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인간 주거 계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은 도시화 문제 해결을 위해 설립된 유엔 산하기구이다. 1976년 밴쿠버에서 열린 제1회 국제 연합 인간 정주 회의를 통해 설립되었으며, 도시 법률, 도시 계획, 도시 경제, 주택 및 빈민가 개선 등 7가지 분야에서 활동한다. 유엔 해비타트 총회, 집행 이사회, 상주 대표 위원회를 통해 의사 결정을 진행하며, 케냐 나이로비에 본부를 두고, 4개의 지역 본부를 운영한다. 대한민국은 주요 회원국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무소와 협력하며, 2023년 집행 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로비에 본부를 둔 유엔 기구 - 유엔 나이로비 사무국
    유엔 나이로비 사무국(UNON)은 케냐 나이로비에 위치하며 유엔 환경 계획(UNEP)과 유엔 인간 정주 계획(UN-Habitat)의 본부를 지원하고, 동아프리카 지역의 모의 유엔 회의를 주최하며 케냐 경제에 기여하는 유엔 기구의 사무국이다.
  • 나이로비에 본부를 둔 유엔 기구 - 유엔 환경 계획
    유엔 환경 계획(UNEP)은 1972년 설립된 유엔 산하 기구로, 기후 변화 등 다양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며 몬트리올 의정서 등 주요 성과를 거두었다.
  • 유엔 총회 보조 기관 - 유엔 개발 계획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저개발국의 경제, 사회 발전을 지원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유엔 산하의 국제 개발 기구이다.
  • 유엔 총회 보조 기관 - 유엔 인구 기금
    유엔 인구 기금은 1969년 출범하여 여성 권리 신장, 모성 건강 개선, 가족 계획 지원, 성폭력 감소 등에 중점을 두고 활동하며, 세 가지 변혁적 목표 달성과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달성에 기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다자간 자금 지원 기관이다.
  • 도시지리학 - 도시화
    도시화는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고 도시적 생활 방식이 확산되는 현상으로, 경제적 기회와 사회적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주택, 교통, 환경 문제 등의 부작용도 발생시키며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도시지리학 - 메트로폴리스
    메트로폴리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식민지를 건설한 도시를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경제, 문화,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하는 대도시를 의미한다.
유엔 인간 주거 계획
개요
명칭유엔 인간 주거 계획
영문 명칭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프랑스어 명칭Programme des Nations unies pour les établissements humains
중국어 명칭联合国人居署
러시아어 명칭Программа Организация Объединённых Наций по населённым пунктам
스페인어 명칭Programa de Naciones Unidas para los Asentamientos Humanos
약칭국토교통부, UN-Habitat
유형프로그램
상태활동 중
설립일1977년
본부케냐, 나이로비
웹사이트국제연합 인간 주거 계획 본부
조직
수장마이무나 모드 샤리프
상위 기관국제 연합

2. 역사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은 1976년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제1회 유엔 인간주거회의》에서 채택된 인간 주거 선언을 통해 설립된 '인간주거위원회'와 그 사무국인 '유엔 인간주거센터'를 전신으로 한다. 약칭인 '해비타트(Habitat)'는 라틴어로 '거주'를 의미한다.

1996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개최된 《제2회 유엔 인간주거회의》에서는 인간의 주거 환경 개선을 주요 개발 과제로 삼는 "해비타트 의제(Habitat Agenda)"가 채택되었고, 기존 기구의 기능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후 2002년, 유엔 인간 주거 계획은 현재의 모습으로 공식 개편되어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 1. 설립 배경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은 1976년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제1회 유엔 인간주거회의》에서 채택된 인간 주거 선언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이 회의를 통해 "인간주거위원회(Commission on Human Settlements영어)"와 그 사무국인 "유엔 인간주거센터(United Nations Centre for Human Settlements영어)"가 만들어졌으며, 이것이 유엔 해비타트의 전신이다. 약칭인 '해비타트(Habitat)'는 라틴어로 '거주'를 의미한다.

이후 1996년 6월,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린 《제2회 유엔 인간주거회의》에서는 인간의 주거 환경 문제를 주요 개발 과제로 인식하고, "해비타트 의제(Habitat Agenda)"라는 세계 행동 계획을 채택하였다. 이 회의에서는 유엔 인간주거센터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2002년, 기존의 인간주거위원회와 유엔 인간주거센터는 현재의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으로 통합 및 개편되었다. 약칭은 그대로 "유엔 해비타트(UN-Habitat)"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설립과 개편 과정은 유엔 총회 결의 3327 (XXIX), 32/162, 56/206 등을 통해 공식적으로 이루어졌다.

