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토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토리는 참나무속 식물의 열매로, 가뭄이나 흉작 시 구황식량으로 사용되었다. 《본초강목》에 따르면 흉년에는 식용, 풍년에는 돼지 사료로 사용되었으며, 잘 익은 도토리는 수십 년 보관도 가능했다. 도토리는 산림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치, 다람쥐, 돼지, 곰 등의 먹이가 된다. 도토리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미네랄, 비타민 등이 풍부하지만 탄닌 성분 때문에 쓴맛이 난다. 도토리는 묵, 커피 대용품, 장난감, 공예품 등으로 활용되며,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상징과 속담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견과 - 브라질너트
브라질너트는 아마존 열대우림의 브라질너트나무 씨앗으로, 원시림에서 특정 벌에 의해 수분되어 열매를 맺으며, 설치류가 씨앗을 퍼뜨리고, 브라질, 볼리비아, 페루 등에서 생산되며,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안전성 문제와 불법 벌채 문제가 존재하고, 열대우림 보존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견과 - 밤 (열매)
밤은 밤나무 열매를 통칭하며, 탄수화물과 무기질 등이 풍부하고 다양한 형태로 섭취되며, 한국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장식 - 카르투슈
카르투슈는 고대 이집트에서 파라오의 이름을 새기는 데 사용된 타원형 장식틀로, 대중문화에서 고대 이집트 배경 작품의 소품으로 등장하며 스토리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장식 - 장식품
장식품은 다양한 문화권 예술의 중요한 요소로서 시대에 따라 장식 수준이 변동했으며, 알로이스 리글의 연구 이후 다양한 문화유산을 참고한 장식 스타일이 등장했고, 판화 기술 발전은 장식 요소 접근성을 높였으며, 현대 건축에서는 장식 제거 시도와 함께 현대적 장식 어휘 고안 등 다양한 대응이 나타났고, 19세기에는 장식 관련 저서들이 출판되어 당시 장식 예술 경향을 파악하는 데 기여했다. - 참나무과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참나무과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도토리 | |
---|---|
일반 정보 | |
![]() | |
설명 | 참나무의 열매 |
크기 | 1–6cm (길이), 0.8–4cm (너비) |
생태 및 용도 | |
분포 | 식물 생태학 |
먹이 | 다람쥐 새 멧돼지 |
활용 | 음식 약재 사료 |
영양 정보 (생것 기준) | |
수분 | 27.9g |
에너지 | 1619kJ |
단백질 | 6.15g |
지방 | 23.85g |
포화 지방 | 3.102g |
단일 불포화 지방 | 15.109g |
다중 불포화 지방 | 4.596g |
탄수화물 | 40.75g |
칼슘 | 41mg |
구리 | 0.621mg |
철분 | 0.79mg |
마그네슘 | 62mg |
인 | 79mg |
칼륨 | 539mg |
나트륨 | 0mg |
망간 | 1.337mg |
아연 | 0.51mg |
비타민 C | 0.0mg |
티아민 (비타민 B1) | 0.112mg |
리보플라빈 (비타민 B2) | 0.118mg |
니아신 (비타민 B3) | 1.827mg |
판토텐산 (비타민 B5) | 0.715mg |
비타민 B6 | 0.528mg |
엽산 (비타민 B9) | 87ug |
비타민 A | 2ug |
레티놀 | 0ug |
트립토판 | 0.074g |
트레오닌 | 0.236g |
아이소류신 | 0.285g |
류신 | 0.489g |
라이신 | 0.384g |
메티오닌 | 0.103g |
시스테인 | 0.109g |
페닐알라닌 | 0.269g |
티로신 | 0.187g |
발린 | 0.345g |
아르기닌 | 0.473g |
히스티딘 | 0.170g |
알라닌 | 0.350g |
아스파르트산 | 0.635g |
