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항공사령부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항공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항공 작전을 지휘하는 부대이다. 1999년 4월 항공대 통합을 통해 창설되었으며, 2021년 12월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임무는 북한군 기계화 부대 타격, 근접 항공 지원, 특수 작전 등이며, 육군 항공병과 소장이 사령관을 맡는다. AH-64E 아파치, AH-1S/F 코브라, CH-47D 치누크, UH-60P 블랙 호크 등 다양한 항공기를 운용하며, 예하에 여러 항공여단과 항공단, 정비대대 등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육군제2작전사령부
육군 제2작전사령부는 1954년 창설된 제2야전군사령부에서 개편되어 전라, 충청, 경상 지역의 후방 작전, 경비, 예비군 훈련, 재해·재난 구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지상작전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로, 과거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통합하여 2019년 1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평시에는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전시에는 한미 연합사령부 예하 지상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이천시 소재의 관공서 - 육군특수전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1969년 창설되어 육해공 다양한 경로로 적진에 침투해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능사령부이며, 전시에는 연합특수전사령부를 구성하고 국내외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2016년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했다. - 이천시 소재의 관공서 - 제7기동군단
제7기동군단은 1969년 동해안경비사령부로 창설되어 1982년 제7군단으로 개편된 대한민국 육군의 유일한 기동군단으로, 군단 전체가 기계화되어 유사시 미군과 함께 북한을 타격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육군항공사령부 (대한민국)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육군항공사령부 |
원어 이름 | 陸軍航空司令部 |
![]() | |
활동 기간 | 1999년 4월 20일 ~ 현재 |
병과 | 항공 |
종류 | 기능 사령부 |
역할 | 근접항공지원 |
규모 | 사단 |
명령 체계 | 육군본부 |
본부 | 경기도 이천시 |
별명 | 육항사 |
색 | 노랑 |
지휘관 | |
사령관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양윤석 (육사 49기) |
지휘관 명칭 | 사령관 |
장비 | |
장비 | 장비 문단 참조 |
언어 정보 | |
영어 이름 | Army Aviation Command |
2. 역사
1999년 4월 20일, 항공 작전의 지휘통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 부대에 분산 편성되어 있던 항공대를 통합하여 육군항공사령부가 창설되었다. 같은 해, 같은 달에 제203특공여단이 항공작전사령부로 배속되어 제1공중강습여단으로 개편되었으나, 2005년 다시 제2작전사령부 예하 제203특공여단으로 되돌려졌다.[2][3]
2021년 12월 1일부로 부대 명칭이 기존의 '항공작전사령부'에서 ''''육군항공사령부''''로 변경되었다.[2][3]
주로 육군 항공병과 소장이 사령관을 맡는다.[2][3]
2001년 5월 29일, 올림픽대교에서 조형물을 설치하고 귀환하려던 중 CH-47 치누크의 블레이더가 조형물과 부딪혀 인도 옆의 난간 위로 추락하여 탑승자 3명(전홍엽 준위, 남인호 준위, 김우수 중사(추서계급))이 사망하였다.[2]
2007년 11월 5일, 강원도 인제군에서 호국훈련 도중, UH-60 블랙호크 2기가 프로펠러가 충돌 후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왕태기 소령이 사망하고 탑승자 21명이 다쳤다. 왕태기 소령은 중령으로 한단계 사후 진급되었다.[3]
2. 1. 사건 및 사고
2001년 5월 29일, 올림픽대교에서 조형물을 설치하고 귀환하려던 중 CH-47 치누크의 블레이더가 조형물과 부딪혀 인도 옆의 난간 위로 추락하여 탑승자 3명(전홍엽 준위, 남인호 준위, 김우수 중사(추서계급))이 사망하였다.[2]2007년 11월 5일, 강원도 인제군에서 호국훈련 도중, UH-60 블랙호크 2기가 프로펠러가 충돌 후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왕태기 소령이 사망하고 탑승자 21명이 다쳤다. 왕태기 소령은 중령으로 한단계 사후 진급되었다.[3]
3. 임무
육군항공사령부는 북한군 기계화 군단의 예상 진입로를 탐색 및 매복하여 타격하고 진격이 멈출 경우, 대규모 반격인 '결정적 공격작전'에 따라 예상 퇴각로를 찾아내어 최대한의 피해를 주는 근접항공지원과 특수 작전 등을 주 임무로 하고 있다.
4. 편성
항공작전사령부 예하 부대가 아닌 항공단은 1026부대에서 담당하며, 각 항공단은 야전군과 군단에 배속되어 요구에 따라 근접 항공 지원을 제공한다.
