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L. 샤이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L. 샤이러는 미국의 저널리스트이자 작가로, 1904년 시카고에서 태어나 1993년 매사추세츠주 레녹스에서 사망했다. 코 칼리지를 졸업하고 유럽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시카고 트리뷴》, 국제통신사, CBS 라디오 등에서 일했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상황을 베를린에서 보도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에드워드 R. 머로와 함께 국제 뉴스 방송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저서로는 《베를린 다이어리》, 《제3제국의 흥망》 등이 있으며, 《제3제국의 흥망》으로 전미 도서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미국의 역사가 - 로버트 버드
로버트 버드는 쿠 클럭스 클랜 가입을 후회하고 사과했으며, 1946년 정계 입문 후 50년 이상 연방 상원의원으로 활동하며 베트남 및 이라크 전쟁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고, 미국 역사상 최장수 상원의원으로 기록되었다. - 20세기 미국의 역사가 - 세이무어 마틴 립셋
세이무어 마틴 립셋은 현대화 이론과 민주화 연구에 기여하고 "립셋 가설"을 제시한 미국의 정치사회학자로, 스탠퍼드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지냈으며 미국 정치학회와 미국 사회학회 회장을 모두 역임했다. - 미국의 종군 기자 - 스티븐 크레인
스티븐 크레인은 1871년에 태어나 1900년에 사망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전쟁, 인간 심리, 사회 부조리 등을 다룬 자연주의, 리얼리즘, 인상주의 혼합의 독창적인 문학 스타일을 선보였다. - 미국의 종군 기자 - 메리 웰시 헤밍웨이
미국의 언론인이자 작가인 메리 웰시 헤밍웨이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네 번째 부인으로, 종군 기자로도 활동했으며 헤밍웨이 사후 그의 유작 관리인으로 활동했고, 자서전 《어땠을까》를 출간하기도 했다. - 피버디상 수상자 - 월터 크롱카이트
월터 크롱카이트는 1962년부터 1981년까지 CBS 이브닝 뉴스 앵커로 활동하며 "미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사람"으로 불렸고, 20세기 주요 사건들을 보도하며 미국 텔레비전 뉴스의 상징이 된 미국의 방송 저널리스트이다. - 피버디상 수상자 - 월터 리프먼
월터 리프먼은 미국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 정치 평론가로서 《더 뉴 리퍼블릭》의 창립 편집자였으며, "냉전" 용어 대중화, 언론인의 고정관념 개념 도입, 그리고 《여론》, 《공공 철학》 등의 저서를 통해 여론과 민주주의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윌리엄 L. 샤이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윌리엄 로렌스 샤이러 |
출생 | 1904년 2월 23일 |
출생지 | 시카고, 일리노이주 |
사망 | 1993년 12월 28일 (향년 89세) |
사망지 | 보스턴, 매사추세츠주 |
국적 | 미국 |
직업 | 언론인, 역사가 |
학력 | |
모교 | 코 칼리지 |
경력 | |
알려진 이유 | 전쟁 특파원, 작가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테레사 슈티베리츠 (1931년 결혼, 1970년 이혼) 마사 펠턴 (1972년 결혼, 1975년 이혼)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루고프스카야 (1987년 결혼) |
자녀 | 2명 |
2. 생애
윌리엄 L. 샤이러는 1904년 시카고의 개신교 가정에서 태어났다.[5] 1913년, 샤이러가 9살 때 아버지가 복막염으로 사망하면서 가족은 아이오와주 시더래피즈로 이사했다. 워싱턴 고등학교와 코 칼리지를 졸업했다(1925년).[2] 졸업 후 유럽으로 건너가 15년간 특파원으로 활동했다.[2]
