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령 옥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령 옥씨는 고구려 멸망 후 신라에서 국학교수를 지낸 옥진서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옥은종을 기세조로 하는 계통과 옥여를 기세조로 하는 계통으로 나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5명, 무과 급제자 6명, 생원·진사 8명을 배출하였다. 1389년 문과에 급제한 옥사온의 성씨가 왕씨에서 옥씨로 개성된 것일 수 있다는 논란이 있다. 주요 인물로는 택연, 옥주현 등이 있으며, 집성촌은 경상남도 의령군, 거제시, 통영시 등에 분포한다. 2015년에는 의령 옥씨와 의춘 옥씨를 합하여 총 22,452명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령 옥씨 - 옥고운
    옥고운은 패션 모델로 데뷔하여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의령 옥씨 - 옥은호
    서울대학교 농업교육학 석사 출신인 옥은호는 클린선거시민행동 공동대표를 지낸 시민운동가이자 (주)아빅스 대표이며, 새누리당 대선 후보로도 활동한 기업인이자 정치인이다.
의령 옥씨
지리 정보
기본 정보
이름의령 옥씨
한자 표기宜寧 玉氏
로마자 표기Uiryeong Ok clan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의령군
기원의령군
창시자옥진서
관련 인물옥소리
옥주현
옥택연
주요 거주지경상남도 의령군 칠곡면 산남리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기도리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수월리
웹사이트의령옥씨대종회
역사
시조옥진서
중시조옥은종
옥여
인물
주요 인물옥고
옥관빈
옥조남
옥만호
인구 정보
2015년 인구22,452명

2. 역사

의령 옥씨는 시조 '''옥진서'''(玉眞瑞) 이후 문헌이 전해지지 않아 고려 시대에 이르러 두 계통으로 나뉘었다. 고려조에 창정(倉正)을 지낸 옥은종(玉恩宗)을 기세조로 하는 계통과 평장사(平章事) 옥여(玉汝)를 기세조로 하는 계통이다. 옥은종의 후손 옥사온(玉斯溫)은 1389년(창왕 1년) 문과에 급제하였고,[8] 옥사온의 동생인 진성감무(珍城監務) 옥사미(玉斯美)의 아들 옥고(玉沽)는 1399년(정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어사부 장령(御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다.[9]

2. 1. 시조 및 기원

시조 '''옥진서'''(玉眞瑞)는 고구려의 요청으로 당나라에서 파견된 8재사(八才士) 중 한 명으로, 고구려 멸망 후 신라에서 국학교수(國學敎授)를 역임하고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으며 문혜(文惠)라는 시호를 받았다고 한다.[8]

그 후 문헌(文獻)의 실전(失傳)으로 선계(先系)를 상고할 수 없어, 고려 시대에 창정(倉正)을 지낸 '''옥은종'''(玉恩宗)을 기세조로 하는 계통과 평장사(平章事) '''옥여'''(玉汝)를 기세조로 하는 계통으로 갈라졌다.

옥은종의 6세손인 복응재생(服膺齋生) 옥안덕(玉安德)의 아들 옥사온(玉斯溫)은 1389년(창왕 1년) 문과에 급제하였다.[8] 옥사온의 동생인 진성감무(珍城監務) 옥사미(玉斯美)의 아들 옥고(玉沽)는 1399년(정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어사부 장령(御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다.[9]

2. 2. 고려 시대

문헌의 실전(失傳)으로 선계(先系)를 상고할 수 없어 고려조에 창정(倉正)을 지낸 '''옥은종'''(玉恩宗)을 기세조로 하는 계통과 평장사(平章事) '''옥여'''(玉汝)를 기세조로 하는 계통으로 갈라졌다.

옥은종의 6세손인 복응재생(服膺齋生) 옥안덕(玉安德)의 아들 옥사온(玉斯溫)은 1389년(창왕 1년) 문과에 급제하였다.[8] 옥사온의 동생인 진성감무(珍城監務) 옥사미(玉斯美)의 아들 옥고(玉沽)는 1399년(정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어사부 장령(御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다.[9]

2. 3. 조선 시대

의령 옥씨는 조선시대에 여러 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옥안덕(玉安德)의 아들 옥사온(玉斯温)은 1389년 문과에 급제하였고, 옥사미(玉斯美)의 아들 옥구(玉沽)는 1399년 문과에 급제하여 어사대장령(御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다.[4]

