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고슬라비아의 국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고슬라비아의 국장은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에 걸쳐 사용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장은 세르비아의 국장을 기반으로 하였으나, 왕관이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의 것으로 바뀌고, 방패에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의 상징이 추가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장은 붉은 별과 밀 이삭, 횃불을 사용하여 6개의 공화국을 상징했으며, 각 공화국은 자체적인 국장을 별도로 사용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각 공화국은 새로운 국장을 제정하거나 이전 국장을 복원하여 사용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나라의 국장 - 동독의 국장
    동독의 국장은 1955년 공식 채택되어 독일 재통일까지 사용되었으며, 밀 이삭, 망치, 컴퍼스로 구성되었고 1959년 동독 국기에 추가되었으나 재통일 후 사용이 중단되었다.
  • 옛 나라의 국장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장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장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연합을 상징하기 위해 디자인되었으며, 적색 바탕의 은색 쌍두 독수리 위에 몬테네그로의 금색 사자와 세르비아의 은색 십자형 4개의 부싯돌이 그려진 방패가 있는 형태였으나,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국민투표 이후 사용이 중단되었다.
  • 밀 문장 - 동독의 국장
    동독의 국장은 1955년 공식 채택되어 독일 재통일까지 사용되었으며, 밀 이삭, 망치, 컴퍼스로 구성되었고 1959년 동독 국기에 추가되었으나 재통일 후 사용이 중단되었다.
  • 밀 문장 - 베트남의 국장
    베트남의 국장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을 상징하며, 붉은색 바탕에 금색 별, 벼 이삭, 톱니바퀴, 그리고 국호가 새겨져 있다.
유고슬라비아의 국장
국장 정보
유고슬라비아의 국장 (1963–1992)
유고슬라비아의 국장 (1963–1992)
국가유고슬라비아
채택 연도1963년
구성 요소붉은 별
함께 타오르는 6개의 횃불

1943년 11월 29일 날짜가 새겨진 푸른 리본
디자인 변천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장 (1943–1963)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장 (1943–1963). 이 버전은 5개의 유고슬라비아 민족의 형제애와 단결을 상징하는 5개의 횃불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버전에서는 보스니아 무슬림을 위해 6번째 횃불이 추가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의 국장 (1943–1946)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의 국장 (1943–1946)
이전 국장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의 국장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장 (1943–1963)
용도
사용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공식 국장으로 사용되었다.

2.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장 (1918년 ~ 1941년)

유고슬라비아 왕국(1929년까지는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의 국장세르비아의 국장에서 발전된 형태이다. 두 국장은 몇 가지 주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는 왕관인데, 세르비아 왕국의 국장에는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왕관이 있었던 반면,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장에는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의 왕관이 그려져 있었다.

두 번째 차이점은 흰색 쌍두 독수리 위에 얹힌 방패였다. 이전의 세르비아의 국장에는 세르비아의 테트라그람 십자만이 그려져 세르비아인만을 대표하였다. 그러나 1918년 유고슬라비아가 건국되면서, 방패는 새로 통합된 크로아티아인(빨간색과 흰색의 체커판)과 슬로베니아인의 상징을 포함하도록 수정되었다. 슬로베니아인을 상징하는 문양으로는 첼레 백작 가문의 문장에서 유래한 거꾸로 된 삼각형 모양으로 배열된 세 개의 금색 육각별이 채택되었다.[14] 1926년에는 10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지폐에 유고슬라비아 왕실 국장이 등장하기도 했다.[15]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의 첫 번째 국장 (1918년~1921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대국장 (1921년~1941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소국장 (1921년~1941년)

3.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장 (1943년 ~ 1992년)

한때 니시 대학교 건물에 있던 국장은 복원 및 재도색되어 현재 니시 요새 도시 정원에 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장은 1943년 11월 29일 유고슬라비아 민족해방을 위한 반파시스트 평의회(AVNOJ)가 야이체에서 제2차 회의를 열어 연방 공화국을 수립하고 전후 국가 조직의 기반을 마련하면서 제정되었다.[1] 이 날은 공화국 수립 후 '공화국의 날'로 기념되었다.

