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각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각형은 유클리드 기하학, 다면체, 구면 기하학 및 위상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도형이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이각형은 두 변과 0도 각을 가진 정다각형으로, 선분의 이중 덮개 또는 무한히 뻗어 나가는 두 평행선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면체의 면으로 사용될 때는 축퇴된 형태로 나타난다. 구면 기하학에서 이각형은 구면 다각형, 즉 구면 이각형 또는 월형이라고 불리며, 두 대척점을 꼭짓점으로 하고 대원의 반주 길이를 변으로 한다. 위상수학에서는 그래프나 다면체의 표면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로 작용하며, 순환군과 관련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 - 이진법
    이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밑이 2인 위치 기수법으로, 컴퓨터 과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 2 - 페어 스케이팅
    페어 스케이팅은 두 선수가 함께 스케이팅하며 고난도 기술을 구사하는 피겨 스케이팅 종목으로,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스케이팅으로 구성되며, 1908년 하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변의 수에 따른 다각형 - 오각형
    다섯 변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인 오각형은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정오각형을 포함하며, 정오각형은 컴퍼스와 자로 작도할 수 있고 자연에서도 발견된다.
  • 변의 수에 따른 다각형 - 육각형
    육각형은 여섯 변과 꼭짓점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으로, 특히 모든 변과 각이 같은 정육각형은 평면 테셀레이션이 가능하고 벌집 구조, 건축, 자연 현상, 한국 전통 문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각형
다각형 정보
종류정다각형
변의 수2
슐레플리 기호{2}
대칭군D2, [2], (*2•)
이름정이각형
원에서, 이각형은 두 대척점과 두 180°호의 변으로 이루어진 테셀레이션이다.
원에서, 이각형은 두 대척점과 두 180°호의 변으로 이루어진 테셀레이션이다.
각도0° (볼록)
쌍대자기쌍대

2.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이각형은 두 변의 길이가 같고 두 각이 0도로 같은 정다각형으로 취급된다.[12] 따라서 이각형은 작도 가능한 도형이다.[3] 일부 다각형 정의에서는 이각형을 적절한 다각형으로 간주하지 않기도 한다.[13][4]

이각형은 유클리드 공간에서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하나는 퇴화된 형태로, 시각적으로 선분의 이중 덮개처럼 보인다. 다른 하나는 무한히 뻗어 나가는 두 개의 평행선으로 나타난다.

2. 1. 퇴화된 형태의 이각형

정사면체는 이각형으로 구성된 반각기둥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정사각형(h{4})의 교대에서 파생될 수 있으며, 해당 정사각형의 두 반대 꼭짓점을 연결해야 한다. 정사각형 또는 다른 사변형 도형을 포함하는 고차원 다포체가 교대될 때, 이러한 이각형은 일반적으로 버려지고 단일 변으로 간주된다.[12]

2. 2. 무한 평행선 형태의 이각형

무한각형 호소헤드론은 무한히 좁은 이각형으로 구성된다.[2] 이 이각형의 꼭짓점은 무한대에 있으며 닫힌 선분으로 묶여 있지 않다.[2]

3. 다면체에서

파란 직사각형 면이 큐브의 제한에서 이각형으로 되고 있는 고르지 않은 깎은 육팔면체.


이각형을 다면체으로 쓰는 것은 이각형이 축퇴 다각형이기 때문에 축퇴된다. 하지만 종종 이것은 다면체를 변환시킬 때 유용하다. 다면체의 면으로서의 이각은 축퇴된 다각형이므로 축퇴되지만, 때로는 다면체를 변환하는 데 유용한 위상적 존재를 가질 수 있다.

4. 구면 기하학에서

구면 기하학에서 이각형은 2개의 꼭짓점과 2개의 변으로 이루어진 구면 다각형이다. 구면 위의 도형임을 강조하여 구면 이각형(spherical digon)이라고도 하며[7], 월형(lune)[8][9], 구면 월형(spherical lune)[10]이라고도 한다. 구면 달꼴은 꼭짓점이 구의 대척점인 이각형이다.[14]

이런 이각형으로 이루어진 구면 다면체를 호소헤드론이라 한다.

4. 1. 구면 이각형의 성질


  • 월형의 두 꼭짓점은 반드시 서로 대척점이다. 따라서 변의 길이는 모두 대원의 반주 길이에 해당한다.[5]
  • 월형의 두 내각은 서로 같다.
  • 구면 위의 서로 다른 두 대원은 구면을 4개의 월형으로 나눈다. 이때, 서로 인접하지 않은 두 월형은 합동이다.
  • 월형이 구면 위의 영역으로서 볼록(볼록 집합과는 약간 의미가 다르다. geodesic convexity|측지적 볼록영어을 말한다.)인 것은, 내각이 π 이하인 것과 동치이다. 볼록한 월형은 두 반구면의 공통 부분으로 나타낼 수 있다.
  • 단위 구면 위의 월형에 대해, 그 내각이 θ 라디안일 때, 월형의 면적은 2θ이다. 이를 두 내각의 합이라고 생각하면, 구면 ''n''각형의 면적과 구면 과잉의 관계를 ''n''≧2에서 통일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4. 2. 구면 기하학에서의 중요성

구면 기하학에서 구면 이각형은 기본적인 도형이다. 구면 삼각형의 면적을 구면 과잉으로 나타내는 지라르의 정리(지라르의 공식)은 몇 개의 구면 이각형의 면적을 더하고 빼는 것으로 유도할 수 있다.[11]

5. 위상수학에서

이각형은 그래프다면체의 표면 같은 위상적 네트워크 이론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위상적 동등성은 오일러 값과 같은 전역적인 위상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최소의 다각형 집합으로 줄이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각형은 전체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간단히 제거하여 선분으로 대체하는 단순화 단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사건 구조와 같은 다양한 위상 구조를 구성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6]

5. 1. 순환군과의 관계

순환군은 다각형의 회전 대칭으로 얻을 수 있다. 이각형의 회전 대칭은 C2 군을 제공한다.[6]

Bibigon: 이각형의 이각형 삽입

참조

[1] 웹사이트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
[2] 서적 The Symmetries of Things 2008
[3] 간행물 Constructibility of Regular Polygons http://www.math.iast[...] Iowa State University 2015-07-14
[4] 서적 Polygons and Polyhedra 1973
[5] 서적 Polygons and Polyhedra 1973
[6] 서적 Topology of Algebraic Curves: An Approach via Dessins d'Enfants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微分幾何体操で数学を体感しよう https://www.waseda.j[...] 2006-09-04
[8] 논문 2011
[9] 문서 日本国語大辞典
[10] 서적 数学小辞典
[11] 논문 2011
[12] 간행물 Constructibility of Regular Polygons http://www.math.iast[...] Iowa State University 2015-07-14
[13] 서적 Polygons and Polyhedra 1973
[14] 서적 Polygons and Polyhedra 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