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립스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립스컴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나 켄터키 대학교에서 과학 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미네소타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화학 교수로 재직하며 X선 결정 구조 분석을 통해 보란의 분자 구조를 밝히고, 3중심 2전자 결합 이론을 발전시켜 197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립스컴은 또한 카르복시펩티다제 A, 아스파르트산 카르바모일전이효소 등 다양한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그노벨상 프레젠터,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렉싱턴 (켄터키주) 출신 - 크리스 스테이플턴
크리스 스테이플턴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기타리스트이며, 솔로 데뷔 후 여러 앨범을 발매하며 그래미상 등을 수상하고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 활동을 한다. - 렉싱턴 (켄터키주) 출신 - 메리 토드 링컨
메리 토드 링컨은 1818년 렉싱턴에서 태어나 에이브러햄 링컨의 부인이자 미국의 영부인이 되었으나, 결혼 후 화려한 생활, 질투심, 히스테리, 남북전쟁, 자녀의 요절, 남편의 암살 등으로 고통받으며 정신병원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사회적 배경, 정신 건강 문제, 영부인 역할 간의 갈등, 그리고 시대에 따른 재해석으로 복잡하게 얽혀있다. - 무기화학자 - 드미트리 멘델레예프
드미트리 멘델레예프는 주기율표를 제안하고 멘델레븀의 이름에 영향을 미친 러시아의 화학자이며, 러시아 도량형국 국장으로 미터법 도입에 기여했으며 1907년에 사망했다. - 무기화학자 - 앙리 무아상
프랑스 화학자 앙리 무아상은 불소를 최초로 분리하고 무아상 전기로를 개발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액체 플루오르화수소 전기분해를 통해 순수한 불소를 얻고 전기로를 이용해 붕소 및 인공 다이아몬드 합성 연구와 다양한 붕화물과 탄화물 합성에 기여하여 불소 화학과 무기 화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네소타 대학교 교수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 미네소타 대학교 교수 - 토머스 사전트
토머스 사전트는 합리적 기대 혁명의 주요 인물로서 정책 무효성 명제를 제안하고 합리적 기대 이론을 발전시켜 현대 거시경제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경제학자이며, 크리스토퍼 심스와 함께 거시경제의 인과 관계에 대한 경험적 연구로 201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윌리엄 립스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윌리엄 넌 립스컴 주니어 |
출생지 |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
국적 | 미국 |
학력 | |
모교 | 켄터키 대학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박사 지도 교수 | 라이너스 폴링 |
지도 학생 | 리처드 E. 디커슨 로알드 호프만 러셀 M. 피처 토머스 A. 스타이츠 도널드 보엣 돈 C. 와일리 이렌느 페퍼버그 더글러스 C. 리스 |
주목할 만한 학생 | 마사 L. 러드윅 마이클 로스만 레이먼드 C. 스티븐스 |
경력 | |
직장 | 미네소타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
연구 분야 | |
연구 분야 | 핵자기 공명 이론화학 붕소 화학 생화학 |
수상 | |
수상 | 피터 디바이상 (1973년) 노벨 화학상 (1976년) |
기타 | |
배우자 | |
자녀 | 4 |
2. 생애
윌리엄 립스컴은 오하이오 주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켄터키 주렉싱턴으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1941년 켄터키 대학교에서 과학 학사 학위를, 1946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6년부터 1959년까지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1959년부터 하버드 대학교에서 화학 교수로 재직했다. 1950년대에 X선 결정 구조 분석을 이용하여 보란의 분자 구조를 밝히고, 그 화학 결합을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했다. 로알드 호프만을 지도하여 카보란산 연구를 진행했으며, 단백질, 특히 효소의 원자 배열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국제 양자 분자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자 켄터키 커널 수상자였으며, 1961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이그노벨상의 상임 발표자로도 활동했다.
2011년 4월 14일, 폐렴 및 합병증으로 매사추세츠 주케임브리지에서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1]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오하이오 클리블랜드에서 의사인 아버지와 주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와 증조부 모두 의사였다.[2] 1920년 그의 가족은 켄터키 렉싱턴으로 이사했고,[3] 1941년 켄터키 대학교에서 화학 이학사 학위를 받을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그는 1946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에서 화학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어린 시절 립스컴의 가정 환경은 개인적인 책임감과 자립심을 강조했다. 특히 어머니가 음악을 가르치고 아버지의 의사 일이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했던 어린 시절에는 독립심이 장려되었다. 초등학교 시절 립스컴은 동물, 곤충, 애완동물, 암석, 광물을 수집했다.