유엔 해비타트(UN-Habitat) 본부, 유엔 나이로비 사무소

2. 2. 발전 과정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의 기원은 1976년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제1회 유엔 인간주거회의》이다. 이 회의에서 채택된 인간 주거 선언을 바탕으로 '인간주거위원회'(Commission on Human Settlementseng)와 그 사무국인 '유엔 인간거주센터'(United Nations Centre for Human Settlementseng, 약칭 Habitat)가 설립되었다. 약칭인 '해비타트'(Habitat)는 라틴어로 "거주"를 의미한다.

1996년 6월,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개최된 《제2회 유엔 인간주거회의》에서는 인간 주거 환경 문제가 주요 개발 과제로 부각되었다. 이 회의에서 "해비타트 의제"(Habitat Agenda)라는 세계 행동 계획이 채택되었고, 기존 유엔 인간거주센터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2002년, 인간주거위원회와 유엔 인간거주센터는 현재의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으로 공식 개편되었다. 약칭은 기존의 '유엔 해비타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유엔 해비타트의 임무는 여러 유엔 총회 결의를 통해 구체화되고 강화되었다.

  • 결의 3327 (XXIX): 유엔 해비타트 및 인간 정착지 재단 설립의 근거가 되었다.
  • 결의 32/162: 유엔 인간 정착지 센터(해비타트) 설립을 명시했다.
  • 결의 56/206: 기존의 인간 정착지 위원회와 유엔 인간 정착지 센터를 유엔 해비타트로 공식 전환하고, 유엔 해비타트 및 인간 정착지 재단을 포함하도록 규정했다.
  • 유엔 밀레니엄 선언 (결의 55/2): 2020년까지 최소 1억 명의 빈민가 거주자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 지속 가능한 개발에 관한 세계 정상 회담 이행 계획: 2015년까지 안전한 식수와 기본적인 위생 시설에 대한 접근이 없는 인구 비율을 절반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포함했다.
  • 결의 65/1: 회원국들이 기존 목표를 넘어 빈민가 인구를 줄이고 거주자의 삶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빈민가 없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3. 주요 활동 및 사업 분야

유엔 해비타트는 5개 대륙의 70개 이상의 국가에서 활동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위한 다양한 분야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한다.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실제적인 도시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3. 1. 7가지 중점 분야

산 파우 병원 (바르셀로나)에 있는 유엔 해비타트 사무소


유엔 해비타트는 5개 대륙의 70개 이상의 국가에서 다음 7가지 분야에 중점을 두고 활동한다.

  • 도시 법률, 토지 및 거버넌스
  • 도시 계획 및 설계
  • 도시 경제
  • 도시 기본 서비스
  • 주택 및 빈민가 개선
  • 위험 감소 및 재활
  • 도시 연구 및 역량 강화


유엔 해비타트는 현지 파트너와 협력한다. 예를 들어 미얀마 양곤의 도 에인은 도시 재생 및 유산 보존에 중점을 둔다.

3. 2. 주요 사업



유엔 해비타트는 5개 대륙의 70개 이상의 국가에서 활동하며, 다음과 같은 7가지 분야에 중점을 둔다.

  • 도시 법률, 토지 및 거버넌스
  • 도시 계획 및 설계
  • 도시 경제
  • 도시 기본 서비스
  • 주택 및 빈민가 개선
  • 위험 감소 및 재활
  • 도시 연구 및 역량 강화


유엔 해비타트는 현지 파트너와 협력하여 사업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미얀마 양곤의 도 에인 프로젝트는 도시 재생 및 유산 보존에 중점을 두고 유엔 해비타트와 협력하는 사례이다.

'''세계 도시 포럼 (World Urban Forum, WUF)'''

세계 도시 포럼은 급속한 도시화와 그것이 공동체, 도시, 경제, 기후 변화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2001년 유엔에 의해 설립되었다. 지난 20년간 WUF는 지속 가능한 도시화에 관한 최고의 국제 회의로 자리 잡았다. 유엔 해비타트가 주최하는 이 포럼은 특정 결의안을 채택하지 않는 비입법적 성격을 가지며, 도시 문제에 관한 가장 포괄적인 국제 회의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첫 포럼은 2002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개최되었으며, 이후 2년마다 세계 여러 도시에서 열리고 있다.

