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란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어군은 이란 고원에서 기원한 언어 집단으로, 동이란어군과 서이란어군으로 분류되며, 고대 이란어, 중세 이란어를 거쳐 현대 이란어군으로 발전했다. 페르시아어, 파슈토어, 쿠르드어 등이 주요 언어이며, 아랍어, 튀르크어 등의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어군 - 캄보자어
    캄보자어는 위키백과 문서의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이며, 서론, 본문, 결론 등의 주요 섹션과 함께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
  • 인도이란어파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인도이란어파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이란어군
언어 정보
이름이란어군
다른 이름이란어파
사용 민족이란 민족
사용 지역서아시아, 동유럽, 캅카스,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인도이란어파
조상 언어원시 이란어
하위 어군서이란어군
아베스타어
동이란어군
ISO 639-2ira
ISO 639-5ira
Glottologiran1269
Glottolog 참조 이름이란어
Linguasphere58= (계통 구역)
이란 고원 주변의 이란어군 분포
이란 고원 주변의 이란어군 분포

2. 명칭

"이란"이라는 명칭은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하며, "아리아인의 땅"이라는 의미를 가진다.[6] 이 명칭은 3세기 낙시루스타의 비문에 처음 등장하며, 파르티아어로는 Aryān|아리안xpr이라고 표기되어 이란계 민족을 가리킨다.[6]

"이란"(Ērān|이란pal)과 "아리안"(Aryān|아리안xpr)은 의민명사 ''ēr-''(고대 페르시아어)와 ''ary-''(파르티아어)의 간접 복수형에서 유래하며, 이들은 모두 원이란어 ''*arya-'' ( "아리아인")에서 파생되었다.[6][7]

알란족 (Ир|Iros)과 알론족 (Ирон|Ironos)과 같은 다른 이란계 민족의 명칭에도 이 어근이 남아있다.[7]

언어학에서는 "이란어"(Iranian영어)라는 용어가 원시 이란어에서 유래한 모든 언어를 지칭한다.[10] 일부 학자들은 언어학적 계통과 민족 집단을 나타내는 용어로 "Iranic"을 선호하기도 한다.[11]

3. 역사

이란어군의 조상 언어인 원이란어는 인도이란어족의 발상지인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19] 기원전 2000년경 안드로노보 문화가 인도이란 문화의 공통 조상이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19] 원이란어는 기원전 2천년기 초에 여러 이란계 부족들이 동남유럽, 이란 고원, 중앙아시아 등지로 이동하면서 분화되기 시작했다.

원이란어는 원인도이란어와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혁신을 보인다.[19]


  • 마찰음유성음 *s가 유성이 아닌 마찰음인 성문 마찰음 *h로 변화.
  • 유성 유기음 *bʰ, *dʰ, *gʰ가 무기 유기음 *b, *d, *g로 변화.
  • 다른 자음 앞에 있는 무성 무기음 *p, *t, *k가 마찰음 *f, *θ, *x로 변화.
  • 무성 유기음 *pʰ, *tʰ, *kʰ가 마찰음 *f, *θ, *x로 변화.


아베스타어고대 페르시아어는 고대 이란어를 대표하는 언어이다. 아베스타어조로아스터교 경전인 아베스타에 사용된 언어이며, 고대 페르시아어아케메네스 왕조 시기에 사용된 언어로 베히스툰 비문 등에서 발견된다. 메디아어와 스키타이어 역시 고대 이란어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관련 자료가 부족하여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중세 이란어는 기원전 4세기경부터 9세기경까지 사용되었으며, 서이란어군에는 파르티아어와 파흘라비어(중세 페르시아어)가, 동이란어군에는 소그드어, 호라즘어, 코탄어, 박트리아어 등이 있었다.

7세기 중반 이슬람 세력의 페르시아 정복 이후, 이란어는 큰 변화를 겪었다.[25][26][27][28] 중세 페르시아어(파흘라비어)는 쇠퇴하고, 다리어가 새로운 표준어로 부상했다. 이슬람 정복은 페르시아어, 쿠르드어, 파슈토어, 발루치어 등에 아랍 문자가 도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란어군은 튀르크어, 아랍어 등 주변 언어의 영향으로 사용 지역이 축소되기도 했다.

