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통좌표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통좌표계는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삼차원 좌표계로, z축과의 거리 ρ(반지름), 기준 평면과 ρ가 이루는 각 φ(방위각), 기준 평면에서 점까지의 거리 z(높이)로 정의된다. 극좌표계와 유사하게, 한 점을 나타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데카르트 좌표계와의 변환 및 구면 좌표계와의 변환 공식을 통해 다른 좌표계로 표현할 수 있다. 원통좌표계는 선 요소, 부피 요소, 미분 연산자를 정의하여 다양한 문제 해결에 활용되며, 특히 원통 대칭계를 갖는 라플라스 방정식의 해인 원통 조화 함수를 구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표계 - 데카르트 좌표계
    데카르트 좌표계는 르네 데카르트가 고안한 좌표계로, 다양한 차원의 공간에서 점의 위치를 나타내며, 2차원에서는 x축과 y축, 3차원에서는 직교하는 세 평면으로 확장되고, 고차원에서는 실수 튜플을 사용한다.
  • 좌표계 - 극좌표계
    극좌표계는 평면 위의 점을 극점으로부터의 거리 *r*과 극축으로부터의 각도 *θ*로 나타내는 2차원 좌표계로, 데카르트 좌표계와 달리 점을 무한히 많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삼각함수를 통해 데카르트 좌표계와 상호 변환이 가능하고, 항해, 천문학, 공학 등에서 활용되며 원운동이나 궤도 운동, 방사형 대칭 시스템 모델링에 유용하다.
원통좌표계
개요
원통 좌표계
오른손 원통 좌표계. ρ는 OL 길이, φ는 AOL 각도, z는 점 P의 높이이다.
좌표
종류좌표계
차원3차원
형태곡선 좌표
모체 공간유클리드 공간
기저 벡터
기호
용도
분야수학, 물리학, 공학
정의
정의공간의 점을 나타내는 세 개의 숫자 (ρ, φ, z)
변수'': 원점에서 xy 평면에 있는 점의 투영까지의 거리
'': x축과 원점에서 xy 평면에 있는 점의 투영까지의 선 사이의 각도
'': xy 평면에서 점의 높이
변환
직교 좌표계

구면 좌표계

2. 정의

점 P의 세 좌표 (ρ, φ, z)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ρ (반지름): z축과의 유클리드 거리
  • φ (방위각): 원점과 기준 평면 위로의 P의 정사영을 잇는 선분, 기준 방향 사이의 각
  • z (높이): 기준 평면에서 점 P까지의 부호가 있는 거리


일반적으로 기준 평면의 위에서 바라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방위각을 측정한다. 극좌표계와 마찬가지로, 원통좌표계에서는 하나의 점을 표현하는 방법이 무수히 많다. 한 점은 (ρ, φ ± n×360°, z) 또는 (−ρ, φ ± (2n + 1)×180°, z) 로 나타낼 수 있으며, (n은 임의의 정수) ρ = 0 일 때 방위각은 어떠한 값이든 상관이 없다.

각 점을 고유한 좌표로써 나타내려고 하는 경우, 반지름 ρ와 방위각 φ를 각각 음이 아닌 수 (ρ ≥ 0) 와 [−180°,+180°] 또는 [0,360°] 과 같이 360°를 회전하는 구간으로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2. 1. 좌표 정의

점 P의 세 좌표 (ρ, φ, z)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ρ (반지름): z축과의 유클리드 거리
  • φ (방위각): 원점과 기준 평면 위로의 P의 정사영을 잇는 선분, 기준 방향 사이의 각
  • z (높이): 기준 평면에서 점 P까지의 부호가 있는 거리


일반적으로 기준 평면의 위에서 바라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방위각을 측정한다. 극좌표계와 마찬가지로, 원통좌표계에서는 하나의 점을 표현하는 방법이 무수히 많다. 한 점은 (ρ, φ ± n×360°, z) 또는 (−ρ, φ ± (2n + 1)×180°, z) 로 나타낼 수 있으며, (n은 임의의 정수) ρ = 0 일 때 방위각은 어떠한 값이든 상관이 없다.