천문학에 대한 관심은 그를 켄터키 대학교의 관측소 방문으로 이끌었고, H. H. 다운닝 교수는 그에게 로버트 호레이스 베이커의 『천문학』을 주었다. 립스컴은 이 책과 다운닝과의 대화를 통해 많은 직관적인 물리학 개념을 얻었다고 말한다.
어린 립스컴은 모스 부호를 이용한 전신 메시지나 수정 라디오 제작과 같은 다른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는데, 그와 함께 물리학자, 의사, 기술자가 된 다섯 명의 친구들이 있었다.
12세 때 립스컴은 작은 길버트 화학 세트를 받았다. 그는 공급업체에서 장치와 화학 물질을 주문하고, 의사인 아버지의 특권을 이용하여 지역 약국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화학 물질을 구입하여 이를 확장했다. 립스컴은 직접 불꽃놀이를 만들었고 색상 변화, 냄새, 폭발로 방문객들을 즐겁게 했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집에서 화학 실험을 하는 것에 대해 딱 한 번 의문을 제기했는데, 그가 요소를 소변에서 대량으로 분리하려 했을 때였다.
립스컴은 그의 아버지의 의학 서적을 탐독한 것과 라이너스 폴링의 영향을 받은 것을 훗날 생화학 연구를 시작하게 된 이유로 꼽았다. 만약 립스컴이 아버지처럼 의사가 되었다면, 립스컴 가문에서 4대째 의사가 되는 것이었다.
윌리엄 립스컴의 고등학교 화학 교사인 프레데릭 존스는 립스컴에게 유기 화학, 분석 화학, 일반 화학에 관한 대학 교재를 주었고, 립스컴에게 시험만 치르라고 했다. 수업 강의 동안 립스컴은 교실 뒤에서 자신이 독창적이라고 생각하는 연구를 했다(나중에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개미산 나트륨 (또는 옥살산 나트륨)과 수산화 나트륨으로부터의 수소 제조.[7] 그는 가스 분석을 포함하고 가능한 부반응을 찾기 위해 주의를 기울였다.
립스컴은 나중에 고등학교 물리 과정을 수료하고 그 과목에서 주(州) 대회에서 1등을 차지했다. 그는 또한 특수 상대성 이론에 매우 관심이 많아졌다.
립스컴은 음악 장학금을 받고 켄터키 대학교에 다녔다. 로버트 H. 베이커 교수는 립스컴에게 알코올과 물을 먼저 분리하지 않고 희석된 수용액으로부터 알코올 유도체의 직접적인 제조에 관한 연구를 제안했고, 이것이 립스컴의 첫 번째 출판으로 이어졌다.
대학원 진학을 위해 립스컴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를 선택했고, 그곳에서 그는 월 20달러의 물리학 조교직을 제안받았다. 그는 노스웨스턴 대학교로부터 월 150달러의 연구 조교직 제안을 거절했다. 컬럼비아 대학교는 노벨상 수상자인 해럴드 유레이 교수가 쓴 편지로 립스컴의 지원을 거부했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립스컴은 물리학과 W. V. 휴스턴 교수의 지도 아래 이론 양자 역학을 공부할 생각이었지만, 한 학기 후 라이너스 폴링 교수의 영향으로 화학과로 전과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립스컴의 대학원 시절은 다른 논문 작업 외에도 분산된 시간을 보냈는데, 그는 연기 입자 크기를 부분적으로 분석했지만, 주로 니트로글리세린–니트로셀룰로스 추진체와 관련된 작업을 했고, 이는 여러 번 순수한 니트로글리세린을 담은 바이알을 다루는 것을 포함했다.