'''세계 도시 캠페인 (World Urban Campaign, WUC)'''

세계 도시 캠페인은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과 살기 좋은 도시를 전 세계적으로 장려하기 위해 유엔 해비타트가 주도하는 이니셔티브이다. 이 캠페인의 주요 목표는 2016년 유엔에서 채택된 '새로운 도시 어젠다(New Urban Agenda)'의 이행을 지원하는 것이다. 새로운 도시 어젠다는 향후 20년간의 도시 개발 정책과 전략 방향을 제시하는 국제적 틀이다. WUC는 정부, 시민 사회 단체, 민간 부문, 학술 기관 등 다양한 파트너들을 모아 도시 개발 문제에 대해 협력하도록 장려하며, 저렴한 주택 공급, 지속 가능한 이동성 확보, 탄력적인 도시 계획 수립, 사회적 포용 증진 등 여러 핵심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세계 주거의 날 (World Habitat Day)'''

유엔은 매년 10월 첫째 주 월요일을 세계 주거의 날로 지정했다. 이 날은 각자의 도시와 마을의 현황을 돌아보고, 모든 사람이 적절한 주거 환경을 누릴 기본적인 권리가 있음을 상기하는 날이다. 또한 인류의 주거 환경의 미래에 대한 공동의 책임을 강조하는 의미도 가진다.

'''유엔 해비타트 명예의 스크롤 상 (UN-Habitat Scroll of Honour Award)'''

유엔 해비타트 명예의 스크롤 상은 1989년에 시작되었으며,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인간 정주 관련 상 중 하나이다. 이 상은 인간 정주 및 주택 공급 분야에서 뛰어난 기여를 한 개인이나 단체의 활동을 인정하고, 빈곤층이나 강제 이주민의 어려움을 알리며, 인간 정주 환경을 개발하고 개선하여 도시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 공로를 치하한다. 이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중 특히 목표 11인 '지속 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만들기' 달성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조직 구조

유엔 해비타트의 본부는 케냐나이로비에 위치한다.[4] 조직은 크게 의사 결정 기구, 사무국, 지역 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 결정 기구는 유엔 해비타트 총회, 집행 이사회, 상주 대표 위원회로 이루어져 프로그램의 주요 정책과 방향을 결정한다.[4] 과거에는 58개국으로 구성된 관리 이사회가 의사 결정 기구 역할을 했으나,[5] 유엔 총회 결의안에 따라 현재의 구조로 개편되었다.[5]

사무국은 유엔 사무총장이 임명하고 유엔 총회의 승인을 받은 사무총장이 이끌며,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운영과 집행을 담당한다.[9]

또한, 전 세계 주요 지역에서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지역 본부를 운영하고 있다.

4. 1. 의사 결정 기구

유엔 해비타트의 거버넌스 구조는 유엔 해비타트 총회, 집행 이사회, 상주 대표 위원회의 세 가지 의사 결정 기구로 구성된다.[4] 이전의 의사 결정 기구였던 관리 이사회는 유엔 총회 결의안에 따라 해산되고 현재의 체제로 개편되었다.[5]
유엔 해비타트 총회는 193개 유엔 회원국 전체가 참여하는 보편적 기구이다. 총회는 4년마다 케냐 나이로비에 위치한 유엔 해비타트 본부에서 개최된다. 첫 번째 총회는 2019년 5월에 열렸으며,[6] 초대 의장국은 멕시코가 맡았다. 당시 멕시코 대표는 다자주의 및 인권 차관인 마르타 델가도 페랄타였다.[7]
집행 이사회는 유엔 해비타트 총회에서 선출된 36개 회원국으로 구성되며, 각 지역 그룹을 대표하는 국가들이 참여한다. 이사회는 1년에 세 차례 회의를 개최한다.[8]
상주 대표 위원회(CPR)는 유엔 나이로비 사무소에 파견된 모든 상주 대표들로 구성된다.[8]

