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고리 스미르노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고리 스미르노프는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정치인으로, 1991년부터 2011년까지 프리드네스트로비아 몰도바 공화국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소련 시절에는 공장 노동자로 일했으며, 1980년대 말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탈소련 움직임에 반대하여 파업을 주도했다. 1990년 트란스니스트리아가 몰도바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자 임시 최고 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후 대통령에 네 번 당선되었다. 2011년 대통령 선거에서 3위를 기록하며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계 트란스니스트리아인 -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바딤 크라스노셀스키는 2016년부터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대통령으로 재임 중인 정치인으로, 친러시아 성향을 보이며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러시아 합병을 지지하는 한편, 반공주의 및 군주제 옹호, 루마니아 군인 묘지 철거 논란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출신 - 옐레나 오시포바 (양궁 선수)
    옐레나 오시포바는 2013년 러시아 양궁 컵 우승 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201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동메달, 2018년 세계 실내 양궁 선수권 대회 은메달,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인전 은메달을 획득한 러시아의 양궁 선수이다.
  •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대통령 - 예브게니 솁추크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정치인 예브게니 솁추크는 변호사 출신으로 의회 의장과 대통령을 역임하며 러시아와의 관계 강화를 추구했으나, 재선 실패 후 형사 사건에 연루되었다.
  •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대통령 -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바딤 크라스노셀스키는 2016년부터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대통령으로 재임 중인 정치인으로, 친러시아 성향을 보이며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러시아 합병을 지지하는 한편, 반공주의 및 군주제 옹호, 루마니아 군인 묘지 철거 논란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고리 스미르노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7년 스미르노프
직책
부통령알렉산드루 카라만
임기 시작1991년 10월 1일
임기 종료2011년 12월 30일
이전안드레이 마노일로프 (대행)
이후예브게니 셰브추크
부통령알렉산드루 카라만
임기 시작1990년 9월 2일
임기 종료1991년 8월 25일
이전직책 신설
이후안드레이 마노일로프 (대행)
개인 정보
출생 이름이고리 니콜라예비치 스미르노프
출생일1941년 10월 23일
출생지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현재 러시아)
배우자잔네타 니콜라예브나 로트니크
정당
소속 정당공화국 → 무소속
러시아어 정보
스미르노프 서명

2. 생애 초기

이고리 스미르노프는 제2차 세계 대전소련 러시아 공화국캄차카 변경주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츠키에서 태어났다. 수공업 학교를 졸업한 후 야금 공장에서 일했으며, 이후 우크라이나의 전기 기계 제조 공장에서 오랫동안 근무했다.

1987년 그는 몰도바티라스폴로 이주하여 한 공장의 책임자가 되었다. 1989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며 러시아인우크라이나인 등 슬라브계 주민의 권익 보호를 위한 통합 노동 공동위원회(Объединенный Совет трудовых коллективовru) 결성을 주도하고 총파업을 이끌었다.

1990년 9월 2일, 트란스니스트리아가 몰도바로 부터의 독립을 선언하자 최고소비에트 임시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991년 10월 1일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 1. 출생과 가족

이고리 스미르노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SFSR의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츠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소련 공산당 당직자인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스미르노프였고, 어머니는 언론인이자 신문 편집자인 지나이다 그리고리예브나 스미르노바였다.

아버지가 당에서 더 중요한 직책으로 승진하면서, 가족은 페트로파블로프스크를 떠나 우크라이나 SSR로 이주했다. 당시 우크라이나는 붉은 군대나치 독일 군대를 몰아낸 직후였다. 스미르노프 가족은 아버지가 우크라이나 홀라 프리스탄 지역 위원회의 총서기 자리에 오르면서 처음에는 안정적인 생활을 누렸다.

그러나 1952년 여름, 아버지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는 부패 혐의로 체포되었다.[1] 그는 15년 징역형과 5년의 국내 추방형을 선고받았다. 아버지가 '인민의 적'으로 낙인찍히면서, 어머니 지나이다 그리고리예브나와 세 아들인 블라디미르, 올레그, 이고리의 삶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오시프 스탈린이 1953년에 사망한 이후,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는 많은 다른 소련 수감자들과 함께 석방되었다. 스미르노프 가족은 우랄 산맥 근처의 중앙 러시아 지역에서 다시 함께 살게 되었으며, 그곳에서 아버지는 초등학교 교장으로, 어머니는 지역 콤소몰 신문의 편집자로 일했다.[2]

2. 2. 학업 및 경력

대통령 재임 시절의 이고리 스미르노프


이고리 스미르노프는 소련 러시아 공화국캄차카 변경주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 태어났다. 수공업 학교를 졸업한 후, 1959년 18세의 나이로 서시베리아 즈라토우스트의 야금공장(즈라토우스트 금속 공장)에서 노동자로서 경력을 시작했다. 그러나 곧 우크라이나로 돌아와 헤르손주 노바 카호우카 시에 있는 카호우카 수력 발전소 건설 현장에서 일했으며, 1959년부터 1987년까지는 노바 카호우카 전기 기계 제조 공장에서 근무했다.