2. 2. 학문적 경력
오하이오 주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켄터키 주렉싱턴으로 이주하여 1941년 켄터키 대학교에서 과학 학위를 취득할 때까지 그곳에서 보냈다. 1946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1]1946년부터 1959년까지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1959년부터 하버드 대학교의 화학 교수로 취임했다.[21]
1950년대에 X선 결정 구조 분석을 사용하여 보란의 분자 구조를 추정하고, 그 화학 결합을 설명하는 이론을 구축했다. 그는 후에 이 이론을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응용했다. 그중에는, 후에 노벨상을 수상하는 로알드 호프만을 지도한 카보란산 연구도 포함된다. 이후 단백질, 특히 효소의 원자 배치에 관심을 갖고 연구했다.[21]
국제 양자 분자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자 켄터키 커널 수상자이다.[21]
1961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으며, 이그노벨상의 상임 프레젠터도 맡았다.[21]
2. 3. 개인적인 삶
오하이오 주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켄터키 주렉싱턴으로 이주하여 1941년 켄터키 대학교에서 과학 학위를 받을 때까지 그곳에서 지냈다. 1946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1]1946년부터 1959년까지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1959년부터 하버드 대학교의 화학 교수로 재직했다.[21]
국제 양자 분자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자 켄터키 커널 수상자였다.[21] 1961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으며, 이그노벨상의 상임 프레젠터를 맡기도 했다.[21]
2011년 4월 14일, 폐렴과 합병증으로 매사추세츠 주케임브리지의 병원에서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1]
3. 주요 연구 업적
립스컴은 핵 자기 공명과 화학적 이동, 붕소 화학과 화학 결합의 본질, 그리고 거대 생화학 분자라는 세 가지 주요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세 분야는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으며, 일부 과학 기술을 공유한다. 립스컴은 처음 두 분야에서 실패 가능성이 높은 큰 과제를 설정하고, 중간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1940년대 후반, 립스컴은 보란 연구를 통해 전자 부족 금속간 화합물의 원자가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금속간 화합물 연구는 큰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대신 붕소 화학 분야가 크게 성장하면서 그 복잡성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시작되었다. 1960년대에는 금속간 화합물 계산 시간이 너무 길어 연구가 성공하지 못했지만, 붕소 결합 관련 중간 목표를 달성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1976년 노벨 화학상은 립스컴에게 "화학 결합의 문제를 밝히는 보란의 구조 연구"로 수여되었다.[13] 이는 그의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박사 지도교수인 라이너스 폴링이 1954년 "화학 결합의 본질에 대한 연구와 복잡한 물질의 구조 해명에 대한 응용"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것을 계승한 것이다.[14]
말년에 립스컴은 효소의 작용 방식과 같은 단백질의 원자 구조에 집중했다. 그의 연구팀은 X선 회절법을 사용하여 카르복시펩티다제 A, 아스파르트산 카르바모일전이효소, 류신 아미노펩티다제, HaeIII 메틸전이효소, 인간 인터페론 베타, 코리슴산 변이 효소, 과당 1,6-이중인산가수분해효소 등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으로 규명하고, 분자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분석했다.
3. 1. 핵자기 공명(NMR)과 화학적 이동
이 분야에서 립스컴은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새로운 폴리보란 종과 치환된 보란 및 카보란에 대한 구조 결정의 진보는 X선 회절 대신 [붕소-11]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사용하면 크게 가속될 것이다."
이 목표는 부분적으로 달성되었지만, 많은 원자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X선 회절이 필요하다. 오른쪽 그림은 보란 분자의 전형적인 핵자기 공명(NM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립스컴은 핵자기 공명(NMR) 분광법을 사용하여 "... 카보란 C2B10H12와 이러한 화합물에 대한 친전자성 공격 위치를 연구했다. 이 연구는 [립스컴의 포괄적인] 화학적 이동 이론 출판으로 이어졌다. 이 계산은 자기장 또는 전기장 내에서 여러 유형의 분자 거동을 설명하는 상수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값을 제공했다."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가레스 이튼과 윌리엄 립스컴이 저술한 책, ''보론 수소화물 및 관련 화합물의 NMR 연구'' 에 요약되어 있으며, 이는 립스컴의 두 권의 책 중 하나이다.
3. 2. 붕소 화학과 화학 결합의 본질
1940년대 후반, 립스컴은 보란 연구를 통해 전자 부족 금속간 화합물의 원자가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금속간 화합물 연구는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고, 대신 붕소 화학 분야가 크게 성장하면서 그 복잡성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시작되었다. 2005년 기준으로, 약 24,000개의 금속간 화합물 중 4,000개의 구조만 알려져 있었고, 화학 결합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다른 화합물의 구조 예측은 어려웠다.1960년대에는 금속간 화합물 계산 시간이 너무 길어 연구가 성공하지 못했지만, 립스컴은 붕소 결합 관련 중간 목표를 달성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3중심 2전자 결합은 디보란에서 설명된다(오른쪽 도표 참고). 일반적인 공유 결합에서는 한 쌍의 전자가 결합 양쪽의 두 원자를 결합한다. 디보란의 B-H 결합은 그림의 왼쪽과 오른쪽에 나타나 있다. 3중심 2전자 결합에서는 한 쌍의 전자가 세 개의 원자(양쪽 끝의 붕소 원자와 중간의 수소 원자)를 결합한다. 디보란의 B-H-B 결합은 그림의 위쪽과 아래쪽에 나타나 있다.
