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손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손연은 후한 말 요동 지역의 군벌 공손강의 아들로, 삼국 시대에 조위의 신하가 되었다. 숙부 공손공을 몰아내고 요동 태수가 되었으며, 위나라의 견제를 받자 스스로 연왕을 칭하고 동오와 동맹을 맺었다. 사마의의 공격을 받아 패배하고 죽임을 당했으며, 공손씨 정권은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위의 대사마 - 조인
    조인은 조조의 사촌 동생으로, 궁술과 마술에 능했으며 조조를 도와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위나라 건국과 안정에 기여한 위나라의 장군이다.
  • 조위의 대사마 - 조진
    조진은 조조의 족자이자 양자로, 위나라 장군으로서 호표기를 지휘하고 옹양주 도독을 맡아 서부 전선을 안정시켰으며, 대장군으로서 제갈량의 북벌을 막아내는 데 공을 세웠으나 자오곡 진격 작전 실패 후 병사하여 원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 조위의 공작 - 사마부
    사마부는 사마방의 셋째 아들로 조조를 섬기며 위나라의 요직을 역임했고, 경전에 능통하고 문재에도 뛰어났으며, 고평릉의 변 당시 사마의의 쿠데타를 도왔다.
  • 조위의 공작 - 후한 헌제
    후한 헌제는 후한의 마지막 황제로서, 즉위 후 권력 다툼에 휘말리다 조조에 의해 옹립되어 실권 없는 황제로 지내다 조비에게 제위를 선양하고 산양공으로 여생을 보냈다.
  • 중국의 군벌 - 환현 (동진)
    환현은 동진 말기에 권력을 잡고 환초를 건국했으나 유유의 반란으로 몰락한 환온의 아들이다.
  • 중국의 군벌 - 공손술
    공손술은 전한 시대 인물로, 신나라 멸망 후 촉 지역에서 세력을 키워 성가를 건국하고 황제를 칭했으며, 후한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성가가 멸망했다.
공손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공손연
문의(文懿)
직업군인, 정치가, 군벌
출생지랴오닝성
사망일238년 8월(음력) ( 238년 8월 23일)
사망지랴오닝성
아버지공손강
친척공손공(삼촌)
공손황 (형)
관직
요동태수228년 – ?
전임공손공
군주조예
봉작평곽후? → 낙랑공
경력요동태수 겸 양렬장군 → 거기장군 → 대사마
왕위
칭호연왕(燕王)
재위 기간237년 – 238년 9월
연호소한 : 237년 – 238년

2. 생애

공손강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공손강이 사망했을 때 아직 어렸기 때문에 숙부 공손공이 요동 태수가 되었다. 태화 2년(228년) 성인이 된 공손연은 공손공을 협박하여 요동 태수의 자리를 빼앗고 명제로부터 양렬장군의 관위를 받았다.

표면적으로는 조위의 신하였지만, 동오로 충성심을 바꾸는 것을 고려했다. 가화 2년(233년), 오로부터 구석을 받아 연왕에 봉해졌으나, 오의 사자 장미, 허안 등을 살해하고 그들의 머리를 위에 바쳐 대사마 · 낙랑공에 임명되었다.

237년 위 황제 조예는 공손연의 동북 지역에서의 영향력에 대해 불안감을 느껴, 장군 관구검을 보내 공격했으나, 홍수로 인해 작전이 중단되었다. 공손연은 스스로를 "연왕"(燕중국어)이라고 칭하고 동오와 동맹을 맺었다.

이듬해(238년), 위 장군 사마의와 관구검은 사마의의 요동 정벌을 이끌고 공손연을 공격했다. 공손연은 패배하여 죽임을 당했고 그의 일족은 멸족되었다.