3. 1. 선사 시대

이란어군의 조상 언어인 원이란어는 인도이란어족의 발상지인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2000년경 안드로노보 문화가 인도이란 문화의 공통 조상이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19] 원이란어는 기원전 2천년기 초에 여러 이란계 부족들이 동남유럽, 이란 고원, 중앙아시아 등지로 이동하면서 분화되기 시작했다.

원인도이란어와 비교했을 때 원이란어의 혁신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9]

  • 마찰음유성음 *s가 유성이 아닌 마찰음인 성문 마찰음 *h로 변화.
  • 유성 유기음 *bʰ, *dʰ, *gʰ가 무기 유기음 *b, *d, *g로 변화.
  • 다른 자음 앞에 있는 무성 무기음 *p, *t, *k가 마찰음 *f, *θ, *x로 변화.
  • 무성 유기음 *pʰ, *tʰ, *kʰ가 마찰음 *f, *θ, *x로 변화.


인도이란어족의 발상지는 중앙아시아로 여겨진다. 카스피해 동쪽 해안에서 바이칼호 지역에 걸쳐 분포했던 기원전 2000년경의 안드로노보 문화가 인도이란 문화의 공통 조상이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이란어군은 인도이란어족의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Proto-Indo-Iranian|인도이란 원어영어에서 다음 4개 어파의 원어로 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어파주요 언어
인도어파산스크리트어 (기원전 2천년기)
다르드어군
누리스탄어파
이란어군아베스타어 (기원전 1000년경), 고대 페르시아어 (기원전 500년경)



인도이란 원어가 분열된 후, Proto-Iranian|이란 원어영어가 존재했지만, 기원전 2천년기 초기에 이란계 민족이 남동유럽에서 이란 고원과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하면서 이란 원어도 분열하여 각각 독자적인 발전을 거듭하기 시작했다.

3. 2. 고대 이란어

아베스타어고대 페르시아어는 고대 이란어를 대표하는 언어이다. 아베스타어조로아스터교 경전인 아베스타에 사용된 언어이며, 고대 페르시아어아케메네스 왕조 시기에 사용된 언어로 베히스툰 비문 등에서 발견된다. 메디아어와 스키타이어 역시 고대 이란어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관련 자료가 부족하여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모든 이란어는 원이란어에서 유래했으며, 원이란어는 다시 원인도이란어에서 발전했다. 원인도이란어는 중앙아시아 기원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2000년경 안드로노보 문화가 공통 인도이란어족 문화의 후보로 제시되고 있다.

원이란어는 원인도이란어에서 분리된 이후 기원전 2천년기 초에 형성되었는데, 다양한 이란 부족이 동남유럽, 이란 고원, 중앙아시아의 광대한 지역으로 이동하여 정착하면서 옛 이란어들이 분리되어 각각 진화하기 시작했다.

원이란어는 원인도이란어와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혁신을 보인다.[19]

  • 마찰음유성음 *s가 유성이 아닌 마찰음인 성문 마찰음 *h로 변화.
  • 유성 유기음 *bʰ, *dʰ, *gʰ가 무기 유기음 *b, *d, *g로 변화.
  • 다른 자음 앞에 있는 무성 무기음 *p, *t, *k가 마찰음 *f, *θ, *x로 변화.
  • 무성 유기음 *pʰ, *tʰ, *kʰ가 마찰음 *f, *θ, *x로 변화.


중이란어군 언어와 민족들의 존재는 고대 이란어 사용자들 사이에 엄청난 언어적 다양성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다양한 언어/방언들 중에서 단 두 가지 언어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만이 남아 있다.