글루탐산 | 0.986g |
글리신 | 0.285g |
프롤린 | 0.246g |
세린 | 0.261g |
어원 | |
영어 | Acorn (에이콘) |
한국어 | |
한국어 표기 | 도토리 |
관련 지명 | 돗토리현 |
2. 역사
예로부터 가뭄이나 흉작으로 먹을 것이 귀해졌을 때 쌀, 보리 등의 주식을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구황작물로 도토리가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도토리는 평소에도 먹기 좋아 인기가 있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평년에도 도토리를 수집하여 비축하도록 하였다. 본초강목에는 흉년에 산사람들이 도토리로 밥을 해 먹거나 찧어서 가루로 먹었고, 풍년에는 돼지에게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잘 익은 도토리는 보관을 잘하면 수십 년이 지나도 사용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조정에서는 소나무가 잘 자라지 못하는 산에 잣나무와 도토리 나무를 심는 것을 장려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정에서 지나치게 도토리를 걷어 백성에게 폐를 끼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acorn'(이전에는 'akerne', 'acharn')이라는 단어는 "울타리가 없는 땅의 열매"라는 의미를 가진 고트어 이름 'akran'과 관련이 있다.[3] 이 단어는 떡갈나무의 가장 중요한 숲 생산물에 적용되었다. 초서는 14세기에 "achornes of okes"에 대해 언급했다. 점차 대중적인 어원은 이 단어를 "corn"과 "oak-horn"과 연결했고, 철자가 그에 따라 변경되었다.[4] 현재 철자(15~16세기경에 나타남)는 'ac'(고대 영어: "oak") + 'corn'과 연관되어 파생되었다.[5]
2. 1. 한국
예로부터 가뭄이나 흉작으로 먹을 것이 귀해졌을 때 쌀, 보리 등의 주식을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구황작물로 도토리가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도토리는 평소에도 먹기 좋아 인기가 있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평년에도 도토리를 수집하여 비축하도록 하였다. 본초강목에는 흉년에는 산사람들이 도토리로 밥을 해 먹거나 찧어서 가루로 먹었고, 풍년에는 돼지에게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잘 익은 도토리는 보관을 잘하면 수십 년이 지나도 사용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조정에서는 소나무가 잘 자라지 못하는 산에 잣나무와 도토리 나무를 심는 것을 장려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정에서 지나치게 도토리를 걷어 백성에게 폐를 끼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2. 2. 세계
'acorn'(이전에는 'akerne', 'acharn')이라는 단어는 "울타리가 없는 땅의 열매"라는 의미를 가진 고트어 이름 'akran'과 관련이 있다.[3] 이 단어는 떡갈나무의 가장 중요한 숲 생산물에 적용되었다. 초서는 14세기에 "achornes of okes"에 대해 언급했다. 점차 대중적인 어원은 이 단어를 "corn"과 "oak-horn"과 연결했고, 철자가 그에 따라 변경되었다.[4] 현재 철자(15~16세기경에 나타남)는 'ac'(고대 영어: "oak") + 'corn'과 연관되어 파생되었다.[5]3. 생태
참나무가 풍부하거나 경관을 지배할 때, 도토리는 산림 생태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6] 도토리 생산량은 매우 다양하여 도토리에 의존하는 많은 동물과 그 동물의 포식자에게 풍요로움 또는 큰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다.[7] 도토리는 다른 견과류와 함께 마스트라고 불린다.