2. 1. 위나라와 오나라 사이에서

228년(태화 2년) 숙부 공손공을 위협하여 요동태수를 차지하였다. 위나라 황제 조예는 이를 추인하고 양렬장군(揚烈將軍)을 얹어주었다.[14]

229년 오나라 황제 손권이 교위(校尉) 장강(張剛)과 관독(管篤)을 파견해 접근해왔다.[13] 230년 조예가 거기장군으로 관위를 올려주었다.[14] 232년 공손연이 오나라와도 가까이 지내자 아직 공물을 끊지 않았음에도 조예가 이를 정복하고자 했다. 여남태수[15] 전예청주에서 서해를 건너고,[16] 유주자사 왕웅이 육로로 진공하려다 성과 없이 돌아갔다.[17] 공손연은 주하(周賀) 등 이미 와있던 오나라 사신들에 대한 답례로 교위 숙서(宿舒)와 낭중령(郎中令) 손종(孫綜)을 보냈다. 담비들을 헌상하며 칭번하니 손권이 기뻐서 주목이란 관직을 더해주고 연왕(燕王)이란 작위도 수여하였다.[13]

233년(청룡 원년) 숙서와 손종이 오나라 장병 약 10,000명의 대규모 호위를 받으며 그 사절단과 함께 답진(沓津)에 도착하였다. 오나라 사절단은 책봉 조서와 관련 집기는 물론 금은보화에 구석까지 가져왔으며 부수적으로는 말들을 사가려 하였다. 태상 장미, 집금오 허안(許晏), 중랑장 만태(萬泰), 교위 배잠(裴潛)이 수행원 400여 명을 데리고 치소인 양평으로 향하고 하달(賀達)과 우자(虞咨)는 에 남았다. 공손연은 손권이 너무 멀리 있어 의지하기 어렵다 판단하였다. 장미 등 4인을 참수하고 그 수행원들을 구속했으며 한기(韓起)에게는 군을 맡겨 답진의 오나라군까지 무찔렀다. 몰수한 물품과 수급은 서조연(西曹掾) 공손형(公孫珩)으로 하여금 조예에게 바쳤다.[18] 이 공으로 대사마와 낙랑공(樂浪公)을 받고 요동태수도 유지했지만 위나라는 공손연을 불편히 여겼다.

2. 2. 위나라와의 전면전

237년(경초 원년), 관구검이 유주자사로서 양평으로 진격해오자 요수현(遼隧縣, 遼隊縣)에서 맞아 싸워 물리쳤다. 마침 열흘간 가 내려 요수(遼水)가 불어났으므로 관구검은 물러났다.[13] 공손연은 연호소한이라 정하고 손권이 봉했었던 연왕을 자처하며 오나라에 을 벌리고 선비도 회유하려 하였다. 손권은 양도(羊衜)의 진언을 받아들여 지난 일은 덮어두고 지원을 약속하였다.[20]

238년 , 위나라에서는 태위 사마의우금, 호준 등을 거느리고 보병기병 4만 명으로 토벌에 나섰다. 6월(음력)에는 요수(遼水)에 도달하였다. 공손연도 비연양조 등 수만 명을 요수현으로 출격시켜 해자 등의 장애물을 20여 [21]에 걸쳐 설치하며 맞섰다. 사마의 군이 동남쪽 방향으로 수비망을 뚫으려 하자 거기에 신경을 쏟았는데, 사마의는 북쪽으로 우회하여 을 건너고 일부 병력만을 대치시킨 채 양평을 향해 내달렸다. 양조 등은 진지를 버리고 사력을 다해 사마의를 공격했지만 수산(首山)도 뚫리고 양평이 포위당했다.

공손연은 상국으로 임명한 왕건과 어사대부로 임명한 유보를 사자로 보내 화의를 꾀했다. 그러나 사마의는 두 사람을 참수하고 "왕건은 늙고 정신이 흐려져 주군의 명령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 것이리라. 다음에는 젊고 머리 좋은 자를 보내라"라고 경고했다. 공손연은 위연을 보내 인질을 보내고 항복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그러나 사마의는 "너는 항복하려 하지 않았지. 그렇다면 남은 것은 죽음뿐이다. 인질 따위는 필요 없다"라고 물리쳤다.[5]

같은 해 8월 23일, 공손연과 아들 공손수를 비롯한 조정 신하들은 모두 참수되었고, 요동의 성인 남자 7000명도 학살되었다. 그들의 머리는 높이 쌓여 경관이라고 불렸다. 공손연의 머리는 수도 낙양으로 보내졌다.

