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한 군으로, 선사 시대부터 역사가 이어져 왔다. 고려 시대에 의령현으로 개명되었으며,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를 중심으로 의병 활동이 일어난 곳으로, 1919년 3·1 운동, 1950년대 한국 전쟁의 피해를 겪었다. 낙동강과 남강이 만나는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자굴산과 국사봉이 위치한다. 행정 구역은 1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곽재우, 이병철, 우범곤 등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다. 교육 시설로는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특수학교가 있으며, 진주, 함안, 창원 등 인접 도시와의 교통이 편리하다. 사천시, 무안군, 용산구, 의성군, 랴오청 시, 만달솜 등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령군 - 천강문학상
천강문학상은 구상 솟대 문학상에서 이름이 바뀐 문학상으로, 시, 시조, 소설, 아동문학, 수필 부문에서 대상과 우수상을 시상하며 매년 수상 작품을 선정하고 고은, 김승희, 정호승 등 유명 문인들이 역대 수상자에 포함되어 있다. - 의령군 - 의령군의 행정 구역
의령군의 행정 구역은 시대에 따라 굴자군에서 의령현, 의춘, 다시 의령현으로 명칭이 변경되고 진주부, 경상남도에 속하는 등 소속이 바뀌었으며, 합천군 일부 편입, 면 폐지 및 신설, 읍 승격, 행정 구역 조정 등의 개편 과정을 거쳤다. - 경상남도의 군 - 창녕군
창녕군은 경상남도 중앙 북단에 위치하여 낙동강을 따라 비옥한 땅을 이루고 오랜 역사를 지닌 군으로, 우포늪과 부곡온천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며 충신과 학자를 많이 배출한 학문의 고장으로서 지역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 경상남도의 군 - 고성군 (경상남도)
고성군은 경상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삼한시대 고자미동국에서 소가야의 중심지를 거쳐 조선시대 고성현을 지나 1895년 고성군이 되었으며, 상족암군립공원,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 당항포 등의 관광지가 있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의령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의령군 |
한글 표기 | 의령군 |
한자 표기 | 宜寧郡 |
로마자 표기 | Uiryeong-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Ŭiryŏng kun |
위치 | 대한민국 영남 지방 |
방언 | 경상 방언 |
면적 | 482.95 km² |
인구 (2024년 9월 기준) | 25,168명 |
인구 밀도 | 67.0명/km² |
행정 구역 | 1읍 12면 |
![]()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진달래 |
군조 | 비둘기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도 | 경상남도 |
하위 행정 구역 | 1읍 12면 |
군수 | 오태완 (국민의힘) |
국회의원 | 박상웅 (국민의힘,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
군청 소재지 | 의령읍 충익로 68 (중동리 261-1) |
홈페이지 | 의령군청 홈페이지 |
2. 역사
현재의 의령군은 고려 시대에 신번현과 인근 지역 일부를 합하여 형성되었다.
석기 시대의 유적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나, 인근 지역의 발견 사례로 보아 거주 가능성은 있다. 청동기 시대의 유적으로는 정곡면 오방리·석곡리 지석묘군, 화정면 상정리 지석묘군 등 다수가 확인되었다.