1925년부터 1932년까지 ''시카고 트리뷴''의 유럽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유럽, 근동, 인도를 취재했고, 인도에서 마하트마 간디와 교류하기도 했다.[3] 1934년부터 베를린에서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나치 독일의 부상과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상황을 보도했다.[3] 에드워드 R. 머로와 함께 CBS 라디오 저널리스트 팀의 일원으로, 세계 최초의 국제 뉴스 방송 네트워크를 만들고 국제 뉴스 방송 스타일을 확립했다. 1941년, 미국으로 귀국하여 ''베를린 다이어리''를 출판했고, 1960년에는 ''제3제국의 흥망성쇠''로 전미 도서상을 수상했다.[11]
1931년, 오스트리아 사진작가 테레사 ("테스") 스티베리츠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으나 1970년에 이혼했다.[4] 이후 두 번 더 결혼했으며, 마지막 결혼은 사이먼스 록 칼리지에서 러시아어를 가르치던 이리나 루고프스카야와 했다.[4] 샤이러는 매사추세츠주 레녹스에서 생을 마감했다.[5]
2. 1. 초기 생애
윌리엄 L. 샤이러는 1904년 시카고에서 변호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3년, 샤이러가 9살 때 아버지가 복막염으로 사망했다. 가족은 아이오와주 시더래피즈로 이사했다. 샤이러는 워싱턴 고등학교와 코 칼리지를 졸업했다(1925년).[2] 샤이러는 학창 시절 가계를 돕기 위해 신문 배달과 달걀 판매를 했다. 졸업 후 지역 신문사에서 일하다가 유럽으로 건너가 15년간 특파원으로 활동했다.[2]2. 2. 언론인 활동
샤이러는 1925년부터 1932년까지 ''시카고 트리뷴''의 유럽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유럽, 근동, 인도를 취재했다. 인도에서는 마하트마 간디와 교류하기도 했다.[6] 1934년부터는 베를린에서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나치 독일의 부상과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상황을 보도했다.[6]1937년 유니버설 서비스가 문을 닫은 후, 인터내셔널 뉴스 서비스(INS)에 고용되었으나 몇 주 후에 해고되었다. 같은 날, CBS 유럽 지사장 에드워드 R. 머로의 제안으로 CBS에 합류하여, '머로의 아이들'로 불리는 최초의 방송 저널리스트 중 한 명이 되었다.[6]
1938년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안슐루스) 당시, 샤이러는 빈에서 최초의 검열받지 않은 현장 보고를 방송했다. 머로와 함께 유럽 5개 도시(베를린, 빈, 파리, 로마, 런던)를 연결하는 종합 방송을 제작했는데, 이는 방송 저널리즘의 새로운 공식을 확립하는 획기적인 업적이었다. 이 방송은 ''CBS 월드 뉴스 라운드업''의 시초가 되었다.[6]

1940년 콩피에뉴 휴전 협정을 독일 발표보다 먼저 미국에 보도하여 특종을 기록했다. 샤이러는 현장에서 히틀러의 모습을 묘사하며 "경멸, 분노, 증오, 복수, 승리로 불타고 있다"고 전했다.[2]
1940년 12월, 나치 독일의 검열 강화와 게슈타포의 감시 속에서 샤이러는 미국으로 귀국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담은 ''베를린 다이어리''(1941)를 출간했다.[6] 1945년 뉘른베르크 재판을 취재하기 위해 유럽으로 돌아왔고,[6] 1947년, CBS와의 갈등으로 회사를 떠나게 되었다.
2. 2. 1. CBS와의 갈등
William L. Shirer영어와 머로의 갈등은 1947년 면도 비누 제조 회사인 J. B. 윌리엄스가 샤이러의 일요일 뉴스 쇼 후원을 철회하면서 시작되었다.[13] 당시 공공 문제 담당 부사장이었던 머로와 CBS 수장인 윌리엄 S. 페일리는 다른 후원자를 찾지 않았고, 샤이러의 프로그램을 일요일 정오로 옮긴 후 한 달도 안 되어 제작을 중단했다. CBS는 샤이러가 즉석 인터뷰에서 한 발언 때문에 사임했다고 주장했지만, 샤이러는 사실상 강제로 쫓겨났다고 말했다. "페일리와 머로가 나를 더 모욕하도록 CBS에 남아 있을 의도는 없었다."[13]샤이러는 자신의 해고가 트루먼 독트린에 대한 비판, 언론 보도보다는 후원자를 달래는 데 중점을 둔 점에 대해 네트워크와 후원자가 그를 지지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후원자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이 냉전이 시작될 무렵 그가 "너무 진보적"이라는 뉘앙스를 풍겼다고 말했다.[13]