1960년대 초, 그는 젊은 엔지니어였던 잔네타 니콜라예브나 로트니크와 만나 결혼했다. 1963년에는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같은 해부터 1966년까지 소련 육군에서 소위로 복무했다. 군 복무를 마친 뒤에는 공산주의 청년 동맹인 콤소몰의 조직자(komsorg)로 활동하며 사회 참여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스미르노프는 일과 병행하여 학업에도 힘썼다. 군 복무로 잠시 중단했던 통신 강좌를 계속 수강하여, 1974년 자포리자 기계 제작 연구소에서 공학 학위를 취득했다.[3] 학위 취득과 함께 노바 카호우카 기계 제작 공장에서 꾸준히 승진하여, 현장직에서 시작해 부서 부감독관, 부서장, 공장의 수석 산업 업그레이드 및 신기술 엔지니어 보좌관을 거쳐 부감독관의 자리에 올랐다.

1987년, 스미르노프는 몰도바티라스폴로 이주하여 국영 전자 기업 '엘렉트로마시'(Электромашru)의 이사로 임명되었고, 1990년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4]

1989년 8월, 당시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가 추진하던 탈소련루마니아와의 통합 움직임에 반발하여, 러시아인우크라이나인 등 슬라브계 주민들의 권익 보호를 주장하며 통합 노동 공동위원회(Объединенный Совет трудовых коллективовru)를 결성했다. 그는 이 조직을 이끌고 8월 16일부터 9월 22일까지 대규모 총파업을 주도했으며, 같은 해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 대표로 선출되며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990년 4월에는 티라스폴 시 인민 대표 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9월 2일, 트란스니스트리아(당시 드네스트르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가 몰도바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자, 스미르노프는 최고소비에트 임시의장으로 추대되었다.[5] 이후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과정에서 몰도바 군대의 개입을 성공적으로 막아내며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공고히 했다.

1991년 10월 1일, 스미르노프는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한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이후 1996년, 2001년, 2006년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도 연달아 승리하며 4선에 성공했다. 특히 2001년 선거에서는 81.8%라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5선에 도전했던 2011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는 1차 투표에서 예브게니 솁추크와 아나톨리 카민스키에 밀려 3위를 기록, 결선 투표 진출에 실패하며 낙선했다. 그는 2011년 12월 30일을 끝으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3. 정치 경력

소련 러시아 공화국캄차카 변경주에서 태어난 이고리 스미르노프는 수공업학교 졸업 후 야금 공장에서 일했으며, 1959년부터 1987년까지 우크라이나 노바야카홉카의 전기 기계 제조 공장에서 근무했다. 1987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티라스폴로 이주하여 '엘렉트로마슈' 공장의 공장장을 역임했다.

1989년 8월,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가 몰도바어를 유일한 공식 언어로 지정하려는 움직임 등 탈소련 및 민족주의 정책을 추진하자, 스미르노프는 이에 반대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러시아인우크라이나인 주민의 권리 옹호를 주장하며 통합 노동 공동위원회(OSTK) 결성을 주도하고 총파업을 이끌었다.[6] 이 파업은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 산업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90년 선거를 통해 티라스폴 시 의회 의장과 몰도바 최고 소비에트 의원으로 선출되며 본격적으로 정치에 입문했다.[7] 그러나 몰도바 중앙 정치 무대에서의 활동에 한계를 느끼고,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의 독자 노선을 모색하게 되었다.[8] 1990년 9월 2일, 프리드네스트로비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PMSSR) 창설이 선포되자 임시 최고 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되었다.[9]

1991년 12월, 초대 PMSSR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12] 이후 1996년, 2001년, 2006년의 대통령 선거에서 연이어 승리하며 4선에 성공했다. 재임 기간 동안 그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을 겪으며 몰도바로부터의 사실상 독립 상태를 유지하고 권력 기반을 다졌으며, 러시아와의 긴밀한 관계를 추구했다.

