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이브는 개인, 단체 또는 기관이 문화적, 역사적, 증거적 가치를 지닌 기록물을 영구적 또는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 보관하는 곳을 의미한다. 어원은 그리스어 'arkheion'으로, 통치자의 집이나 공문서를 보관하는 장소를 뜻하며, 현재는 기록물 자체 또는 기록물을 보관하는 시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아카이브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며, 학술, 기업, 정부, 교회, 영화, 웹 아카이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또한, 디지털화, 표준화, 보호 등 다양한 측면에서 관리되며, 기존 아카이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아카이빙 방식도 모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카이브 - 구만주당
- 아카이브 - 바이네케 고문서 도서관
예일 대학교에 있는 바이네케 고문서 도서관은 반투명 대리석 외관과 유리 서가 타워가 돋보이는 희귀 도서 및 필사본 전문 도서관으로, 구텐베르크 성경을 포함한 귀중한 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다. - 단체 - 행동하는 보수
행동하는 보수는 1990년대 후반 일본에서 등장한 우익 사회운동으로, 직접적인 행동으로 정치적 주장을 표명하며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여론을 형성해왔으나,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시각과 혐오 발언, 폭력 등으로 논란을 빚으며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 단체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기록학 - 기록관
기록관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치된 기록물 관리 기관으로, 기관별 고유한 역할을 수행하며 효율적인 기록물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협력하고, 특히 특수기록관은 민감한 정보를 다루므로 엄격한 보안 및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 - 기록학 - 캡슐화
캡슐화는 객체의 데이터와 메서드를 묶어 직접 접근을 제한하고 정보 은닉을 통해 데이터 무결성을 보호하며 시스템 복잡성을 줄이는 개념이다.
아카이브 | |
---|---|
일반 정보 | |
설명 | 역사적 기록의 축적 |
관련 주제 | 기록 관리, 도서관학, 정보학 |
기록 보관소 유형 | |
기록 유형 | 문서, 사진, 지도, 영화, 디지털 기록 |
보관 기관 | 도서관, 박물관, 기록 보관소 |
주요 기능 | |
기능 | 기록 수집 기록 정리 기록 보존 기록 이용 제공 |
디지털 아카이브 | |
디지털 아카이브 | 디지털 자료 보관 |
웹 아카이브 | 웹 정보 보관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디지털 도서관 기록 관리 문화 유산 |
추가 정보 | |
참고 | 필름 아카이브 arXiv |
기타 | 아카이브 (2020년 영화) 17 (TOKIO의 앨범) |
2. 용어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아카이브에 가장 가까운 의미로 '''기록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언론과 일반 사회에서는 ‘기록(물) 보관소’, ‘기록(물) 보존소’, ‘공문서관’ 등 여러 용어가 혼용되고 있다. 한국기록학회에서 발간한 기록학 용어 사전에서는 역사적 가치나 장기 보존 가치를 지닌 기록 또는 문서를 '''보존 기록''', 이러한 기록이나 문서를 보관하는 장소나 시설을 '''보존 기록관'''이라 정의한다.
국립국어원은 2013년 3월 8일 회의에서 ‘아카이브’를 ‘기록 보관’, ‘자료 보관소’, ‘자료 저장소’, ‘자료 전산화’로 순화했다.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3-9호(2013년 3월 8일)에서도 ‘아카이브’ 대신 이들 순화어를 사용하되, 용어가 정착될 때까지 함께 쓰거나 괄호 안에 넣어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영어 단어 ''archive''는 프랑스어 ''archives''(복수형)에서 유래했고, 다시 라틴어 ''archīum'' 또는 ''archīvum''[10], 그리스어 ἀρχεῖον|아르케이온grc의 로마자 표기에서 유래했다. 그리스어 용어는 원래 통치자 또는 수석 사법관인 아르콘의 집이나 거처를 가리켰으며, 중요한 공식 문서가 보관되고 해석되는 곳이었다. 그 의미는 "시청"과 "공문서"와 같은 개념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11] 그리스어 단어의 어근은 ἀρχή|아르케grc이며, "사법권, 직책, 정부" 등을 의미한다.[12] 이는 동사 ἄρχω|아르코grc에서 유래했는데, "시작하다, 통치하다, 다스리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무정부 상태", "군주제"와 같은 영어 단어의 어원이기도 하다).[13]
''archive''라는 단어는 17세기 초 영어에서 처음 등장했고, ''archivist''라는 단어는 18세기 중반에 나타났지만, 이 시기에는 두 용어 모두 주로 외국 기관과 인력에 대해서만 사용되었다. 19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국내 맥락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9][14] ''archive''에서 파생된 형용사는 ''archival''이다.
2. 1. 어원
아카이브(archive)는 그리스어 ἀρχεῖον|아르케이온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라틴어 archīum 혹은 archīvum으로 표기된다.[10]영어 단어 'archive'는 프랑스어 'archives'(복수형)에서 유래했고, 다시 라틴어 'archīum' 또는 'archīvum', 그리스어 ἀρχεῖον|아르케이온grc을 로마자 표기한 형태에서 유래했다. 그리스어 용어는 원래 통치자 또는 수석 사법관인 아르콘의 집이나 거처를 가리켰으며, 중요한 공식적인 국가 문서가 보관되고 해석되는 곳이었다. 거기서부터 그 의미는 "시청"과 "공문서"와 같은 개념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11] 그리스어 단어의 어근은 ἀρχή|아르케grc이며, "사법권, 직책, 정부" 등을 의미한다.[12] 이는 동사 ἄρχω|아르코grc에서 유래했는데, "시작하다, 통치하다, 다스리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또한 "무정부 상태"와 "군주제"와 같은 영어 단어의 어원이기도 하다).[13]
'archive'라는 단어는 17세기 초 영어에서 처음으로 증명되었고, 'archivist'라는 단어는 18세기 중반에 등장했지만, 이 시대에는 두 용어 모두 주로 외국 기관과 인력에 대해서만 사용되었다. 19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국내 맥락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9][14]
'archive'에서 파생된 형용사는 'archival'이다.