2. 3. 패망

30여 간 비가 계속되어 강이 범람하는데도 사마의는 군대를 물리지 않았다. 날이 개자 공성전이 시작되어 토산, 땅굴, 누거(樓車), 발석거, 연노 등으로부터 연일 돌과 화살이 빗발쳤다. 엔 식량이 바닥나 인육을 먹어야 했으며 죽은 자도 매우 많았다. 양조 등 투항하는 자들도 생겨났다. 8월, 수십 장(丈) 길이유성까지 동남쪽 방면에 떨어지면서 사람들이 두려워하였다. 고구려동천왕도 수천 명을 보내 사마의를 돕고 있었는데[22] 손권이 원군으로 파병한 정주(鄭冑)는 아직 당도하지 않았다.[23] 어쩔 수 없이 상국 왕건과 어사대부 유포(유보)를 보내 포위를 풀어줄 것을 간청하였으나 모두 만 날아갔다. 다시 시중(侍中) 위연을 통해 볼모를 보내겠단 뜻을 전하였지만 사마의는 “군사엔 다섯 길이 있으니 나와서 싸울 수 있다면 싸우고, 싸울 수 없다면 지켜야 하며, 지킬 수도 없다면 피해야 한다. 남은 두 가지는 항복과 죽음뿐이다. 공손연이 직접 와서 항복을 청하지 않는 것은 죽음을 각오한 것일 터 질자를 보낼 필요는 없다.”라 답할 뿐이었다.

끝내 아들 공손수와 수백 기만을 거느린 채 동남쪽 포위망을 돌파하고 도주하다가 위군에 잡혀 참수당했다. 15세 이상 남자 7,000여 명과 장군 필성(畢盛) 등 공경 이하 2,000여 명도 처형당해 그 시체로 경관(京觀)이 만들어졌으며 공손연의 머리는 낙양으로 보내졌다. 공손공 시절부터 낙양에 인질로 가있던 형 공손황도 목숨을 잃었다.[13] 189년(중평 6년) 이래 요동, 대방, 낙랑, 현도 등 동북방 변방에서 군림해오던 공손씨 정권은 이렇게 멸망하였다.

3. 외교 관계

공손연은 아버지 공손강과 할아버지 공손도의 뒤를 이어 요동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다. 228년 숙부 공손공을 위협하여 요동태수를 차지한 후, 위나라오나라 사이에서 교묘한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233년 오나라 황제 손권은 장미, 허안 등을 사신으로 보내 구석을 내리고 공손연을 연왕으로 책봉하려 했다. 그러나 공손연은 손권이 너무 멀리 있어 의지하기 어렵다고 판단, 사신들을 죽이고 그 머리를 위나라에 바쳤다.[18] 이 일로 대사마와 낙랑공에 임명되었지만, 위나라는 공손연을 경계하게 되었다.

공손연은 사이에서 줄타기 외교를 하다가 위에 복속하는 듯했으나, 고구려와도 관계를 맺었다.

3. 1. 위나라와의 관계

229년 오나라 황제 손권이 교위 장강과 관독을 파견해 접근해왔다.[13] 230년 조예거기장군으로 관위를 올려주었다.[14] 232년 공손연이 오나라와도 가까이 지내자 아직 공물을 끊지 않았음에도 조예가 이를 정복하고자 했다. 여남태수[15] 전예청주에서 서해를 건너고[16] 유주자사 왕웅이 육로로 진공하려다 성과 없이 돌아갔다.[17] 공손연은 주하 등 이미 와있던 오나라 사신들에 대한 답례로 교위 숙서와 낭중령 손종을 보냈다. 담비들을 헌상하며 칭번하니 손권이 기뻐서 청주이란 관직을 더해주고 연왕이란 작위도 수여하였다.[13]

233년(청룡 원년) 숙서와 손종이 오나라 장병 약 10,000명의 대규모 호위를 받으며 그 사절단과 함께 답진에 도착하였다. 오나라 사절단은 책봉 조서와 관련 집기는 물론 금은보화에 구석(九錫)까지 가져왔으며 부수적으로는 말들을 사가려 하였다. 태상 장미, 집금오 허안, 중랑장 만태, 교위 배잠이 수행원 400여 명을 데리고 치소인 양평으로 향하고 하달과 우자는 에 남았다. 공손연은 손권이 너무 멀리 있어 의지하기 어렵다 판단하였다. 장미 등 4인을 참수하고 그 수행원들을 구속했으며 한기에게는 군을 맡겨 답진의 오나라군까지 무찔렀다. 몰수한 물품과 수급은 서조연 공손형으로 하여금 조예에게 바쳤다.[18] 이 공으로 대사마와 낙랑공을 받고 요동태수도 유지했지만 위나라는 공손연을 불편히 여겼다.