삼국시대에는 대가야 연맹의 영향 아래 있던 '''임례국'''(稔禮國)이 자리 잡았다. 559년 신라에 병합된 후 노함현(奴(獐)含縣)이 설치되었고, 757년 경덕왕 16년에 행정명칭 개혁으로 '''의령현(宜寧縣)'''으로 개명되어 함안군의 영현이 되었다. 이 시기 운곡리 고분군 등에서는 당시 일본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고려 시대인 1018년 현종 9년에는 의춘(宜春)으로 일시 개명되어 진주목의 속현이 되었다. 1390년 공양왕 2년 감무가 설치되었고, 이듬해 신번현을 합병하였다. 조선 시대인 1413년 다시 의령현이 되었으며,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곽재우가 이끄는 의병이 의령과 창녕 일대에서 처음 봉기하여 일본군과 항전한 주요 활동지였다.[3]
1895년 6월 23일 진주부 의령군으로 개편되었고,[14] 1896년 8월 4일 '''경상남도 의령군'''으로 개편되었다.[15]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여러 차례의 행정구역 조정을 거쳐[16][17] 1979년 5월 1일 의령면이 의령읍으로 승격하는[18] 등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 1. 선사 시대
의령군 지역에서는 아직 석기 시대의 유적이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인근 지역에서는 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고 있어, 의령 지역에도 석기 시대 사람들이 살았을 가능성은 있다.청동기 시대의 유적은 많이 확인되는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정곡면 오방리와 석곡리의 지석묘군, 화정면 상정리 지석묘군, 가례면 수성리 지석묘군, 칠곡면 신포리 입석군 등이 있다. 이 중 정곡면 석곡리 지석묘군은 학술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조사 결과 기원전 5세기에서 4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2. 2. 삼국 시대
삼국시대에 의령 지역에는 '''임례국'''(稔禮國)이 자리 잡고 있었다. 임례국은 대가야 시대 남가야의 중심 세력 중 하나였던 안라국(현재의 함안군) 옆에 위치하여 그 영향력 아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559년 신라가 남가야 지역을 병합하면서 임례국도 신라에 흡수되었다.이 시기의 유적으로는 다수의 고분군이 남아 있으며, 특히 운곡리 고분군과 경산리 고분군에서는 국내에서 드물게 당시 일본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독특한 무덤 양식이 발견되어 주목받고 있다.
신라는 옛 임례국의 영역에 노함현(奴(獐)含縣)을 설치하였다. 이후 757년 경덕왕 16년에 행정구역 명칭을 정비하면서 '''의령현(宜寧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함안군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2. 3. 고려 시대
현재의 의령군은 고려 시대에 신번현과 인근 지역 일부를 합하여 형성되었다. 1018년 현종 9년에 의령현은 의춘(宜春)으로 일시적으로 이름이 바뀌어 진주목의 속현이 되었다. 1390년 공양왕 2년에는 감무가 설치되었고, 1391년 공양왕 3년에는 합주(현재 합천군)에 속해 있던 신번현을 합병하였다.[3]2. 4. 조선 시대
1390년 고려 공양왕 2년에 감무(監務)가 설치되었고, 이듬해인 1391년에는 신번현(新番縣)을 합병하였다. 조선 태종 13년인 1413년에 '''의령현'''(宜寧縣)으로 개칭되었으며, 감무가 폐지되고 현감(縣監)의 전신 격인 향암(鄕巖)이 파견되었다. 세종대왕 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당시 의령 지역에는 504호 1,629명, 옛 신번현 지역에는 555호 982명이 거주한 것으로 나타난다.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령은 곽재우가 이끄는 의병이 처음으로 봉기한 주요 활동 무대가 되었다. 곽재우 장군은 의령과 창녕 일대에서 활약하며 일본군에 맞서 싸웠으며[3], 그의 용기와 지도력은 조선 최초의 의병 봉기로 평가받으며 임진왜란 극복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2. 5. 근현대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고종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진주부 의령군'''으로 개편되었다.[14] 1896년 8월 4일 다시 '''경상남도 의령군'''으로 개편되었다.[15]191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 하의 행정구역 통폐합(군면병합)에 따라 합천군 궁소면(宮所面)이 의령군에 편입되었다.[16][7] 이로써 의령군은 의령면, 가례면, 칠곡면, 대의면, 화양면, 상이면, 용덕면, 정곡면, 지정면, 낙서면, 부림면, 봉수면, 궁유면, 유곡면의 14개 면을 관할하게 되었다.[7]
1919년 3월 14일, 3.1 운동의 영향으로 의령면에서 독립 만세 운동 시위가 발생하여 3일간 지속되었다. 이는 지역 주민들의 독립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1933년 1월 1일 화양면과 상이면(上二面)이 폐지되고 '''화정면'''(華井面)이 신설되었다.[17][8] 이 과정에서 화양면의 일부(중촌리·하촌리)는 의령면에 편입되었다.[8] 이로써 의령군은 13개 면을 관할하게 되었다.