2. 2. 번역
한국기록학회에서 발간한 기록학 용어 사전에 따르면, 역사적 가치나 장기 보존 가치가 있는 기록 또는 문서는 '보존 기록', 이러한 기록이나 문서를 보관하는 장소나 시설은 '보존 기록관' 용어를 사용한다.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아카이브에 가장 가까운 의미로 '기록관' 용어를 사용하며, 언론과 일반 사회에서는 '기록(물) 보관소', '기록(물) 보존소', '공문서관' 등 여러 용어가 혼용되고 있다.
국립국어원 말다듬기위원회 회의(2013년 3월 8일)에서는 '아카이브'를 '기록 보관', '자료 보관소', '자료 저장소', '자료 전산화'로 순화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3-9호(2013년 3월 8일) 역시 '아카이브' 대신 순화 용어인 '기록 보관', '자료 보관소', '자료 저장소', '자료 전산화'를 사용하되, 용어가 정착될 때까지 함께 사용하거나 괄호 안에 넣어 사용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3. 정의
아카이브는 개인이나 단체가 활동하는 동안 만들어낸 1차 자료를 보관하는 것을 말하며, 문화적, 역사적, 또는 증명할 수 있는 가치가 있어 오랫동안 보존할 필요가 있는 기록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록물은 보통 책이나 잡지처럼 복사본이 여러 개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유일한 원본이다. 아카이브는 도서관과는 다르지만, 도서관 건물 안에 아카이브를 보관하는 경우도 있다.[90]
이러한 기록물을 관리하는 사람을 기록관리자(Records manager) 또는 기록연구사라고 부르며, 기록물을 정리하고 보존하며, 사람들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학문을 기록학이라고 한다.
카를 칭커나겔은 1800년에 쓴 책에서 아카이브를 특정 국가 정부가 관리하는, 국가의 특권 및 조직과 관련된 문서를 체계적으로 모아 놓은 것이라고 정의했다.[84] 이후 1834년 독일의 하인리히 아우구스트 에르하르트, 1895년 프랑스의 샤를-빅토르 랑글로아 등이 아카이브에 대한 정의를 발전시켰다.[85] 이들은 아카이브를 국가, 행정기관, 기업, 개인과 법적으로 관련된 문서를 모아 놓은 것이자, 문서를 작성하는 활동 또는 보관하는 장소라고 설명했다.[85] 20세기 초 이탈리아의 우제니오 카사노바는 1928년에 출판한 책에서 "아카이브는 어떤 단체나 개인이 활동하면서 만들어낸 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그 단체나 개인의 정치적, 법적, 문화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보존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86]
한편, 아카이브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87]
3. 1. 시설로서의 아카이브
아카이브의 복수형인 '''아카이브즈'''는 문서, 사료, 미술 작품 등을 보존하는 시설이나 체계를 가리킨다. 2003년(헤이세이 15년) 사이타마현 가와구치시에 개관한 NHK아카이브스는 과거 방송된 프로그램과 관련 자료를 소장하고 열람할 수 있도록 NHK에서 고안한 시설이다. NHK아카이브스의 “아카이브스”는 “아카이브즈”에서 어미에 濁音(탁음)이 이어져 발음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만들어졌다.[90]3. 2. 컴퓨터에서의 파일 조작
컴퓨터에서 여러 파일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을 아카이브라고 부른다.3. 3. 기록으로서의 아카이브
아카이브는 개인이나 단체가 생존 기간 동안 쌓아 온 1차적인 자료물을 보관하며, 일반적으로 문화적, 역사적, 입증 가능한 가치를 지닌 분야에서 영구적이거나 장기간 보존된 기록물로 선택된 기록물을 포함한다. 기록물은 사본이 존재하는 책이나 잡지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출판되지 않으며 거의 늘 고유성을 지닌다. 이러한 기록물을 보관하는 아카이브는 도서관과는 구별되지만, 도서관 건물 안에서도 이러한 기록물을 취급하기도 한다.[90]기록물을 보관하고 취급하는 사람을 기록관리자(Records manager), 기록연구사라고 부른다. 이러한 기록물을 배정하고 보존하며 정보 및 물질적인 이용을 제공하는 학문을 기록학이라고 한다.
