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절은 일본에서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를 끊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본래 법가의 용어로 죄를 다스리는 것을 뜻했으나, 에도 시대에는 부모가 자식과의 관계를 공식적으로 단절하는 제도로 자리 잡았다. 근대 이후에는 메이지 헌법 하에서 법적 제도로 존재했으나, 현재는 일본국 헌법 하에서 부모 자식 관계를 일방적으로 끊는 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영국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에 협력한 아들을 둔 정치인이 아들에 대한 기록을 삭제하는 형태로 의절을 표현한 사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버지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아버지 - 시부모
    시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를 칭하는 의친의 일종으로, 민법상 친족이자 인척에 해당하며, 전통적인 고부 갈등은 현대 사회에서도 결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 어머니 - 시부모
    시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를 칭하는 의친의 일종으로, 민법상 친족이자 인척에 해당하며, 전통적인 고부 갈등은 현대 사회에서도 결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 어머니 - 산후우울증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나타나는 우울 증상으로, 슬픔, 불안, 피로 등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자해 또는 자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심리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치료한다.
  • 가족 - 가족사회학
    가족사회학은 가족의 정의, 형태, 기능, 변화, 문제 등을 연구하며 다양한 가족 형태와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가족 문제에 대한 사회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며, 기술 발전이 가족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사회학의 한 분야이다.
  • 가족 - 가족주의
    가족주의는 핵가족을 사회의 기본 단위로 여기는 사상으로, 개인주의와 대조되며, 보수주의 정당들이 정책에 반영하기도 한다.
의절
기본 정보
다른 이름인연 끊기
관계 단절
절연
정의부모가 자녀와의 법적 또는 가족적 관계를 의도적으로 종료하는 행위
원인가족 내 불화
가치관 차이
범죄 행위
부도덕한 행위
종교적 이유
사회적 이유
결과상속권 박탈 (국가 및 법률에 따라 다름)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권리 및 의무 상실
사회적 낙인
정신적 고통
관련 법률국가별 상속법, 민법 등 관련 규정
문화적 차이사회 및 문화적 배경에 따라 의절에 대한 인식과 법적 효력이 다를 수 있음
일본 (勘当 (かんどう))
의미주로 에도 시대에 사용된 용어로, 호주가 자녀나 가족 구성원을 집에서 내쫓고 법적 관계를 끊는 행위
법적 효력상속권 박탈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권리 상실
배경가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
심각한 불효
범죄 행위
절차호주의 판단에 따라 결정
문서로 작성하여 공표 (지역 사회에 알림)
현대적 의미현대 일본에서는 법적 효력이 거의 없으며, 주로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됨
한국 (의절(義絶))
의미가족 구성원 간의 인연을 끊는 행위
배경심각한 갈등
범죄 행위
도덕적 문제
법적 효력현대 한국에서는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음 (상속 등에는 영향 없음)
사회적 의미가족 관계의 심각한 단절을 의미하며, 사회적으로 큰 의미를 가짐

2. 일본에서의 견책

일본에서 견책은 시대에 따라 그 의미와 형태가 변화해 왔다.

에도 시대에는 봉행소에 견책 신고서를 제출하고 허가를 받아 인별장에서 제외하는 공식적인 절차가 있었지만, 내밀하게 이루어지는 견책도 있었다.[10] 견책된 자식은 가독·재산의 상속권을 박탈당하고, 부모는 연좌에서 제외되었다.[11]

근대 메이지 헌법 하에서는 호주의 뜻에 따르지 않는 가족을 호주가 이적한 후 복적을 거부할 수 있는 규정이 있었다.

현재 일본국 헌법 하에서는 친부모 자식 관계를 일방적으로 끊을 수 있는 제도는 없으며, 특별 양자 입적이나 상속 폐제 등의 예외적인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가능하다.