고대 페르시아어는 이란 남서부(현대 파르스주)의 파르사(페르시아 또는 페르시스) 주민들이 사용한 고대 이란어 방언이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지역과 언어에 자신의 이름을 붙였다. 진정한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520년경에 쓰여진 베히스툰 비문에서 가장 잘 입증되며, 문법적으로 정확한 마지막 고대 페르시아어 비문이자 유일하게 상당한 길이를 가진 비문이다. 후대의 비문들은 비교적 간결하며, 이전 비문의 단어와 구절을 단순히 복사한 경우가 많고 문법적 오류도 종종 포함한다. 이는 기원전 4세기까지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중세 페르시아어로의 전환이 이미 상당히 진행되었지만, 공식적인 선포에는 여전히 "고대" 특징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직접적으로 확인된 또 다른 고대 이란어 방언은 두 가지 형태의 아베스타어이다. 이 언어는 조로아스터교의 의례적 텍스트인 아베스타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아베스타 자체에서는 단순히 ''vohu daena''(후대: ''behdin'')로 알려져 있다. 아베스타어는 "고대(또는 '가타') 아베스타어"와 "젊은 아베스타어"라는 두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19세기에 생겨난 이 용어는 '젊은 아베스타어'가 '고대 아베스타어'보다 훨씬 후대에 나타났고 지리적으로도 다른 지역 출신이기 때문에 약간 오해의 소지가 있다. 고대 아베스타어 방언은 매우 고풍스러우며, 리그베다 산스크리트어와 거의 같은 발달 단계에 있다. 반면, 젊은 아베스타어는 고대 페르시아어와 거의 같은 언어적 단계에 있지만, 신성한 언어로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고대 이란어가 중세 이란어 단계로 넘어간 후에도 오랫동안 "고대" 특징을 유지했다. 고대 페르시아어와는 달리, 아베스타어는 명확하게 식별 가능한 중세 이란어 단계가 없다(중세 이란어의 영향은 다른 원인으로 인한 영향과 구별하기 어렵다).

고대 페르시아어와 아베스타어 외에도, 모든 중세 이란어는 이전 "고대 이란어" 형태를 가졌을 것이므로, 모두 (적어도 가설적으로) "고대"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가설적인 고대 이란어에는 고대 파르티아어가 포함된다. 또한, 증명되지 않은 언어의 존재는 이웃 언어에 미친 영향으로 추론될 수 있다. 고대 페르시아어의 경우 일부 어휘에 "메디아어" 기층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헤로도토스가 "스키타이어군"이라고 부른 것과 메디아어(''σπάκα'' "개")에 대한 어휘 기록을 통해 증명되지 않은 언어의 존재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도 있다.

3. 3. 중세 이란어

중세 이란어는 기원전 4세기경부터 9세기경까지 사용되었다.

동이란어군의 여러 언어는 서로 차이가 컸다. 동이란어군의 언어는 고대 이란어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었다.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아람어가 공용어였기 때문에, 이들은 대부분 아람 문자로 표기되었지만, 박트리아어그리스 문자로, 코탄어는 브라흐미 문자의 일종으로 쓰였다.

서이란어군의 파흘라비어는 사산 왕조의 공용어였으며, 3세기부터 10세기 초까지 사용되었다. 파흘라비어·파르티아어·소그드어마니교에서도 사용되었다. 아람 궁정 서체는 이 시대에 큰 발전을 이루었다.[24]

3. 4. 아랍 정복 이후의 이란어

7세기 중반 이슬람 세력의 페르시아 정복 이후, 이란어는 큰 변화를 겪었다.[25][26][27][28] 중세 페르시아어(파흘라비어)는 쇠퇴하고, 다리어가 새로운 표준어로 부상했다. 다리어는 "궁정"을 의미하는 '달바르'(دربار)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동부 이란 방언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기원이 되었다. 특히 사파르 왕조는 875년에 이 새로운 언어를 공식적으로 채택했다.

중세 이란 학자들은 "다리어"를 호라산의 동부 지역과 연관시켰고, 이스파한과 아제르바이잔 사이의 북서 지역 방언을 "파흘라위어"로, 파르스 방언(페르시아어 고유어)을 "파르시"(페르시아어)로 불렀다.

이슬람 정복은 페르시아어, 쿠르드어, 파슈토어, 발루치어 등에 아랍 문자가 도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언어들은 몇몇 자음을 추가하여 아랍 문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타지크어는 1920년대 소비에트 연방의 정책에 따라 로마자로 표기되기도 했으나, 1930년대 이후 키릴 문자로 변경되었다.

이란어군은 튀르크어, 아랍어 등 주변 언어의 영향으로 사용 지역이 축소되기도 했다. 아랍어는 서부 이란(후제스탄)의 일부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튀르크어군은 중앙아시아의 대부분 지역으로 확산되어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의 여러 지역에서 소그드어박트리아어를 대체했다.

4. 분류

이란어군은 크게 동이란어군서이란어군으로 나뉜다. 아베스타어는 동서 분열 이전에 분화되었기 때문에 중앙이란어로 분류되기도 한다.[18]

이란어군의 계통수


이란어군은 일반적으로 "서부"와 "동부" 두 갈래로 나뉜다.[22] 그러나 이러한 용어는 이란계 민족이 서부와 동부 집단으로 정착하기 이전 시기를 가리킬 수 있기 때문에 고대 아베스타어에는 별 의미가 없다.