도서관학에서 아카이브는 공문서 보관소라는 의미에서 파생되었다. 역사학에서는 다양한 사료의 활용이 시도되었으며, 특히 1980년대 이후 새로운 사료학을 바탕으로 고문서부터 전자 기록까지 “과거 사람들의 기록 전체”를 “아카이브(Archives)”라고 부르게 되었다.[88]
3. 3. 1. 디지털 데이터의 아카이브
1990년대에서 21세기에 들어서, 고문서를 디지털화하는 ReCAPTCHA나 웹문서를 별도로 보관하는 웹 아카이브의 일종인 인터넷 아카이브 등이 등장하여 각광받고 있다.[90]4. 역사
공식 문서를 보관하는 관행은 매우 오래되었다.[15] 현대 기록 보관 사상은 프랑스 혁명에서 기원한다. 1790년 혁명 중에 설립된 프랑스 국립문서보관소는 세계에서 가장 큰 기록 보관소(625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기록 보유)로, 혁명가들이 압수한 다양한 정부, 종교, 개인 기록 보관소에서 만들어졌다.[22]
1883년, 프랑스 기록 보관 관리인 가브리엘 리슈는 1841년 나탈리스 드 왈리가 처음 발표한 ''기록물의 존중'' 이론을 체계화한 ''트라이트 테오리크 에 프라틱 데스 아르시브 푸블릭''(''공공 기록 보관소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서구 최초의 기록 보관 이론에 대한 글이었다.[23]
4. 1. 초기 역사
고고학자들은 에블라, 마리, 아마르나, 하투사, 우가릿, 필로스와 같은 유적지에서 기원전 3천 년에서 2천 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수백, 수천 개의 점토판 기록 보관소를 발견했다. 이러한 발견은 고대 알파벳, 언어, 문학 및 정치에 대해 배우는 데 기본적인 역할을 했다.[15]팔레스타인 히카예와 같은 구전 문학 또한 공동체를 위한 기록 보관 기능을 할 수 있다.[16]
고대 중국,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그들은 기록 보관소를 ''타불라리아''라고 불렀다)에서도 기록 보관소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그러나 파피루스와 종이와 같은 재료에 쓰여진 문서는 점토판과 달리 비교적 빨리 부식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기록 보관소는 사라졌다. 중세 시대의 교회, 왕국 및 도시의 기록 보관소는 현재까지 공식적인 지위를 유지해 왔으며, 이 시기에 대한 역사 연구의 기본 도구이다.[17]
1066년 이후 잉글랜드는 기록 보관소와 기록 접근 방법을 개발했다.[18] 스위스는 1450년 이후 기록 보관 시스템을 개발했다.[19]
서구에서 기록 보관학의 최초의 선구자는 야코프 폰 라밍겐의 1571년 매뉴얼[20]과 발다사레 보니파치오의 1632년 ''데 아르키비스 리브리스 싱굴라리스''이다.[21]
4. 2. 중세 시대
팔레스타인 히카예와 같은 구전 문학 또한 공동체를 위한 기록 보관 기능을 할 수 있었다.[16] 고대 중국,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에서는 기록 보관소가 잘 발달되어 있었지만, 파피루스와 종이와 같은 재료는 점토판과 달리 비교적 빨리 부식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기록 보관소는 사라졌다. 중세 시대의 교회, 왕국 및 도시의 기록 보관소는 현재까지 공식적인 지위를 유지해 왔으며, 이 시기에 대한 역사 연구의 기본 도구가 되었다.[17] 1066년 이후 잉글랜드는 기록 보관소와 기록 접근 방법을 개발했고,[18] 스위스는 1450년 이후 기록 보관 시스템을 개발했다.[19]4. 3. 현대
현대 기록 보관 사상은 프랑스 혁명에서 기원한다. 1790년 혁명 중에 설립된 프랑스 국립문서보관소는 세계에서 가장 큰 기록 보관소(625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기록 보유)로, 혁명가들이 압수한 다양한 정부, 종교, 개인 기록 보관소에서 만들어졌다.[22]1883년, 프랑스 기록 보관 관리인 가브리엘 리슈는 1841년 나탈리스 드 왈리가 처음 발표한 ''기록물의 존중'' 이론을 체계화한 ''트라이트 테오리크 에 프라틱 데스 아르시브 푸블릭''(''공공 기록 보관소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서구 최초의 기록 보관 이론에 대한 글이었다.[23]
5. 사용자 및 기관
역사학자, 족보학자, 변호사, 인구통계학자, 영화 제작자 등이 자료보관소에서 연구를 수행한다.[24] 각 자료보관소의 연구 과정은 기관에 따라 고유하며, 미국의 최근 자료관리사 인구 조사에서는 '''학술적''', '''영리 사업''', '''정부''', '''비영리''', '''기타'''의 다섯 가지 주요 유형을 확인했다.[25] 자료보관소 관련 주요 연구 영역으로는 재료 기술, 조직 원칙, 지리적 위치, 인간과 비인간의 복잡한 구현 등이 있으며, 이는 어떤 종류의 자료보관소가 생성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분류에 도움이 된다.
5. 1. 학술 아카이브

대학, 대학교 및 기타 교육 시설의 기록 보관소는 일반적으로 도서관 내에 위치하며, 업무는 기록관리사가 수행한다.[26] 학술 기록 보관소는 기관의 역사를 보존하고 학계에 봉사하기 위해 존재한다.[27]
학술 기록 보관소에는 기관의 행정 기록, 전임 교수 및 총장의 개인 및 직업 관련 서류, 학교 조직 및 활동과 관련된 기념품, 희귀 서적이나 논문 사본과 같이 학술 도서관이 폐가 자료실 환경에서 보관하기를 원하는 자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보관소의 자료에 대한 접근은 일반적으로 사전 약속이 있어야만 가능하며, 일부는 문의를 위한 시간을 게시하기도 한다. 학술 기록 보관소 이용자는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진 및 직원, 학술 연구자 및 일반 대중이 될 수 있다.