샤이러는 머로를 CBS에서 떠나게 된 책임으로 비난하며 머로를 "페일리의 아첨꾼"이라고 칭했다.[14] 그는 머로와 페일리가 이 상황에서 자신을 지지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당혹스럽다"고 인정했다. 샤이러는 필립 위글리 (당시 CBS의 최대 단일 광고주)로부터 시카고에서 방송하라는 제안을 거절한 것(페일리를 화나게 함), 샤이러와 머로 사이의 미묘한 경쟁 (샤이러는 자신이 결코 느끼지 못했다고 주장), 페일리와 머로가 샤이러가 떠나면서 발생한 부정적인 언론 보도에 대해 샤이러를 비난한 사실 등 몇 가지 요인이 작용했을 수 있다고 믿었다. CBS는 샤이러의 방송 종료에 항의하는 수천 통의 편지와 전화 통화를 받았다. 샤이러의 마지막 쇼가 일주일 후에 방송될 것이라고 발표한 방송 다음 날 화요일, 시위대가 CBS 입구 앞에 나타났다. 이 사건은 머로가 부사장직을 포기하고 뉴스 캐스팅으로 복귀하려는 열망을 앞당겼으며, 방송 저널리즘의 미래에 대한 그의 불안감과 페일리와의 어려움을 예고했다.[13]
샤이러와 머로의 우정은 회복되지 않았다. 샤이러가 사망한 후 출판된 샤이러의 베를린 방송 모음집인 ''이것이 베를린이다''의 서문에서 샤이러의 딸 잉가는 폐암으로 고통받고 있던 머로가 1964년 샤이러 부부를 자신의 농장으로 초대하여 틈을 메우려 했던 방식을 묘사한다. 머로는 이 틈에 대해 논의하려 했으나, 샤이러는 대화를 논쟁적인 문제에서 벗어나게 했고, 머로가 1965년에 사망하기 전에 다시 대화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
2. 3. 저술 활동
샤이러는 CBS에서의 업적으로 1946년 피바디상을 수상했다.[9] 1947년에 머로우와의 우정이 끝나고, CBS에서 퇴사했다. 샤이러는 ''레드 채널스(1950)''에 이름이 올라 방송 및 인쇄 저널리즘에서 배제되었고, 강연으로 수입을 얻어야 했다.1960년 사이먼 & 슈스터에서 출판한 《제3제국의 흥망성쇠》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하드커버는 첫 해에 20번 재판되었고, 월간 도서 클럽 에디션을 통해서만 60만 부 이상, 총 100만 부가 판매되었다.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요약본이 연재되고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으면서 미국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포셋 크레스트는 당시 최고 기록인 40만달러에 페이퍼백 판권을 획득했으며, 1.65USD에 추가로 100만 부가 판매되었다. 이 책은 1961년 전미 도서상 논픽션 부문[11]과 논픽션 부문 캐리-토마스상을 수상했다.[12]
샤이러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 | 제목 |
---|---|
1941 | 베를린 다이어리: 외국 특파원의 일기, 1934–1941 |
1947 | 베를린 다이어리 종말 |
1955 | 스칸디나비아의 도전 |
1960 | 제3제국의 흥망성쇠 |
1961 | 아돌프 히틀러의 흥망성쇠 |
1961 | 20세기 중반의 여정: 갈등의 세월을 겪는 서방 세계 |
1962 | 비스마르크 호의 침몰 |
1969 | 제3공화국의 붕괴 |
1976 | (자서전, 1권) 20세기 여정: 시작 |
1979 | 간디: 회고록 |
1984 | (자서전, 2권) 20세기 여정: 악몽의 세월 |
1990 | (자서전, 3권) 20세기 여정: 고향으로의 귀환 |
1994 | 사랑과 증오: 레오와 소냐 톨스토이의 고통스러운 결혼 |
1999 | 이것이 베를린이다: 1938–40년 나치 독일에서의 보도 |
1950 | 배신자 |
1954 | 낯선 자의 귀향 |
1956 | 영사의 아내 |
1931년, 샤이러는 오스트리아 사진작가 테레사 ("테스") 스티베리츠와 결혼했다. 이 부부는 에일린 ("잉가")과 린다라는 두 딸을 두었다. 샤이러와 그의 아내는 1970년에 이혼했다.[4] 1972년 마사 펠턴과 결혼했으나, 1975년에 이혼했다. 이후 사이먼스 록 칼리지에서 오랫동안 러시아어를 가르친 이리나 루고프스카야와 세 번째 결혼을 했다. 샤이러와 이리나는 자녀가 없었다.[4]
大久保和郎일본어·大島かおり일본어 역, 《베를린 일기 1934-1940》 (지쿠마 쇼보, 1977)
