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달리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달리즘은 타인의 재산이나 공공시설을 고의로 훼손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5세기 북아프리카에 왕국을 세운 반달족의 로마 약탈에서 유래된 용어이다. 역사적으로는 정치적, 이념적 목적, 개인적 동기, 경제적 이익, 놀이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며, 물리적 파괴, 낙서, 사이버 공격, 문화재 훼손 등 다양한 유형을 보인다. 반달리즘은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각국에서 처벌받으며, 예술의 한 형태로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달리즘 - 재산 피해
    재산 피해는 개인이나 단체의 소유 재산에 발생하는 손실이나 손상을 뜻하며, 법치주의는 이러한 피해 발생 시 피해자 구제와 가해자 처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반달리즘 - 위키백과의 문서 훼손
    위키백과의 문서 훼손은 신뢰성을 저해하는 행위로, 위키백과는 봇, 검토, 보호, 차단, 필터, 경고 시스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예방 및 대응하며, 스티븐 콜베어, 힐스버러 참사, 정치적 훼손, 할리 베리 오보, 애니타 사르키시안 관련 훼손 등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 프랑스어 낱말 - 부르주아지
    부르주아지는 중세 도시의 상공업자에서 유래하여 자본을 축적한 자본가 계급을 의미하며, 봉건 사회 붕괴와 자본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르크스주의에서는 노동자 계급과 대립하며 문화적 헤게모니와 과시적 소비로 비판받고, 역사와 예술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 프랑스어 낱말 - 오일어
    오일어는 "예"를 뜻하는 고대 프랑스어 "oïl"에서 유래한 용어로, 북부 갈로-로망스어와 그 후손 언어들을 지칭하며, 단수형은 고대 로망스어 변종을, 복수형은 현대의 여러 언어들을 가리키고, 프랑스어 외 왈롱어, 피카르디어 등을 포함하며 프랑스의 언어 정책으로 화자 수 감소와 고령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반달리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고의로 물건이나 구조물을 손상시키거나 훼손하는 행위
영어vandalism
추가 정보
관련 문서위키백과 반달리즘 정책, ストレイテナー의 곡, [[ストレイテナー의 곡]], [[でんぱ組.inc의 곡]], [[DELUHI의 베스트 앨범]]
어원
어원반달족의 파괴적인 행위에서 유래
사전적 정의재산에 대한 고의적인 파괴 또는 손상 행위
특징
주요 대상공공 장소, 사유 재산, 예술 작품 등
동기분노
불만
재미
정치적 메시지
결과물리적 손상, 사회적 불안, 경제적 손실 초래
유형
낙서스프레이 페인트, 마커 등을 이용한 그림이나 글씨
파괴물건을 부수거나 찢거나 망가뜨리는 행위
절도물건을 훔치거나 가져가는 행위
방화고의로 불을 지르는 행위
법률적 측면
법적 처벌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 행위로 간주, 처벌 수위는 행위의 심각도에 따라 다름
예방 및 대응
예방 방법감시 카메라 설치, 순찰 강화, 커뮤니티 참여 유도
대응 방법경찰 신고, 증거 수집, 손해 배상 청구
사회적 영향
공공 안전 위협사회 불안 증가 및 공동체 의식 저하
재정적 부담시설 복구 및 피해 복구 비용 증가
관련 문제
환경 오염낙서, 폐기물 방치 등 시각적 오염 유발
사회 문제청소년 비행, 범죄 행위와 관련

2. 역사

'''반달리즘'''(Vandalism)이라는 용어는 5세기 초 유럽의 민족 대이동북아프리카반달 왕국을 세운 반달족에서 유래되었다.[36] 반달족은 455년 가이세리크 왕의 지휘 아래 로마를 약탈하여 무분별한 파괴와 연관되게 되었다.[2]

455년 게르마니쿠스가 로마를 약탈하는 모습


그러나 반달족이 로마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로마 약탈시 파괴 행위는 극히 일부였다는 점에서, 반달족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 실제로 로마의 문화와 예술은 로마 제국 말기의 노예나 빈곤층, 그리고 후대의 예술가와 로마인들이 더 많이 파괴했다. 르네상스 시기에는 “새로운 로마”를 만들기 위해 “옛 로마”를 파괴하는 경우가 많았다.