국장은 꼭대기에 붉은 별이 달린 밀 이삭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여섯 개의 횃불이 하나의 불꽃으로 타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6개 공화국의 형제애와 통일을 상징한다.[1]

처음에는 5개의 횃불이 크로아티아인, 마케도니아인, 몬테네그로인, 세르비아인, 슬로베니아인 5개 민족을 상징했으나,[4] 196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국호가 변경되면서 6개 공화국을 상징하는 6개의 횃불로 바뀌었다.[5] 보스니아인은 1960년대 후반에 민족으로 인정받았다.[4]

국장에는 '1943년 11월 29일'이라는 날짜가 새겨진 파란색 리본이 밀 이삭을 묶고 있다. 유고슬라비아의 국장은 구성 공화국의 국장과 마찬가지로 사회주의 양식 문장의 한 예였다.[1]

3. 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구성 공화국의 국장

유고슬라비아를 구성했던 6개 공화국은 각자의 국장을 가지고 있었다. 각 공화국의 국장은 공통적으로 붉은 별을 상단에 배치하고, 이삭 등으로 둘러싸인 형태를 취했다. 각 공화국의 특징적인 상징(예: 크로아티아의 체커판, 슬로베니아의 트리글라브 산)과 함께, 사회주의적 요소(예: 톱니바퀴, 굴뚝)가 포함되었다.[16][17][18][19][20]

공화국문장설계자공화국별 특징오늘날의 국장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20x120픽셀
알려지지 않음식물침엽수 가지(좌측), 낙엽수 가지(우측), 두 다발 (중앙 하단)
114x114픽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장
풍경, 지리적 특징야이체의 실루엣
산업두 개의 공장 굴뚝
장식붉은 리본
크로아티아
129x129픽셀
안툰 아우구스틴치치와 바냐 라다우시[16]식물
133x133픽셀


크로아티아의 국장
풍경, 지리적 특징아드리아해, 떠오르는 태양
산업철제 모루
장식체커판
마케도니아
117x117픽셀
rowspan="4" align="center" |식물화환, 담배 잎, 양귀비 꽃봉오리
107x107픽셀


북마케도니아의 국장
풍경, 지리적 특징바르다르강, 코라브산, 해돋이, 하늘
산업
장식전통 마케도니아 자수 리본
몬테네그로
121x121픽셀
와 밀로 밀루노비치[18]식물월계관
115x115픽셀


몬테네그로의 국장
풍경, 지리적 특징로브첸산,[19] 아드리아해
산업
장식범슬라브색몬테네그로[19] 삼색기
세르비아
128x128픽셀
조르제 안드레예비치 쿤식물 한 뭉치(좌측), 도토리가 달린 참나무 한 뭉치(우측)
125x125픽셀


세르비아의 국장
풍경, 지리적 특징해돋이, 하늘
산업톱니바퀴
장식붉은 자취(비문 포함), 세르비아 전통 상징
슬로베니아
102x102픽셀
rowspan="4" align="center" |식물밀, 린덴
128x128픽셀


슬로베니아의 국장
풍경, 지리적 특징트리글라브산, 바다[20]
산업
장식붉은 리본


4.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장 참고

참조

[1] 서적 Grofje Celjski med zgodovino in mitom Zgodovinsko društvo
[2] 웹사이트 10 dinar note of 1926 http://aes.iupui.edu[...] 2012-02-24
[3] 간행물 Diplomati izvan protokola : ambasadori Titove Jugoslavije Centar za kulturnu djelatnost Saveza socijalističke omladine Zagreba
[4] 간행물 Coats of arms of Macedonia http://heraldika.org[...] Macedonian Herald
[5] 서적 Grbovi, zastave i himne u istoriji Crne Gore "Svetigora" (Izdavačko-informativna ustanova Mitropolije Crnogorsko-primorske)
[6] 간행물 Constitution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Montenegro https://books.google[...] Prosveta
[7] 문서 8. člen Ustave Socialistične republike Slovenije (1974) https://sl.wikisourc[...]
[8] 문서 柴、ベケシュ、山崎
[9] 문서 Stuparić
[10] 간행물 Coats of arms of Macedonia http://heraldika.org[...] Macedonian Herald
[11] 서적 Grbovi, zastave i himne u istoriji Crne Gore "Svetigora" (Izdavačko-informativna ustanova Mitropolije Crnogorsko-primorske)
[12] 간행물 Constitution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Montenegro https://books.google[...] Prosveta
[13] 문서 8. člen Ustave Socialistične republike Slovenije (1974) https://sl.wikisourc[...]
[14] 서적 Grofje Celjski med zgodovino in mitom Zgodovinsko društvo
[15] 웹사이트 10 dinar note of 1926 http://aes.iupui.edu[...] 2012-02-24
[16] 간행물 Diplomati izvan protokola : ambasadori Titove Jugoslavije Centar za kulturnu djelatnost Saveza socijalističke omladine Zagreba
[17] 간행물 Coats of arms of Macedonia http://heraldika.org[...] Macedonian Herald
[18] 서적 Grbovi, zastave i himne u istoriji Crne Gore "Svetigora" (Izdavačko-informativna ustanova Mitropolije Crnogorsko-primorske)
[19] 간행물 Constitution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Montenegro https://books.google[...] Prosveta
[20] 문서 8. člen Ustave Socialistične republike Slovenije (1974) https://sl.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