결국 조예는 공손연을 제거하기로 결심하고 관구검을 유주자사에 임명하였다.[19] 237년(경초 원년) 양평으로 진격해오는 관구검을 요수현(요대현)에서 역격하여 물리쳤다. 마침 열흘간 도 내려 요수가 너무 불어났으므로 관구검이 물러났다.[13] 공손연은 연호소한이라 정하는 한편 손권이 봉했었던 연왕을 자처하며 오나라에 을 벌리고 선비도 회유하려 하였다. 손권은 양도의 진언을 받아들여 지난 일은 덮어두고 그 지원을 약속하였다.[20]

238년 , 위나라에서는 태위 사마의우금, 호준 등을 거느리고 보병기병 4만 명으로 토벌에 나섰다. 고죽과 갈석을 지나 6월(음력)에는 요수에 도달하였다. 공손연도 비연양조 등 수만 명을 요수현으로 출격시켜 해자 등의 장애물을 20여 [21]에 걸쳐 설치하며 맞섰다. 사마의의 군세가 동남쪽 방향으로 수비망을 뚫으려 하는 것 같아 거기에 신경을 쏟았는데 되레 사마의는 북쪽으로 우회하여 을 건너고 일부 병력만을 대치시킨 채 그대로 양평을 향해 내달렸다. 양조 등은 애써 구축한 진지를 버리고 급히 사력을 다해 사마의를 공격했지만 수산도 뚫리고 양평이 포위당했다.

3. 2. 오나라와의 관계

229년 오나라 황제 손권이 교위(校尉) 장강(張剛)과 관독(管篤)을 파견해 접근해왔다.[13] 232년 공손연이 오나라와도 가까이 지내자 조예가 이를 정복하고자 했다. 공손연은 주하(周賀) 등 이미 와있던 오나라 사신들에 대한 답례로 교위 숙서(宿舒)와 낭중령(郎中令) 손종(孫綜)을 보냈다. 담비들을 헌상하며 칭번하니 손권이 기뻐서 청주목이란 관직을 더해주고 연왕(燕王)이란 작위도 수여하였다.[13]

233년(청룡 원년) 숙서와 손종이 오나라 장병 약 10,000명의 대규모 호위를 받으며 그 사절단과 함께 답진(沓津)에 도착하였다. 오나라 사절단은 책봉 조서와 관련 집기는 물론 금은보화에 구석(九錫)까지 가져왔으며 부수적으로는 말들을 사가려 하였다. 태상 장미, 집금오 허안(許晏), 중랑장 만태(萬泰), 교위 배잠(裴潛)이 수행원 400여 명을 데리고 치소인 양평으로 향하고 하달(賀達)과 우자(虞咨)는 에 남았다. 공손연은 손권이 너무 멀리 있어 의지하기 어렵다 판단하였다. 장미 등 4인을 참수하고 그 수행원들을 구속했으며 한기(韓起)에게는 군을 맡겨 답진의 오나라군까지 무찔렀다.[18]

공손연은 표면적으로는 조위의 신하였지만, 위의 라이벌 국가인 동오로의 충성심을 바꾸는 것을 고려했다. 공손연은 결국 위 황제 조예의 압력에 굴복했다. 그는 오나라 사절들을 죽였지만 그들 중 일부는 고구려로 도망쳤다. 오나라 황제 손권은 고구려와 동맹을 맺어 공손연을 협공하려 했지만, 고구려는 결국 공손연에 대항하여 위나라 편에 섰다.

237년 공손연은 연호소한(紹漢)이라 정하는 한편 손권이 봉했었던 연왕을 자처하며 오나라에 을 벌리고 선비도 회유하려 하였다. 손권은 양도(羊衜)의 진언을 받아들여 지난 일은 덮어두고 그 지원을 약속하였다.[20]

이후 공손연은 위 이외에도 와도 통하는 등 교묘한 외교를 보였다. 가화 2년(233년), 오로부터 구석을 받아 연왕에 봉해졌다. 그러나 후에 마음을 바꿔 오의 사자로서 방문한 장미, 허안, 하달 등을 살해하고 그들의 머리를 위에 바쳤다.

