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페르시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 페르시아어는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에 속하며, 이란의 국어이다. 파르스 지방에서 유래되었으며, 아프가니스탄의 다리어와 타지키스탄의 타지크어와는 발음, 어휘, 정서법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란 페르시아어는 ISO 639-1 코드 `fa`로, ISO 639-3 코드 `pes`로 지정되어 있다. 2005년 이란 페르시아어문학원은 외국어에서 '파르시(Farsi)' 대신 '페르시아어(Persian)'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이란 페르시아어는 인구 이동, 정치적 변화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다른 방언과의 음운론적, 어휘적, 형태론적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시아어 -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사용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 언어로, 비문 등을 통해 전해지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언어였고, 독자적인 설형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언어적 기원이다. - 페르시아어 - 폭 없는 비접합자
폭 없는 비접합자는 다양한 언어의 문자열 타이포그래피에서 단어 형태 유지 및 의미 왜곡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제어 문자로, 문자의 결합을 막거나 특정 형태를 표시하는 데 기여한다. - 서이란어군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서이란어군 - 페르시아어
페르시아어는 이란 파르스 주에서 유래하여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등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파르시라고도 불리며, 이란 페르시아어, 다리어, 타지크어 등의 방언으로 나뉘고 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하며 오랜 역사와 문학적 전통을 가진 언어이다. - 이란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이란의 언어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이란 페르시아어 | |
---|---|
기본 정보 | |
![]() | |
사용 국가 | 이란 |
사용 지역 | 서아시아 |
모국어 화자 | 6159만 5300명 (2021년) |
제2 언어 화자 | 1723만 1000명 (2021년) |
총 화자 수 | 7882만 6300명 (2021년) |
민족 | 페르시아인 |
언어학적 정보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인도이란어파 |
어군 | 이란어군 |
하위 어군 | 서이란어군 |
하위 어군 2 | 서남이란어군 |
언어 | 페르시아어 |
방언 | |
방언 목록 | 부셰흐리 파르시 아바다니 페르시아어 아라키 반다리 바세리 방언 에스파하니 억양 카르발라이 카샨이 케르만이 케르만샤히 페르시아어 쿠웨이트 페르시아어 마슈하드이 카즈빈이 시라즈이 테헤라니 야즈드이 |
문자 및 기관 | |
문자 | 페르시아 문자 (페르시아-아랍 문자) |
표준 기관 | 페르시아어 문학 아카데미 |
ISO 639-3 | pes |
Glottolog | west2369 |
2. 명칭
언어학적으로 인도유럽어족 - 인도이란어파 - 이란어군으로 분류된다. 페르시아라는 단어는 현대의 파르스 지방에 해당하는 파르사에서 유래되었다.
이란의 국어는 페르시아어 또는 파르시어 외에도, 이란 페르시아어, 서페르시아어, 서파르시어와 같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5][6] 공식적으로 이란의 국어는 단순히 페르시아어(فارسی|fārsipes)로 명칭된다.[7]
국제 언어 부호 표준인 ISO 639-1은 페르시아어(Persian)를 일반적으로 `fa` 코드로 사용하는데, 이는 주로 모국어 명칭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한 표준인 ISO 639-3에서는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에서 사용되는 방언에 대해 `fas` 코드를 사용한다. 여기에는 다리어(Dari)와 이란 페르시아어(Iranian Persian)가 포함된다.[2] 이란 페르시아어에는 독점적으로 `pes` 코드가 사용된다.
2. 1. 이란 페르시아어문학원의 명칭 선언 (2005)
이란 페르시아어문학원은 2005년 11월 19일에 외국어에서 페르시아어를 지칭할 때 'Farsi'(파르시) 대신 'Persian'(페르시아어)을 사용하도록 권고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8][9][10][11]이 선언문은 'Persian' 사용을 지지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Persian'은 수 세기 동안 문화, 과학, 외교 문서 등 다양한 출판물에서 사용되어 온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Farsi'로 변경하는 것은 이러한 전통을 훼손할 수 있다.
# 'Farsi'로 변경하면 'Farsi'가 새로운 언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 'Farsi'는 이란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 'Farsi'는 서구 언어의 연구 논문이나 대학 문서에서 사용된 적이 없으며, 사용 제안은 이란의 공식 언어 명칭에 대한 의구심을 야기할 수 있다.