계몽주의 시대 동안 로마는 이상화되었고, 고트족과 반달족은 로마 파괴의 책임자로 비난받았다. 영국의 시인 존 드라이든은 1694년 "고트족과 반달족, 거친 북방의 종족이, 모든 비할 데 없는 기념물들을 더럽혔다"라는 시를 썼다.

"반달리즘(Vandalisme)"이라는 용어는 1794년 블루아 주교인 앙리 그레고아르가 프랑스 혁명 이후 예술 작품의 파괴를 묘사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다. 이 용어는 빠르게 유럽 전역에 채택되었으나, 반달족이 파괴를 좋아하는 야만적인 집단이라는 기존의 생각을 널리 퍼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고트족과 관련된 "고딕(Gothic)"이라는 용어도 유사한 맥락에서 "교양 없고 야만스럽고 풍류도 없으며 촌스럽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고트족 역시 반달족과 마찬가지로 로마 문화와 예술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그들의 문화와 로마 문화의 융화를 꾀한 민족이었다.

역사적으로, 반달리즘은 화가 귀스타브 쿠르베에 의해 "전쟁과 정복"을 상징하는 기념물의 파괴로 정당화되었다. 1871년 파리 코뮌 기간 중 쿠르베가 과거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의 권위주의적 제국을 상징하는 뱅돔 광장의 뱅돔 기둥을 해체하려던 시도는 가장 유명한 반달리즘 사건 중 하나였다. 프리드리히 니체 자신도 코뮌 이후 "문화에 대한 투쟁"을 숙고하며, 1871년 5월 23일 튀르리 궁전의 의도적인 방화를 예로 들었다.

1933년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형사법 통일 회의에 제출된 제안에서 라파엘 렘킨은 두 가지 새로운 국제 범죄의 창설을 구상했다. 하나는 인종, 종교 또는 사회 집단의 몰살로 구성된 야만 범죄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집단의 문화 및 예술 작품의 파괴로 구성된 반달리즘 범죄이다. 이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 1. 어원

'''반달리즘'''(Vandalism)이라는 용어는 5세기 초 유럽의 민족 대이동북아프리카반달 왕국을 세운 반달족에서 유래되었다.[36] 반달족은 455년 가이세리크 왕의 지휘 아래 로마를 약탈하여 무분별한 파괴와 연관되게 되었다.[2]

그러나 반달족이 로마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로마 약탈시 파괴 행위는 극히 일부였다는 점에서, 반달족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36] 실제로 로마의 문화와 예술은 로마 제국 말기의 노예나 빈곤층, 그리고 후대의 예술가와 로마인들이 더 많이 파괴했다.[36] 르네상스 시기에는 “새로운 로마”를 만들기 위해 “옛 로마”를 파괴하는 경우가 많았다.[36]

계몽주의 시대 동안 로마는 이상화되었고, 고트족과 반달족은 로마 파괴의 책임자로 비난받았다.[2] 영국의 시인 존 드라이든은 1694년 "고트족과 반달족, 거친 북방의 종족이, 모든 비할 데 없는 기념물들을 더럽혔다"라는 시를 썼다.[2]

"반달리즘(Vandalisme)"이라는 용어는 1794년 블루아 주교인 앙리 그레고아르가 프랑스 혁명 이후 예술 작품의 파괴를 묘사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다.[2] 이 용어는 빠르게 유럽 전역에 채택되었으나, 반달족이 파괴를 좋아하는 야만적인 집단이라는 기존의 생각을 널리 퍼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2]

고트족과 관련된 "고딕(Gothic)"이라는 용어도 유사한 맥락에서 "교양 없고 야만스럽고 풍류도 없으며 촌스럽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36] 그러나 고트족 역시 반달족과 마찬가지로 로마 문화와 예술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그들의 문화와 로마 문화의 융화를 꾀한 민족이었다.[36]

2. 2. 역사적 전개

5세기 초 유럽의 민족 대이동 때 아프리카에 왕국을 세운 반달족이 지중해 연안에서 로마에 이르는 지역까지 약탈과 파괴를 거듭한 민족이라고 잘못 알려진 데에서 유래된 프랑스 말이다.[36]

반달리즘이라는 말 자체가 반달족이 당하고 있는 반달리즘이라 할 수 있다.[36] 반달족 지도자는 이미 로마 문화를 받아들여 로마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하였고, 파괴 행위는 극히 일부였다.[36] 오히려 로마의 문화와 예술은 로마 제국 말기의 노예나 빈곤층 그리고 후대의 예술가와 로마의 보통사람이 더 많이 파괴했다.[36] 르네상스 시기에는 “새로운 로마”를 만들기 위해 “옛 로마”를 파괴한 이는 로마인 자신이었다.[36] 물론 일부 예술가(미켈란젤로)는 그러한 행위를 비난했지만, 대부분 무시를 당했다.[36] 즉 반달리즘의 어원이 된 반달족은 오히려 반달리즘의 피해자에 가깝다.[36]