각 점을 고유한 좌표로써 나타내려고 하는 경우, 반지름 ρ와 방위각 φ를 각각 음이 아닌 수 (ρ ≥ 0) 와 [−180°,+180°] 또는 [0,360°] 과 같이 360°를 회전하는 구간으로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2. 2. 유일 좌표 표현

극좌표계와 마찬가지로, 원통좌표계에서 하나의 점을 표현하는 방법은 무수히 많다. 한 점은 (ρ, φ ± n×360°, z) 또는 (−ρ, φ ± (2n + 1)×180°, z) 로 나타낼 수 있으며, (n은 임의의 정수) ρ = 0 일 때 방위각은 어떠한 값이든 상관이 없다.

각 점을 고유한 좌표로써 나타내려고 하는 경우, 반지름 ρ와 방위각 φ를 각각 음이 아닌 수 (ρ ≥ 0) 와 [−180°,+180°] 또는 [0,360°] 과 같이 360°를 회전하는 구간으로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3. 표기법

원통좌표계의 표기법은 통일되어 있지 않다. ISO 표준 31-11은 (''ρ'', ''φ'', ''z'')를 권장하며, 여기서 ''ρ''는 반지름, ''φ''는 방위각, ''z''는 높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반지름은 ''r'' 또는 ''s''로, 방위각은 ''θ'' 또는 ''t''로, 높이는 ''h''로 표시되거나, 원통축이 수평으로 간주되는 경우 ''x'' 또는 상황에 맞는 다른 문자로 표시되기도 한다.

원통 좌표 (''ρ'', ''φ'', ''z'')의 좌표면. 빨간색 원기둥은 ''ρ'' 2인 점들을 나타내고, 파란색 평면은 ''z'' 1인 점들을 나타내며, 노란색 반평면은 ''φ'' −60°인 점들을 나타낸다. ''z''-축은 수직이며 ''x''-축은 녹색으로 강조 표시되어 있다. 세 표면은 해당 좌표를 가진 점 P에서 교차한다(검은색 구로 표시됨). P의 데카르트 좌표는 대략 (1.0, −1.732, 1.0)이다.


원통 좌표 표면. 세 개의 직교 성분인 ''ρ'' (녹색), ''φ'' (빨간색), ''z'' (파란색) 각각은 일정한 속도로 증가한다. 점은 세 개의 색상 표면의 교차점에 있다.


구체적인 상황과 많은 수학적 설명에서, 양의 각 좌표는 임의의 양의 높이를 가진 점에서 볼 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측정된다.

4. 좌표계 변환

원통 좌표계와 데카르트 좌표계 간의 변환을 위해 기준 평면을 데카르트 ''xy''-평면 (''z'' = 0 일 때) 으로 가정하고, 원통축을 데카르트 z-축으로 가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면 z-좌표는 두 시스템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원통 좌표 (''ρ'', ''φ'', ''z'') 와 데카르트 좌표 (''x'', ''y'', ''z'') 간의 대응은 극좌표계와 데카르트 좌표의 대응과 같게 된다.

원통좌표계를 데카르트 좌표계로 변환할 때는

: x = ''ρ'' cos ''φ''

: y = ''ρ'' sin ''φ''

: z = z

와 같고, 반대 방향으로는

: ''ρ'' = √(''x''2 + ''y''2)

: ''φ'' =

:{ x = 0 이고 y = 0 이면, 정의 불가

:{ x ≥ 0 이면, arcsin(''y''/''ρ'')

:{ x < 0 이고 y ≥ 0 이면, -arcsin(''y''/''ρ'') + π

:{ x < 0 이고 y < 0 이면, -arcsin(''y''/''ρ'') + π

와 같다.

arcsin 함수는 sin 함수의 역함수이며, 치역은 일반적으로 [−π/2, +π/2] (-90°, +90°) 에 속한다. 위의 공식들은 방위각 ''φ''를 [-90°, +270°] 구간으로 변환한다.