이 선언 이후, 다른 기관들과 문학계 인사들도 점차 'Persian' 용어 사용을 지지하였다.[8][9][10][11]
3. 역사
현대 페르시아어는 인구 이동, 지역 발전,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 특히 사파비 왕조 시대에 이란이 중앙아시아, 아프가니스탄과 정치적, 이념적으로 분리되면서 언어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이란 수도가 여러 차례 이전되면서 페르시아 방언에 영향을 미치는 독특한 대도시 사회 방언이 발전했을 가능성이 있다.[3]
12세기 후반에서 15세기 후반 또는 17세기 초 사이에 이란에서는 페르시아어 모음 목록이 축소되었고, 이란 서부 페르시아 방언 대부분에서 몇몇 자음이 변화하였다. 그러나 다리어와 타지크어의 동부 방언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3]
투르크-몽골 침략 시대부터 사파비 왕조와 그 이후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왕조에 이르기까지 페르시아어는 투르크어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의 타지크 방언이 투르크어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란의 페르시아어는 투르크어 차용어가 크게 감소하고 동화되었다. 이는 카자르 왕조, 팔레비 왕조 시대의 정치적 현실을 반영한다.[3]
전반적으로 이란의 서부 페르시아 방언은 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의 동부 페르시아 방언보다 어휘와 음운론에서 더 빠르게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3]
4. 다른 방언과의 비교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이란어파 - 이란어군에 속하는 페르시아어는 아프가니스탄의 다리어, 타지키스탄의 타지크어와 방언 차이가 있다. 이란 페르시아어와 다리어, 타지크어는 음운론, 어휘[12], 형태[13]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문어는 지역 관용구를 빼면 큰 차이가 없지만, 구어는 발음과 일부 통사적 특징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14]
아프가니스탄 북부, 중부, 동부(카불, 마자르, 바다흐샨 등)의 다리어 방언은 이란 표준 페르시아어와 뚜렷이 구별된다. 반면 아프가니스탄 서부 다리어 방언은 다리어와 이란 페르시아어의 중간 형태이며, 헤라트 방언은 두 언어의 어휘와 음운을 공유한다. 이란 동부(마슈하드) 페르시아어 방언은 아프가니스탄 헤라트 방언과 매우 비슷하다.
카불 방언은 다리어의 표준, 테헤란 방언은 이란 페르시아어의 표준 모델이다.
4. 1. 음운론적 차이
이란 페르시아어와 다리어, 타지크어는 음운론적으로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마주훌(majhul)' 모음: 이란 페르시아어에서는 '마주훌' 모음이 소실되었지만, 다리어와 타지크어에는 보존되었다. 예를 들어 '사자'와 '우유'는 이란 페르시아어에서는 모두 로 발음되지만, 다리어에서는 각각 와 로, 타지크어에서는 각각 와 로 다르게 발음된다.[3]
- 이중모음: 이중모음 'aw'(영어의 "cow"와 같음)와 'ay'(영어의 "ice"와 같음)는 이란 페르시아어에서 각각 'ow'(영어의 "low"와 같음)와 'ej'(영어의 "day"와 같음)로 변화했지만, 다리어와 타지크어에는 원래 형태가 유지되었다. 예를 들어 '노루즈'는 이란 페르시아어에서 로, 다리어에서는 로 발음된다.
- 높은 짧은 모음: 이란 페르시아어에서는 높은 짧은 모음 와 가 와 로 낮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다리어와 타지크어에서는 그렇지 않다.
- 순음 음절 [w]: 이란 페르시아어와 타지크어에서는 유성 순치 마찰음 로, 다리어에서는 양순음 로 발음된다.
- 유성 연구개 파열음 [ɢ]와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 이란 페르시아어에서는 이 둘이 합쳐졌지만, 다리어와 타지크어에서는 구분된다.[15]
- 짧은 어말 'a': 이란 페르시아어에서는 [e]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다. ('아니오'를 뜻하는 는 예외)[14]
- 짧은 비어말 'a': 이란 페르시아어에서는 로 실현된다.
참조
[1]
웹사이트
Persian, Iranian
https://www.ethnolog[...]
2021-02-25
[2]
웹사이트
639 Identifier Documentation: fas
https://iso639-3.sil[...]
Sil.org
2021-02-25
[3]
서적
Safavid Persia: The History and Politics of an Islamic Society
https://books.google[...]
I.B. Tauris
1996-12-31
[4]
웹사이트
Spoken L1 Language: Western Farsi
https://glottolog.or[...]
2021-02-25
[5]
서적
The International Cyclopedia: A Compendium of Human Knowledge
Dodd, Mead
[6]
서적
Encyclopedia of Linguistics
Routledge
[7]
문서
Constitution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8]
웹사이트
Persian or Farsi?
http://www.iranian.c[...]
Iranian
1997-12-16
[9]
웹사이트
Fársi: 'Recently appeared language!'
https://web.archive.[...]
Persiandirect
[10]
웹사이트
Persian or Fársi?
https://web.archive.[...]
Persiandirect
[11]
학술지
متنِ اعلامِ نظرِ شورای فرهنگستانِ زبان و ادبِ فارسی دربارهی کاربردِ Farsi به جای Persian در مکاتباتِ وزارتِ امورِ خارجه
https://web.archive.[...]
1995-03-01
[12]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 prs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2-08-26
[13]
웹사이트
Persian Language
http://www.iranchamb[...]
Iranchamber.com
2012-08-26
[14]
백과사전
KĀBOLI
https://www.iranicao[...]
2013-02-12
[15]
서적
Origins of the New and Middle Persian phonological systems
Craco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