238년 위군이 쳐들어오자 공손연은 오나라에 원군을 요청했다. 오나라는 과거의 앙심 때문에 비꼬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지만, 그래도 위나라를 견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 원군을 보냈다.[4]

3. 3. 고구려와의 관계

237년(경초 원년), 관구검이 유주자사로 임명되어 공손연을 공격했다. 고구려는 관구검의 침공을 받았으나, 요수(遼水)의 홍수로 인해 관구검이 물러났다.[13] 238년 사마의가 요동 정벌에 나섰을 때, 고구려동천왕은 수천 명을 보내 사마의를 도왔다.[22]

3. 4. 왜와의 관계

요동 공손씨의 멸망은 왜국 여왕 히미코가 위의 지배하에 있던 대방군에 사신을 파견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견해가 유력하다. 당시 공손씨 정권은 한반도를 비롯한 동이 제국의 사신을 요동에서 막고, 스스로에게 조공하게 하였는데, 공손씨 정권이 멸망하면서 사신 왕래의 경로가 열리게 되었다는 것이다.[6][7][8] (다만, 이는 추측일 뿐이며, 공손씨가 왜의 조공을 방해했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고, 조공을 방해해야만 했던 이유도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위지 왜인전』에는 이른바 왜국 대란 이후 히미코가 사신을 파견하기까지 왜국에 관한 구체적인 기술이 끊기는데, 이 시기는 후한 영제가 붕어하고 위나라가 흥기하여 삼국이 정립되는 난세와 겹치며, 공손씨가 요동에서 자립했던 시기와도 겹치기 때문에 기술 중단의 근거로 꼽히고 있다.[8] 『위지 왜인전』에는 히미코의 사신이 대방군에 도착한 것은 경초 2년 6월이라고 명기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공손씨 멸망 이전의 시점으로 여겨져, 대방군에 사신을 파견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을까 하는 견해에서, "2"와 "3"의 오기를 상정하여 다음 해인 경초 3년이 아니냐는 이의[9]가 제기되었다. 다만, 왜국의 사신 파견이 대부 2명에 조공물로 생구 10명, 베 2필 2장이었고, 과거 후한 안제 영초 원년(107년)의 왜왕 사승 등의 공물인 생구 160명과 비교했을 때 조악해 보임에도 불구하고, 경초 3년 원일에 붕어한 위 명제가 생전에 왜국을 "후대"한 것은, 공손씨에서 가장 먼저 위나라로 갈아탄 공적을 인정했기 때문이라는 관점에서, 공손씨 멸망 직전의 이 시기의 사신 파견이 정확하다는 설[10]이 유력하다.

일본의 『신찬성씨록』에서는 귀화인 계통 씨족 중 하나인 토코요 씨(옛 아카조메 씨)는 공손연의 자손이라고 칭하고 있다.

4. 평가

공손연은 후한 말 요동 지역의 군벌 공손강의 아들이었다. 그는 삼국 시대 동안 조위의 신하가 되었으나, 위의 라이벌 국가인 동오로 충성을 바꾸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위 황제 조예의 압력에 굴복하여 오나라 사절들을 죽였다.[1]

스스로 燕|연중국어왕을 자칭하며 동오와 동맹을 맺었으나, 사마의의 요동 정벌에서 사마의관구검에게 패배하여 죽임을 당하고 일족은 멸족되었다.[1]

5. 기타

소설삼국지연의》에 공손연이 등장한다. 공손연과 공손수 부자가 사마의에게 토벌되기 전에, 연의 집에는 여러 차례 기이한 일들이 일어났다. 주홍색 관을 쓰고 붉은 옷을 입은 개가 지붕에 올라갔고, 쌀을 찌는 솥 안에서 어린아이가 쪄 죽는 일이 있었다. 또한 연의 영지인 양평 북쪽 시가지에 고기가 나타났는데, 길이와 둘레가 각각 수 척에 달했으며 머리, 눈, 입, 입술이 달려 있었지만 손과 발은 없이 흔들렸다. 이에 역술가에게 점을 쳐 본 결과 "형체는 있으나 완전하지 않다. 몸은 있으나 소리는 내지 않는다. 이는 국가 멸망의 전조입니다."라고 하였다[11]. 삼국지연의에서 공손연이 연왕을 자칭할 때, 윤직이 이 괴기 현상을 예로 들어 간언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처형되었다.