치역이 [−π/2, +π/2] (-90°, +90°)에 속하는 arctan 함수를 사용하면 ''ρ''를 먼저 계산하지 않고도 방위각 ''φ''를 계산할 수 있다.

: ''φ'' =

:{ x = 0 이고 y = 0 이면, 정의 불가

:{ x = 0 이고 y ≠ 0 이면, (π/2) * ''y''/|''y''|

:{ x > 0 이면, arctan(''y''/''x'')

:{ x < 0 이고 y ≥ 0 이면, arctan(''y''/''x'') + π

:{ x < 0 이고 y < 0 이면, arctan(''y''/''x'') - π

다른 공식들을 보려면 극좌표계 문서를 참고하여라.

많은 현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조건을 주어진 ''x''와 ''y''에 대해 분석하지 않고도 올바른 방위각 ''φ''를 (-π, π) 범위에서 계산하는 함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C 언어에서는 이 함수가 `atan2(''y'', ''x'')`로 호출되며, Common Lisp에서는 `(atan ''y'' ''x'')`로 호출된다.

4. 1. 데카르트 좌표계와의 변환

원통좌표계와 데카르트 좌표계 간의 변환은 기준 평면을 데카르트 ''xy''-평면 (''z'' = 0)으로, 원통축을 데카르트 z-축으로 가정하면 간단하다. 두 좌표계에서 z-좌표는 동일하며, 원통 좌표 (''ρ'', ''φ'', ''z'')와 데카르트 좌표 (''x'', ''y'', ''z'') 간의 변환은 극좌표계와 유사하다.

원통좌표계를 데카르트 좌표계로 변환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 x = ''ρ'' cos ''φ''

: y = ''ρ'' sin ''φ''

: z = z

반대로 데카르트 좌표계를 원통좌표계로 변환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 ''ρ'' = √(''x''2 + ''y''2)

: ''φ'' =

:{ x = 0 이고 y = 0 이면, 정의 불가

:{ x ≥ 0 이면, arcsin(''y''/''ρ'')

:{ x < 0 이면, -arcsin(''y''/''ρ'') + π

아크사인 함수는 사인 함수의 역함수로, 일반적인 치역은 [−π/2, +π/2] (-90°, +90°)이다. 위 공식은 방위각 ''φ''를 [-90°, +270°) 범위로 변환한다.

아크탄젠트 함수를 사용하면 ''ρ''를 먼저 계산하지 않고도 방위각 ''φ''를 계산할 수 있다.

: ''φ'' =

:{ x = 0 이고 y = 0 이면, 정의 불가

:{ x = 0 이고 y ≠ 0 이면, (π/2) * ''y''/|''y''|

:{ x > 0 이면, arctan(''y''/''x'')

:{ x < 0 이고 y ≥ 0 이면, arctan(''y''/''x'') + π

:{ x < 0 이고 y < 0 이면, arctan(''y''/''x'') - π

다른 변환 공식은 극좌표계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많은 현대 프로그래밍 언어는 ''x''와 ''y''가 주어졌을 때, 위에서 설명한 조건들을 분석하지 않고도 올바른 방위각 ''φ''를 (-π, π) 범위에서 계산하는 함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C 언어에서는 `atan2(''y'', ''x'')`로, Common Lisp에서는 `(atan ''y'' ''x'')`로 호출된다.

4. 2. 구면좌표계와의 변환

원통좌표계와 구면좌표계 사이의 변환은 가 고도(elevation)를 나타내는지 경사(inclination)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구면 좌표와 원통 좌표 간의 변환
변환 대상:좌표는 고도는 경사
원통 =
=
=
구면 =\sqrt{\rho^2+z^2}
=\arctan\left(\frac{z}{\rho}\right)\arctan\left(\frac{\rho}{z}\right)
=



구면 좌표계에서 원통 좌표계로의 변환 공식은 다음과 같다.