립스컴 연구진은 3중심 2전자 결합을 제안하거나 발견하지 않았고, 제안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공식을 개발하지도 않았다. 1943년, H. 크리스토퍼 롱게-히긴스는 옥스퍼드 학부생 시절 붕소 수소화물의 구조와 결합을 처음으로 설명했다. 그의 지도교수 R. P. 벨과 함께 작성한 논문은[8] 딜테이의 연구를 시작으로 이 주제의 역사를 검토했다. 1947년과 1948년에 프라이스에 의해 실험 분광학적 연구가 수행되어 디보란에 대한 롱게-히긴스의 구조를 확인했다. 1951년 K. 헤드버그와 V. 쇼메이커에 의한 전자 회절 측정으로 이 구조가 다시 확인되었다.[9]
립스컴과 그의 대학원생들은 1950년대에 X선 결정학을 사용하여 보란(붕소와 수소의 화합물)의 분자 구조를 더 규명하고, 그들의 화학 결합을 설명하는 이론을 개발했다. 이후 그는 카보란(탄소, 붕소, 수소의 화합물) 구조를 포함한 관련 문제에 동일한 방법을 적용했다. H. 크리스토퍼 롱게-히긴스와 로버츠는 붕소 원자 12면체의 전자 구조와 보라이드 MB6의 전자 구조에 대해 논의했다. 3중심 2전자 결합의 메커니즘은 롱게-히긴스의 후속 논문에서도 논의되었으며,[10] 에버하르트, 크로포드, 립스컴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립스컴 연구진은 또한 에드미스턴과 루덴버그, 보이스의 공식을 사용하여 전자 궤도 계산을 통해 이를 이해했다.
에버하르트, 크로포드, 립스컴의 논문은 특정 종류의 붕소 수소화물 결합 구성을 분류하기 위한 "styx 규칙" 방법을 고안했다.

립스컴은 원자 이동에 대한 수수께끼를 해결했는데, 이는 공동 저자가 없는 그의 몇 안 되는 논문 중 하나였다. 붕소와 수소의 화합물은 폐쇄된 케이지 구조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때때로 이러한 케이지의 꼭짓점에 있는 원자들이 서로에 대해 상당한 거리를 이동한다. 립스컴은 이러한 꼭짓점 재배열을 설명하기 위해 다이아몬드-정사각형-다이아몬드 메커니즘(왼쪽 다이어그램)을 제안했다. 예를 들어, 왼쪽 다이어그램에서 파란색으로 음영 처리된 면을 따라가면, 두 개의 삼각형 면이 왼쪽-오른쪽 다이아몬드 모양을 갖는다. 먼저, 이 인접한 삼각형에 공통적인 결합이 끊어져 사각형이 형성되고, 그런 다음 사각형은 이전에는 결합되지 않았던 원자를 결합하여 위쪽-아래쪽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다시 붕괴된다. 다른 연구자들은 이러한 재배열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발견했다.[11]

그라임스, 왕, 르윈, 립스컴이 결정한 B10H16 구조(오른쪽 도표)는 말단 수소가 없는 두 개의 붕소 원자 사이에 직접적인 결합을 발견했는데, 이는 다른 붕소 수소화물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특징이다.
립스컴 연구진은 경험적 방법과 양자 역학 이론에서 비롯된 계산 방법을 개발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계산하여 정확한 하트리-폭 자기 일관장(SCF) 분자 궤도를 생성했으며, 보란과 카보란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다.

에테인 회전에 대한 장벽(왼쪽 도표)은 피처와 립스컴에 의해 하트리-폭 (SCF) 방법을 사용하여 처음으로 정확하게 계산되었다.
립스컴의 계산은 "... 분산 및 국소화된 분자 궤도를 모두 포함하는 다중 중심 화학 결합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부분 결합에 대한 상세한 검토로 이어졌다. 여기에는 "... 결합 전자가 전체 분자에 걸쳐 분산되는 분자 궤도 묘사 제안..."이 포함되었다.[12]
"립스컴과 그의 동료들은 원자 특성의 전이 가능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했으며, 이를 통해 복잡한 분자에 대한 근사 이론은 간단하지만 화학적으로 관련된 분자에 대한 더 정확한 계산에서 개발되었다..."[12]
이후 노벨 화학상 수상자 로알드 호프만은 립스컴 연구실에서 박사 과정을 밟았다. 립스컴의 지도하에 확장 휠켈 방법 분자 궤도 계산이 로렌스 로어와 로알드 호프만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나중에 호프만에 의해 확장되었다. 립스컴의 연구실에서는 이 방법이 뉴턴에 의해 자기 일관장(SCF) 이론과 조정되었고, 보어에 의해 조정되었다.