2011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5선에 도전하였으나, 예브게니 솁추크와 아나톨리 카민스키에 이어 3위에 그쳐 낙선하였다. 그는 2011년 12월 30일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3. 1. 파업 운동과 정치 입문

1980년대 말, 공산주의 체제가 흔들리면서 소련의 여러 지역에서는 민족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주권 요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도 몰도바어를 공화국의 유일한 공식 언어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이 일면서 사회는 분열되었다. 일부는 모스크바로부터의 독립과 루마니아와의 통합 가능성을 주장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소련 체제 유지를 지지했다.

이고리 스미르노프는 티라스폴의 산업 노동자들과 함께 이러한 언어 법안이 소련을 약화시키려는 시도라고 보았다.[6] 1989년 8월, 몰도바어가 유일한 공식 언어가 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스미르노프는 연합 노동자 집단 협의회 (OSTK - Объединенный Совет трудовых коллективов|오비예디뇬니 소볘트 트루도비흐 콜렉티보프rus) 결성을 주도하고 즉각적인 파업을 촉구했다. 이 파업은 8월 16일부터 9월 22일까지 이어졌으며,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을 중심으로 몰도바의 주요 산업 활동 대부분이 중단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파업이 키시너우의 중앙 정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자, OSTK는 1990년 몰도바 의회 선거를 통해 변화를 모색하기로 했다. 스미르노프는 이 선거에서 티라스폴 시 의회 의석과 몰도바 최고 소비에트 의석을 동시에 확보하며 정치에 입문했다. 특히 티라스폴 시 의회에서는 의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시 도시 당 위원회 제1서기였던 레오니드 추르칸을 큰 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는 약화된 소련 공산당의 권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으며, 이로써 티라스폴은 사실상 OSTK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7]

하지만 몰도바 최고 소비에트에서의 활동은 순탄치 않았다.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 출신 의원들은 전체 의석의 약 15%에 불과한 소수파였고, 1990년 5월에는 친독립 성향 시위대로부터 공격을 받아 지역으로 돌아가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8] 중앙 정치 무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이들 의원들은 결국 몰도바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소련 연방의 일부로 남는 자체적인 소비에트 공화국 설립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몰도바 내에서 주권 침해라는 반발을 샀고, 소련 중앙 정부 역시 분리주의 시도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3. 2. 트란스니스트리아 독립 선언

1989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의 민족주의 정책에 반대하여 통합 노동 공동위원회(Объединенный Совет трудовых коллективов|오브예디뇬니 소베트 트루도비흐 콜렉티보프ru, OSTK)를 결성하고, 8월 16일부터 9월 22일까지 총파업을 이끌었다. 그는 1990년 여름과 가을, 트란스니스트리아 정치인 및 활동가들이 몰도바 SSR로부터 주권을 확보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지역 OSTK 지도자로 부상했다. 1990년 6월, 제1차 트란스니스트리아 대표 전 지역 회의에서 자급자족하는 경제 구역 창설을 결정했을 때, 스미르노프는 주권 확보를 위한 조정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90년 9월 2일, 제2차 회의에서 프리드네스트로비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PMSSR) 창설이 선포되자, 대표들은 스미르노프를 PMSSR 임시 최고 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했다.[9] 이는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으며, 몰도바의 군사적 개입 시도가 있었으나 이를 격퇴하며 권력 기반을 다졌다.

1991년, 스미르노프는 키이우에서 몰도바 내무부 특수 부대에 의해 체포되어 "몰도바 공화국의 의도적인 영토 분할" 혐의로 키시너우로 이송되었으나, 러시아의 압력으로 곧 석방되었다.[10] PMSSR 최고 소비에트 의장 및 이후 프리드네스트로비아 몰도바 공화국(PMR) 대통령으로서 스미르노프는 국가 승인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현지에 주둔한 소련군 부대와의 협력을 확보했다. 분쟁이 격화되던 1991년 말과 1992년 초, 소련군 지도자들과 병사들(종종 트란스니스트리아 출신)은 PMR 측에 도덕적 지원, 무기, 탄약을 제공했으며, 다수의 소련군 병사들이 PMR군에 합류했다.[11]

1991년 12월, 스미르노프는 초대 PMSSR 대통령 선거에서 64%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PMSSR 최고 소비에트 의장직은 그리고리 마라쿠차가 승계했다.[12]