가 앙각일 때 가 경사각일 때
\begin{cases} \rho = r \cos \theta \\ \varphi = \varphi \\ z = r \sin \theta \end{cases}\begin{cases} \rho = r \sin \theta \\ \varphi = \varphi \\ z = r \cos \theta \end{cases}



원통 좌표계에서 구면 좌표계로의 변환 공식은 다음과 같다.

가 앙각일 때 가 경사각일 때
\begin{cases} r=\sqrt{\rho^2+z^2} \\ \theta=\arctan(z/\rho) \\ \varphi=\varphi \end{cases}\begin{cases} r=\sqrt{\rho^2+z^2} \\ \theta=\arctan(\rho/z) \\ \varphi=\varphi \end{cases}


5. 미분 요소

원통 좌표계를 포함하는 많은 문제에서 선 및 부피 요소를 아는 것이 유용하다. 이들은 경로와 관련된 문제를 풀고 부피를 구하는 데 적분에 사용된다.

선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boldsymbol{r} = \mathrm{d}\rho\,\boldsymbol{\hat{\rho}} + \rho\,\mathrm{d}\varphi\,\boldsymbol{\hat{\varphi}} + \mathrm{d}z\,\boldsymbol{\hat{z}}.

부피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V = \rho\,\mathrm{d}\rho\,\mathrm{d}\varphi\,\mathrm{d}z.

반지름 ρ가 일정한 표면(수직 원통)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S_\rho = \rho\,\mathrm{d}\varphi\,\mathrm{d}z.

방위각 φ가 일정한 표면(수직 반평면)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S_\varphi = \mathrm{d}\rho\,\mathrm{d}z.

높이 z가 일정한 표면(수평면)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S_z = \rho\,\mathrm{d}\rho\,\mathrm{d}\varphi.

이 시스템의 델 연산자는 기울기, 발산, 회전 및 라플라시안에 대한 다음 식을 이끌어낸다.

:\begin{align}

\nabla f &= \frac{\partial f}{\partial \rho}\boldsymbol{\hat{\rho}} + \frac{1}{\rho}\frac{\partial f}{\partial \varphi}\boldsymbol{\hat{\varphi}} + \frac{\partial f}{\partial z}\boldsymbol{\hat{z}} \\[8px]

\nabla \cdot \boldsymbol{A} &= \frac{1}{\rho}\frac{\partial}{\partial \rho}\left(\rho A_\rho\right) + \frac{1}{\rho} \frac{\partial A_\varphi}{\partial \varphi} + \frac{\partial A_z}{\partial z} \\[8px]

\nabla \times \boldsymbol{A} &= \left(\frac{1}{\rho}\frac{\partial A_z}{\partial \varphi} - \frac{\partial A_\varphi}{\partial z}\right)\boldsymbol{\hat{\rho}} +

\left(\frac{\partial A_\rho}{\partial z} - \frac{\partial A_z}{\partial \rho}\right)\boldsymbol{\hat{\varphi}} +

\frac{1}{\rho}\left(\frac{\partial}{\partial \rho}\left(\rho A_\varphi\right) - \frac{\partial A_\rho}{\partial \varphi}\right) \boldsymbol{\hat{z}} \\[8px]

\nabla^2 f &= \frac{1}{\rho} \frac{\partial}{\partial \rho} \left(\rho \frac{\partial f}{\partial \rho}\right) +

\frac{1}{\rho^2} \frac{\partial^2 f}{\partial \varphi^2} + \frac{\partial^2 f}{\partial z^2}

\end{align}

원통 좌표계에서 부피 적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중 적분을, 벡터 미적분학 공식은 원통 및 구면 좌표계의 델 연산자를 참조한다.

5. 1. 선 요소

원통 좌표계를 포함하는 많은 문제에서 선 및 부피 요소를 아는 것이 유용하다. 이들은 경로와 관련된 문제를 풀고 부피를 구하는 데 적분에 사용된다.

