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80년은 명나라 성화 16년, 조선 성종 11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이반 3세가 몽골 지배에서 벗어나 타타르의 멍에가 종식되었으며, 카이트베이가 알렉산드리아 등대의 잔해로 카이트베이 요새를 건설했다. 톨레도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은 로도스 공성전에 실패하고 이탈리아 오트란토에 상륙했다. 스페인 종교 재판이 시작되었고, 우그라 강 전투에서 모스크바가 금장군으로부터 독립했다. 옥스퍼드 매그달렌 칼리지 스쿨이 설립되었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조선의 기녀 어우동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80년 - 오트란토 전투
1480년부터 1481년까지 오스만 제국이 이탈리아 남부 오트란토를 점령하고 기독교 연합군이 탈환하는 과정에서, 오스만 제국은 주민들을 학살하거나 노예로 삼았으나 메흐메트 2세의 사망과 기독교 연합군의 반격으로 13개월 만에 철수했으며, 이 전투로 인구가 감소하고 순교한 시민들은 시성되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480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연도 | 1480년 |
세기 | 15세기 |
천년기 | 제2천년기 |
사건 | |
사건 | 1480년은 서기 1480년이 시작되는 해이다. |
문화 | |
출생 | 5월 12일 - 미켈란젤로, 이탈리아의 조각가, 화가, 건축가, 시인. 8월 8일 - 크리스토프 크로트, 독일의 성직자, 역사가. 11월 8일 - 미켈레 파치, 이탈리아의 군인. 프랑수아즈 드 푸아, 프랑스 귀족. 페르디난도 마기노, 이탈리아의 사제. 조반니 조르조 몬페라토 후작. 호세 데 라 크루스, 스페인 성직자, 수도자. |
사망 | 5월 20일 - 이시카와 다쓰노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안토니오 디 조반니, 이탈리아의 화가. 기욤 로빈, 프랑스 신학자, 고등 법원 판사. 마누엘 (카스티야). 조반니 로렌초 (이탈리아). 자코포 피카르디 (이탈리아). 콘스탄티누스 1세 (카헤티). 사야드, 이란 화가. 우르반 (폴란드). 니콜라우스 (올레니차). 아나스타시야 (키예프). 페테르 (아인지델른). 세바스티앙 (로렌). 장 드 라 로쉬, 프랑스 귀족. 우르수스 (나바라). 필립 드 레오르드 (프랑스). 조반니 마네토 (이탈리아). 가스파르 피에드라 히타 (스페인). 엘리사 (스페인). 프레데릭 (이탈리아). 안드레아 (이탈리아). 필리베르토, 사보이 공작 (이탈리아). 안나 (리투아니아). |
천문 | |
천문 | 1480년은 서기 1480년이 시작되는 해이다. |
2. 연호 및 기년
- 조선 성종 11년
- 명 성화 16년
- 일본 분메이文明|분메이일본어 12년
- 후 레 왕조 홍득(洪德) 11년