유명한 붕소 화학자 M. 프레데릭 호손은 립스컴과 함께 초기 연구를 수행했고 계속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의 대부분은 립스컴의 저서 ''붕소 수소화물''에 요약되어 있다.
1976년 노벨 화학상은 립스컴에게 "화학 결합의 문제를 밝히는 보란의 구조 연구"로 수여되었다.[13] 이는 그의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박사 지도교수인 라이너스 폴링이 "화학 결합의 본질에 대한 연구와 복잡한 물질의 구조 해명에 대한 응용"으로 195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화학 결합의 본질에 대한 연구를 이어받은 것이다.[14]
이 섹션 내용의 절반 가량은 립스컴의 노벨 강연을 참고했다.
3. 3. 거대 생체 분자 구조와 기능
립스컴은 말년에 효소의 작용 방식과 같은 단백질의 원자 구조에 집중했다. 그의 연구팀은 X선 회절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으로 규명하고, 분자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분석했다.
카르복시펩티다제 A는 립스컴 연구팀이 처음으로 구조를 밝힌 단백질이다. 카르복시펩티다제 A는 다른 단백질을 소화하는 효소로, 췌장에서 만들어져 비활성 상태로 장으로 운반된 후 활성화된다. 이 효소는 단백질의 한쪽 끝에서 특정 아미노산을 하나씩 잘라내어 소화를 돕는다. 카르복시펩티다제 A의 구조는 이전에 밝혀진 어떤 분자보다 훨씬 컸다.

아스파르트산 카르바모일전이효소는 립스컴 연구팀이 두 번째로 구조를 밝힌 단백질이다. DNA 복제에는 뉴클레오타이드 복제본 세트가 필요한데, 아스파르트산 카르바모일전이효소는 피리미딘 뉴클레오타이드(시토신 및 티미딘) 생성 과정에 관여한다. 또한 활성제와 억제제가 이 효소에 결합하여 반응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양의 피리미딘 뉴클레오타이드가 생성되도록 한다. 아스파르트산 카르바모일전이효소는 12개의 분자로 구성된 복합체로, 내부에 있는 6개의 큰 촉매 분자가 반응을 일으키고 외부에 있는 6개의 작은 조절 분자가 촉매 분자의 작동 속도를 제어한다. 이 효소의 구조 역시 이전에 밝혀진 어떤 분자보다 훨씬 컸다.

류신 아미노펩티다제는 카르복시펩티다제 A와 유사하게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의 한쪽 끝에서 특정 아미노산을 하나씩 잘라내는 효소이다.

HaeIII 메틸전이효소는 DNA에 결합하여 메틸화(메틸기 첨가)를 일으키는 효소이다.

인간 인터페론 베타는 림프구에서 병원체에 반응하여 방출되며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코리슴산 변이 효소는 촉매작용을 통해 아미노산 페닐알라닌과 티로신 생성을 촉진하는 효소이다.

과당 1,6-이중인산가수분해효소와 그 억제제 MB06322(CS-917)는 립스컴 연구팀이 Ligand Pharmaceuticals에 인수된 Metabasis Therapeutics, Inc.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한 효소이다. MB06322 억제제는 과당 1,6-이중인산가수분해효소에 의한 당 생성을 늦추기 때문에 제2형 당뇨병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연구되었다.
립스컴 연구팀은 콩카나발린 A (저해상도 구조), 글루카곤, 및 탄산 탈수 효소 (이론 연구)에 대한 이해에도 기여했다.
이후 노벨 화학상 수상자 토머스 A. 스타이츠는 립스컴 연구실의 박사 과정 학생이었다. 립스컴의 지도 아래 메틸 에틸렌 인산염의 구조를 결정하는 과제를 수행한 후, 스타이츠는 카르복시펩티다제 A와 아스파르트산 카르바모일전이효소의 원자 구조 결정에 기여했다. 스타이츠는 이후 훨씬 더 큰 50S 리보솜 소단위체의 구조를 밝혀 의학적 치료법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 공로로 200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아다 요나스 역시 립스컴 연구실에서 잠시 연구했으며, 이후 토머스 A. 스타이츠, 벵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과 함께 2009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녀는 1970년 MIT 박사후 연구원 시절 립스컴 연구실에서의 경험이 자신과 스타이츠가 훗날 매우 큰 분자 구조를 연구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고 밝혔다.