이란어군의 초기 방언 분류는 원시 인도-이란어의 경구개음 *ć와 *dź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23]

  • 아베스타어와 다른 대부분의 이란어는 *ć > ''s'', *dź > ''z''로 변화시켰다.
  • 고대 페르시아어는 *ć > ''θ'', *dź > *ð > ''d''로 변화시켰다.


자음군 *ćw와 *dźw는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 아베스타어와 다른 대부분의 이란어는 ''sp'', ''zb''로 변화시켰다.
  • 고대 페르시아어에서는 ''s'', ''z''로 변화했다.
  • 사카어와 와키어는 *ćw > ''š'', *dźw > ''ž''로 변화했다.


따라서 고대 이란 시대에 적어도 세 그룹으로 이란어군을 나눌 수 있다.

  • 페르시드어파 (고대 페르시아어와 그 후손 언어들)
  • 사카어파 (사카어, 와키어, 그리고 그 고대 이란 조상어)
  • 중앙 이란어파 (다른 모든 이란어들)

4. 1. 동이란어군

동이란어군은 이란어군의 한 갈래로, 크게 남동이란어군과 북동이란어군으로 나뉜다.

4. 2. 서이란어군

서이란어군은 크게 북서이란어군과 남서이란어군으로 나뉜다.

  • '''북서이란어군'''


쿠르드어가 대표적이며, 그 외에도 자자-고라니어, 발루치어, 카스피어군(길라키어, 마잔데란어 등), 탈리시어, 타트어 등이 있다.

  • '''남서이란어군'''


페르시아어와 그 관련 방언(다리어, 타지크어 등) 및 루르어 등이 있다.

5. 주요 언어별 화자 수 (2000년대 기준)

Ethnologue는 이란어군에 속하는 언어가 86개 있다고 추정한다.[3][4]

모어 화자 수 기준 주요 언어
언어화자 수
페르시아어8,400만 명
파슈토어5,000만 명
쿠르드어3,500만 명
발루치어1,500만 명
카스피어1,000만 명
타지크어800만 명
루리어500만 명
1억 5천만~2억 명[5]