많은 학술 기록 보관소는 도서관이나 학교에 대한 자금 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동문 관계 부서 또는 기타 캠퍼스 기관과 긴밀히 협력한다.[28] 채용 자격은 다를 수 있다. 초급 직책은 일반적으로 학사 학위를 요구하지만, 기록 보존 관리사는 일반적으로 역사 또는 도서관 과학 분야의 석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으며, 미국 도서관 협회와 같은 기관의 인증을 받은 경우가 많다.[29] 전문 분야 전문화는 상위 직책에서 더욱 일반적이다.[30]
5. 2. 기업 (영리) 아카이브
코카콜라(별도의 박물관인 코카콜라 월드도 소유하고 있음), 프록터 앤 갬블, 모토로라 헤리티지 서비스 및 아카이브, 리바이스와 같은 민간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아카이브를 운영하고 있다.[31] 이러한 기업 아카이브는 회사의 역사와 행정에 관련된 중요한 문서와 자료들을 보관하며,[31] 회사의 과거 기록을 보존함으로써 기업이 자체 브랜드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기업 아카이브의 기록 관리는 일반적인 아카이브의 역사적 측면과는 다르다. 기업 아카이브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역사 또는 도서관 관련 분야의 다양한 교육 배경과 학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아카이브는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으며, 소유 회사의 직원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아카이브는 예약을 통해 승인된 방문객에게 이용을 허가하기도 한다.[32] 기업 아카이브는 회사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자료 사용에 있어서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한다.[33]
5. 3. 정부 아카이브

정부 기록 보관소에는 중앙 정부뿐만 아니라 지방 및 주 정부에서 관리하는 기록 보관소도 포함된다. 기자, 족보 연구가, 작가, 역사학자, 학생, 그리고 자신의 고향이나 지역의 역사에 대한 정보를 찾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한다. 많은 정부 기록 보관소는 일반에 공개되며 방문 예약은 필요하지 않다.[34]
미국에서는 국립문서기록청(NARA)이 컬럼비아 특별구와 메릴랜드주 칼리지 파크에 중앙 기록 보관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전역에 지역 시설을 두고 있다. 일부 도시 또는 지방 정부에도 기록 보관소가 있을 수 있지만, 조직과 접근성은 매우 다양하다.[35]
영국에서는 영국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 이전에는 공공기록청)이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정부 기록 보관소이다.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실제 기록은 185km의 선반에 달하며, 매년 증가하고 있다.[40] 스코틀랜드 국립기록원(National Records of Scotland)은 에든버러에, 북아일랜드 공공기록청(Public Record Office of Northern Ireland)은 벨파스트에 위치하며 각각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의 정부 기록 보관소를 담당한다.[41][42]
인도 인도 국립기록원(National Archives)은 뉴델리에, 타이완 국립기록관리청은 타이베이에 위치해 있다.[46]
5. 4. 교회 아카이브
로마 가톨릭교회와 앵글리칸에서는 대교구, 교구, 본당에도 기록 보관소가 있다. 특히 수도원 기록 보관소는 몬테카시노 수도원, 생갈 수도원, 풀다 수도원 등 오래된 기록들을 보유하고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기록 보관소에는 사본, 교황령, 지역 교회 기록, 사진, 구술 역사, 시청각 자료, 건축 도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인 교회 기록 보관소로는 바티칸 사도 문서 보관소가 있다.[48]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 교파에도 기록 보관소가 있는데, 여기에는 장로교 역사 학회[49], 모라비안 교회 기록 보관소[50], 남침례교 역사 도서관 및 기록 보관소[51], 감리교회 연합 기록 및 역사 센터[52], 그리스도의 제자 교회(기독교 교회)[53] 등이 포함된다.
5. 5. 영화, 필름, 오디오 및 비디오 테이프 아카이브

영화 아카이브는 영화, 다큐멘터리, TV 프로그램, 뉴스릴 영상 등의 시청각 콘텐츠를 수집, 복원, 조사 및 보존한다. 국가는 종종 자국의 시청각 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자체 영화 아카이브를 운영한다. 국제 영화 아카이브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Archives)에는 77개국 이상의 150개 이상의 기관이 있으며, 유럽 영화 아카이브 및 시네마테크 협회(Association of European Film Archives and Cinematheques)는 1991년에 설립된 49개의 유럽 국가 및 지역 영화 아카이브의 연합체이다. 영화 보존의 역사와 다양한 관행을 개발한 기관 및 조직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은 페넬로페 휴스턴(Penelope Houston)의 ''Keepers of the Frame''을 참조하라.
5. 6. 비영리 아카이브
비영리 아카이브는 역사학회를 비롯하여 병원과 같은 비영리 사업체 및 재단 내 기록 보관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록 보관소는 일반적으로 기증자의 사적인 기금으로 설립되어 특정 사람이나 장소의 문서와 역사를 보존한다.[54] 이러한 기관들은 정부의 보조금과 사적인 기금에 의존할 수 있다.[54] 자금 상황에 따라 비영리 아카이브는 시골 마을의 역사학회만큼 작을 수도 있고, 정부 아카이브에 맞먹는 규모의 주 역사학회만큼 클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아카이브 사용자는 아카이브를 보관하는 기관만큼 다양할 수 있다. 비영리 아카이브의 직원은 전문 사서, 준전문가 또는 자원봉사자일 수 있으며, 비영리 아카이브 직책에 필요한 교육은 수장 자료의 사용자 기반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르다.[55]5. 7. 웹 아카이빙
웹 아카이빙(Web archiving)은 월드 와이드 웹의 일부를 수집하고, 미래의 연구자, 역사가 및 일반 대중을 위해 보존하는 과정이다. 웹의 방대한 크기 때문에 웹 아카이비스트들은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수집을 위해 웹 크롤러를 사용한다.마찬가지로, CPAN의 예에서처럼 소프트웨어 코드와 문서도 웹에 보관될 수 있다.
