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봇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키백과 봇은 위키백과에서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으로, 철자 및 문체 오류 수정, 문서 훼손 방지, 문서 생성 등 여러 활동을 수행한다. 봇은 단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고, 편집 오류를 감지하여 알림을 보내는 역할을 하며, 특정 계정이나 IP 주소의 편집 내용을 표시하기도 한다. 봇은 콘텐츠 생성, 오류 수정, 연결 추가, 태그 지정, 문서 훼손 복구, 사무 작업, 보관, 중재 시스템, 추천 시스템, 알림, 외부 링크 복구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스웨덴어 위키백과와 같이 봇이 대규모 문서 생성에 기여한 사례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봇 - 비디오 게임 봇
비디오 게임 봇은 사용자의 조작을 대신하거나 플레이어 수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며, 게임 밸런스를 해치고 부정적인 측면이 존재하여 한국 온라인 게임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기도 한다. - 인터넷 봇 - Lsjbot
Lsjbot은 Lars Sverker Johansson이 개발한 위키백과 문서 자동 생성 봇으로, 세부아노어 위키백과와 스웨덴어 위키백과에 기여했으며, 문서 내용 부족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위키백과의 성차별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고 주장했다. - 위키백과 - 위키백과의 검열
위키백과의 검열은 정치, 사회, 종교적 이유로 특정 국가나 집단이 문서 접근을 제한하거나 편집자를 기소, 열람자를 감시하는 행위 등을 포함하며, 정보 접근 및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위키백과 - 에디터톤
에디터톤은 위키백과 편집자들이 특정 주제에 대해 함께 편집하는 행사로, 위키미디어 지부, 대학교 등에서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개최되며 문화 유산, 여성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위키백과 봇 | |
---|---|
개요 | |
유형 | 인터넷 봇 |
목적 | 위키백과 작업 수행 |
설명 | 인터넷 봇으로 위키백과에서 작업을 수행함 |
활용 예시 | 문서 생성 편집 유지 관리 |
상세 정보 | |
주요 기능 | 문서 편집 문서 생성 오류 수정 반달 행위 감지 및 차단 |
기술적 기반 | 인터넷 봇 |
작동 방식 | 자동화된 스크립트 또는 프로그램 |
기여 | 위키백과 문서의 품질 향상 및 유지 관리 |
제한 사항 | 오작동 가능성 부적절한 편집 가능성 인간의 판단 필요 |
2. 활동
봇이라 불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위키백과에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주로 일반적인 철자 오류나 문체 문제를 수정하고,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리 항목과 같은 문서를 표준 형식으로 생성하는 등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쓰인다.[2][3][4]
또한 편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오류를 편집자에게 알리거나,[5] 문서 훼손 행위를 감지하여 되돌리는 역할도 한다.[3] 특정 계정이나 IP 주소를 통한 편집 활동을 감시하고 표시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6]
이러한 봇들은 대규모 문서 생성에 기여하기도 했으며,[8] 위키백과가 현재와 같이 방대한 규모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9] 위키백과에서 봇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승인을 받아야 한다.[7]
2. 1. 봇의 자동 알림 및 문서 훼손 방지
봇은 편집자가 일반적인 편집 오류(예: 일치하지 않는 인용문 또는 일치하지 않는 괄호)를 범했을 때 자동으로 이를 알리도록 설계되기도 한다.[5]또한, 문서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봇도 활용된다. 2010년에 만들어진 ClueBot NG와 같은 봇은 위키백과의 문서 훼손 행위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이를 되돌리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3] 봇은 특정 계정 또는 IP 주소 대역에서 이루어진 편집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4년 7월 MH17 제트기 격추 사건 당시 관련 문서의 편집이 러시아 정부가 통제하는 IP를 통해 이루어졌다는 보고가 있었을 때 이러한 기능이 활용되었다.[6]
2. 2. 특정 계정 및 IP 주소 편집 표시
봇은 특정 계정 또는 IP 주소 대역의 편집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6] 예를 들어, 2014년 7월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당시 러시아 정부가 통제하는 IP를 통해 이루어졌다고 보고된 편집 내용을 표시한 사례가 있다.[6]2. 3. 봇의 기여
봇으로 불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위키백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봇은 일반적인 철자 오류나 문체 문제를 수정하고,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리 항목과 같은 문서를 표준 형식으로 생성하는 등 간단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2][3][4] 또한, 편집자가 인용 부호나 괄호를 잘못 사용하는 등 일반적인 편집 실수를 했을 때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가진 봇도 있다.[5]봇은 문서 훼손을 막는 데에도 기여한다. 예를 들어, 2010년에 만들어진 ClueBot NG는 문서 훼손 행위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원래대로 되돌리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3] 또한 봇은 특정 계정이나 IP 주소 대역에서 이루어진 편집을 표시할 수도 있다. 2014년 7월 MH17 여객기 격추 사건 당시, 러시아 정부가 통제하는 IP 주소를 통해 관련 문서가 편집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는데, 이 역시 봇을 통해 감지될 수 있는 종류의 활동이다.[6]