6. 이란어군 비교표

영어자자어소라니 쿠르드어쿠르만지어파슈토어타티어(이란)탈리시어발루치어길라키어마잔데라니어카프카스 타트어루리어슈그니어페르시아어중세 페르시아어파르티아어고대 페르시아어아베스타어오세티아어
아름다운rınd, xasekciwan, nayabrind, delal, bedew, xweşikx̌kūlay, x̌āistaxojirghašangdorr, soherâ, mah rang, sharr, juwānxujīrçī/xujīrxoşgel, xojirqəşəng, şihidqəşaŋ, xoşgelxushrui, xagh(여성)zibā/xuš-čehr(e)/xoşgel(ak)/ghashanq/najibhučihr, hužihrhužihrnaibaxvaini, sraiia, srao-ræsughd
gonixwênxwîn, xûnwīnaxevnxunhonXunxunxunxī(n)xunxūnxōngōxanvohuna, vaŋhutāt̰tug
nan, nonnannanḍoḍəi, məṛəinunnunnān, nagannönnunnunnu(n)garthanānnānnāntāiiūiri, drao-naŋh (신성한 빵)dzul
가져오다ardene/anîn, hawerdin, hênananîn(rā)wṛəlvârden, biyordonvardeâurten, yārag, āraghävərdən, härdən, ävərdən, bərdənbiyârdenavardəno(v)erden,videuāwurdan, biyār ("(너) 가져와!")āwurdan, āwāy-, āwar-, bar-āwāy-, āwar-, bar-bara-bara, bar-xæssyn
형제bırabirabirawrorbərârbira, bolibrāt, brāsbərär, bərârbirârbirarGagheværodbarādarbrād, brâdarbrād, brādarbrātarbrātar-æfsymær
오다ameyenehatin, were, bew (Pehlewanî)hatin, were,rā tləlbiyâmiyanomeāhag, āyag, hatinhəmän, ämön, hömänbiyamona, enen, biyâmuenamarənumae(n)āmadanāmadan, awarawar, čāmāy-, āgamāgam-cæwyn
울다bermayenegiryan, girîn, gîristin (Pehlewanî)girînžəṛəlbərmaberame, bamegreewag, grehtenburməbirmegirəstəngerevesen, gerevanáugerīstan/gerīyegriy-, bram-barmâdansnuδ,kæwyn
어두운taritarî/tarîktarîskəṇ, skaṇ, tyaraul, gur, târica, târektokitārzuləmât, täriktār, siyo, zolamâttarikitārīktoricetārīk, tārtārīg/ktārīg, tārēntārīksāmahe, sāmatar
keyne, çêne/çênekekîj, kiç, kenîşk, düêt (Pehlewanî), dwêt (Pehlewanî)dot, keçlūrtitiye, dətarkinə, kiladohtir, duttaglâku, kör, kijâ (소녀), dətər (딸)kîjâ(소녀), deter (딸)duxtərdoxterrezindoxtarduxtarduxt, duxtarduxδarčyzg (아이언 방언), kizgæ (디고르 방언)
roce, roje, rozeřoj, rûj (Pehlewanî)rojwrəd͡z (rwəd͡z)revj, ruzrujroçruz, rujruz, rujruzruruzrūzrōzraucah-raocah-bon
하다kerdenekirdinkirinkawəlkardan, kordankardekanag, kurtingudən, kudən, kördənhâkerden, hâkordensaxtənkerdechideukardankardankartankạrta-kәrәta-kænyn
ber, keyber, çêberderge/derke, derga, qapî (Kelhorî)derîwər, dərwāzadarvâcadar, gelo, darwāzagbərdar, loşdərdər, dardêvedardardar, barduvara-dvara-dwar
죽다merdenemirdinmirinmrəlbamardenmardemireg, murtenmurdən, mərdənbamerdenmürdənmordemideumordanmurdanmạriya-mar-mælyn
당나귀herker, gwêdirêj, xer (Pehlewanî)kerxərastar, xarhə, hərhar, her, karxərxarxərxərmarcabexarxarkaθβaxæræg
먹다werdenexwardinxwarinxwāṛə, xurāk / xwaṛəlhardenhardewarag, warâk, wārtenxördən, xöndənxerâk / baxârdenxardənhardexideuxordan / xurākparwarz / xwâr, xwardīgparwarz / xwârhareθra / CE-, at-xærinag
달걀hak, akkhêk/hêlke, tum, xaye (Pehlewanî), xa (Kelhorî)hêkhagəimerqâna, karxâmorqana, uyəheyg, heyk, ā morgmurqönə, murqänəmerqâne, tîm, balîxaykərgxā'atarmurxtoxm, xāya ("고환")toxmag, xâyagtaoxmag, xâyagtaoxma-ajk
erdzemîn, zewî, ʿerz, erderd, zevîd͡zməka (md͡zəka)zeminzaminzemin, degārzəmi, gəl, bunəzamîn, benexarizemizimathzamīnzamīgzamīgzam-zãm, zam, zemzæxx
저녁şanêware, îware (Pehlewanî)êvar, şevmāx̌ām (māš̥ām)nomâzyar, nomâšonshavbegáhşänsərnemâşunşangumevāravégabegáhēvāragêbêragarəzaŋhizær
çımçaw/çaşçavstərgacošçaş,gelgancham, chemçumçəş, bəjçümtīya, çaşçemčashmčašmčašmčaša-čašman-cæst
아버지pi, pêrbawk, bab, babe, bawg (Pehlewanî)bav, babplārpiyar, piya, dadapiya, lala, popet, pespîyer, pîyar, perpîyer, pîyar, perpiyərbuatatpedar, bābāpidarpidpitarpitarfyd