도토리를 식단의 중요한 부분으로 섭취하는 야생 동물로는 어치류, 비둘기류, 일부 오리류, 여러 종의 딱따구리가 있다. 도토리를 먹는 작은 포유류로는 생쥐, 다람쥐 및 여러 다른 설치류가 있으며, 딱정벌레 종 중 하나인 ''Thorectes lusitanicus''도 도토리를 먹는다.[8] 도토리는 서식지에서 작은 설치류에 큰 영향을 미치며, 도토리의 풍작은 설치류 개체수의 증가에 도움이 된다.[9]
돼지, 곰, 사슴과 같은 대형 포유류도 많은 양의 도토리를 섭취하며, 가을철 사슴의 식단의 최대 25%를 차지할 수 있다.[10]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고 잉글랜드 남부의 뉴 포레스트 지역에서는 가을에 돼지를 ''데헤사''(대규모 참나무 숲)에 풀어놓아 도토리를 먹고 살을 찌게 한다. 반면에 도토리의 과도한 섭취는 탄닌을 해독할 수 없는 다른 동물, 예를 들어 말이나 소에게는 독성이 있을 수 있으며,[11][12] 특히 과다 섭취하는 경우에 더욱 그렇다.[13][14][15] 일부 나방과 바구미의 유충도 어린 도토리 안에 살면서 발달하는 동안 씨앗을 섭취한다.[16]
도토리는 크고 효율적으로 섭취하거나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동물들에게 매력적이다. 도토리는 또한 영양소가 풍부하다. 비율은 종에 따라 다르지만, 모든 도토리에는 많은 양의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뿐만 아니라 미네랄 칼슘, 인 및 칼륨, 그리고 비타민 나이아신이 들어있다. 도토리의 총 에너지도 종에 따라 다르지만, 다른 야생 식품 및 다른 견과류와 잘 비교된다.[17]
도토리에는 또한 쓴 탄닌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양은 종에 따라 다르다. 식물 폴리페놀인 탄닌은 동물의 단백질 대사 능력을 방해하기 때문에, 생물들은 도토리에 포함된 영양적 가치를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해야 한다. 동물들은 탄닌이 적게 함유된 도토리를 선호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탄닌이 소에서 대사될 때 생성되는 탄닌산은 궤양과 신장 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12]
저장하는 동물(예: 어치와 다람쥐)은 탄닌을 침출시키기 위해 충분한 지하수가 통과할 때까지 일부 도토리를 섭취하기를 기다릴 수 있다. 다른 동물들은 도토리 식단을 다른 음식으로 보충한다. 많은 곤충, 조류 및 포유류는 인간보다 탄닌을 대사하는 데 덜 해로운 영향을 받는다. 탄닌 함량이 높은 도토리 종은 매우 쓰고 수렴성이 있으며 생으로 먹으면 자극적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미국의 붉은 참나무와 떡갈나무의 도토리에 해당된다. 흰 참나무의 도토리는 탄닌 함량이 훨씬 낮아 견과류 맛이 난다. 이 특성은 도토리를 갈기 전에 살짝 볶으면 향상된다.
탄닌은 잘게 썬 도토리를 물에 여러 번 담가서 물이 더 이상 갈색으로 변하지 않을 때까지 제거할 수 있다. 차가운 물 침출은 며칠이 걸릴 수 있지만, 3~4번의 끓는 물 교환은 1시간 이내에 탄닌을 침출할 수 있다.[18] 뜨거운 물 침출(끓이기)은 도토리의 전분을 익히는데, 이는 그렇지 않으면 밀가루의 글루텐처럼 작용하여 서로 엉기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도토리를 밀가루로 사용할 경우, 찬물 침출이 선호된다.[19] 지방이 풍부하기 때문에 도토리 가루는 쉽게 상하거나 곰팡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보관해야 한다. 도토리는 또한 때때로 마사지 오일로 준비되기도 한다.
흰 참나무 그룹, ''Leucobalanus''의 도토리는 일반적으로 토양에 닿는 즉시(가을에) 뿌리가 내리기 시작하고, 봄에는 잎이 돋아난다. 도토리는 풍매화에 의해 운반되기에는 너무 무거워서 다른 방식으로 퍼져나가야 한다. 따라서 참나무는 어미 나무에서 적절한 발아 장소(충분한 물, 햇빛, 토양 영양분 접근 포함)로 도토리를 옮기기 위해 생물학적 종자 분산 매개체에 의존하며, 이상적으로는 어미 나무로부터 최소 20~30m 정도 떨어져 있어야 한다.