5. 8. 기타
일부 아카이브는 분류하기 어렵다. 북미의 아메리카 원주민 국가 내에는 부족 아카이브가 있으며, 개인의 문서 내에 존재하는 아카이브도 있다. 많은 박물관은 소장품의 출처를 증명하기 위해 아카이브를 보관한다. 아카이브 과학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을 적용하여 중요한 문서를 체계적으로 보관하려는 기관이나 개인은 아카이브를 가질 수 있다. 2004년 미국에서 실시된 아카이브 관리자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카이브 관리자의 2.7%가 범주화하기 어려운 기관에 고용되어 있었으며, 이는 자신을 프리랜서라고 밝힌 1.3%와는 별개의 수치였다.[56]또 다른 유형의 아카이브는 공공 비밀 프로젝트(Public Secrets project)이다.[57] 이것은 캘리포니아 주 교정 시스템에 수감된 여성들이 자신들에게 일어난 일을 설명하는 대화형 증언이다. 이 아카이브의 목표는 자신을 표현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하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 컬렉션에는 여성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녹취록과 오디오 녹음이 포함되어 있다.
개인의 아카이브에는 편지, 서류, 사진, 컴퓨터 파일, 스크랩북, 재정 기록 또는 개인이 작성하거나 수집한 일기가 매체 또는 형식에 관계없이 포함될 수 있다. 기업이나 정부와 같은 조직의 아카이브에는 행정 파일, 사업 기록, 메모, 공식 서신, 회의록과 같은 다른 유형의 기록이 포함되는 경향이 있다. 일부 아카이브는 두 가지 유형의 컬렉션을 모두 통합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결합된 컬렉션의 예로는 세계 각지의 개인과 조직으로부터 다양한 기증 컬렉션을 보유한 빅토리아 대학교 트랜스젠더 아카이브(Transgender Archives at the University of Victoria)가 있다. 이러한 기증물 중 상당수는 아직 목록화되지 않았지만 현재 디지털화 과정을 거쳐 온라인으로 공개될 예정이다.[58]
Arctic World Archive영어는 노르웨이 스발바르 군도에 위치한 상업용 데이터 보존 시설로, 여러 국가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있는 데이터와 미국 다국적 기업 깃허브(GitHub)의 모든 오픈소스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는 특수 개발된 필름 릴에 저장되어 영구 동토층 아래 깊이 매장된 강철 금고에 보관되며, 데이터 저장 매체는 500년에서 1000년 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59]
6. 표준화
국제문서보존협의회(ICA)는 ISAD(G)를 포함한 여러 문서기술 표준을 개발했다.[60] ISAD(G)는 국가 표준과 함께 사용하거나 각 국가가 자체 표준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61]
국제표준화기구(ISO)는 현재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65][66]
6. 1. 국제 표준
국제문서보존협의회(ICA)는 일반 국제 문서기술 표준(ISAD(G))을 포함한 여러 문서기술 표준을 개발했다.[60] ISAD(G)는 국가 표준과 함께 사용하거나 국가가 자체 표준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61] 미국에서는 ISAD(G)가 "DACS"로 널리 알려진 '''문서기술: 내용 표준(Describing Archives: A Content Standard)'''을 통해 구현된다.[62] 캐나다에서는 ISAD(G)가 문서보존협의회[63]를 통해 "RAD"로도 알려진 '''문서기술 규칙(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으로 구현된다.[64]국제표준화기구(ISO)는 현재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65][66]
6. 2. 국가별 표준
국제문서보존협의회(ICA)는 일반 국제 문서기술 표준(ISAD(G))을 포함한 여러 문서기술 표준을 개발했다.[60] ISAD(G)는 국가 표준과 함께 사용하거나 각 국가가 자체 표준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61] 미국에서는 ISAD(G)가 "DACS"로 널리 알려진 '''문서기술: 내용 표준(Describing Archives: A Content Standard)'''을 통해 구현된다.[62] 캐나다에서는 ISAD(G)가 문서보존협의회[63]를 통해 "RAD"로도 알려진 '''문서기술 규칙(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으로 구현된다.[64]국제표준화기구(ISO)는 현재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65][66]
7. 보호
많은 국가에서 기록 보관소에 보관된 문화재는 자연재해, 전쟁 또는 기타 비상사태의 위협을 받고 있다. 1954년 헤이그 문화재 보호 협약 및 1999년 제2 의정서에 따라 기록 보관소의 국제 파트너는 유네스코와 블루 실드 인터내셔널이다. 국가적 및 국제적 관점에서 문화재 보관 시설의 지속적인 존재를 보장하기 위해 기록 보관소와 지역 블루 실드 단체 간의 많은 협력이 있다. 전쟁 발생 시 유엔 평화유지군과의 협력 외에도 기록 보관소의 보호에는 "비타격 목록" 작성, 민간 및 군사 구조의 연결, 현지 인력 교육이 필요하다.[67][68][69][70]
7. 1. 국제 협력
많은 국가에서 기록 보관소에 보관된 문화재는 자연재해, 전쟁 또는 기타 비상사태의 위협을 받고 있다. 1954년 헤이그 문화재 보호 협약 및 1999년 제2 의정서에 따라 기록 보관소의 국제 파트너는 유네스코와 블루 실드 인터내셔널이다. 국가적 및 국제적 관점에서 문화재 보관 시설의 지속 가능한 존재를 보장하기 위해 기록 보관소와 지역 블루 실드 단체 간의 많은 협력이 있다. 전쟁 발생 시 유엔 평화유지군과의 협력 외에도 기록 보관소의 보호에는 "비타격 목록" 작성, 민간 및 군사 구조의 연결, 현지 인력 교육이 필요하다.[67][68][69][70]7. 2. 국내 노력
국내 기록 보관소에 보관된 문화재는 자연재해, 전쟁 또는 기타 비상사태의 위협을 받고 있다. 1954년 헤이그 문화재 보호 협약 및 1999년 제2 의정서에 따라 기록 보관소의 국제 파트너는 유네스코와 블루 실드 인터내셔널이다. 국가적 및 국제적 관점에서 문화재 보관 시설의 지속적인 존재를 보장하기 위해 기록 보관소와 지역 블루 실드 단체 간의 많은 협력이 있다. 전쟁 발생 시 유엔 평화유지군과의 협력 외에도 기록 보관소의 보호에는 "비타격 목록" 작성, 민간 및 군사 구조의 연결, 현지 인력 교육이 필요하다.[67][68][69][70]8. 한계 및 대안