선 요소는 다음과 같다.

:dr = dρρ̂ + ρdφφ̂ + dzẑ/\mathrm{d}\boldsymbol{r} = \mathrm{d}\rho\,\boldsymbol{\hat{\rho}} + \rho\,\mathrm{d}\varphi\,\boldsymbol{\hat{\varphi}} + \mathrm{d}z\,\boldsymbol{\hat{z}}.영어

부피 요소는 다음과 같다.

:dV = ρdρdφdz/\mathrm{d}V = \rho\,\mathrm{d}\rho\,\mathrm{d}\varphi\,\mathrm{d}z.영어

반지름 ρ영어가 일정한 표면(수직 원통)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dSρ = ρdφdz/\mathrm{d}S_\rho = \rho\,\mathrm{d}\varphi\,\mathrm{d}z.영어

방위각 φ영어가 일정한 표면(수직 반평면)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dSφ = dρdz/\mathrm{d}S_\varphi = \mathrm{d}\rho\,\mathrm{d}z.영어

높이 z영어가 일정한 표면(수평면)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dSz = ρdρdφ/\mathrm{d}S_z = \rho\,\mathrm{d}\rho\,\mathrm{d}\varphi.영어

이 시스템의 델 연산자는 기울기, 발산, 회전 및 라플라시안에 대한 다음 식을 이끌어낸다.

:∇f = ∂f/∂ρρ̂ + 1/ρ∂f/∂φφ̂ + ∂f/∂zẑ ∇ ⋅ A = 1/ρ∂/∂ρ(ρAρ) + 1/ρ ∂Aφ/∂φ + ∂Az/∂z ∇ × A = (1/ρ∂Az/∂φ - ∂Aφ/∂z)ρ̂ + (∂Aρ/∂z - ∂Az/∂ρ)φ̂ + 1/ρ(∂/∂ρ(ρAφ) - ∂Aρ/∂φ)ẑ ∇2f = 1/ρ ∂/∂ρ(ρ∂f/∂ρ) + 1/ρ2 ∂2f/∂φ2 + ∂2f/∂z2/\begin{align}

\nabla f &= \frac{\partial f}{\partial \rho}\boldsymbol{\hat{\rho}} + \frac{1}{\rho}\frac{\partial f}{\partial \varphi}\boldsymbol{\hat{\varphi}} + \frac{\partial f}{\partial z}\boldsymbol{\hat{z}} \\[8px]

\nabla \cdot \boldsymbol{A} &= \frac{1}{\rho}\frac{\partial}{\partial \rho}\left(\rho A_\rho\right) + \frac{1}{\rho} \frac{\partial A_\varphi}{\partial \varphi} + \frac{\partial A_z}{\partial z} \\[8px]

\nabla \times \boldsymbol{A} &= \left(\frac{1}{\rho}\frac{\partial A_z}{\partial \varphi} - \frac{\partial A_\varphi}{\partial z}\right)\boldsymbol{\hat{\rho}} +

\left(\frac{\partial A_\rho}{\partial z} - \frac{\partial A_z}{\partial \rho}\right)\boldsymbol{\hat{\varphi}} +

\frac{1}{\rho}\left(\frac{\partial}{\partial \rho}\left(\rho A_\varphi\right) - \frac{\partial A_\rho}{\partial \varphi}\right) \boldsymbol{\hat{z}} \\[8px]

\nabla^2 f &= \frac{1}{\rho} \frac{\partial}{\partial \rho} \left(\rho \frac{\partial f}{\partial \rho}\right) +

\frac{1}{\rho^2} \frac{\partial^2 f}{\partial \varphi^2} + \frac{\partial^2 f}{\partial z^2}

\end{align}영어

5. 2. 부피 요소

원통좌표계에서 부피 요소는 \, {d V} = r d r d \theta dz이다. 원통 좌표계를 포함하는 많은 문제에서 선 및 부피 요소를 알면 경로와 관련된 문제를 풀고 부피를 구하는 데 적분을 사용할 수 있다.