반달리즘을 내포한 낱말에는 고딕 예술의 어원이 된 고딕(Gothic)이 있다. 이는 “고트족의” 또는 “고트풍의”라는 뜻으로, 교양 없고 야만스럽고 풍류도 없으며 촌스럽다는 뜻이었다. 이것은 곧 고트족이 그러했다는 경멸의 의미를 담고 있지만, 반달족과 마찬가지로 고트족도 로마 문화와 예술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그들의 문화와 로마 문화의 융화를 꾀한 민족이었다.

3. 유형 및 동기

폐불훼석으로 파괴된 석불


단순한 약탈이나 장난이 아닌, 이념적인 목적을 가지고 자행되는 반달리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반달리즘은 문화 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우상 파괴 운동이나 이슬람교도의 우상 파괴 운동, 프랑스 혁명기의 비기독교화 운동, 기독교 선교사 등에 의한 현지 주민 문화 파괴 운동, 공산주의에 의한 파괴 운동(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과 홍위병 등), 탈레반에 의한 바미얀 석불 폭파, ISIL(이슬람 국가)에 의한 팔미라 파괴, 유대교도 또는 유대 민족주의 극단주의자들에 의한 교회 또는 (옛) 모스크에 대한 반달리즘[24] 등, 고금을 막론하고 많은 사례가 있다.

현대에는 미술품을 노리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2022년 5월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회화 『모나리자』에 케이크를 던지는 사건이 발생[25]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런던의 국립 미술관에서 고흐의 회화 『해바라기』에 토마토 수프를 던지는 사건[26], 독일 포츠담에 있는 바르베리니 미술관에서 클로드 모네의 회화 『건초더미』에 으깬 감자를 던지는 사건[27], 네덜란드의 마우리츠하이스 미술관에서 베르메르의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에 유사한 행위[28], 그리고 11월에는 빈의 레오폴트 미술관에서 구스타프 클림트의 『죽음과 삶』에 유성 검은 액체를 뿌리는 사건[29]이 잇달아 발생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신불분리령을 발단으로 한 폐불훼석, 최근에는 사찰 연속 기름 피해 사건과 원폭 위령비 파손 사건 등이 있다.

3. 1. 유형

반달리즘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물리적 파괴: 건물, 조각상, 공공시설물 등 물리적인 대상에 대한 파괴 행위이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 파손된 사격대, 체코의 기차 안 승객칸 내부의 파손된 좌석 등이 있다. 개인이나 단체가 타인의 재산이나 공공재를 고의로 파손하거나 훼손하는 행위, 폭동 중 공공 및 사유 재산 파괴, 잔디에 소금을 뿌리거나, 무단으로 나무를 베거나, 달걀을 던지거나, 창문을 부수거나, 방화를 저지르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
  • 낙서: 공공장소나 사유 재산에 페인트, 스프레이 등을 이용해 그림이나 글씨를 새기는 행위이다. 많은 도시 중심부에서 갱 문화의 일부로 흔하게 발생하며, 영역 표시로 사용될 수 있다. 기념물이나 건축물의 벽, 철도 차량 등에 페인트를 뿌리거나 낙서를 하는 행위, 공원 시설을 파괴하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 인도 하이데라바드에 있는 골콘다 요새 벽에 낙서를 하는 사람들, 몰타 산타 베네라에 있는 경찰서 외부에 훼손된 문장, 독일 베를린의 푸시풀 열차 객차에 심하게 낙서된 모습이 그 예시이다.
  • 사이버 반달리즘: 온라인 공간에서 악의적인 편집, 삭제, 허위 정보 유포 등을 통해 정보를 훼손하는 행위이다. 위키백과나무위키와 같이 특정 이슈에 대한 다수의 의견이 자유롭게 교환되는 사이트에서 빈번히 일어난다. 위키피디아 훼손 행위는 의문스러운 내용을 추가하거나, 내용을 삭제하거나, 내용을 변경하여 의문스럽게 만드는 행위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위키피디아의 평판을 훼손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웹사이트 훼손 및 웹 지도에서의 훼손 행위인 "지도 훼손 행위" , 재정적 의도가 없는 특정 종류의 악성 코드도 포함된다.
  • 문화재 훼손: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있는 유물이나 유적을 파괴하거나 훼손하는 행위이다. 성곽이나 사찰 등의 역사 유적을 파괴하는 행위, 우상 파괴 운동으로 인한 많은 종교 미술품 훼손 등이 있다.