3. 3. 트란스니스트리아 대통령

1989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가 탈소련 및 민족주의적 경향을 보이자, 스미르노프는 이에 반대하여 통합 노동 공동위원회(Объединенный Совет трудовых коллективовru)를 결성했다. 그는 8월 16일부터 9월 22일까지 총파업을 이끌며 지역 내 러시아계 및 우크라이나계 주민의 권익 보호를 주장했다.[9] 1990년 여름과 가을, OSTK 지도자로서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주권 확보 노력을 주도했으며, 6월에는 자급자족 경제 구역 창설을 위한 조정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90년 9월 2일,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 대표들은 제2차 전 지역 회의에서 프리드네스트로비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PMSSR) 창설을 선포하고, 스미르노프를 PMSSR 임시 최고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했다.[9] 그는 티라스폴 시 인민 대표 회의 의장직도 겸임했다.

1991년, 스미르노프는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몰도바 내무부 특수 부대에 의해 "몰도바 공화국의 의도적인 영토 분할" 혐의로 체포되어 키시너우로 이송되었으나, 러시아의 압력으로 곧 석방되었다.[10] 이후 그는 PMSSR 최고소비에트 의장 및 프리드네스트로비아 몰도바 공화국(PMR) 대통령으로서 국가의 국제적 승인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비록 국제 사회의 승인을 얻는 데는 실패했지만, 현지에 주둔하던 구 소련군 부대의 협력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1991년 말부터 1992년 초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이 격화되면서, 이들 부대의 지도자들과 병사들은 분리주의 세력에 무기, 탄약 등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다수의 병력이 PMR군에 합류했다.[11] 몰도바의 군사적 개입 시도 역시 격퇴하며 권력 기반을 다졌다.

1991년 12월, 스미르노프는 초대 PMSSR 대통령 선거에서 6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12] 이후 1996년, 2001년, 2006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연이어 승리하며 4선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러한 선거 결과는 국제 사회로부터 인정받지 못했으며, 국제 사회는 몰도바 영토 내 자치 지역으로서 민주적 선거 실시를 요구했다.

이고리 스미르노프 대통령 선거 결과
선거 연도득표율주요 경쟁자 및 득표율
1991년64%그리고리 마라쿠차 등
1996년72%블라디미르 말라호프 (20%)
2001년81.9%톰 제노비치 (6.7%), 알렉산드르 라드첸코 (4.6%)
2006년82.4%나데즈다 본다렌코 (공산당, 8.1%), 안드레이 사포노프 (3.9%), 페테르 토마일리 (갱신당, 2.1%)



이고리 스미르노프가 러시아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와 함께 2009년 2월 18일 바르비하에서


스미르노프는 재임 기간 동안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러시아 합병 가능성을 자주 언급했다. 2006년 9월 17일에는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몰도바와의 재통합 여부(부결)와 독립 유지 및 향후 러시아 연방 가입 여부(승인)를 물었다.

2011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5선에 도전했으나, 1차 투표에서 24.82%의 득표율로 3위에 그쳐 결선 투표 진출에 실패했다. 당시 러시아의 집권 여당인 통합 러시아는 스미르노프 대신 최고 소비에트 의장 아나톨리 카민스키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스미르노프에 대한 불신을 표명하기도 했다. 이 선거에서는 전 최고소비에트 의장 예브게니 솁추크가 최종 당선되었다. 스미르노프는 2011년 12월 30일 대통령직에서 퇴임했다.

그는 트란스니스트리아가 주권 국가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는 것을 자신의 평생 업적이자 정치적 목표라고 밝혔으며, 이 목표가 달성되면 정계에서 은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마지막 부통령은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코롤레프였다.

4. 평가



이고리 스미르노프는 1991년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후 여러 차례의 대통령 선거에서 연이어 승리하며 장기 집권했다.[1] 그러나 이러한 선거들은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분리 독립을 인정하지 않는 국제 사회로부터 정당성을 인정받지 못했다.[2]

스미르노프는 재임 기간 동안 몰도바로부터의 완전한 독립과 러시아 연방과의 통합을 지속적으로 추구했다. 2006년에는 관련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주민들의 지지를 확인하기도 했다.[3][4]

하지만 2011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연임에 실패하며 낙선했다.[5] 이 선거 과정에서 오랜 우방이었던 러시아의 집권당 통합 러시아가 공개적으로 경쟁 후보를 지지하는 등 변화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6]