2. 1. 어원과 의미 변천

견책(見責)은 본래 법가의 용어로, 죄를 헤아려 법에 맞추는 것을 의미했다.[8] 상고 시대에는 죄의 경중에 따라 형벌을 정하는 것을 의미했으나,[9] 중세 이후에는 "견책하다"라는 일본 특유의 의미가 추가되었다.[10] 근세 이후에는 부모나 상위자가 하위자와의 관계를 끊는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10] 유사어인 '구리(久離)'는 친족과의 관계 단절을 의미했다.[10]

2. 2. 에도 시대의 견책

에도 시대의 견책은 본래 봉행소(대관소)에 신고하여 공식적으로 부모 자식 관계를 끊는 것이었지만, 징계적인 의미로 내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10]

에도 시대에는 친척, 5인조, 읍민(촌민)이 증인이 되어 작성한 견책 신고서를 명주가 봉행소에 제출하고, 봉행소의 허가가 나온 후 인별장에서 제외하는 절차를 거쳤다. 인별장에서 제외된 자는 무숙이라 불렸다. 견책된 자식은 가독·재산의 상속권을 박탈당하고, 죄를 범했을 경우에도 부모·친족 등은 연좌에서 제외되었다. 복연(復縁)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절차를 필요로 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견책 선언만 하고 봉행소에 신고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11]

2. 3. 근대 이후의 견책

메이지 헌법 하의 구 민법 제742조·749조 및 구 호적법으로 호주의 뜻에 따르지 않는 거주·결혼·양자 입적을 한 가족에 대하여 호주가 해당 가족을 이적한 후 복적을 거부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어, 견책 제도가 존재했다.

현재 일본국 헌법 하의 법률로는 부모 자식 관계를 부정하는 제도가 몇 가지 존재한다. 보통 양자 입적의 재판 이혼, 적출 부인의 소, 친자 관계 부존재 소, 혈연 관계가 없는 인지의 무효 청구에 의해 호적상 부모 자식의 연을 끊는 제도가 있지만, 이것들은 친부모 자식 관계를 끊는 제도가 아니며, 부모의 뜻에 따르지 않는 거주·결혼·양자 입적이라는 이유로 부모 자식의 연을 일방적으로 끊을 수는 없다. 친부모 자식이 관계를 끊는 제도로는 1989년에 시행된 특별 양자 입적에 의한 친부모의 친족 관계 종료가 있지만, 특별 양자 입적은 원칙적으로 아이가 15세가 된 후에는 할 수 없으며[12], 또한 아이를 위한 제도라는 취지에서 친부모가 친자식에 대해 일방적인 의향에 의해 법적으로 부모 자식의 연을 끊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현재는 견책은 말뿐이며 법적인 절차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친부모가 친자식에 대해 부모 자식 관계에 관한 페널티를 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제도로는 상속 폐제가 있지만, 상속 폐제는 인정되는 요건이 제한적이고 난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부모의 뜻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혼인이나 직업 선택, 불임이나 (사회 통념상 가문을 잇는) 남자 출생하지 못한 경우 등)만으로는 인정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특히 유언장에서의 선고의 경우에는 피선고자에 의한 가정 재판소에의 이의 신청에 의해 부인되는 경우가 많다.

3. 영국에서의 견책 사례

영국의 정치가였던 레오 아메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두 아들이 있었는데, 그 중 한 명은 영국군에 입대하여 싸웠지만, 다른 아들 존 아메리는 나치 독일에 협력하여 영국을 향한 선전 라디오 방송에 종사했다.[13] 1945년 종전 후, 존 아메리는 반역죄로 기소되어 처형되었다. 아버지 레오 아메리는 『''Who's Who''』에 기재된 자신의 경력 중 "아들 2명 (two sons)"이라는 기재를 "아들 1명 (one son)"으로 수정해 달라고 편집부에 요청했고, 이것이 받아들여졌다.[13]

참조

[1] 서적 Les solidarités entre générations 2013
[2] 서적 The Kindness of Strange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3] 서적 Italian Family Matters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91
[4] 간행물 Disownment https://books.google[...] 1995
[5] 간행물 White Magic https://archive.org/[...] 1928
[6] 간행물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https://books.google[...]
[7] 서적 A Digest of the Reported Decisions of the Superior Court of the Late Territory of Orleans: The Late Court of Errors and Appeals; and the Supreme Court of the State of Louisiana https://books.google[...] 1852
[8] 웹사이트 勘当 https://kotobank.jp/[...]
[9] 웹사이트 勘当 https://kotobank.jp/[...]
[10]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第3巻 小学館 2001-03
[11] 웹사이트 札付き https://gogen-yurai.[...]
[12] 문서
[13] 웹사이트 AMERY, Rt Hon. Leopold Stennett http://www.xreferplu[...] 2008-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