- 류큐 왕국 쇼신왕(尚真王) 4년
- 간지 : 경자
- 단기 4313년
- 불멸기원 : 2022년 - 2023년
- 이슬람력 : 1444년 - 1445년
- 유대력 : 5783년 - 5784년
3. 사건
- 3월 6일 – 톨레도 조약: 페르디난드와 이사벨이 스페인을 대표하여 포르투갈의 아폰수 5세의 아프리카 정복을 인정하고, 카나리아 제도를 스페인에 할양한다(알카소바스 조약 참조).[1]
- 7월 28일
- * 메흐메트 2세는 로드스를 로드스 기사단으로부터 점령하려는 시도에 실패한다.[1]
- * 오스만 제국 군대가 이탈리아 오트란토 근처에 상륙했다. 식스투스 4세가 오스만 제국 군대를 몰아내기 위한 십자군을 요청했다.[1]
- 9월 27일 – 페르디난드 2세와 이사벨 1세가 스페인 종교 재판을 시작한다(이단자와 개종하지 않은 유대인 색출).[1]
- 10월 – 우그라 강 전투: 모스크바가 금장군으로부터 독립한다. 블라디미르의 신의모후 이콘이 모스크바를 구원한 것으로 여겨진다.[1]
- 알렉산드리아 등대의 마지막 잔해는 이집트 술탄인 카이트베이가 그 자리에 카이트베이 요새를 건설하면서 사라졌다.[1]
- 옥스퍼드 매그달렌 칼리지 스쿨이 윌리엄 웨인플리트에 의해 설립되었다.[1]
- 이반 3세가 몽골 지배에서 벗어나 타타르의 멍에가 종식되었다.[1]
3. 1. 서아시아
- 7월 28일
- * 메흐메트 2세는 로드스를 로드스 기사단으로부터 점령하려는 시도에 실패했다.[1]
- * 오스만 제국 군대가 이탈리아 오트란토 근처에 상륙했다. 식스투스 4세가 오스만 제국 군대를 몰아내기 위한 십자군을 요청했다.[1]
3. 2. 유럽
- 3월 6일 – 톨레도 조약: 페르디난드와 이사벨이 스페인을 대표하여 포르투갈의 아폰수 5세의 아프리카 정복을 인정하고, 카나리아 제도를 스페인에 할양한다(알카소바스 조약 참조).[1]
- 7월 28일
- * 메흐메트 2세는 로드스를 로드스 기사단으로부터 점령하려는 시도에 실패한다.
- * 오스만 군대가 이탈리아 오트란토 근처에 상륙한다. 식스투스 4세가 오스만 군대를 몰아내기 위한 십자군을 요청한다.
- 9월 27일 – 섭정이자 공동 통치자 페르디난드 2세와 이사벨 1세가 스페인 종교 재판을 시작한다(이단자와 개종하지 않은 유대인 색출).
- 10월 – 우그라 강 전투: 모스크바가 금장군으로부터 독립한다. 블라디미르의 신의모후 이콘이 모스크바를 구원한 것으로 여겨진다.
- 이반 3세가 몽골 지배에서 벗어나 타타르의 멍에가 종식되었다.
4. 탄생
- 1월 10일 - 마르그리트 드 오스트리히, 합스부르크 가문 여성 (+ 1530년)
- 2월 12일 - 프리드리히 2세, 레그니차 공 (+ 1547년)
- 4월 10일 - 필리베르토 2세 디 사보이아, 사보이아 공작 (+ 1504년)
- 4월 18일 - 루크레치아 보르지아, 체사레 보르지아의 여동생 (+ 1519년)[2]
- 페르디난드 마젤란, 포르투갈 탐험가 (+ 1521년)
- 팔마 엘 베키오,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화파 화가 (+ 1528년)
- 게오르크 파우스트, 독일의 점성술사, 연금술사 (+ 1540년?)