위키백과에서 봇은 활동하기 전에 반드시 승인을 받아야 한다.[7]
봇은 대규모 문서 생성에도 크게 기여했다. 한때 스웨덴어 위키백과에서는 봇이 하루에 최대 10,000개의 문서를 생성하기도 했다.[8] 앤드루 리는 이러한 봇의 활용 없이는 현재 위키백과가 수백만 개의 문서로 확장되는 것을 상상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9] 특히 세부아노어 위키백과, 스웨덴어 위키백과, 와라이어 위키백과는 봇이 생성한 콘텐츠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3. 봇의 종류
봇을 분류하는 한 가지 방법은 수행하는 활동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11][12] 봇이 수행하는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콘텐츠 생성 (예: 절차적 생성)
- 오류 수정 (예: 교열, 깨진 링크 해결)
- 연결부 추가 (예: 하이퍼링크)
- 콘텐츠 태그 지정 (예: 레이블)
- 문서 훼손 복구 (예: ClueBot NG)[13]
- 사무 작업 (예: 보고서 업데이트)
- 내용 보관 (예: 오래된 토론 보관)
- 중재 시스템 (예: 스팸 대응)
- 추천 시스템 (예: 사용자 격려)
- 알림 (예: 푸시 기술, 풀 기술)
- 외부 링크 복구 (예: [https://meta.wikimedia.org/wiki/InternetArchiveBot InternetArchiveBot])
3. 1. 콘텐츠 생성
위키백과 봇은 수행하는 활동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11][12] 그중 하나는 절차적 생성과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다.3. 2. 오류 수정
위키백과 봇의 활동 중 하나는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다.[11][12] 예를 들어, 문서의 내용을 교열하거나 깨진 링크를 찾아 해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3. 3. 연결부 추가
위키백과 봇의 활동 중 하나는 다른 곳의 콘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와 같은 연결부를 추가하는 것이다.[11][12]3. 4. 태그 지정
위키백과 봇의 활동 중 하나는 콘텐츠에 레이블을 사용하여 태그를 지정하는 것이다.[11][12]3. 5. 문서 훼손 복구
ClueBot NG와 같이 문서 훼손(반달리즘)을 복구하는 활동을 수행한다.[13]3. 6. 사무 작업
위키백과 봇의 활동 유형 중 하나로 보고서를 업데이트하는 등 사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있다.[11][12]3. 7. 보관
위키백과 봇의 활동 유형 중 하나로, 오래된 토론이나 작업을 보관하는 것이 있다.[11][12]3. 8. 중재 시스템
위키백과 봇의 활동 중 하나는 스팸이나 불법적인 행위에 대처하는 중재 시스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11][12]3. 9. 추천 시스템
위키백과 봇의 활동 유형 중 하나로 추천 시스템 운영이 있다.[11][12] 이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위키백과 활동에 더 활발히 참여하도록 격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3. 10. 알림
위키백과 봇의 활동 유형 중 하나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알림 기능이 있다. 이는 푸시 기법이나 풀 기술과 같은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11][12]3. 11. 외부 링크 복구
위키백과 봇의 활동 중 하나는 깨진 링크와 같이 손상된 외부 링크를 복구하는 것이다.[11][12] 대표적인 예시로는 [https://meta.wikimedia.org/wiki/InternetArchiveBot InternetArchiveBot]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Swedish Wikipedia surpasses 1 million articles with aid of article creation bot
https://blog.wikimed[...]
2013-06-17
[2]
웹사이트
Wikipedia:Bots
https://en.wikipedia[...]
[3]
뉴스
Meet the 'bots' that edit Wikipedia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7-24
[4]
뉴스
Boot up: The Wikipedia vandalism police, Apple analysts, and more
https://www.theguard[...]
2012-09-05
[5]
웹사이트
Abuse Filter is enabled
https://en.wikipedia[...]
2009-03-23
[6]
웹사이트
MH17 Wikipedia entry edited from Russian government IP address
http://stream.aljaze[...]
Aljazeera
2014-07-22
[7]
문서
Wikipedia's policy on bots
Wikipedia:Bot policy
[8]
뉴스
For This Author, 10,000 Wikipedia Articles Is a Good Day's Work
https://online.wsj.c[...]
2014-08-18
[9]
서적
The Wikipedia Revolution
2009
[10]
뉴스
The World's Second Largest Wikipedia Is Written Almost Entirely by One Bot
https://www.vice.com[...]
2020-02-11
[11]
간행물
The Roles Bots Play in Wikipedia
2019-11-07
[12]
웹사이트
Meet the 9 Wikipedia bots that make the world's largest encyclopedia possible
https://www.digitalt[...]
2020-01-20
[13]
웹사이트
This machine kills trolls
https://www.theverge[...]
2014-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