원통 좌표계에서 선 요소는 \mathrm{d}\boldsymbol{r} = \mathrm{d}\rho\,\boldsymbol{\hat{\rho}} + \rho\,\mathrm{d}\varphi\,\boldsymbol{\hat{\varphi}} + \mathrm{d}z\,\boldsymbol{\hat{z}}.이고, 부피 요소는 \mathrm{d}V = \rho\,\mathrm{d}\rho\,\mathrm{d}\varphi\,\mathrm{d}z.이다.

반지름 {\rho}가 일정한 표면(수직 원통)에서 미분 표면 요소는 \mathrm{d}S_\rho = \rho\,\mathrm{d}\varphi\,\mathrm{d}z.이다. 방위각 {\varphi}가 일정한 표면(수직 반평면)에서 표면 요소는 \mathrm{d}S_\varphi = \mathrm{d}\rho\,\mathrm{d}z.이다. 높이 {z}가 일정한 표면(수평면)에서 표면 요소는 \mathrm{d}S_z = \rho\,\mathrm{d}\rho\,\mathrm{d}\varphi.이다.

이 시스템의 델 연산자는 기울기, 발산, 회전 및 라플라시안에 대한 다음 식을 이끌어낸다.

\begin{align}

\nabla f &= \frac{\partial f}{\partial \rho}\boldsymbol{\hat{\rho}} + \frac{1}{\rho}\frac{\partial f}{\partial \varphi}\boldsymbol{\hat{\varphi}} + \frac{\partial f}{\partial z}\boldsymbol{\hat{z}} \\[8px]

\nabla \cdot \boldsymbol{A} &= \frac{1}{\rho}\frac{\partial}{\partial \rho}\left(\rho A_\rho\right) + \frac{1}{\rho} \frac{\partial A_\varphi}{\partial \varphi} + \frac{\partial A_z}{\partial z} \\[8px]

\nabla \times \boldsymbol{A} &= \left(\frac{1}{\rho}\frac{\partial A_z}{\partial \varphi} - \frac{\partial A_\varphi}{\partial z}\right)\boldsymbol{\hat{\rho}} +

\left(\frac{\partial A_\rho}{\partial z} - \frac{\partial A_z}{\partial \rho}\right)\boldsymbol{\hat{\varphi}} +

\frac{1}{\rho}\left(\frac{\partial}{\partial \rho}\left(\rho A_\varphi\right) - \frac{\partial A_\rho}{\partial \varphi}\right) \boldsymbol{\hat{z}} \\[8px]

\nabla^2 f &= \frac{1}{\rho} \frac{\partial}{\partial \rho} \left(\rho \frac{\partial f}{\partial \rho}\right) +

\frac{1}{\rho^2} \frac{\partial^2 f}{\partial \varphi^2} + \frac{\partial^2 f}{\partial z^2}

\end{align}

원통 좌표계에서 부피 적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중 적분을, 벡터 미적분학 공식은 원통 및 구면 좌표계의 델 연산자를 참조한다.

5. 3. 면 요소

원통 좌표계에서 선 및 부피 요소를 알면 경로 및 부피 관련 문제를 적분으로 풀 수 있다. 선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boldsymbol{r} = \mathrm{d}\rho\,\boldsymbol{\hat{\rho}} + \rho\,\mathrm{d}\varphi\,\boldsymbol{\hat{\varphi}} + \mathrm{d}z\,\boldsymbol{\hat{z}}.

부피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V = \rho\,\mathrm{d}\rho\,\mathrm{d}\varphi\,\mathrm{d}z.

반지름 ρ가 일정한 표면(수직 원통)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S_\rho = \rho\,\mathrm{d}\varphi\,\mathrm{d}z.