1950년대 한국 전쟁 당시 의령군은 공산군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낙동강 방어선 전투 과정에서 격전지가 되면서 많은 희생이 따랐다.
1979년 5월 1일 의령면이 '''의령읍'''으로 승격되었다.[18][9] 이로써 의령군은 1읍 12면 체제가 되었다.
1983년 2월 15일 합천군 적중면의 권혜리, 묵방리가 부림면에 편입되었다.[10] 1989년 1월 1일에는 합천군 대양면 오산리 일부가 봉수면에, 합천군 삼가면 외토리 일부가 대의면에 편입되었고, 봉수면 일부가 부림면에 편입되는 등 일부 행정 구역 조정이 있었다.
2003년 7월 16일 궁유면의 한글 표기가 '''궁류면'''으로 변경되었다.
3. 지리
낙동강 본류와 지류인 남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산간 지역에는 분지가 발달해 있다. 전반적으로 동서가 길고 남북이 짧은 형태를 띤다.[19] 산간 내륙 지역의 특성상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의 특징이 함께 나타난다.[19]
3. 1. 지형
낙동강 본류와 지류인 남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강과 인접한 남쪽 지역은 토지가 비옥하여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으며, 산간 지대에도 곳곳에 분지가 발달하여 비교적 좋은 생활 환경을 갖추고 있다. 군의 전체적인 형태는 동서로 길고 남북으로 짧은 타원형이다. 서북부에는 해발 897m의 자굴산이 우뚝 솟아 있고, 동북부에는 688m 높이의 국사봉이 자리 잡고 있다. 남쪽으로는 남강을 사이에 두고 함안군, 진주시와 경계를 이루며, 동쪽으로는 낙동강을 경계로 창녕군과 접한다. 서쪽으로는 산청군, 서북쪽으로는 합천군과 맞닿아 있다.[19]3. 2. 기후
의령군은 산간 내륙 지방에 위치하여 기온의 일교차와 연교차가 큰 대륙성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겨울에는 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아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바다의 영향을 받는 해양성기후의 특징도 나타난다.[19]의령의 연평균 기온은 12.8°C이고, 가장 더운 8월의 평균 기온은 30.3°C, 가장 추운 1월의 평균 기온은 -5.8°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466.2mm 정도이며, 1년 중 비가 내리는 날은 82일 정도이다. 평균 습도는 70.7%로 인근 지역인 합천(69%)이나 진주(71.5%)와 비슷하여 사람이 생활하기에 알맞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19]
아래는 한국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의령 지역의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후 데이터이다.[4][5]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평균 최고 기온 (°C) | 7.2°C | 9.7°C | 15.3°C | 20.3°C | 26.2°C | 28.2°C | 30.1°C | 31.1°C | 26.3°C | 21.8°C | 15.6°C | 8.5°C | 20°C |
평균 기온 (°C) | -0.3°C | 2.3°C | 7.7°C | 12.9°C | 18.6°C | 22.2°C | 25.4°C | 25.7°C | 20.3°C | 14.2°C | 8.1°C | 1.2°C | 13.2°C |
평균 최저 기온 (°C) | -6.4°C | -4.1°C | 0.6°C | 5.7°C | 11.5°C | 17.3°C | 21.6°C | 21.6°C | 15.8°C | 8.6°C | 2.3°C | -4.5°C | 7.5°C |
평균 강수량 (mm) | 22.5mm | 34.7mm | 73.5mm | 118.4mm | 88mm | 121.5mm | 267.2mm | 254.4mm | 188.4mm | 109.7mm | 48.1mm | 28.6mm | 1355mm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4.2 | 5.3 | 7.7 | 9.4 | 9.3 | 9.8 | 15.0 | 13.8 | 10.8 | 6.3 | 7.0 | 5.1 | 103.7 |
평균 상대 습도 (%) | 64.1 | 61.0 | 61.5 | 63.9 | 66.7 | 75.2 | 83.0 | 83.8 | 85.1 | 80.4 | 76.4 | 68.2 | 72.4 |
평균 월간 일조시간 (시간) | 198.3 | 188.1 | 225.6 | 211.8 | 212.8 | 169.0 | 148.7 | 170.2 | 149.8 | 193.9 | 167.2 | 187.7 | 2223.1 |
3. 3. 지질
의령군 지역은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층이 넓게 분포하는 등 다양한 지질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세한 내용은 의령군의 지질 문서를 참고하라.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은 중생대 백악기 함안층에서 발견된 빗방울 자국 화석으로, 당시의 기후 환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 문서를 참고하라.