기존 아카이브는 물리적 유물과 인쇄 문서를 주로 다루며, 디지털화되지 않은 자료를 디지털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여러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적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교차성 접근성을 우선시하고, 기존 아카이브 기관에 접근하기 어렵거나 꺼리는 사람들을 위한 반(反) 아카이빙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모건 M. 페이지(Morgan M. Page)는 트랜스젠더 역사를 텀블러, 트위터,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미디어나 팟캐스트를 통해 전파하는 것을 그 예로 들었다.[78] 반(反) 아카이빙은 기존의 역사 개념에 도전하고, 기존 아카이브에서 소외된 이야기를 위한 공간을 만들 수 있다.[81] 무정부적 아카이빙과 반(反) 아카이빙은 모두 사회 정의 활동에 기반을 두고 있다.[83]
8. 1. 디지털화의 한계
주로 물리적 유물과 인쇄 문서를 포함하는 아카이브는 디지털화되지 않은 항목, 즉 디지털로 생성되지 않은 자료들을 디지털화하여 보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검색 도구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때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물리적 아카이브의 범위를 벗어난 디지털 자료의 가용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디지털화된 자료에 격차가 있을 경우 손실이나 단절이 발생할 수 있다.[71] 물리적 아카이브와 디지털 아카이브 모두 보존, 분류, 아카이빙될 수 있다고 간주되는 콘텐츠 유형에 대해 특정한 제한을 갖는다. 기존의 제도화된 아카이브 공간은 덧없는 경험, 행동, 효과, 심지어 신체보다 유형의 항목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72][73] 이러한 잠재적 편향은 특정 유형의 지식을 특권화하거나 특정 경험을 다른 경험보다 더 유효한 것으로 해석하여 아카이브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한한다. 이는 정보 접근에 대한 장벽을 초래하며, 소외된 집단과 그들의 인식론 및 존재론을 더욱 소외시킬 수 있다.[74] 옴니아 엘 샤크리(Omnia El Shakry)가 보여주듯이, 파괴를 다루는 것은 탈식민 역사 서술의 중심 과제이다.[75] 아카이브 문서가 부족한 경우, 역사가들은 다른 출처와 방법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팔레스타인 국가 아카이브가 부족하여 많은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 역사가들은 이스라엘 국가 아카이브의 자료에 의존해야 했다.[76]
8. 2. 사회적 불평등 문제
기존의 제도화된 아카이브는 유형의 항목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어, 특정 유형의 지식을 특권화하거나 특정 경험을 다른 경험보다 더 유효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72][73] 이는 아카이브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한하고, 정보 접근에 대한 장벽을 만들며, 소외된 집단과 그들의 인식론 및 존재론을 더욱 소외시킬 수 있다.[74] 옴니아 엘 샤크리(Omnia El Shakry)는 파괴를 다루는 것이 탈식민 역사서술의 중심 과제라고 지적한다.[75] 예를 들어,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와 같이 아카이브 문서가 부족한 경우, 역사가들은 다른 출처와 방법에 의존해야만 했다.[76]이러한 문제 인식으로 인해 일부 활동가들은 교차성 접근성을 우선시하는 반(反) 아카이빙과 같은 대안을 구현하여, 현재 아카이브 기관에 접근하기 어렵거나 꺼리는 사람들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77][78][72]
8. 3. 대안적 아카이빙
일부 활동가들은 교차성 접근성을 우선시하여, 현재 아카이브 기관에 접근할 수 없거나 접근하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우선순위를 두는, 헤게모니적이고 백인 우월주의적 관행을 사용할 수 있는 현대 아카이브 기관을 탈식민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며, 아카이빙이나 반(反) 아카이빙과 같은 파괴적인 대안을 구현하고 있다.[77][78][72]그 예로 모건 M. 페이지(Morgan M. Page)가 트랜스젠더 역사를 텀블러, 트위터, 인스타그램과 같은 다양한 소셜 미디어 및 네트워크 플랫폼과 팟캐스트를 통해 트랜스젠더에게 직접 전파하는 것을 설명한 것을 들 수 있다.[78] 무정부적 아카이빙은 아카이브 자료가 컬렉션 내에서 잘 보존되는 것과 달리, 다루는 과정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리적 물체의 고유한 불변성과 점진적인 변화를 부각시킨다.[79]
반(反) 아카이빙 개념은 아카이브 대상으로 간주되는 것과 따라서 기존의 현대 아카이브에서 보존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78][80] 반(反) 아카이빙은 현대 아카이브에서 인식되는 "전통적인 역사 개념에 도전"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종종 많은 아카이브 자료에 존재하지 않는 이야기를 위한 공간을 만든다.[81] 반(反) 아카이빙 관행의 비전통적인 성격은 일반적으로 기존 아카이브에 공간이 없는 특정 역사적으로 중요한 경험, 공연 및 개인적 또는 문화적으로 관련된 이야기에 포함된 덧없는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82]
무정부적 아카이빙과 반(反) 아카이빙 관행은 모두 사회 정의 활동에 뿌리를 두고 있다.[83]
9. 템플릿 데이터
이 템플릿은 역사 서술 관련 문서에서 사용되는 탐색 상자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selected" 변수는 탐색 상자 내 특정 그룹의 접힘 상태를 결정하며, "state" 변수는 탐색 상자 전체의 접힘 상태를 결정한다. "selected" 변수의 값으로는 "출처", "분야", "방법론", "개념", "국가", "전쟁", "인물", "기타 주제", "단체", "관련" 등이 사용될 수 있고, "state" 변수의 값으로는 "펼침", "접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of Library and Internet Terms