사령부 본부 및 본부대
- 55관제대대
- 70항공정비대대
- 71항공정비대대
- 72항공정비대대
- 73항공정비대대
- 60항공대
- 82정보통신대
번호 | 지원 부대 | 항공대대 |
---|---|---|
제1항공여단 | 경기도 이천 | AH-1S : 103, 105, 107, 109, UH-1H : 202 |
제2항공여단 | 경기도 성남 | CH-47D : 301 UH-60P : 601, 602, 603, 605 |
제21항공단 | 제2작전사령부 | UH-1H : 206, 207, MD500/TOW : 506, 507 |
제11항공단 | 제1군단 | UH-1H : 203 MD500/TOW : 505, 514 |
제13항공단 | 제1야전군 | UH-1H : 204, 205 MD500/TOW : 501, 502, 503, 510, 515 |
제15항공단 | 제5, 6군단 | UH-1H : 201 MD500/TOW : 504, 509, 513 |
4. 1. 부대
제1항공여단과 제2항공여단은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각 AH-1S, UH-1H, CH-47D, UH-60P 등의 항공기를 운용한다. 항공정비여단 예하에는 제70, 71, 72, 73 항공정비대대가 있다. 의무후송항공대대 "메디온", 제80정보통신대, 제520방공대도 육군항공사령부 예하 부대이다.사령부 본부 및 본부대에는 55관제대대, 60항공대, 82정보통신대가 있다.
번호 | 지원 부대 | 항공대대 |
---|---|---|
제1항공여단 | 경기도 이천 | AH-1S : 103, 105, 107, 109, UH-1H : 202 |
제2항공여단 | 경기도 성남 | CH-47D : 301 UH-60P : 601, 602, 603, 605 |
제21항공단 | 제2작전사령부 | UH-1H : 206, 207, MD500/TOW : 506, 507 |
제11항공단 | 제1군단 | UH-1H : 203 MD500/TOW : 505, 514 |
제13항공단 | 제1야전군 | UH-1H : 204, 205 MD500/TOW : 501, 502, 503, 510, 515 |
제15항공단 | 제5, 6군단 | UH-1H : 201 MD500/TOW : 504, 509, 513 |
항공작전사령부 예하 부대가 아닌 항공단은 1026부대에서 담당하며, 각 항공단은 야전군과 군단에 배속되어 근접 항공 지원을 제공한다.
4. 2. 항작사 예하가 아닌 항공단 (1026부대 담당)
4. 3. 장비
대한민국 육군항공사령부는 공격, 수송, 정찰, 다목적 헬리콥터 등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를 운용한다. 공격 헬리콥터로는 AH-64E 아파치와 AH-1S/F 코브라를 보유하고 있다. 수송 헬리콥터로는 CH-47D 치누크가 있다. 정찰 헬리콥터로는 BO-105와 500MD를 운용한다. 다목적 헬리콥터로는 UH-1H 휴이, UH-60P 블랙 호크, KUH-1 수리온을 보유하고 있다.5. 역대 사령관
wikitable
구분 | 계급 | 성명 | 취임 | 이임 | 비고 |
---|---|---|---|---|---|
1대 | 중장 | 김판규 | 1999년 4월 20일 | ? | |
2대 | 중장 | 김희중 | ? | ? | |
3대 | 중장 | ? | ? | ? | |
4대 | 중장 | ? | ? | ? | |
5대 | 중장 | ? | ? | ? | |
6대 | 중장 | ? | ? | ? | |
7대 | 중장 | ? | ? | ? | |
8대 | 중장 | ? | ? | ? | |
9대 | 중장 | 이희원 | ? | 2005년 3월 | |
10대 | 소장 | 최해필 | 2005년 5월 | 2006년 6월 29일 | |
11대 | 소장 | 백병기 | 2006년 6월 30일 | ? | |
12대 | 중장 | 최용주 | ? | 2009년 4월 22일 | |
13대 | 소장 | 이태만 | 2009년 4월 23일 | 2010년 6월 27일 | |
14대 | 소장 | 배명헌 | 2010년 6월 28일 | ? | |
15대 | 소장 | 이덕춘 | 2011년 11월 23일 | 2013년 4월 28일 | |
16대 | 중장 | 김학주 | 2013년 4월 29일 | ? | |
17대 | 중장 | 이순진 | ? | 2014년 10월 22일 | |
18대 | 중장 | 김영식 | 2014년 10월 23일 | 2015년 11월 ??일 | |
19대 | 소장 | 장광현 | ? | 2016년 10월 28일 | |
20대 | 중장 | 장경석 | 2016년 10월 28일 | 2017년 9월 26일 | 前 특수전사령관 |
21대 | 소장 | 허건영 | 2017년 9월 26일 | 2019년 5월 ??일 | 준장 시절 항공작전사령부 참모장 역임. |
22대 | 중장 | 이정기 | 2019년 5월 | 2019년 11월 21일 | 前 제7기동군단장 前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23대 | 소장 | 강선영 | 2019년 11월 21일 | 2021년 11월 | 제60항공단장, 제11항공단장, 항공작전사령부 참모장 최초의 여군 소장 |
24대 | 소장 | 이보형 | 2021년 12월 | 2023년 9월 1일 | |
25대 | 준장 | 조재식 | 2023년 11월 | 2024년 4월 | |
26대 | 소장 | 양윤석 | 2024년 4월 |
참조
[1]
문서
사령관, 부사령관에 장성급 장교, 참모장에 영관급 장교를 보임한다는 육군항공사령부령에 의거 사단급으로 격하되었다.
[2]
뉴스
군헬기 올림픽대교 추락… 탑승자 셋 사망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01-05-30
[3]
뉴스
故 왕태기 중령 영결식, 마지막 순간까지 목숨 건 사투를...
https://n.news.naver[...]
2007-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