두려움terstirstirswēra (yara), bēratârstarsturs, tersegtərstaşe-vaşe, tarstərsitershogetars, harāstarstarstạrsa-tares-tas
약혼자waştidesgîran,xwşavestdergistîčənghol [남성], čənghəla [여성]numzânomjanāmzādnömzətnumzenükürdəxîsmenznāmzādpara-dāta (약혼한)usag
좋은weş, hewlxoşxweşx̌a (š̥a), səmxojir, xarxoşwash, hoshxujīr, xurumxâr, xeş, xojirxuş, xas, xubxubashandxoš, xūb, behdārmagsrīraxorz, dzæbæx
손가락engışte/gışte, bêçıkeengust, pence,angus, pêncetilî, pêçîgwətaanqušanqiştəchangol, mordâneg, lenkutkənguşt, əngüştangusəngüştkelekangihtangoštangustaṇguštaængwyldz
adıragir/awir, ahir,ayeragirwōr (ōr)tašotaşâch, atesh, âstəştaşataştaş, goryoçātaš, āzarâdur, âtaxshādurâç-ātre-/aēsma-art
물고기masemasîmasîmāyaimâyimoymāhi, māhigmäyimâhîmahimāhimoiemāhimāhigmāsyāgmasyakæsag
가다şiayeneçûn, řoştin, řoyiştin, çün (Pehlewanî)çûntləlşiyen, bišiyanşeshotenşönşunen / burdenraftənrosà, tideuro/şoşow/roway-ai-ay-, fra-vazcæwyn
하느님Homa/Huma/OmaYezdan, Xwedê, Xuda, Xodê, Xwa(y)Xwedê, Xweda, XudêXwədāiXədâXıdoXoda, HwdâXudaXedâXudaxodāXuthoiXodā, Izad, Yazdān, BaqXudā/Yazdānbaga-baya-xwycaw
좋은hewl, rınd, weşbaş, çak, xasbaş, rindx̌ə (š̥ə)xâr, xojirçokzabr, sharr, jowainxujīr, xurumxâr, xeş, xojirxub, xasxubashandxub, nīkū, behxūb, nêkog, behvahu-vohu, vaŋhu-xorz
vaşgiya/gyagiya, çêrewāx̌ə (wāš̥ə)vâšalafrem, sabzagvâşvâşgüyosozi, çamewohsabzeh, giyāhgiyâgiyavişurvarākærdæg
gırd/gırs, pilgewre,mezinmezin, girlōy, stərpillayol, yal, vaz, dıjdmastar, mazan,tuhpilâ, pillə, pille, gətgat, pillakələgapwazminbozorgwuzurg, pīl, yalvazraka-mazaṇt̰, masita, stūistyr
destdest, desdestlāsbâldastdastdəs, bâldas, bāldəsdasthustdastdastdastdasta-zasta-k'ux / arm
머리sersersersərkallasə, sərsar, sarag, sagharkəlle, sərkalle, sarsərsarcile, calesarsarkallisairisær
마음zerri/zerredil/dił/dir(Erbil)/zildilzṛədəldıldil, hatyrdīl, dəl, qlfdel, zel, zildüldeldile, zorthdeldildilzaraŋh, zarəδiia, aηhušzærdæ
estor/ostor/astorasp/hesp/esp, hês(t)irhespās [수컷], aspa [암컷]asb, astaraspaspəsb, əspasp, asəsasbvorgeasbasp, stōrasp, stōraspaaspa-bæx
key/çêmał, xanû, xanig, ghatxanî, malkorkiyakages, dawâr, logsərə, xönesere, kime, xenexunəhunachidexānexânagdemāna-, nmāna-xædzar
배고픈vêşan/veyşanbirsî, wirsî (Pehlewanî)birçî, birsî (behdînî)lweǵai (lweẓ̌ai)vašnâ, vešir, gesnâvahşianshudig, shudvəşnä, viştâveşnâ, veşnâsârgisnəgosnamaghzönchgorosne, goşnegursag, shuyveşnâgṣ̌uδ
언어 (또는 혀)zıwan, zon, zuan, zuon, juan, jüanziman, zuwanzimanžəbazobun, zəvânzivonzewān, zobānzəvön, zuvön, zuvänzivun, zebun, tokzuhunzevuzivezabānzuwānizβānhazâna-hizvā-, zafana (입)ævzag
웃다huyayenekenîn/pêkenîn, kenîn,xende,xenekenînxandəl/xəndaxurəsen, xandastansırehendag, xandagpurxə, xənde/ xəndəsənrîk, baxendesten, xannexəndəxanashinteuxandexande, xandkartaSyaoθnāvareza-xudyn
cuye, weşiyejiyan, jînjiyanžwəndūn, žwəndzindәgijimonzendegih, zindzīndəgī, zīvəşzindegî, janhəyatzeŋeizendegi, janzīndagīh, zīwišnīhžīwahr, žīw-gaēm, gaya-card
남자mêrdek, camêrd/cüamêrdmêrd, pîyaw, cuwamêrmêr, camêrsəṛay, mēṛəmardak, miardamerdmerdmərd, mərdönəmardîmərdpiyāchorice, mardinamardmardmardmartiya-mašīm, mašyaadæjmag
aşme, menge (달을 의미하는)mang, heyvmeh, heyvspūǵməi (spōẓ̌məi)mângmang, owşummáhmâng, məngma, munek, mong, rojâmamāhmāhmâng, mânkmāhmâh-måŋha-mæj
어머니may, mardayik, dayigdayik, dêmōrmâr, mâya, nanamoa, ma, inamât, mâsmâr, märmâr, nenâmaydā(ya), dāle(ka)nanmâdarmâdardayekmâtarmātar-mad