많은 동물들이 나무 위에서 익지 않은 도토리나 땅에서 익은 도토리를 먹지만, 참나무에게는 번식상 이점이 없다. 그러나 다람쥐나 어치와 같은 일부 동물은 종자 분산 매개체 역할을 한다. 어치는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도토리를 은닉하는 다람쥐는 발아하고 번성할 수 있는 다양한 장소에 도토리를 효과적으로 심는다. 비록 어치와 다람쥐는 은닉 장소에 대한 놀라울 정도로 큰 정신적 지도를 유지하고 그것을 소비하기 위해 돌아오지만, 드물게 도토리가 손실되거나, 어치나 다람쥐가 저장된 모든 도토리를 소비하기 전에 죽을 수도 있다. 소수의 도토리는 발아하여 생존하여 다음 세대의 참나무를 생산한다. 산개 저장 행동은 어치와 다람쥐가 영양가치가 있지만 분산 매개체가 처리하기에 너무 크지 않은 좋은 음식 덩어리를 제공하는 식물과 관련되어야 한다. 어치의 부리 크기는 어치가 무시하기 전에 도토리가 얼마나 커질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도토리는 참나무 과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다른 일정으로 발아한다. 도토리가 싹이 트면, 종자 조직이 소화 불가능한 리그닌으로 변하여 뿌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영양가가 떨어진다.[20]
도토리를 만드는 참나무과 식물은 아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있는 산림에서 주요 구성 수종이다. 아열대에서는 상록의 상수리나무류가 상록 활엽수림의 주요 구성 수종이며, 온대에서는 너도밤나무와 떡갈나무 등이 낙엽활엽수림 속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 인공적인 교란이 있는 장소에서는 굴참나무와 졸참나무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참나무과 식물의 열매는 개별 과실도 크고, 비대한 자엽에 대량의 전분을 축적하며, 또한 생산량도 많기 때문에 특히 포유류에게 가을의 중요한 식량이며, 도토리의 풍흉이 숲에 사는 야생동물의 가을부터 겨울까지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상수리나무류의 열매는 수관에서는 하늘다람쥐, 지상으로 낙하 후에는 쥐나 어치 등의 식량이 된다.[35] 반달가슴곰의 주요 식량이기도 하며, 이러한 낙엽수림에서 도토리 흉작이 되면 민가에 출몰하는 곰이 많아진다.[35] 이베리코 돼지의 중요한 사료로서 이베리아 반도에 자생하는 코르크 참나무 등의 도토리가 이용된다. 중앙 유럽에는 유럽너도밤나무 숲 속에서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림이 있다.[40] 일본에서도 과거에는 오키나와 붉가시나무의 도토리가 돼지의 사료로 이용되었다.
한편, 도토리가 먹이로서 유해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2014년 홋카이도의 목장에서 육우 13마리와 젖소 2마리 등 총 15마리가 신장 장애 등으로 사망했다.[41] 아바시리 가축 보건 위생소가 해부한 결과 도토리 성분인 폴리페놀에 의한 중독임이 판명되었다. 해외에서도 비슷한 소 중독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고 한다.
도토리 열매는 특히 눈에 띄는 종자 산포 기관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옛날에는 종자 산포의 형식을 중력 산포(즉, 떨어져 구르는)로 간주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동물의 먹이로서의 중요성이 이 무리의 종자 산포에 큰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도토리를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중요한 식량으로 삼는 동물 중에는 쥐류, 다람쥐류, 어치류처럼 숲 바닥에 소수씩 분산하여 묻어 저장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동물들이 묻은 도토리는 대부분이 월동 시의 식량으로 소비되지만, 봄까지 일부가 남아서 먹다 남겨진다. 이것이 어미 식물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발아하여 새로운 세대의 식물이 된다. 또한 도토리는 건조에 약하며, 단순히 숲 바닥에 떨어진 것만으로는 건조에 의해 빠르게 발아 능력을 잃는 경우가 많다. 쥐 등에 의한 저장은 이 건조로부터 면하는 효과도 있다고 여겨진다.