3. 2. 동기

반달리즘의 동기는 다양하며, 크게 정치적, 이념적 동기, 개인적 동기, 경제적 동기, 놀이 및 장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치적, 이념적 동기정치적 신념이나 이념을 표현하거나 특정 집단에 대한 반감을 표출하기 위해 반달리즘이 행해지기도 한다. 선거에서 상대 후보의 선거 자료를 훼손하는 '정치적 반달리즘'이 그 예시이다.[8] 활동가들은 항의 수단으로 재산을 파괴하기도 하는데, 동물 권리 운동가들이 연구 시설을 파괴하거나 블랙 블록 시위대가 시설물을 파괴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잉글랜드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엘리 대성당의 조각상이 머리가 없는 채로 파괴된 것은 이념적 파손 행위의 예시이다.[10]

엘리 대성당의 머리가 없는 조각상


이념적 목적을 가진 반달리즘은 문화 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우상 파괴 운동, 이슬람교도의 우상 파괴, 프랑스 혁명기의 비기독교화 운동, 공산주의에 의한 파괴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 홍위병 등), 탈레반의 바미얀 석불 파괴, ISIL의 팔미라 파괴 등이 그 예이다.[24]

현대에는 미술품을 대상으로 한 반달리즘도 증가하고 있다. 2022년 5월 루브르 박물관에서 모나리자에 케이크를 던지는 사건[25], 같은 해 10월 런던 국립 미술관에서 고흐의 해바라기에 토마토 수프를 던지는 사건[26] 등이 발생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신불분리령을 발단으로 한 폐불훼석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개인적 동기분노, 질투, 좌절, 스트레스 해소, 관심 끌기, 또래 집단의 인정 등 개인적인 감정이나 욕구 충족을 위해 반달리즘을 저지르기도 한다.[9] 특히 젊은이들은 낮은 지위와 지루함을 경험하며, 반달리즘을 통해 우월감을 느끼거나 통제력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있다.[9]
경제적 동기금전적 이득을 얻기 위해 문화재를 훼손하거나, 보험금을 노리고 고의로 재산을 파괴하는 행위도 반달리즘에 해당한다.
놀이, 장난단순한 호기심이나 장난으로 시작된 행위가 심각한 파괴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아이들의 놀이로 인한 피해가 대표적인 예시이다.[11]

사회학자 스탠리 코헨은 반달리즘을 7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10] 취득적 반달리즘(약탈, 절도), 전술적 반달리즘(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 이념적 반달리즘, 복수적 반달리즘, 놀이 반달리즘, 악의적 반달리즘, 그리고 마이크 서튼이 추가한 동료 지위 동기 반달리즘이 있다.[12][13]

4. 사회적 문제 및 대응

4. 1. 사회적 문제

4. 2. 대응 방안

반달리즘은 비문명적인 행위로 간주되어 일부 국가에서는 매우 가혹하게 처벌한다. 싱가포르에서는 반달리즘 행위자에게 최대 3년의 징역형이나 태형을 선고할 수 있다. 영국에서는 반달리즘을 환경범죄로 간주하여 ASBO(반사회적 행위 금지 명령)로 처벌할 수 있다. 1990년대 뉴욕 시장 루돌프 줄리아니는 낙서를 포함한 "삶의 질 범죄" 단속을 시행했다. 뉴욕 공원국장 Henry J. Stern은 낙서를 "'시계태엽 오렌지'에서 가장 잘 보여지는 도시 쇠퇴의 은유"라고 묘사하며 "뉴욕시는 그렇게 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원본 내용을 담은 두 개의 게시판 광고. 오른쪽 게시판은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반달리즘의 예시—서브버타이징

5. 한국 사회와 반달리즘

5. 1. 한국의 특수성

한국에서는 정치적 양극화로 인해 진보와 보수 진영 간의 극심한 대립으로 인해 상대 진영의 상징물이나 시설에 대한 반달리즘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온라인 공간의 익명성을 악용한 사이버 반달리즘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이버 반달리즘은 위키백과나무위키와 같이 특정 이슈에 대한 다수의 의견이 자유롭게 교환되는 사이트에서 특정 문서를 악의적으로 장난삼아 생성하거나 수정, 삭제하는 비도덕적 행위를 말한다.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 역사적 상처와 관련된 시설물이나 기념물에 대한 반달리즘이 발생하기도 한다.