fekdemdevxūla (xʷəla)duxun, dâ:ângəvdapdəhəndâhun, lâmîze, loşeduhundamgêvedahândahân, rumbzafan, zafarə, åŋhānō, åñhdzyx
이름namenaw, nêwnavnūmnumnomnâmnömnumnumnumnömenâmnâmnâmannãmannom
şewşewşevšpašö, šavşavšap, shawşö, şöv, şəbşow, şuşöüşohabshabshabxšap-xšap-, naxtiæxsæv
열다(동사)akerdenekirdinewe, wazkirdin (Kelhorî)vekirinprānistəlvâz-kardanokardepāch, pabozagvlätən, väzän, vâ-gudənvâ-hekârdenvakardənvākerde(n)ët chideubâz-kardan, va-kardanabâz-kardan, višādagbūxtaka-būxta-gom kænyn
평화haşti/aştiaştî, aramîaştî, aramîrōɣa, t͡sōkāləidinjaşişârâməştâştî, esketsalaməti, dinciāş(t)isalömâshti, ârâmeš, ârâmî, sâzishâštih, râmīšnrâm, râmīšnšiyâti-rāma-fidyddzinad
돼지xoz/xonz, xınzırberaz,gorazberazsoḍər, xənd͡zir (아랍어), xugxu, xuyi, xugxugkhug, hukxukxugxukxugxūkxūkhū, varāza (멧돼지)xwy
장소cacê(cêga), ga, şwên, şwîn (Pehlewanî)cih, gehd͡zāiyâgaviraja, jaygah, hendjâ, jigâ, jigəjâ, gâ, kolâcigə, cəjoijâh/gâhgâhgâhgâθu-gātu-, gātav-ran
읽다wendenexwendin/xwêndin, xwenistinxwendinlwastəl, kōtəlbaxândenhande, xwandewánag, wāntenxöndən, xönəsənbaxenden, baxundestenxundənvane(n)heideuxândanxwândanpaiti-pǝrǝskæsyn
말하다vatenegutin, witingotinwayəlvâten, bagutenvotegushag, guashtengutən, guftənbaowten, boten, bagotenguftirən, gaf saxtəngute(n)lövdeugoftan, gap(-zadan)guftan, gōw-, wâxtangōw-gaub-vac, mrū-dzuryn
자매wayexweh, xweşk, xoşk, xuşk, xoyşkxwîşkxōr (xʷōr)xâke, xâv, xâxor, xuârhovagwhârxâxur, xâxərxâxer, xâxor, xoarxuvarxuaryàx, yàxbìçxâhar/xwâharxwaharxvaŋhar-xo
작은qıc/qıyt, wırd/werdigiçke, qicik, hûr, biçûk, büçik (Kelhorî)biçûk, hûr, qicikkūčnay, waṛ(ū)kayqijel, rukhırdgwand, hurdkuçhī, kujī, kuştəpeçik, biçuk, xerdküçük, küşkin, kişgələ, kəmkoçekzulicekuchak, kam, xurd, rîzkam, rangaskamkamna-kasu, kamna-chysyl
아들lac, lajlaw/kuřkur, law, pisd͡zoy (zoy)pur, zâzoə, zurəpossag, baçvəçə, rikə, pəsər, rəypeser/rîkâkukkorpuçpesar, purpur, pusarpuhrpuçapūθra-fyrt
영혼roh, gancan, giyan, rewan, revanreh, canrəvânconrawânruh, jönro, jâncanjöneravân, jânrūwân, jyânrūwân, jyânurvan-ud
wesar/usarbehar, weharbihar, beharspərlayvâ:ârəvəsor, baharbārgāhvəhâr, bâhârvehâr, behârvasalbehār, vehārbahorbahârwahârvâhara-vaŋhar
키 큰berzbilind/berzbilind/berzlwəṛ, ǰəgpillabarz, bılındborz, bwrzburz, bələndbelen, belendbülündbeleŋbelandboland / bârzbuland, borzbârežbərəzaṇt̰bærzond
desdeh/dedehləsdadadahda, datâdathistedahdahdathadasadæs
hirê/hiridrēso, sese, heseysu, səse, setâsearaisehrēçi-θri-ærtæ
마을dewegund, dêhat, dê, awayîgundkəlaydöh, dadidehāt, helk, kallag, dêmällə, məhällə, kəläyədih, male, kolâdideqishloqdeh, wiswiždahyu-vîs-, dahyu-vîsqæw
원하다waştenexwastin, wîstin, twastin (Pehlewanî)xwestinɣ(ʷ)ux̌təlbegovastan, jovastanpiyeloath, lotetenxäsən, xästənbexâsten, bexâstixastən, vayistənhāseforteuxâstanxwâstanūna, ainištifændyn
awe/awk, owe, ouawavobə/ūbəâv, öov, wat(orandian 방언)âpow, âvow, ou ,uouowhaçâbâb/awawâpiavō-don
언제keykey, kengî(Hewlêrî)kengê, kîngêkəlakeykeynakadi, kedkén, kəyke, kemin, gederkey, çüvəxtikeçavaxtkeykaykacim-kæd
바람vaba, wa (Pehlewanî)basiləivogwáthvarbâdhuzbâdwâdwavāta-dymgæ / wad
늑대verggurgxwendinlwastəlwánaghbaxindenxândanxwândan
말하다vatenagotin/wutinwāyəgushaghbaotenagoftan, gap(-zadan)guftan, gōw-, wâxtangōw-gaub-mrû-
자매waexweşkxoregwhârxâxerxâhar/xwâharxwahar
작은qıchpiçûkkushnaylekempətik, bechuk, perushkkuchak, kam, xurd, rîzkam, rangaskamkamna-kamna-
아들qıjkurzuipisar, phusaghpisserpesar, pûr, baçapur, pusarpuhrpuçapūθra-