또한 남강변에 위치한 정암(鼎巖)은 솥 모양의 독특한 바위로,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곽재우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는 등 지질학적, 역사적 의미를 함께 지닌다. 상세한 내용은 정암 (의령군) 문서를 참고하라.
4. 행정 구역
의령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 116리 565반 238개의 행정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면적은 482.89km2이다.[20]
2011년 6월 30일 기준으로 세대와 인구는 14,344세대 30,209명이며, 이 중 약 32%가 군청 소재지인 의령읍에 거주한다.[21] 의령군의 인구는 1965년 106,629명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는 29,417명 수준이다.
4. 1. 읍
의령읍(宜寧邑)은 의령군의 유일한 읍이자 군청 소재지이다. 2011년 6월 30일 기준으로 의령군 전체 인구의 약 32%가 거주하고 있으며[21], 같은 시점 기준으로 세대는 4,090세대, 인구는 9,600명이다.[21] 면적은 34.3km2이다. 법정리로는 대산리, 만천리, 동동리, 중동리, 서동리, 중리, 상리, 하리, 무다리, 정암리가 있다.4. 2. 면
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지도 |
---|---|---|---|---|---|
가례면 | 嘉禮面 | 883 | 1,941 | 35.55km2 | |
칠곡면 | 七谷面 | 644 | 1,209 | 22.37km2 | |
대의면 | 大義面 | 648 | 1,169 | 35.88km2 | |
화정면 | 華正面 | 882 | 1,737 | 38.29km2 | |
용덕면 | 龍德面 | 905 | 1,839 | 33.83km2 | |
정곡면 | 正谷面 | 875 | 1,622 | 40.17km2 | |
지정면 | 芝正面 | 1,079 | 2,082 | 46.91km2 | |
낙서면 | 洛西面 | 485 | 915 | 23.44km2 | |
부림면 | 富林面 | 1,728 | 3,435 | 47.96km2 | |
봉수면 | 鳳樹面 | 666 | 1,157 | 33.06km2 | |
궁류면 | 宮柳面 | 792 | 1,342 | 43.57km2 | |
유곡면 | 柳谷面 | 759 | 1,369 | 47.56km2 |
면 | 법정리 |
---|---|
가례면 (嘉礼面) | 가례리, 갑을리, 개승리, 괴진리, 수성리, 운암리, 양성리, 봉두리, 대천리 |
칠곡면 (七谷面) | 내소리, 외소리, 도산리, 산남리, 산북리, 신포리 |
대의면 (大義面) | 마쌍리, 중촌리, 천곡리, 심지리, 다사리, 행정리, 추산리, 신달리, 하촌리 |
화정면 (華井面) | 가수리, 덕교리, 상일리, 석천리, 화양리, 상정리, 상이리 |
용덕면 (龍徳面) | 가미리, 죽정리, 정동리, 이목리, 신촌리, 연리, 와요리, 운곡리, 용주리, 소상리, 교암리, 가락리 |
정곡면 (正谷面) | 가현리, 백곡리, 석곡리, 예둔리, 적곡리, 중교리, 죽정리, 오방리, 성황리, 상촌리 |
지정면 (芝正面) | 두곡리, 봉곡리, 성산리, 태부리, 유곡리, 오천리, 득소리, 마산리, 성당리, 백야리 |
낙서면 (洛西面) | 내제리, 아근리, 전화리, 정곡리, 율산리, 여의리 |
부림면 (富林面) | 감암리, 먹방리, 입산리, 익구리, 여배리, 단원리, 대곡리, 막곡리, 신반리, 손오리, 경산리, 관혜리 |
봉수면 (鳳樹面) | 서득리, 서암리, 신현리, 죽정리, 청계리, 송가리, 천락리 |
궁류면 (宮柳面) | 계현리, 벽계리, 운계리, 평촌리, 토곡리, 압곡리, 다현리 |
유곡면 (柳谷面) | 탕동리, 마장리, 상곡리, 마두리, 덕천리, 상촌리, 송산리, 세간리, 질곡리, 오목리, 신촌리 |
5. 인물
(내용 없음)