- 예지 라지비우,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귀족 (+ 1541년)
- 아카마쓰 무라히데, 전국 시대의 무장 (+ 1540년)
- 다이쿠몬 쓰네나,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공경 (+ 1553년)
- 키쿠치 타케쓰네, 전국 시대의 무장, 키쿠치 씨의 제24대 당주 (+ 1537년)
- 다이린 소토,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선승, 다인 (+ 1568년)
- 엄숭, 명나라의 정치가 (+ 1567년)
4. 1. 유럽
- 1월 10일 - 마르그리트 드 오스트리히, 합스부르크 가문 여성
- 2월 12일 - 프리드리히 2세, 레그니차 공
- 4월 10일 - 필리베르토 2세 디 사보이아, 사보이아 공작
- 4월 18일 - 루크레치아 보르지아, 체사레 보르지아의 여동생
- 페르디난드 마젤란, 포르투갈 탐험가
- 팔마 엘 베키오,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화파 화가
- 게오르크 파우스트, 독일의 점성술사, 연금술사
- 예지 라지비우,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귀족
4. 2. 동아시아
5. 사망
- 4월 1일 (음력 2월 21일) - 사이토 묘춘,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승려 (* 1411년)
- 4월 6일 (음력 2월 26일) - 모가미 요시아키,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모가미 씨 제6대 당주 (* 생년 미상)
- 11월 6일 (음력 10월 5일) - 이치조 교부,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 1423년)
- 오가사와라 이에나가,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 다케다 노부타카,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가즈사 다케다 씨 제2대 당주 (* 1416년)
5. 1. 조선
5. 2. 유럽
- 1월 5일 – 리히텐베르크의 야코부스(Jakobus), 알자스 북부 리히텐베르크의 귀족 (출생: 1416년)
- 4월 14일 – 토마스 드 스펜스(Thomas de Spens), 스코틀랜드의 정치가이자 고위 성직자 (출생: 약 1415년)
- 5월 10일 – 하나우-리히텐베르크의 필리프 1세(Philipp I, Count of Hanau-Lichtenberg) (1458–1480) (출생: 1417년)
- 5월 19일 – 얀 드우고시(Jan Długosz), 폴란드 역사가 (출생: 1415년)
- 5월 25일 – 헤네베르크-슐뢰징겐의 빌헬름 3세(William III, Count of Henneberg-Schleusingen) (출생: 1434년)
- 6월 6일 – 베키에타(Vecchietta), 이탈리아 화가, 조각가, 건축가 (출생: 약 1410년)[4]
- 7월 6일 – 안토니오 스콰르찰루피(Antonio Squarcialupi), 이탈리아 작곡가 (출생: 1416년)
- 7월 10일 – 앙주 공 르네(René of Anjou), 나폴리 국왕 (출생: 1409년)[5]
- 7월 15일 – 나사우-바일부르크의 요한 3세(John III, Count of Nassau-Weilburg), 독일 귀족 (출생: 1441년)
- 7월 26일 – 팔츠의 루프레히트(Ruprecht of the Palatinate), 쾰른 대주교이자 선제후 (출생: 1427년)
- 9월 1일 – 뷔르템베르크의 울리히 5세(Ulrich V, Count of Württemberg) (출생: 1413년)
- 10월 4일 – 시엔노의 야쿠브(Jakub of Sienno), 1461년부터 1463년까지 크라쿠프의 중세 주교 (출생: 1413년)
- 11월 20일 – 스코틀랜드의 엘레오노어(Eleanor of Scotland), 스코틀랜드 공주 (출생: 1433년)
- 11월 29일 – 지머른의 프리드리히 1세(Frederick I, Count Palatine of Simmern) (출생: 1417년)
- 12월 14일 – 니콜로 페로티(Niccolò Perotti), 이탈리아 인문주의 학자 (출생: 1429년)
- 날짜 미상
- * 니콜라 젠송(Nicolas Jenson), 프랑스 판화가 (출생: 1420년)
- * 트리스탕 바스 테이셰이라(Tristão Vaz Teixeira), 포르투갈 탐험가 (출생: 약 1395년)
- * 안토니오 비바리니(Antonio Vivarini), 이탈리아 화가 (출생: 약 1440년)
- * 조아나 드 카스트레(Joana de Castre), 카탈루냐 귀족 (출생: 1430년)
5. 3. 동아시아
참조
[1]
서적
Europeans in West Africa, 1450-1560
https://books.google[...]
Hakluyt Society
[2]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Medieval Art and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OUP USA
2012
[3]
서적
A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Early Modern Englishwomen: Exemplary Lives and Memorable Acts, 1500-1650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
[4]
서적
Italian Renaissance Sculpture
https://books.google[...]
Phaidon
[5]
웹사이트
René I {{!}} duke of Anjou
https://www.britanni[...]
2019-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