 이씨(1510 ~ ?) - 의령 남씨 군수(郡守) 남응로(南應老)의 처
  • ** 손자: 광릉수(廣陵守) 이학수(李鶴壽, 1512 ~ ?년 4월 8일)
  • ** 손자: 광원군(廣原君) 이구수(李耉壽, 1514 ~ 1577)
  • 서자: 금계수(錦溪守) 이장(李鏘)

3. 2. 배우자

배우자생몰년비고
신천군부인 현풍 곽씨? ~ ?년 5월 22일곽득륜(郭得倫)의 딸
오천군부인 연일 정씨1459년 ~ 1511년 6월 29일정자숙(鄭自淑)의 딸, 정철의 증조모
측실미상


3. 3. 자녀

배우자자녀비고
신천군부인 현풍 곽씨장녀사위: 파평 윤씨 파천군 윤탕로
오천군부인 연일 정씨 (1459년 ~ 1511년 6월 29일)정철의 증조부 정자숙의 딸
측실 (이름 미상)


4. 기타

밀성군은 이복동생 수춘군을 불쌍히 여겨 남몰래 제사를 지냈다 한다. 그 뒤에는 밀성군의 셋째 아들인 수안군 상이 수춘군의 제사를 봉사하다가 1691년(숙종 17) 사육신 등이 신원되면서 수춘군도 신원, 복권되었다. 수춘군의 봉사손을 정할 때 밀성군 집안에서 제사 지낸 사연을 누군가 숙종에게 아뢰어, 숙종은 밀성군 후손으로 입계함이 좋을 것 같다 하고 왕명을 내려 수안군을 수춘군의 후계로 삼게 했다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