4. 기타 업적
광물 립스콤바이트(오른쪽 사진)는 광물학자 존 그루너가 인공적으로 처음 만든 후 립스콤 교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저온 X선 회절은 립스콤 연구실에서 개척되었으며, 당시 이사도어 팽컨의 브루클린 폴리테크닉 연구소 연구실에서 진행된 연구와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졌다. 립스콤은 액체 질소 온도 이하에서만 고체 상태인 질소, 산소, 플루오린 및 기타 물질의 화합물을 연구하는 것으로 시작했지만, 다른 장점들로 인해 저온은 결국 일반적인 절차가 되었다. 데이터 수집 중 결정을 차갑게 유지하면 원자가 열 운동을 덜하기 때문에 덜 흐릿한 3차원 전자 밀도 지도를 생성한다. X선 빔에서 결정은 더 오랫동안 양질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데이터 수집 중에 X선 손상이 감소하고 용매가 더 천천히 증발하기 때문이며, 이는 예를 들어 결정에 종종 높은 비율의 물이 포함된 큰 생화학 분자에게 중요할 수 있다.
립스콤과 그의 제자들이 연구한 다른 중요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히드라진
- 일산화 질소
- 금속 디티올렌 착체
- 메틸 에틸렌 인산염
- 수은 아미드
- (NO)2
- 결정 플루오린화 수소
- 루신의 흑색 염
- (PCF3)5
-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엔과 철 트리카보닐의 착체
- 여러 암 치료에 사용되는 레우로크리스틴(빈크리스틴)
5.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및 경력 |
---|---|
1954년 | 구겐하임 펠로우[17] |
1960년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18] |
1971년 | 센테니얼 상 |
1973년 | 피터 디바이상 |
1976년 | 렘센 상, 노벨 화학상[19] |
1987년 | 슈뢰딩거 메달 |
기타 |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MIT-하버드 연구 저널 교수 자문 위원회 회원 |
참조
[1]
뉴스
William Lipscomb, Nobel Winner in Chemistry, Dies at 91
https://www.nytimes.[...]
2011-04-15
[2]
간행물
William Nunn Lipscomb Jr (1919–2011)
https://www.nature.c[...]
2011-05-18
[3]
Nobelprize
2020-05-30
[4]
웹사이트
obit fyi – Mary Adele Sargent Lipscomb, 1923 Ca. – 2007 NC – Sargent – Family History & Genealogy Message Board – Ancestry.com
http://boards.ancest[...]
Boards.ancestry.com
2007-09-27
[5]
뉴스
OBITUARY: William N. Lipscomb dies at 91; won Nobel Prize in chemistry – Los Angeles Times
https://www.latimes.[...]
Articles.latimes.com
2011-04-16
[6]
간행물
William Nunn Lipscomb Jr. (1919–2011), Nobel Laureate and Borane Chemistry Pioneer: An Obituary–Tribute
http://www.nesacs.or[...]
2011-07-19
[7]
웹사이트
HighSchool – Publications – Lipscomb
http://wlipscomb.tri[...]
Wlipscomb.tripod.com
1937-02-25
[8]
간행물
64. The Structure of the Boron Hydrides
[9]
간행물
A Re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s of Diborane and Ethane by Electron Diffraction
[10]
간행물
title unknown
[11]
간행물
Unprecedented steric deformation of ortho-carborane
http://pubs.rsc.org/[...]
2008
[12]
간행물
Carborane
[13]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76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1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54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15]
웹사이트
rcsb.org
http://www.rcsb.org/
rcsb.org
[16]
웹사이트
ligand.com
http://www.ligand.co[...]
ligand.com
[17]
웹사이트
All Fellows: L
http://www.gf.org/fe[...]
2011-04-15
[18]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L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15
[19]
웹사이트
W.N. Lipscomb
http://www.knaw.nl/P[...]
2011-04-15
[20]
웹사이트
CV – Biog – Publications – Lipscomb
http://wlipscomb.tri[...]
Wlipscomb.tripod.com
[21]
뉴스
ウィリアム・リプスコム氏死去 ノーベル化学賞受賞者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1-04-16
[22]
웹인용
William Lipscomb - Autobiography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2-02-01
[23]
뉴스
William Lipscomb, Nobel Winner in Chemistry, Dies at 91
https://www.nytimes.[...]
2011-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