6. 가계

7. 섬긴 사람들

가범


  • 공손형(公孫珩)
  • 곽흔(郭昕)
  • 비연
  • 손종(孫綜)
  • 숙서(宿舒)
  • 양조
  • 왕건
  • 왕찬(王贊)
  • 위연
  • 유원(柳遠)
  • 유포(유보)
  • 윤직
  • 필성(畢盛)
  • 한기(韓起)

참조

[1] 서적 Cao Rui's biography in ''Sanguozhi'' indicated that Sima Yi laid siege to Xiangping on the ''bingyin'' day of the 8th month of the 2nd year of the ''Jing'chu'' era. However, there is no ''bingyin'' day in that month; the next ''bingyin'' day is in the 9th month of that year and corresponds to 3 Sep 238 in the Julian calendar. Volume 74 of ''Zizhi Tongjian'' placed the fall of Xiangping on the ''renwu'' day of the 8th month of that year. However, there is also no ''renwu'' day in that month; the next ''renwu'' day is also in the 9th month and corresponds to 19 Sep 238 in the Julian calendar.
[2] 서적 『晋書』第1 宣帝帝紀および『北史』より。
[3] 위키문헌 晉書/卷001#宣帝
[4] 서적 「公孫淵伝」注に引く『漢晋春秋』によると、公孫淵が勝てば援軍として振る舞い、負ければ遼東の地を略奪して帰還する計画だった。実際には公孫淵の救援に間に合わなかったため、遼東で略奪してから引き揚げている。
[5] 위키문헌 晉書/卷001#宣帝
[6] 서적 日本歴史の国際環境 東京大学出版会 1985-01-01
[7] 논문 「『 三国志 』 東夷伝 倭人の条に現れた世界観と国際関係」 2011
[8] 웹사이트 遼東公孫氏 紫柴砦 http://kurekiken.web[...] 京都大学歴史研究会 2013-11-01
[9] 서적 『[[梁書]]』では「{{Lang|zh-tw|至魏景初三年 公孫淵誅後 卑彌呼始遺使朝貢}}」、又、『北史』倭国伝では「{{Lang|zh-tw|魏景初三年 公孫文懿誅後 卑彌呼始遣使朝貢}}」と、公孫淵が誅殺された後の景初3年としている。
[10] 서적 『邪馬台国』はなかった 1971
[11] 서적 捜神記 平凡社 1992-01
[12] 서적 배송지가 《삼국지》오주전에 인용한 《강표전》에서는 평락후(平樂侯)라 하였는데 [[산양군]] 평락현은 이미 없어졌다. 공손공의 작위가 평곽후(平郭侯)였으므로 그 오기가 아닌가 한다. 노필 편, 《삼국지집해》
[13] 서적 《삼국지》47권 오서 제2 오주 손권
[14] 서적 《삼국지》3권 위서 제3 명제 조예
[15] 서적 [[사마표]]의 《전략》(戰略)에서는 [[평주]]자사(平州―)라 하였으나 《삼국지》 전예전을 따른다.
[16] 서적 《삼국지》26권 위서 제26 전예
[17] 서적 《전략》 ; 배송지 주석, 《삼국지》14권 위서 제14 [[장제 (조위)|장제]]에서 인용
[18] 서적 어환(魚豢), 《[[위략]]》 ; 배송지 주석, 《삼국지》8권 위서 제8 공손탁에서 인용
[19] 서적 《삼국지》28권 위서 제28 관구검
[20] 서적 [[습착치]], 《[[한진춘추]]》 ; 배송지 주석, 《삼국지》8권 위서 제8 공손탁에서 인용
[21] 서적 《진서》 선제기에서는 육칠십 리라 하였으나 《삼국지》 공손연전과 《[[자치통감]]》74권을 따른다.
[22] 서적 《삼국지》30권 위서 제30 [[동이]] 고구려
[23] 서적 《문사전》(文士傳) ; 배송지 주석, 《삼국지》47권 오서 제2 오주 손권에서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