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포 (삼국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포는 삼국 시대 공손연을 보좌한 인물이다. 공손연의 참군으로 요동 태수를 보좌했으며, 위나라와의 관계가 악화되자 공손연이 연왕을 칭하고 백관을 설치했을 때 어사대부에 임명되었다. 238년 사마의가 요동을 공격하여 양평현이 포위되자, 왕건과 함께 사마의에게 항복을 요청하러 갔다가 죽음을 맞이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사마의에게 포위를 풀어줄 것을 간청하는 장면에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손연과 주변 인물 - 비연
    공손연 휘하 장수 비연은 238년 위나라 군이 침공해오자 양조와 함께 요수에서 저항했으나 패배한 후 역사 기록에서 사라졌다.
  • 공손연과 주변 인물 - 가범
    가범은 요동의 공손연의 부하로, 공손연의 반역을 간하다가 살해당했으며, 사마의가 공손연의 난을 평정한 후 그의 무덤을 후하게 받들고 후손에게 관직을 내렸다.
  • 238년 사망 - 고르디아누스 2세
    고르디아누스 2세는 고르디아누스 1세의 아들로 238년 아버지와 공동 황제가 되었으나, 누미디아 총독의 반란으로 카르타고 전투에서 전사하며 짧은 통치를 마쳤고, 그의 죽음은 정치적 혼란기를 반영하며 조카 고르디아누스 3세가 황제가 되는 발판이 되었다.
  • 238년 사망 - 고르디아누스 1세
    고르디아누스 1세는 238년 막시미누스 트락스의 폭정에 반발한 아프리카 속주 반란으로 80세에 황제가 되었으나, 아들과 함께 누미디아 총독에게 패배하여 자결하며 22일 만에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로마 황제이다.
  • 살해된 사람 - 정인보
    정인보는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 시기에 활동한 사학자, 시조 작가, 교육자로, 민족주의 역사관과 ‘얼’ 사상을 형성하고, 연세대학교 강사, 동아일보 논설위원, 국학대학교 학장, 감찰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조선사 연구』 등의 저서를 남겼으나 한국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살해된 사람 - 정기원 (1559년)
    정기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1585년 문과 급제 후 임진왜란 때 사은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충렬사에 배향, 시호는 충의이며 저서로 《현산집》, 《현산실기》가 있다.
유포 (삼국지)
기본 정보
유포의 모습
유포의 모습
유(柳)
이름포(甫)
국화(國華)
생몰년미상
출신지하동군(河東郡)
소속조위
관직
작위서향후(西鄕侯)
최종 관직거기장군(車騎將軍)
가족 관계
아버지유옹(柳옹)
아들유혼

2. 생애

요동태수대사마 공손연을 참군(參軍)으로서 보좌하였다.[3] 237년(경초 원년), 위나라 황제 조예유주자사 관구검으로 하여금 공손연 세력을 격멸하려 했는데, 이를 공손연이 격퇴하였다. 조예는 공손연의 위협에 어쩔 수 없이 동조한 사람들을 용서한다며 그 관원들을 회유하려 하였다.[3] 이에 곽흔(郭昕)과 유포 등 789명은 공손연의 할아버지 공손도부터 이어진 공손씨 가문의 요동에서의 공적을 밝히고, 공손연은 위나라와 싸울 뜻이 없었다며 용서를 구하는 한편 자신들은 공손씨 가문에 충성할 수밖에 없다고 위나라 조정에 상소하였다.[3] 그러나 위나라와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져 공손연은 연왕(燕王)을 칭하고 백관(百官)을 설치하여 유포를 어사대부로 삼았다.[3] 238년, 위나라의 사마의가 토벌을 개시하여 요동군의 치소인 양평현(襄平縣)을 포위하였다. 상황이 매우 어렵게 된 탓에 유포와 상국 왕건은 포위를 풀어주면 항복하겠다는 뜻을 전하러 사마의에게 사신으로 갔다가 목숨을 잃었다.[3]

2. 1. 공손연 정권에서의 활동

요동 태수대사마 공손연을 참군(參軍)으로서 보좌하였다.[3] 237년(경초 원년), 위나라 황제 조예유주자사 관구검으로 하여금 공손연 세력을 격멸하려 했으나, 공손연이 이를 격퇴하였다. 조예는 공손연의 위협에 어쩔 수 없이 동조한 사람들을 용서한다며 그 관원들을 회유하려 하였다.[3] 곽흔(郭昕)과 유포 등 789명은 공손연의 할아버지 공손도부터 이어진 공손씨 가문의 요동에서의 공적을 밝히고, 공손연은 위나라와 싸울 뜻이 없었다며 용서를 구하는 한편 자신들은 공손씨 가문에 충성할 수밖에 없다고 위나라 조정에 상소하였다.[3] 그러나 위나라와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져 공손연은 연왕(燕王)을 칭하고 백관(百官)을 설치하여 유포를 어사대부로 삼았다.[3]

2. 2. 최후

237년, 위나라 황제 조예가 유주자사 관구검으로 하여금 공손연 세력을 격멸하려 했으나 공손연이 이를 격퇴하였다. 조예는 공손연의 위협에 어쩔 수 없이 동조한 사람들을 용서한다며 그 관원들을 회유하려 하였다.[3] 곽흔과 유포 등 789명은 공손연의 할아버지 공손도로부터 이어진 공손씨 가문의 요동에서의 공적을 밝히고, 공손연은 위나라와 싸울 뜻이 없었다며 용서를 구하는 한편 자신들은 공손씨 가문에 충성할 수밖에 없다고 위나라 조정에 상소하였다. 그러나 위나라와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져 공손연은 연왕(燕王)을 칭하고 백관(百官)을 설치하여 유포를 어사대부로 삼았다.[3] 238년, 위나라의 사마의가 토벌을 개시하여 요동군의 치소인 양평현(襄平縣)을 포위하였다. 상황이 매우 어렵게 되자 유포는 상국 왕건과 함께 사마의에게 사신으로 가 포위를 풀어주면 항복하겠다는 뜻을 전했으나 목숨을 잃었다.[3]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소설삼국지연의》에서는 사마의에게 포위를 풀어줄 것을 간청하는 대목에서만 사서와 같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참조

[1] Wikisource 晉書/卷001#宣帝
[2] Wikisource 三國演義/第106回
[3] 서적 삼국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