참조

[1] 서적 Toward a Typology of 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 서적 Persian Grammar: History and State of Its Stud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3]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Iranian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4] 학술지 Report for Iranian languages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5] 서적 The Iranian languages http://www.routledge[...] Routledge Taylor and Francis Group
[6] 백과사전 Ērān, Ērānšahr http://www.iranicaon[...] Mazda
[7] 백과사전 Encyclopedia Iranica Routledge & Kegan Paul
[8] 문서 Proto-Iranian *arya- descends from Proto-Indo-European (PIE) {{PIE|*ar-yo-}}
[9] 백과사전 Arya http://www.iranicaon[...] Routledge & Kegan Paul
[10] 학술자료
[11] 학술지 A Review of the 'Encyclopaedia Iranica' 1998-06-01
[12] 서적 Die altpersischen Keil-Inschriften von Persepolis Weber
[13] 서적 A sketch of the modern languages of the East Indies Trübner
[14] 서적 History of northern areas of Pakistan National Institut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earch
[15] 서적 Preface Oranskij, Iosif M. Les langues iraniennes
[16] 서적 Sprachzeugnisse alt- und mitteliranischer Sprachen in Afghanistan De Gruyter
[17] 서적 Actancy. Empirical approaches to language typology Mouton de Gruyter
[18] 웹사이트 Encyclopaedia Iranica: EASTERN IRANIAN LANGUAGES http://www.iranicaon[...]
[19] 학술자료 Autochthonous Aryans? The evidence from Old Indian and Iranian texts
[20] 서적 Old Persion: Grammar Texts Lexicon American Oriental Society
[21] 학술자료
[22] 백과사전 Eastern Iranian languages
[23] 백과사전 Dialectology and Topics Routledge
[24] 서적 A Reader in Manichaean Middle Persian and Parthian
[25] 서적 The Sarmatians, 600 BC-AD 450 Osprey Publishing 2002
[26]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Taylor & Francis 1997
[27] 서적 Women in Russia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7
[28] 서적 Slovene Studies Society for Slovene Studies 1987
[29] 학술지 Report for Iranian languages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30] 서적 Toward a Typology of 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31] 서적 Persian Grammar: History and State of Its Stud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