방위각 φ가 일정한 표면(수직 반평면)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S_\varphi = \mathrm{d}\rho\,\mathrm{d}z.

높이 z가 일정한 표면(수평면)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S_z = \rho\,\mathrm{d}\rho\,\mathrm{d}\varphi.

이 시스템의 델 연산자는 기울기, 발산, 회전 및 라플라시안에 대한 다음 식을 이끌어낸다.

:\begin{align}

\nabla f &= \frac{\partial f}{\partial \rho}\boldsymbol{\hat{\rho}} + \frac{1}{\rho}\frac{\partial f}{\partial \varphi}\boldsymbol{\hat{\varphi}} + \frac{\partial f}{\partial z}\boldsymbol{\hat{z}} \\[8px]

\nabla \cdot \boldsymbol{A} &= \frac{1}{\rho}\frac{\partial}{\partial \rho}\left(\rho A_\rho\right) + \frac{1}{\rho} \frac{\partial A_\varphi}{\partial \varphi} + \frac{\partial A_z}{\partial z} \\[8px]

\nabla \times \boldsymbol{A} &= \left(\frac{1}{\rho}\frac{\partial A_z}{\partial \varphi} - \frac{\partial A_\varphi}{\partial z}\right)\boldsymbol{\hat{\rho}} +

\left(\frac{\partial A_\rho}{\partial z} - \frac{\partial A_z}{\partial \rho}\right)\boldsymbol{\hat{\varphi}} +

\frac{1}{\rho}\left(\frac{\partial}{\partial \rho}\left(\rho A_\varphi\right) - \frac{\partial A_\rho}{\partial \varphi}\right) \boldsymbol{\hat{z}} \\[8px]

\nabla^2 f &= \frac{1}{\rho} \frac{\partial}{\partial \rho} \left(\rho \frac{\partial f}{\partial \rho}\right) +

\frac{1}{\rho^2} \frac{\partial^2 f}{\partial \varphi^2} + \frac{\partial^2 f}{\partial z^2}

\end{align}

6. 미분 연산자

원통 좌표계에서 선 및 부피 요소를 알면 경로 및 부피 관련 문제를 적분으로 풀 수 있다.

선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boldsymbol{r} = \mathrm{d}\rho\,\boldsymbol{\hat{\rho}} + \rho\,\mathrm{d}\varphi\,\boldsymbol{\hat{\varphi}} + \mathrm{d}z\,\boldsymbol{\hat{z}}.

부피 요소는 다음과 같다.

:\, {d V} = r d r d \theta dz

반지름 {\rho}가 일정한 표면(수직 원통)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S_\rho = \rho\,\mathrm{d}\varphi\,\mathrm{d}z.

방위각 {\varphi}가 일정한 표면(수직 반평면)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S_\varphi = \mathrm{d}\rho\,\mathrm{d}z.

높이 {z}가 일정한 표면(수평면)에서 표면 요소는 다음과 같다.

:\mathrm{d}S_z = \rho\,\mathrm{d}\rho\,\mathrm{d}\varphi.

이 시스템의 델 연산자는 기울기, 발산, 회전 및 라플라시안에 대한 다음 식을 이끌어낸다.

\begin{align}

\nabla f &= \frac{\partial f}{\partial \rho}\boldsymbol{\hat{\rho}} + \frac{1}{\rho}\frac{\partial f}{\partial \varphi}\boldsymbol{\hat{\varphi}} + \frac{\partial f}{\partial z}\boldsymbol{\hat{z}} \\[8px]

\nabla \cdot \boldsymbol{A} &= \frac{1}{\rho}\frac{\partial}{\partial \rho}\left(\rho A_\rho\right) + \frac{1}{\rho} \frac{\partial A_\varphi}{\partial \varphi} + \frac{\partial A_z}{\partial z} \\[8px]

\nabla \times \boldsymbol{A} &= \left(\frac{1}{\rho}\frac{\partial A_z}{\partial \varphi} - \frac{\partial A_\varphi}{\partial z}\right)\boldsymbol{\hat{\rho}} +