3. 개인사
샤이러는 사망 당시 매사추세츠주 레녹스에 거주하고 있었다.[5]
4. 저서
井上勇일본어 역, 《제3제국의 흥망》 전 5권 (도쿄 소겐샤, 1961 / 신역판(松浦玲일본어 역), 2008-2009)
大島かおり일본어 역, 《제3제국의 종말: 속 베를린 일기》 (지쿠마 쇼보, 1987)
井上勇일본어 역, 《프랑스 제3공화국의 흥망 1940년=프랑스 몰락의 탐구》 전 2권 (도쿄 소겐샤, 1971)
4. 1. 논픽션
출판 연도 | 제목 |
---|---|
1941년 | 베를린 다이어리: 외국 특파원의 일기, 1934–1941[9] |
1947년 | 베를린 다이어리 종말 |
1955년 | 스칸디나비아의 도전 |
1960년 | 제3제국의 흥망성쇠[10] |
1961년 | 아돌프 히틀러의 흥망성쇠 |
1961년 | 20세기 중반의 여정: 갈등의 세월을 겪는 서방 세계 |
1962년 | 비스마르크 호의 침몰 |
1969년 | 제3공화국의 붕괴[11] |
1976년 | 20세기 여정: 시작 (자서전, 1권) |
1979년 | 간디: 회고록 |
1984년 | 20세기 여정: 악몽의 세월 (자서전, 2권) |
앤서니 페이지가 감독하고, 샘 워터스턴이 샤이러 역을 맡은 1989년 미국 텔레비전 미니시리즈로 제작됨 | |
1990년 | 20세기 여정: 고향으로의 귀환 (자서전, 3권) |
1994년 | 사랑과 증오: 레오와 소냐 톨스토이의 고통스러운 결혼 |
1999년 | 이것이 베를린이다: 1938–40년 나치 독일에서의 보도 |
4. 2. 소설
- 배신자 (1950)
- 낯선 자의 귀향 (1954)
- 영사의 아내 (1956)
4. 3. 한국어 번역본
- 《베를린 일기 1934-1940》 (오쿠보 카즈로·오시마 카오리 역, 지쿠마 쇼보, 1977)
- 《제3제국의 흥망》 전 5권 (이노우에 이사무 역, 도쿄 소겐샤, 1961 / 신역판(마쓰우라 레이 역), 2008-2009)
- 《제3제국의 종말: 속 베를린 일기》 (오시마 카오리 역, 지쿠마 쇼보, 1987)
- 《프랑스 제3공화국의 흥망 1940년=프랑스 몰락의 탐구》 전 2권 (이노우에 이사무 역, 도쿄 소겐샤, 1971)
참조
[1]
서적
The Nightmare Years
1984
[2]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Simon and Schuster
2011-10-11
[3]
서적
20th Century Journey
Little, Brown
1976, 1984, and 1990
[4]
서적
20th Century Journey
Little, Brown
1976, 1984, and 1990
[5]
뉴스
William L. Shirer, Author, Is Dead at 89
https://www.nytimes.[...]
NYTimes.com
2017-05-05
[6]
서적
The Nightmare Years
[7]
서적
The Nightmare Years
Little, Brown
1984
[8]
간행물
Writings of History: Authenticity and Self-Censorship in William L. Shirer's Berlin Diary
[9]
뉴스
Peabody Awards for '46 Announced
http://americanradio[...]
1947-04-21
[10]
서적
20th Century Journey
Little, Brown
1990
[11]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61
https://www.national[...]
2012-02-20
[12]
간행물
The Reception of William L. Shirer's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in the United States and West Germany, 1960–62
http://www.history.u[...]
[13]
서적
20th Century Journey: A Native's Return: 1945-1988
Little Brown
[14]
서적
Edward R. Murrow: An American Original
McGraw-Hill
1988-11
[15]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dolf Hitler
Scholastic Book Services
1961
[16]
서적
The Coming of the Third Reich
Penguin Pres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