멧돼지, 사슴 등의 대형 포유류의 채식에 의해 숲의 풀, 사사 등이 제거되고, 蹄耕(제경)에 의해 토양이 노출되면, 거기에는 쥐, 다람쥐 등의 설치류, 어치류가 도토리를 묻을 조건이 생겨난다. 도토리를 만드는 참나무과의 식물은 쥐류, 다람쥐류가 탄생하기 이전, 약 6,500만 년 전의 백악기에는 이미 출현했던 것이 밝혀졌으며, 토양의 교란을 당시 대형 초식 공룡이 담당하고, 당시 소형이었던 포유류의 조상이 쥐나 다람쥐의 역할을 대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2]
4. 영양 및 효능
도토리로 만든 음식은 소화가 잘 되며, 설사를 그치게 하고 뼈를 튼튼하게 하며 살을 빼는 데에도 좋다. 지혈 작용이 있으며 몸 안에 쌓이는 중금속을 제거한다고 알려져 있다. 신선한 도토리 열매에는 대략 단백질 3%, 탄수화물 40%, 유지 5.5%, 탄닌 10~20%가 있다. 하지만 탄닌 성분이 많기 때문에 너무 많이 먹으면 변비가 생길 수 있으며 빈혈에도 좋지 않다.[39] 토종 꿀에 담가 먹으면 명약이 된다고 한다.
5. 이용
예로부터 가뭄이나 흉작으로 식량이 부족할 때 도토리는 쌀, 보리 등을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구황작물로 사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도토리를 비축하도록 장려하기도 했다.
신선한 도토리는 2주가 지나면 벌레가 생기기 쉬워 껍질을 벗겨 말려서 보관한다. 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린 후 키를 이용하여 껍질을 분리한다. 2주 이상 말리면 원래 양의 1/3, 무게는 반으로 줄어든다. 맷돌 등으로 갈아 물에 담가 쓴맛을 없애고 앙금을 말려 녹말 가루를 얻는다. 이 가루로 국수, 수제비, 부침개 등을 만들거나, 묵을 만들 수 있다.
《동의보감》에는 도토리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쓰고 떫으며 독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설사와 이질을 낫게 하고 장과 위를 든든하게 하여 몸에 살을 오르게 한다고 한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도토리가 한때 주식이었지만, 곡물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아메리카 원주민과 한국에서 주로 소비된다. 여러 문화권에서는 전통적인 도토리 우려내기 방법을 사용했으며, 이는 구전으로 전수되었다.[21][22]
한국에서는 도토리묵이나 도토리국수를 만들어 먹는다. 이란과 이라크의 쿠르드 지역에서는 구운 도토리 가루를 특별한 케이크 재료로 사용한다.[27][28] 커피 대용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참나무과 식물의 열매인 도토리는 포유류에게 가을의 중요한 식량이며, 도토리의 풍흉은 야생동물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반달가슴곰의 주요 식량이며, 흉년에는 민가에 출몰하는 곰이 많아진다.[35] 이베리코 돼지의 사료로도 이용된다.[40]
도토리는 장난감이나 공예품 재료, 낚시 미끼로도 사용된다.[35]
5. 1. 음식
도토리는 초기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식량원으로 사용되었다.[23] 도토리는 구황작물로, 특히 쌀, 보리 등의 주식을 대체하거나 보조하는 역할을 했다.도토리류 열매는 생으로 먹을 수 있다.[35] 또한, 굴참나무류는 생으로 먹을 수도 있지만, 볶으면 고소해진다.[35] 졸참나무, 팽나무 등 일부 종은 단맛이 나고 떫은 맛이 없어 생으로 또는 볶아서 그대로 먹을 수 있다. 반면, 떡갈나무류나 상수리나무류는 탄닌 함량이 많아 생으로 먹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35] 떫은 맛을 제거하면 먹을 수 있다.[35]
도토리의 떫은 맛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흐르는 물에 며칠 동안 담가두거나, 끓이는 방법이 있다. 특히 끓일 때 잿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 떫은 맛이 거의 없는 도토리: 졸참나무, 팽나무, 밤
- 떫은 맛이 적은 도토리: 굴참나무, 가시나무, 너도밤나무, 개암나무, 갈참나무
- 떫은 맛이 있는 도토리: 떡갈나무, 물참나무, 굴참나무, 아베마키, 상수리나무, 떡갈참나무, 붉가시나무
- 떫은 맛이 많은 도토리: 시라카시, 아라카시, 아카가시, 츠쿠바네가시, 우라지로가시, 오키나와우라지로가시, 하네가시
5. 1. 1. 한국