\left(\frac{\partial A_\rho}{\partial z} - \frac{\partial A_z}{\partial \rho}\right)\boldsymbol{\hat{\varphi}} +

\frac{1}{\rho}\left(\frac{\partial}{\partial \rho}\left(\rho A_\varphi\right) - \frac{\partial A_\rho}{\partial \varphi}\right) \boldsymbol{\hat{z}} \\[8px]

\nabla^2 f &= \frac{1}{\rho} \frac{\partial}{\partial \rho} \left(\rho \frac{\partial f}{\partial \rho}\right) +

\frac{1}{\rho^2} \frac{\partial^2 f}{\partial \varphi^2} + \frac{\partial^2 f}{\partial z^2}

\end{align}

원통 좌표계에서 부피 적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중 적분을, 벡터 미적분학 공식은 원통 및 구면 좌표계의 델 연산자를 참조하라.

7. 응용

원통좌표계 대칭계를 갖는 라플라스 방정식의 해를 원통 조화 함수/cylindrical harmonics영어라고 한다.

7. 1. 원통 조화 함수

원통좌표계 대칭계를 갖는 라플라스 방정식의 해를 원통 조화 함수/cylindrical harmonics영어라고 한다.

7. 2. 운동학

원통 좌표계에서 입자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6]

: \boldsymbol{r} = \rho\,\boldsymbol{\hat \rho} + z\,\boldsymbol{\hat z}.

입자의 속도는 위치의 시간에 대한 미분으로,

: \boldsymbol{v} = \frac{\mathrm{d}\boldsymbol{r}}{\mathrm{d}t} = \dot{\rho}\,\boldsymbol{\hat \rho} + \rho\,\dot\varphi\,\hat{\boldsymbol{\varphi}} + \dot{z}\,\hat{\boldsymbol{z}},

여기서 항 \rho \dot\varphi\hat\varphi는 푸아송 공식 \frac{\mathrm d\hat\rho}{\mathrm dt} = \dot\varphi\hat z\times \hat\rho 에서 유래한다. 가속도는 다음과 같다.[6]

:

\boldsymbol{a} = \frac{\mathrm{d}\boldsymbol{v}}{\mathrm{d}t} = \left( \ddot{\rho} - \rho\,\dot\varphi^2 \right)\boldsymbol{\hat \rho} + \left( 2\dot{\rho}\,\dot\varphi + \rho\,\ddot\varphi \right) \hat{\boldsymbol\varphi } + \ddot{z}\,\hat{\boldsymbol{z}}


참조

[1] 논문 Resonant electron beam interaction with several lower hybrid waves http://pop.aip.org/r[...] 2002-01-01
[2] 논문 Solitary Vortex Pairs in Viscoelastic Couette Flow
[3] 서적 Basic Mathematics for Electronic Engineers: model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89
[4] 서적 Intermediate Fluid Mechan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89
[5] 서적 Galaxies in the Universe: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6] 서적 Classical Mechanics University Science Books 2005
[7] 논문 Resonant electron beam interaction with several lower hybrid waves http://pop.aip.org/r[...] 2013-02-09
[8] 논문 Solitary Vortex Pairs in Viscoelastic Couette Flow
[9] 서적 Basic Mathematics for Electronic Engineers: model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89
[10] 서적 Intermediate Fluid Mechan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89
[11] 서적 Galaxies in the Universe: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2] 논문 Resonant electron beam interaction with several lower hybrid waves https://pubs.aip.org[...] 2002-06-01
[13] 논문 Solitary Vortex Pairs in Viscoelastic Couette Flow https://ui.adsabs.ha[...] 1997-02-01
[14] 서적 Basic mathematics for electronic engineers: models and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Van Nostrand Reinhold 1989
[15] 서적 Intermediate fluid mechanics Hemisphere Pub. Corp 1989
[16] 서적 Galaxies in the universe: an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