4. 2. 사무국

유엔 해비타트 사무국은 유엔 사무총장이 지명하고 유엔 총회의 승인을 받은 사무총장이 이끈다.[9] 현재 사무총장은 2024년 6월에 임명된 브라질 출신의 아나클라우디아 로스바흐이다.[9] 부사무총장은 2022년 12월에 임명된 슬로바키아 출신의 미할 믈리나르이다.[10] 사무국의 본부는 케냐나이로비에 위치한다.[4]

4. 3. 지역 본부

세계 4곳에 지역 본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각 지역 본부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지역국가도시
아프리카 지역 본부케냐나이로비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 본부브라질리오데자네이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본부일본후쿠오카
아랍 국가 지역 본부이집트카이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본부(후쿠오카)는 1997년에 설립되었으며, 2017년에 창립 20주년을 맞이했다.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 본부(리오데자네이로)는 1996년에 설립되었다.

5.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은 유엔 인간 주거 계획(유엔 해비타트)의 주요 회원국 중 하나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1997년 일본 후쿠오카시에 설립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무소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2023년 대한민국은 유엔 해비타트 집행 이사국으로 선출되었으며, 2024년부터 4년 임기 동안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대표하여 활동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유엔 해비타트 한국위원회가 2019년 5월 14일 국회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공식 출범하였다. 초대 회장으로는 박수현 전 국회의장이 선출되었다. 한국위원회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새로운 도시 의제(New Urban Agenda)가 국내에서 효과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6. 협력 기구

유엔 해비타트는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과 적절한 주거 환경 조성을 목표로 다양한 국제기구 및 연구기관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해비타트 의제의 효과적인 이행과 전 세계적인 주거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6. 1. 국제기구

유엔 지방 정부 자문 위원회(UNACLA)는 1999년 유엔 해비타트 집행 이사회 결의안 17/18에 따라 UN 시스템과 지방 정부 간의 해비타트 의제 이행 관련 대화를 강화하기 위한 자문 기구로 2000년에 설립되었다.[13] 2004년 9월, UN-해비타트는 세계지방정부연합(UCLG)과 공식적인 관계를 맺었으며,[15] 현재 UCLG가 UNACLA의 의장을 맡고 있으며 20석 중 10석을 보유하고 있다. UCLG는 UN-해비타트와 함께 UNACLA 사무국을 공동으로 운영한다.[16][17]

6. 2. 연구기관


  • 주택 및 도시 개발 연구소 (IHS)
  • 국제 사회 연구소 (ISS)

참조

[1] 웹사이트 'About Us {{!}} UN-Habitat' https://unhabitat.or[...] 2021-03-15
[2] 웹사이트 UNDG Members http://www.undg.org/[...] 2012-05-15
[3] 웹사이트 Doh Eain - Renewing Yangon https://www.urbanage[...]
[4] 웹사이트 'Governance {{!}} UN-Habitat' https://unhabitat.or[...] 2021-03-15
[5] 웹사이트 'A/RES/73/239 - E - A/RES/73/239 -Desktop' https://undocs.org/e[...] 2021-03-15
[6] 웹사이트 'UN-Habitat Assembly {{!}} UN-Habitat' https://unhabitat.or[...] 2021-03-15
[7] 웹사이트 Mexico Elected President of 1st UN-Habitat Assembly http://www.gob.mx/sr[...] 2021-03-15
[8]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un.org/e[...] 2021-03-15
[9] 뉴스 Leadership: ED and DED https://unhabitat.or[...] Malaysiakini 2024-11-27
[10] 웹사이트 Deputy Executive Director of UN-Habitat starts his appointment in Nairobi https://unhabitat.or[...] 2022-04-11
[11] 웹사이트 'Leadership: ED and DED {{!}} UN-Habitat' https://unhabitat.or[...] 2024-11-27
[12] 웹사이트 'Immediate and Past Executive Directors {{!}} UN-Habitat' https://unhabitat.or[...] 2021-03-15
[13] 문서 UNACLA http://mirror.unhabi[...]
[14] 문서 UN-HABITAT Governing Council Resolution No.17/18 Cooperation with partners: role of local authorities in the work of the Commission https://web.archive.[...] 2019-11-16
[15] 문서 UN-HABITAT and UCLG Sign Historic Agreement http://mirror.unhabi[...]
[16] 웹사이트 UNACLA - United Nations Advisory Committee of Local Authorities https://www.cglu.org[...] 2021-03-15
[1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Advisory Committee on Local Authorities {{!}} Global Taskforce' https://www.global-t[...] 2021-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