예로부터 가뭄이나 흉작으로 먹을 것이 귀해졌을 때 쌀, 보리 등의 주식을 대체하거나 보조할 구황작물로 도토리가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도토리는 평소에도 먹기 좋아 인기가 있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평년에도 수집하여 비축하도록 하였다. 《본초강목》에는 흉년에는 산사람들이 밥을 해 먹거나 찧어서 가루로 먹었으며 풍년에는 돼지에게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고, 잘 익은 도토리는 보관만 잘하면 수십 년이 지나도 사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를 위해 조정에서는 소나무가 잘 자라지 못하는 산에 잣나무와 도토리나무를 심는 것을 장려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정에서 지나치게 도토리를 걷어가자 흉년에 대비하고자 하는 목적이 오히려 백성에게 폐를 끼치는 폐단도 나타났다.신선한 도토리는 2주 넘게 놔두면 벌레가 생기기 쉬우므로 보통 껍질을 벗겨 말려서 보관한다. 나무 절구, 맷돌 등을 이용하여 겉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린 다음 키를 이용하여 바람에 껍질을 날려 분리한다. 2주 이상 햇볕에 잘 말리면 보통 원래 양의 1/3, 무게는 반으로 줄어든다. 이 도토리를 맷돌 등으로 갈아서 물에 담가 쓴맛을 없애고 앙금을 내고 그 앙금을 말려 녹말 가루를 얻을 수 있다. 이 녹말 가루와 밀가루 등을 섞어 반죽해서 국수, 수제비, 부침개 등을 해 먹을 수 있다. 아니면 물에 풀어 풀을 쑤듯이 끓이다가 끈적하게 엉기면 그릇에 담아 식혀 묵을 만들기도 한다.
《동의보감》에서는 도토리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쓰고 떫으며 독이 없다고 하였다. 또한 설사와 이질 등을 낫게 하고 장과 위를 든든하게 하여 몸에 살을 오르게 한다고 하였다.
한국에서는 떡갈나무류 도토리(도토리한국어)에서 채취한 전분으로 "묵한국어"(도토리묵)을 만들어 먹는다.[35]。원래는 식량이 부족했던 시대나 기근 때 먹었던 구황식량이었지만, 일부 지방에서 계승되어 최근에는 건강 식품으로 재조명되어 대량 생산되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대중 식당에서 반찬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국밥처럼 밥과 함께 국물에 넣은 "도토리묵밥한국어"이 단품 요리가 되기도 한다. 또한, 이전에는 껍질을 벗긴 후 물에 담가두고 가열하여 떫은 맛을 제거한 도토리 열매를 사용하여 쌀과 함께 지은 도토리밥, 가루를 사용한 도토리 떡, 도토리 죽, 도토리 우동, 도토리 수제비 등도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5. 1. 2. 다른 나라
고대 그리스 하층민과 일본인(조몬 시대)[24]은 특히 기근 시기에 도토리를 먹었다. 고대 이베리아에서는 스트라보에 따르면 주식이었다.한국에서는 도토리로 만든 식용 묵인 도토리묵이 있으며, 도토리 가루나 전분으로 만든 국수인 도토리국수가 있다.
구운 도토리 가루는 이란과 이라크의 쿠르드 지역의 특별한 달콤한 케이크의 주요 재료이다.[27][28]
도토리는 특히 커피를 구할 수 없거나 배급될 때 커피 대용품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남부 연합은 미국 남북 전쟁 중에, 독일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당시에는 ''대용품'' 커피라고 불림) 각각 북부 연합과 연합군의 봉쇄로 인해 커피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도토리를 사용하였다.
도토리는 북미의 많은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식량이었으며, 특히 여러 종의 참나무가 겹쳐 자라 자원의 신뢰성이 높은 캘리포니아 원주민에게 오랫동안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29]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 유적의 저장 유구에서 도토리가 발견되었으며, 떫은 맛을 제거하여 식용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35] 그 후에도 기근이나 태평양 전쟁 직후의 식량난 시대에 자주 이용되었다. 홋카이도의 아이누 민족은 도토리를 "니세우"라고 불렀다. 가을에 툰니(물참나무)나 콤니(상수리나무)의 열매를 주워 모아 여러 번 삶아 떫은 맛을 제거한 것을 시토(경단)나 라타시케푸(조림)로 가공하여 먹었다.