5. 2. 주요 사례

위키백과나무위키와 같이 특정 이슈에 대한 다수의 의견이 자유롭게 교환되는 사이트에서 특정 문서를 악의적으로 장난삼아 생성하거나 수정, 삭제하는 비도덕적 행위인 사이버 반달리즘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집단지성의 특성상 다수에 의한 지식의 공유와 편집은 긍정적인 것이나 그 성격이 단순히 과거의 반달리즘과 같이 악의적 행위일 뿐이라면 문제가 될 수 있다.

6. 예술과 반달리즘

1973년 미시간주에서 촬영된 "쉘에게 지옥을"이라고 적힌 스티커


신호등 파손. 마리화나를 묘사한 콜롬비아 보고타의 그림


파손 행위는 종종 불법이지만, 현대 대중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기도 한다. 프랑스 화가 귀스타브 쿠르베(Gustave Courbet)가 1871년 파리 코뮌(Paris Commune) 기간 중 뱅돔 원주를 해체하려 했던 시도는 최초의 예술적 파손 행위 중 하나로 여겨지며, 다다이즘(Dadaism)의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 시대 공연 이후로 기념되어 왔다.[18] 뱅돔 원주는 제2제정의 나폴레옹 3세의 상징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해체 대상이 되었다.

1871년 5월 23일 튀르리 궁전(Tuileries Palace) 방화를 목격한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는 "무의미한" 방식의 문화 파괴가 문화를 정당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문화에 대한 투쟁"을 숙고했다.[3] 그는 기념비적인 역사의 파괴로서 파손 행위는 오랜 생명을 보장받는다고 보았다. 헤로스트라토스(Herostratus)가 그 예시이며, 퍼포먼스 아트(Performance art), 하킴 베이(Hakim Bey)의 "시적인 테러", 아타리 틴에이지 라이엇(Atari Teenage Riot)의 "2000년 문화 파괴"도 같은 주장을 펼칠 수 있다. 귀스타브 쿠르베는 뱅돔 원주가 예술적 가치가 없고, 제국 왕조의 전쟁과 정복 사상을 영속화한다고 주장하며, 공화국 국민의 감정은 이를 거부한다고 선언했다.[18] 쿠르베는 정치적 이유로 뱅돔 원주의 해체를 정당화하며 그 예술적 가치를 낮게 평가했다. 그는 이 예술 작품이 전달하는 정치적 가치가 예술적 가치를 무효화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지만, 1871년 4월 12일 코뮌은 제국 상징을 해체하기로 투표했고, 원주는 5월 8일에 철거되었다. 아돌프 티에르(Adolphe Thiers)에 의한 파리 코뮌(Paris Commune) 공격 후 귀스타브 쿠르베는 비용의 일부를 지불하라는 판결을 받았다.

1974년 노먼 메일러(Norman Mailer)는 그의 에세이 "낙서의 신앙"에서 파손 행위의 예술을 찬양하며, 뉴욕시의 태깅을 조토(Giotto)와 로버트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작품에 비유했다. 뉴욕 당국은 지하철 벽에 테플론(Teflon) 페인트를 칠하고, 태거들을 투옥하고, 철물점에서 스프레이 페인트를 잠금 장치 아래에 보관하도록 요구함으로써 대응했다.[19]

태그, 디자인, 서체는 의류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많은 기업 로고(logos)에 영향을 미쳤다. 많은 스케이트파크(skateparks) 및 유사한 청소년 중심 장소는 위탁받은 낙서 스타일의 작품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다른 많은 장소에서는 이용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남길 수 있다. 브리스톨 출신의 게릴라 아티스트 뱅크시(Banksy)는 공식적인 파손 행위가 개인에 의해 자행되는 파손 행위보다 훨씬 더 나쁘다고 주장하며, 건축적 가치가 없는 건물을 장식하고 있다고 말한다.[20]

6. 1. 예술로서의 반달리즘



파손 행위는 종종 불법이지만, 현대 대중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기도 한다. 프랑스 화가 귀스타브 쿠르베(Gustave Courbet)가 1871년 파리 코뮌(Paris Commune) 기간 중 뱅돔 원주를 해체하려 했던 시도는 최초의 예술적 파손 행위 중 하나로 여겨지며, 다다이즘(Dadaism)의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 시대 공연 이후로 기념되어 왔다.[18] 뱅돔 원주는 제2제정의 나폴레옹 3세의 상징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해체 대상이 되었다.