2. 3. 1. 과거 급제자

의령 옥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5명, 무과 급제자 6명, 생원·진사 8명을 배출하였다.[6]

문과
옥경련(玉景鍊), 옥고(玉沽), 옥려(玉礪), 옥병관(玉秉觀), 옥진휘(玉晉輝)



무과
옥글동(玉文里同), 옥대집(玉大集), 옥승(玉承), 옥신호(玉信浩), 옥영윤(玉永潤), 옥채형(玉采荊)



생원시
옥광형(玉光亨), 옥세보(玉世寶), 옥진소(玉振韶), 옥치규(玉穉圭)



진사시
옥이탁(玉以琢), 옥재온(玉在溫), 옥진함(玉振), 옥진휘(玉晉輝)


3. 분파 및 논란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에는 1389년(고려 창왕 1년) 문과에 급제한 왕사온(王斯溫)이 기록되어 있으나, 『조선씨족통보』에는 의령 옥씨 편에 “辛昌己巳文科” 옥사온(玉斯溫)으로 기록되어 있다.[10] 이 때문에 이성계의 역성 혁명 이후 여말선초에 개성 왕씨에서 옥씨(玉氏)로 성을 바꾼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옥사온의 조카 옥고(玉沽)의 문과 기록을 보면 아버지는 옥사미(玉斯美)이며, 옥사온은 옥사미의 동생이다. 『조선씨족통보』에 의하면 옥고는 반성 옥씨(班城玉氏) 편에 기록되어 있다. 형 옥사미는 반성 옥씨, 동생 옥사온은 의령 옥씨로 분적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의령 옥씨로 통합되었다. 1918년 발행된 개성 왕씨 족보 무오보에는 옥(玉)씨 성을 쓰던 일부가 왕(王)씨로 환성했다는 기록이 있다.

3. 1. 분파

이성계(李成桂)의 역성혁명 이후, 원나라 왕족 개성 왕씨(開城王氏)가 옥씨로 성을 바꿨을 가능성이 있다.[5] 왕스온의 조카 옥고(玉沽)의 과거 시험 합격 기록을 보면, 그의 아버지는 옥스미(玉斯美)이며 옥스온은 옥스미의 동생이다.[5] 『조선씨족통보』에 따르면, 옥고는 반성옥씨(班城玉氏) 편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옥스미는 반성옥씨(班城玉氏)이고, 그의 동생 옥스온은 의령옥씨로 분파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의령옥씨에 흡수되었다. 1918년에 발행된 개성왕씨(開城王氏) 족보 무오보(戊午譜)에는 옥씨(玉氏)를 사용했던 몇몇 왕씨(王氏)가 있었다.

3. 2. 왕씨 개성 논란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에는 1389년(고려 창왕 1년) 문과에 급제한 왕사온(王斯溫)이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조선씨족통보』에는 의령 옥씨 편에 “辛昌己巳文科” 옥사온(玉斯溫)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이성계의 역성 혁명 이후 여말선초에 개성 왕씨에서 옥씨(玉氏)로 개성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옥사온의 조카 옥고(玉沽)의 문과 방목을 보면 아버지는 옥사미(玉斯美)로, 옥사온은 옥사미의 동생이다.[10] 『조선씨족통보』에 따르면 옥고는 반성 옥씨(班城玉氏) 편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형 옥사미는 반성 옥씨로, 동생 옥사온은 의령 옥씨로 분적했다가 현재는 의령 옥씨로 합보된 것으로 추정된다. 1918년에 발행된 개성 왕씨 족보 무오보에는 옥(玉)씨 성을 쓰던 일부가 왕(王)씨로 환성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4. 현대 인물

5. 집성촌

지역
경상남도 의령군 칠곡면 산남리·산북리[7]
경상남도 거제시[7]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기도동[7]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수월리[7]


6. 항렬자

炳(병)


7. 인구

의령 옥씨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4,622가구18,900명
2000년6,157가구19,368명
2015년22,452명(의령 옥씨 19,095명 + 의춘 옥씨 3,357명)[3]



2015년 대한민국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의녕 옥씨가 19,909명으로 조사되었다.[3]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의령옥씨 宜寧玉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July 2018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4] 고문서 세종실록 64권, 세종 16년 6월 1일 병오 6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인물정보
[6] 인물정보
[7] 웹사이트 옥씨(玉氏) 본관(本貫) 의령(宜寧)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8] 인물정보
[9] 고문서 세종실록 64권, 세종 16년 6월 1일 병오 6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0] 인물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