기타카미 산지의 산촌에서는 떡갈나무(물참나무) 열매를 분쇄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물, 잿물 등을 사용하여 떫은 맛을 제거한 "시타미가루"를 만들었다. 시타미가루는 보통 물에 불려 죽 형태로 먹었다. 구마모토현에서는 상수리나무류(가시나무) 열매에서 채취한 전분으로 만드는 "이치곤냐쿠"나 "카시노키도후", 또는 굴참나무 열매를 사용한 "시이곤냐쿠"와 같은 젤리 형태의 식품이 알려져 있다. 나가노현기소 지방 등에서는 지역 진흥의 일환으로 도토리 커피를 제공하는 외에도, 빵이나 쿠키 등의 재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고치현 아키시에는 상수리 두부(가시키리)가 전해진다.
한국에서는 떡갈나무류 도토리(도토리한국어)에서 채취한 전분을 "묵(묵한국어)"이라고 불리는 음식(도토리묵)으로 가공한다.[35] 원래는 식량이 부족했던 시대나 기근 때 먹었던 구황식량이었지만, 일부 지방에서 계승되어 최근에는 건강 식품으로 재조명되어 대량 생산되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대중 식당에서 반찬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국밥처럼 밥과 함께 국물에 넣은 "도토리묵밥(도토리묵 밥한국어)"이 단품 요리가 되기도 한다.
5. 2. 기타
장난감이나 공예품 재료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축을 달아 야지로베에나 팽이 등의 장난감으로 만든다.도토리에서 채취한 바구미류 등 곤충류의 유충은 낚시 미끼로 사용되기도 했다.[35]
도토리 은행이라고 불리는 어린이 대상 지역 활동이 있다.[43][44] 대체로 도토리를 돈으로 간주하여 일정 수 이상 모으면, 예를 들어 묘목을 보내주는 방식이다. 유전자 교란(유전자 오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수집하는 도토리는 산지 관리가 요구된다.
6. 문화
로마 건축과 켈트 미술, 스칸디나비아 미술에서 인기 있는 모티브인 도토리는 식기, 가구, 보석류 장식으로 사용되며,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장식 뿔에도 나타난다.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북군과 남군 모두 도토리를 자주 사용했다.[32] 현대 미국 육군 기병 정찰병의 캠페인 모자에도 도토리 흔적이 남아있다.
도토리는 영국과 웨일스의 국립 트레일 상징이며, 이 길들의 길 찾기 표지에 사용된다.[33] 흰 참나무 도토리는 코네티컷 대학교 상징에도 사용된다.[34]
도토리는 문장학에서 문장으로도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Hands-On Chemical Ecology:: Simple Field and Laboratory Exercis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
백과사전
Acorn {{!}} Definition & Facts
https://www.britanni[...]
2024-04-28
[3]
문서
{{OEtymD|acorn}}
[4]
문서
"{{EB1911|inline=1|wstitle=Acorn|volume=1|pages=152–153}} This cites the ''New English Dictionary'', now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5]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17-04-15
[6]
서적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the ecology,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alifornia oaks, June 26–28
http://www.fs.fed.us[...]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SW-044
[7]
뉴스
After Lean Acorn Crop in Northeast, Even People May Feel the Effects
https://www.nytimes.[...]
2011-12-04
[8]
간행물
Acorn removal and dispersal by the dung beetle Thorectes lusitanicus : ecological implications
https://resjournals.[...]
2007-08
[9]
웹사이트
Acorn Study {{!}} Research {{!}} Upland Hardwood Ecology and Management {{!}} SRS
https://www.srs.fs.u[...]
2020-09-04
[10]
서적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the ecology,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alifornia oaks, June 26–28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SW-044
[11]
웹사이트
A bumper crop of acorns causes concern for those with horses
http://www.countryfi[...]
Immediate Media Company
2014-01-27
[12]
웹사이트
Acorns Can be Deadly
http://www.caf.wvu.e[...]