http://www.usd.edu/l[...]
University of South Dakota Library
2007-04-30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ARCHIVE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2-06-01
[3]
웹사이트
The OPS Historical Archives - Ophthalmic Photographers' Society
https://www.opsweb.o[...]
2024-04-24
[4]
웹사이트
SAA Dictionary: archives
https://dictionary.a[...]
2024-04-24
[5]
논문
Theories of the Archive from Across the Disciplines
https://muse.jhu.edu[...]
2004-01-01
[6]
서적
Studies in the Public Records
[7]
웹사이트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http://www2.archivis[...]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12-12-07
[8]
웹사이트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http://www2.archivis[...]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13-10-21
[9]
사전
archive, n.
[10]
웹사이트
A Latin Dictionary
https://www.perseus.[...]
2015-09-24
[11]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2012-10-09
[12]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2011-06-06
[13]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2013-06-18
[14]
논문
What's an 'archivist'? Some nineteenth-century perspectives
[15]
서적
Record-Making and Record-Keeping in Early Societies
Routledge
[16]
웹사이트
From martial arts to the majlis: Seven Middle Eastern customs listed by Unesco
https://www.middleea[...]
2023-11-22
[17]
서적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
Skyhorse Publishing
2009
[18]
서적
From Memory to Written Record: England 1066–1307
Blackwell
[19]
논문
Knowing Like a State: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Knowledge in Swiss Archives, 1450–1770
https://www.jstor.or[...]
2018-12-16
[20]
서적
The earliest predecessors of archival science - Jacob von Rammingen's two manuals of the registry and archival management, printed in 1571, translated by JBLD Strömberg
Wallin & Dalholm, Lundaboken
[21]
논문
Il "De Archivis" di Baldassare Bonifacio
[22]
웹사이트
archive: Definition, Synonyms from
http://www.answers.c[...]
Answers.com
2010-06-01
[23]
논문
Les Premières publications des Archives
[24]
웹사이트
What Are Archives?
http://americanhisto[...]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2014-09-02
[25]
논문
Archival Census and Education Needs Survey in the United States: Part 1: Introduction
http://www.archivist[...]
2007-04-30
[26]
서적
The Management of College and University Archives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and The Scarecrow Press
[27]
웹사이트
Welcome to Universit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https://web.archive.[...]
Kennesaw State University Archives
2007-05-08
[28]
웹사이트
Guidelines for College and University Archives
http://www2.archivis[...]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14-09-02
[29]
논문
The Correlation of Archival Education and Job Requirements Since the Advent of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30]
웹사이트
So You Want to Be an Archivist: An Overview of the Archives Profession
http://www2.archivis[...]
2014-07-23
[31]
웹사이트
Business Archives Council
http://www.businessa[...]
businessarchivescouncil.org.uk
2007-05-08
[32]
웹사이트
Directory of Corporate Archives
http://www.hunterinf[...]
hunterinformation.com
2007-05-08
[33]
웹사이트
Business Archives in North America – Invest in your future: Understand your past
http://www.archivist[...]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07-05-08
[34]
웹사이트
Directions for Change
https://archive.toda[...]
collectionscanada.ca
2016-10-27
[35]
웹사이트
Cyndi's List - United States - U.S. State Level Records Repositories
http://www.cyndislis[...]