1871년 5월 23일 튀르리 궁전(Tuileries Palace) 방화를 목격한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는 "무의미한" 방식의 문화 파괴가 문화를 정당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문화에 대한 투쟁"을 숙고했다.[3] 그는 기념비적인 역사의 파괴로서 파손 행위는 오랜 생명을 보장받는다고 보았다. 헤로스트라토스(Herostratus)가 그 예시이며, 퍼포먼스 아트(Performance art), 하킴 베이(Hakim Bey)의 "시적인 테러", 아타리 틴에이지 라이엇(Atari Teenage Riot)의 "2000년 문화 파괴"도 같은 주장을 펼칠 수 있다. 귀스타브 쿠르베는 뱅돔 원주가 예술적 가치가 없고, 제국 왕조의 전쟁과 정복 사상을 영속화한다고 주장하며, 공화국 국민의 감정은 이를 거부한다고 선언했다.[18] 쿠르베는 정치적 이유로 뱅돔 원주의 해체를 정당화하며 그 예술적 가치를 낮게 평가했다. 그는 이 예술 작품이 전달하는 정치적 가치가 예술적 가치를 무효화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지만, 1871년 4월 12일 코뮌은 제국 상징을 해체하기로 투표했고, 원주는 5월 8일에 철거되었다. 아돌프 티에르(Adolphe Thiers)에 의한 파리 코뮌(Paris Commune) 공격 후 귀스타브 쿠르베는 비용의 일부를 지불하라는 판결을 받았다.

1974년 노먼 메일러(Norman Mailer)는 그의 에세이 "낙서의 신앙"에서 파손 행위의 예술을 찬양하며, 뉴욕시의 태깅을 조토(Giotto)와 로버트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작품에 비유했다. 뉴욕 당국은 지하철 벽에 테플론(Teflon) 페인트를 칠하고, 태거들을 투옥하고, 철물점에서 스프레이 페인트를 잠금 장치 아래에 보관하도록 요구함으로써 대응했다.[19]

태그, 디자인, 서체는 의류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많은 기업 로고(logos)에 영향을 미쳤다. 많은 스케이트파크(skateparks) 및 유사한 청소년 중심 장소는 위탁받은 낙서 스타일의 작품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다른 많은 장소에서는 이용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남길 수 있다. 브리스톨 출신의 게릴라 아티스트 뱅크시(Banksy)는 공식적인 파손 행위가 개인에 의해 자행되는 파손 행위보다 훨씬 더 나쁘다고 주장하며, 건축적 가치가 없는 건물을 장식하고 있다고 말한다.[20]

훼손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그래픽 자체에 손글씨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기법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때때로 이 기법의 사용은 스테판 자그마이스터(Stefan Sagmeister)의 작품, 특히 그의 루 리드(Lou Reed) CD 커버에서 볼 수 있듯이 원본 작품에 대한 낙서로 오인될 수 있다. 훼손 기법의 독특한 사용 예로는 장 투이투(Jean Touitou)가 디자인한 A.P.C.의 CD 커버가 있는데, 디자이너는 인쇄 전 공백 CD에 자신의 손글씨로 제목, 볼륨 번호, 날짜를 적었다. 이러한 창의적인 낙서는 글쓰기와 스케치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웨덴 그래픽 디자이너가 MNW 레코드의 KPIST 앨범 골든 코트에 사용한 금색 스프레이는 낙서로 간주될 수 있지만, 고객은 다양한 방식으로 금색으로 뿌려진 각 커버의 독창성을 높이 평가할 수도 있다.[21]

6. 2. 논쟁점

7. 각국의 법적 지위

일본에서는 재물손괴죄로 처벌 대상이 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반달리즘에 대한 처벌이 특히 가혹하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에서는 반달리즘 행위 시 최대 3년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으며, 태형으로 처벌받을 수도 있다.[14] 영국에서는 반달리즘이 환경범죄로 간주되어 ASBO(반사회적 행위 금지 명령)로 처벌받을 수 있다.[14]

1990년대, 전 뉴욕 시장 루돌프 줄리아니는 낙서를 포함한 "삶의 질 범죄"를 단속했다. 뉴욕 공원국장 Henry J. Stern은 낙서를 "'시계태엽 오렌지'에서 가장 잘 보여지는 도시 쇠퇴의 은유"라고 묘사하며 "뉴욕시는 그렇게 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14]

7. 1. 일본

일본에서는 재물손괴죄로 처벌 대상이 된다.