스미르노프는 생전에 트란스니스트리아가 주권 국가로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는 것을 자신의 정치적 목표이자 필생의 업적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4. 1. 부정적 평가

이고리 스미르노프는 1991년 이후 세 번의 대통령 선거(1996년, 2001년, 2006년)에서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러나 이 선거들은 국제 사회로부터 정당성을 인정받지 못했다. 국제 사회는 트란스니스트리아 당국의 합법성을 인정하지 않고, 몰도바 영토 내에서의 민주적인 선거 실시를 요구해왔다.[1][2]

스미르노프는 2006년 9월 17일, 몰도바로부터의 독립을 유지하고 미래에 러시아 연방에 가입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주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다.[3] 이는 국제 사회의 입장과 배치되는 분리주의적 행보로 평가받으며, 그는 재임 기간 동안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러시아 합병 가능성을 여러 차례 시사하기도 했다.[4]

2011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는 24.82%의 득표율에 그쳐 3위로 낙선했다.[5] 이 선거에서 러시아의 집권 여당인 통합 러시아는 공개적으로 스미르노프에 대한 불신을 표명하고 경쟁 후보였던 아나톨리 카민스키를 지지하며 그의 낙선에 영향을 미쳤다.[6] 이는 오랜 기간 러시아의 지원에 의존해 온 스미르노프 정권의 정치적 입지가 약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해석된다.

5. 수훈


  • 2000년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훈장

참조

[1] 서적 Zhit' na nashei zemle Sovetskii pisatel' 2001
[2] 서적 Lider http://www.olvia.idk[...] null 2006-09-23
[3] 간행물 Igor' Smirnov - kandidat [v prezident PMR] naroda Rossiiskaia akademiia nauk, TIMO 1997
[4] 간행물 Igor'' Smirnov—kandidat [v prezident PMR] naroda Rossiiskaia akademiia nauk, TIMO 1997
[5] 서적 Slavy ne iskali: sbornik vospominanii uchastnikov sozdaniia i stanovleniia PMR Poligrafist 2000
[6] 서적 Dikoe pole: Pridnestrovskii razlom Tekst 2002
[7] 서적 Lider
[8] 뉴스 Moscow Domestic Service 1990-05-23
[9] 서적 Pridnestrov'e—proshloe, nastoiashchee, budushchee, za kulisami politiki. Dubossary 1989-1992 gg. Uprpoligrafizdat PMR 2000
[10] 웹사이트 "(DOSARUL SMIRNOV) Arestarea separatistului la KIEV e \"cea mai strălucită operaţiune din istoria MAI\". Hadârcă RECUNOAȘTE că l-a eliberat" https://timpul.md/ar[...] 2013-12-17
[11] 뉴스 Nezavisimaya Gazeta 1992-06-18
[12] 간행물 Vybory, referendumy, oprosy
[13] 논문 Transnistrian nation-building: a case of effective diversity policies? https://www.cambridg[...]
[14] 논문 Is internationally recognised independence the goal of quasi-states? The case of Transnistria https://www.research[...]
[15] 뉴스 Запасной аэродром Игоря Смирнова: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е результаты выборов президента могут признать недействительными http://www.ng.ru/cis[...] Независимая газета 2011-12-15
[16] 뉴스 Центризбирком Приднестровья огласил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е результаты голосования на выборах Президента ПМР https://newdaynews.r[...] Новый День 2011-12-15
[17] 뉴스 Некремлевский претендент: Приднестровье не поддержало предложенную Москвой кандидатуру http://www.ng.ru/cis[...] Независимая газета 2011-12-13
[18] 웹사이트 Transdnestr president: Recognition of Transdnestr is the matter of my life - Russian News - REGNUM http://www.regnum.ru[...] 2006-09-14
[19] 웹사이트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Президента ПМР - Кабинет Министров http://president.pmr[...]
[20] 뉴스 Президент подписал указ № 1021 об освобождении от занимаемой должности министра природных ресурсов и эколог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ПМР Калякина Олега Алексеевича в связи с поданным заявлением http://www.olvia.idk[...] Olvia Press 2010-12-15
[21] 뉴스 Указом Президента ПМР министром природных ресурсов и эколог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республики назначен Сергей Васильевич Мороз http://www.olvia.idk[...] Olvia Press 2010-12-22
[22] 뉴스 モルドバ・沿ドニエストルの大統領選で現職敗退 http://www.yomiuri.c[...] 2011-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