Cyndi's List of Genealogy Sites on the Internet
2014-09-02
[36]
간행물
Chapter Report: The Many Faces of Certification
1998-10-01
[37]
간행물
"'Are We There Yet?' Professionalism and the Development of an Archival Core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2005-03-01
[38]
웹사이트
FAQs About NARA's Certificate of Federal Records Management Training Program
https://www.archives[...]
[39]
웹사이트
Set 1: Employment, A*CENSUS Data Tabulated by State
http://www2.archivis[...]
[40]
웹사이트
What we have
https://www.national[...]
[41]
웹사이트
What We Do
https://www.nrscotla[...]
2013-05-31
[42]
웹사이트
Public Record Office of Northern Ireland
https://www.nidirect[...]
2016-03-04
[43]
웹사이트
Activité des services d'archives en France : données 2020 - Conservation et restauration
https://francearchiv[...]
[44]
웹사이트
Activité des services d'archives en France: données 2020 - Services à compétence nationale
https://francearchiv[...]
[45]
웹사이트
Les Archives nationales - Les voies et moyens d'une nouvelle ambition
https://www.ccomptes[...]
2016-11-01
[46]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dministration
https://www.archives[...]
[47]
웹사이트
About the Archives
http://www.eui.eu/Re[...]
[48]
웹사이트
Vatican Apostolic Archive
https://www.archivio[...]
[49]
웹사이트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http://history.pcusa[...]
[50]
웹사이트
Moravian Archives
http://www.moravianc[...]
[51]
웹사이트
Southern Baptist Historical Library and Archives
http://www.sbhla.org[...]
[52]
웹사이트
United Methodist Archives Center
http://www.gcah.org
[53]
웹사이트
Disciples of Christ Historical Society
http://discipleshist[...]
[54]
서적
A Primer for Local Historical Societies
American Association for State and Local History
[55]
서적
Independent Historical Societies: An Enquiry into Their Research and Publication Functions and Their Financial Future
Boston Athenaeum
[56]
논문
A*Census: A Closer Look
http://www.archivist[...]
[57]
웹사이트
Public Secrets
http://publicsecret.[...]
[58]
웹사이트
Transgender Archives - University of Victoria
https://www.uvic.ca/[...]
[59]
뉴스
Buried deep in the ice is the GitHub code vault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08-12
[60]
웹사이트
ICA Standards Page
http://www.ica.org/1[...]
[61]
웹사이트
http://www.ica.org/e[...]
[62]
웹사이트
Describing Archives: A Content Standard
http://www.archivist[...]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63]
웹사이트
Securus | Blog |
http://www.securus.c[...]
[64]
서적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http://www.cdncounci[...]
Bureau of Canadian Archivists
[65]
웹사이트
ISO/NP TS 21547-1 Health informatics – Secure archiving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 Part 1: Principles and requirements
http://www.iso.org/i[...]
[66]
웹사이트
ISO/DIS 11506 Document management applications – Archiving of electronic data – Computer output microform (COM) / Computer output laser disc (COLD)
http://www.iso.org/i[...]
[67]
서적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Military Manual
UNESCO
[68]
간행물
Cultural Property at War: Protecting Heritage during Armed Conflict
2008-03-01
[69]
서적
Museum Law: A Guide for Officers, Directors, and Counsel
[70]
뉴스
A no-strike list may shield Yemen`s ancient treasures from war
2017-01-23
[71]
논문
Raiders of the lost articles
2010-09
[72]
논문
Socially Engaged Art, Experimental Pedagogies, and Anarchiving as Research-Creation
https://journals.sag[...]
2021-02-06
[73]
논문
Bodies of Archives / Archival Bodies: An Introduction
2020
[74]
웹사이트
LibGuides: Visiting Special Collections: Silences and bias in archives
2021-02-06
[75]
서적
Practicing Sectarian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76]
웹사이트
Doing History
https://www.routledg[...]
2024-02-12
[77]
논문
Teaching to Dismantle White Supremacy in Archives
2017
[78]
서적
One from the Vaults: Gossip, Access, and Trans History-Telling
MIT
[79]
논문
Fugitives: Anarchival Materiality in Archives
https://www.ingentac[...]
2018-06-01
[80]
논문
Archive Fever: A Freudian Impression
https://www.jstor.or[...]
2021-02-06
[81]
서적
An archive of feelings : trauma, sexuality, and lesbian public cultures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1-02-06
[82]
웹사이트
Somehow I Found You: On Black Archival Practices
https://cmagazine.co[...]
2018-03-15
[83]
논문
Activating Diversity and Inclusion: A Blueprint for Museum Educators as Allies and Change Makers
2017-04-03
[84]
서적
“アーカイブという概念" アーカイブとは何か: 石版からデジタル文書まで、イタリアの文書管理
법정대학출판국
2012
[85]
웹사이트
芸術資料とアーカイブ/ドキュメンテーション
https://current.ndl.[...]
국립국회도서관
2015-06
[86]
서적
“アーカイブという概念" アーカイブとは何か: 石版からデジタル文書まで、イタリアの文書管理
법정대학출판국
2012
[87]
서적
“アーカイブを学ぶ" 入門・アーカイブズの世界-記憶と記録を未来に-
일외어소시에이츠
2006
[88]
웹사이트
12.史料論の現在(1)―古文書学からアーカイブズ学へ
http://www.f.waseda.[...]
와세다대학
[8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usd.edu/l[...]
2007-04-30
[90]
웹인용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http://www.archivist[...]
2010-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