2014-01-27
[13]
웹사이트
Acorns fatally poison 50 ponies in English forest
http://horsetalk.co.[...]
Horsetalk.co.nz
2017-01-06
[14]
웹사이트
Acorn Poisoning – Are Acorns Poisonous To Horses?
http://www.horse-adv[...]
Horse-advice.com
2017-01-06
[15]
웹사이트
Acorns, Oaks and Horses: Tannin Poisoning
http://www.thewayofh[...]
The Way of Horses
2017-01-06
[16]
문서
Insects Feeding on California Oak Trees
Timothy Plum and Norman Pillsbury (eds.)
[17]
웹사이트
Nutrition Facts for Acorn Flour
http://www.nutrition[...]
Nutritiondata.com
2017-01-06
[18]
서적
A practical guide to edible & useful plants : including recipes, harmful plants, natural dyes & textile fibers
Texas Monthly Press
1987
[19]
뉴스
Two Ways to Make Cold Leached Acorn Flour – Learn How with this Guide
https://www.thespruc[...]
2017-12-24
[20]
간행물
Seed Predation by Animals
[21]
웹사이트
Indigenous Food and Traditional Recipes
http://www.nativetec[...]
NativeTech
2017-01-06
[22]
웹사이트
Cooking With Acorns
http://www.siouxme.c[...]
Siouxme.com
2017-01-06
[23]
간행물
Use of acorns for food in California: past, present and future
http://www.ecocompos[...]
Symposium on Multiple-use Management of California's Hardwoods
2010-09-01
[24]
서적
Ancient Jomon of Jap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7-29
[25]
웹사이트
Acres of Acorns
http://www.metmuseum[...]
2017-04-15
[26]
서적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the ecology,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alifornia oaks, June 26–28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SW-044
[27]
서적
Plants and Drugs of Iran and Iraq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1937
[28]
간행물
Effect of sweet acorn flour of common oak (''Quercus aegilops'' L.) on locally Iraqi pastry (kulicha) products
2013-10
[29]
간행물
(Review of) Ecological Determinants of Aboriginal California Populations, by Martin A. Baumhoff
[30]
웹사이트
Nutritious Acorns Don't Have To Just Be Snacks For Squirrels
https://www.npr.org/[...]
2014-11-03
[31]
서적
Artemis Fowl
https://www.worldcat[...]
Viking
2001
[32]
웹사이트
Chikamauga and Chattanooga
https://www.nps.gov/[...]
U.S. Forest Service
2022-10-27
[33]
웹사이트
National Trail Acorn
http://www.nationalt[...]
2010-10-09
[34]
웹사이트
University of Connecticut
http://uconn.edu/
2010-11-05
[35]
웹사이트
これは何の木のどんぐり?
https://www.nacsj.or[...]
日本自然保護協会
2019-10-31
[36]
서적
植物の世界 8
[37]
서적
世界有用植物事典 (1989)
[38]
문서
[39]
간행물
どんぐりを利用したブナ科植物の自然観察 【特集論文】
https://shiga-u.repo[...]
滋賀大学環境総合研究センター
2024-07-20
[40]
서적
世界の植物 81 シラカンバ・ブナ
朝日新聞社
[41]
간행물
公共牧場で集団発生した牛のドングリ中毒
札幌 : 北海道農政部生産振興局
2015
[42]
서적
植物の世界 87 ヤマモモ・クリ・ブナ
朝日新聞社
[43]
웹사이트
どんぐり銀行
http://www.pref.kaga[...]
香川県環境森林部みどり整備課
2013-12-05
[44]
웹사이트
どんぐり銀行 -
http://www.benelic.c[...]
2013-12-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단독]“ㄱ나니 그 시절” 싸이월드, 올해 부활은 어렵다
[멀티버스] 왜 싸이월드는 죽고, 블로그는 떠오를까? – 바이라인네트워크
싸이데이에 돌아온다는 싸이월드, 떠난 마음 되돌릴까 – 바이라인네트워크
기업은행이 싸이월드 도토리로 하려는 것 – 바이라인네트워크
표철민 "암호화 화폐는 화폐 아니다, 용어 잘못됐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