5. 1. 곽재우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5. 2. 이병철
1938년, 의령 출신인 이병철이 인근 도시인 대구에서 삼성을 설립했다.5. 3. 우범곤
1982년 4월 26일 저녁, 경찰관이었던 우범곤은 의령군 내 여러 마을에서 총기 난사와 폭탄 테러를 저질러 주민 62명을 살해하고 약 35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이 사건은 역사상 최악의 비테러 관련 무차별 살인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5. 4. 기타 인물
6. 교육
의령군에는 고등학교 3개교, 중학교 5개교, 초등학교 13개교(분교 1개교 포함), 특수학교 1개교가 있다.
구분 | 학교명 |
---|---|
고등학교 | 신반정보고등학교 |
의령고등학교 | |
의령여자고등학교 | |
중학교 | 신반중학교 |
의령여자중학교 | |
의령중학교 | |
정곡중학교 | |
지정중학교 | |
초등학교 | 가례초등학교 |
궁류초등학교 | |
낙서초등학교 | |
남산초등학교 | |
대의초등학교 | |
부림초등학교 | |
부림초등학교 봉수분교 (분교) | |
용덕초등학교 | |
유곡초등학교 | |
의령초등학교 | |
정곡초등학교 | |
지정초등학교 | |
칠곡초등학교 | |
화정초등학교 | |
특수학교 | 경남은광학교 |
7. 교통
의령은 서쪽의 진주와 동쪽의 함안군, 마산, 창원 사이에 위치하여 교통이 비교적 편리하다. 의령읍 버스터미널에서는 한국의 주요 도시로 가는 버스가 정기적으로 운행된다.
도시 | 소요 시간 (의령 출발) | 마지막 버스 시간 (의령 도착) |
---|---|---|
마산 | 약 35분 | 오후 9:00 |
진주 | 약 45분 | 오후 7:30 |
부산 | 약 1시간 | 오후 6:40 |
서울 | 직행 버스 운행 | 해당 없음 |
다만, 인근 도시에서 의령으로 오는 시외버스가 위 표와 같이 저녁 일찍 운행을 마치는 점은 이용 시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8. 자매 도시
의령군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01-01로 설정
[2]
웹사이트
GPS coordinates of Uiryeong County, South Korea. Latitude: 35.3192 Longitude: 128.2611
http://latitude.to/a[...]
[3]
웹사이트
의령군
http://encykorea.aks[...]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7]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8]
법률
慶尚南道令第17号
1932-10-31
[9]
법률
大統領令第9409号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0]
웹사이트
부림면 연혁
http://www.uiryeong.[...]
2020-02-06
[1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3]
간행물 # 또는 백과사전 등으로 분류 가능
寧의 발음과 표기
[14]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15]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7]
법률
경상남도령 제17호
1932-10-31
[18]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9]
웹사이트
의령군의 지리
http://www.uiryeong.[...]
2011-07-20
[20]
웹사이트
의령군의 행정 구역
http://www.uiryeong.[...]
2011-07-12
[21]
웹사이트
의령군 월별인구통계
http://www.uiryeong.[...]
2011-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