7. 2. 기타 국가

일부 국가에서는 반달리즘에 대한 처벌이 특히 가혹하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에서는 반달리즘 행위 시 최대 3년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으며, 태형으로 처벌받을 수도 있다.[14] 영국에서는 반달리즘이 환경범죄로 간주되어 ASBO(반사회적 행위 금지 명령)로 처벌받을 수 있다.[14]

참조

[1]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4-25
[2] 서적 Merrills and Miles 2010
[3] 문서 What is the value of culture if those who are exploited by it destroy it?
[4] 학술지 Akte der Barbarei und des Vandalismus als delicta juris gentium http://www.preventge[...] 1933-11-01
[5] 서적 Jesus in an Age of Enlightenment: Radical Gospels from Thomas Hobbes to Thomas Jefferso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023-06-20
[6] 서적 Ley and Cybriwsky 1974
[7] 학술지 The Graffiti Solution https://web.archive.[...] 2012-01-23
[8] 잡지 Is it OK for protesters to damage property https://web.archive.[...] 2011-03-01
[9] 웹사이트 Psychological Analysis of Vandalism https://www.ncjrs.go[...] 2015-03-29
[10] 서적 Cohen 1973
[11] 웹사이트 The Psychological View of Why Children Vandalize http://abercia.com/P[...] 2015-03-29
[12] 웹사이트 Center for Problem-Oriented Policing | Biographies https://web.archive.[...] Popcenter.org 2012-12-10
[13] 논문 Differential Rates of Vandalism in a New Town: Towards A Theory of Relative Place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1987-10-01
[14] 뉴스 Mayor Announces New Assault on Graffiti, Citing Its Toll on Cit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05-08
[15] 서적 Ballatore 2014
[16] 웹사이트 Cheltenham Paint Festival goes virtual during lockdown https://creativefolk[...] 2020-05-12
[17] 서적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https://books.google[...] Library of Congress 2012-11-17
[18] 웹사이트 La Colonne Vendôme déboulonnée http://www.histoire-[...] 2007-08-04
[19] 웹사이트 Fine Art, Sí, Vandalism, No https://web.archive.[...] 2008-10-29
[20] 웹사이트 Banksy the Artist https://medium.com/a[...] Medium-All things art 2013-10-07
[21] 서적 the new handmade graphics: Beyond digital design RotoVision SA
[22]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5-06
[23] 웹사이트 VANDALISM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19-11-07
[24] 위키 List of Israeli price tag attacks, Church of the Multiplication, David's Tomb
[25] 웹사이트 「モナ・リザ」にケーキ投げつける 仏ルーヴル美術館で高齢女性装った男性 https://www.bbc.com/[...] BBC뉴스 2022-05-31
[26] 웹사이트 環境活動家がゴッホの《ひまわり》にトマトスープを投げつけ。 https://bijutsutecho[...] 美術手帖 2022-10-14
[27] 웹사이트 今度はモネの絵が標的に、環境活動家がドイツの美術館を襲撃 https://forbesjapan.[...] 포브스 2022-10-24
[28] 웹사이트 気候問題の活動家に禁錮刑、フェルメールの名画狙った抗議で オランダ https://www.cnn.co.j[...] CNN 2022-11-04
[29] 웹사이트 Aktivist schleudert Öl auf Klimt-Werk https://www.tagessch[...] Tagesschau 2022-11-15
[30] 뉴스 朝日新聞 2008-11-29
[31] 웹사이트 落書きと間違えた市当局が、巨匠バンクシーの作品を塗りつぶす - 英国 https://www.afpbb.co[...] AFPBB 2007-04-21
[32] 논문 建築移転時におけるパブリック・アートの運命:東京都庁移転の場合 http://aoishibata.la[...]
[33] 논문 岡本太郎の旧東京都庁壁画をめぐる考察
[34] 웹사이트 展示されていた宇佐美圭司の絵画は・・・ http://www.utcoop.or[...]
[35] 웹인용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4-25
[36]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