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작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작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서초구 경계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4호선과 9호선이 환승하는 역이다. 1985년 10월 18일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9년 7월 24일 9호선이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4호선은 고가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9호선은 지하역으로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이다. 주변에는 국립서울현충원, 한강시민공원 반포지구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서울지방병무청역은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된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으로,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지방병무청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대방역
    대방역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1호선과 신림선 환승역으로, 1호선은 쌍상대식 승강장, 신림선은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며, 주변에 공공기관과 편의시설이 있고, 경부선 개통 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서초구의 전철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서울 서초구의 전철역 - 반포역
    반포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으로, 2000년 개통 이후 현재는 일평균 12,697명의 승하차 인원을 기록하며 6개의 출구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건대입구, 상봉, 고속터미널, 석남 방면으로 운행된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동작역
지도
기본 정보
역 이름동작 (현충원)
로마자 표기Dongjak-yeok
한자 표기銅雀驛
주소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57 (동작동 327-1)
운영 정보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노선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승강장4
선로6
역사
개업일1985년 10월 18일 (4호선)
2009년 7월 24일 (9호선)
역 정보 (4호선)
역 번호431
이전 역이촌역
다음 역총신대입구역
영업 거리진접(경복대) 기점 40.8 km
전역 거리2.7 km
후역 거리1.8 km
승강장 구조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역 정보 (9호선)
역 번호920
이전 역흑석역
다음 역구반포역
영업 거리개화역 기점 22.5 km
전역 거리1.4 km
후역 거리1.0 km
승강장 구조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기타
전보 약호(제공된 문서에 없음)
단말기0431

2. 역사

2. 1. 4호선

동작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57(동작동 327-1)에 위치한 4호선의 고가역이다. 1985년 10월 18일에 개통되었다. 역 번호는 431번이며, 이촌과 숭실대입구 사이에 있다. 동작대교와 직결되며, 승강장은 3층에 있는 2면 2선의 상대식 구조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2층에 2곳이 있으며, 화장실은 이촌 쪽 개찰구 안에 1곳 있다. 숭실대입구 쪽 개찰구 안에는 승강장으로 가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2009년 7월 24일에는 9호선이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으며, 환승 통로의 길이는 230m이다.[5] 2022년 8월 8일에는 집중호우로 인해 9호선이 침수되어 운행이 중단되었으나,[8] 다음날 복구되었다.

2. 2. 9호선



9호선 역은 현충로 바로 아래에 위치한 지하역이다.[8]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으며, 섬식 2면 4선을 갖추고 있다. 안쪽 2선은 급행 전용, 바깥쪽 2선은 일반 전용 승강장으로 나뉘어 있으며, 전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 또는 4호선 환승 통로로 이어지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3곳, 엘리베이터는 승강장 1면당 2대씩 있다.

개찰구는 지하 2층에 1곳이 있다. 4호선 환승 통로 또한 지하 2층에 있다. 화장실은 개찰구 안과 밖에 각각 1곳씩 있다. 출구는 5번부터 9번까지 있다.

2009년 7월 24일 9호선이 개통되어 동작역에 연결되었다.[8] 2022년 8월 8일 집중호우로 인해 9호선이 침수되어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다음날 복구 공사가 진행되었다.[8]

3. 역 구조

수도권 전철 4호선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 서울 지하철 9호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호선의 경우 이촌역과 동작역 사이에 동작대교가 있으며 곡선승강장으로 인하여 승하차시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발빠짐을 주의해야 한다.

9호선의 경우 러시아워(NH)시간대에 이 역에서 양방향 모두 일반열차의 대피가 이루어진다.

4호선 승강장 (L3)
상행4호선한성대입구·진접 방면
하행4호선사당·오이도 방면



9호선 승강장 (B3)
상행(외측)9호선노량진, 여의도, 당산, 개화 방면
상행(내측)9호선급행 노량진, 여의도, 당산, 김포공항 방면
하행(내측)9호선급행 고속버스터미널, 선정릉, 종합운동장 방면
하행(외측)9호선구반포, 신반포, 고속버스터미널, 종합운동장 방면


3. 1. 4호선 승강장



동작역 4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5] 승강장은 3층에 위치하며, 동작대교와 직결되는 고가역이다.

이촌 방면 상행 승강장과 총신대입구(이수) 방면 하행 승강장이 있으며, 각 승강장은 진접 방면과 오이도 방면 열차가 정차한다.

개찰구는 2층에 있으며, 이촌 쪽과 총신대입구(이수) 쪽에 각각 위치한다. 승강장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는 총신대입구(이수) 쪽 개찰구 안에, 화장실은 이촌 쪽 개찰구 안에 있다.

상행4호선한성대입구·진접 방면
하행4호선사당·오이도 방면


3. 2. 9호선 승강장



동작역의 9호선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위치한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안쪽 2선은 급행, 바깥쪽 2선은 일반 열차가 사용하며, 전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1면당 3곳의 계단과 2대의 엘리베이터가 지하 2층 개찰구 및 4호선 환승 통로와 연결된다.

9호선 역은 현충로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개찰구는 지하 2층에 1곳이 있다. 4호선 환승 통로는 230m 길이로 지하 2층에 위치하며, 화장실은 개찰구 안팎에 각각 1곳씩 있다. 출구는 5번부터 9번까지이다.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상행(외측)18px 9호선노량진, 여의도, 당산, 개화 방면
상행(내측)18px 9호선급행 노량진, 여의도, 당산, 김포공항 방면
하행(내측)18px 9호선급행 고속버스터미널, 선정릉, 종합운동장 방면
하행(외측)18px 9호선구반포, 신반포, 고속버스터미널, 종합운동장 방면


3. 3. 환승

서울 지하철 4호선서울 지하철 9호선 간의 환승은 동작역에서 가능하다. 4호선 승강장은 상행 이촌 방면, 하행 총신대입구 방면으로 운행되며, 측면 승강장 구조로 오른쪽 문이 열린다. 9호선 승강장은 서행 완행 개화 방면, 동행 완행 VHS의료센터 방면, 서행 급행 김포공항 방면, 동행 급행 VHS의료센터 방면으로 운행되며, 섬식 승강장 구조로 좌우 문이 모두 열린다.

4. 역 주변

동작역은 동작구서초구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며, 4호선 측 1번 출구는 서초구 반포본동에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국립서울현충원, 반포종합운동장, 이수교차로, 한강시민공원 반포지구, 한강홍수통제소, 동작대교가 있다. 1번 출구는 반포 아파트, 2번 출구는 국립묘지 주차장, 3번 출구는 이수 로터리, 4번 출구는 서울 국립묘지와 연결된다.

5. 이용객 변동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4호선승차4,4464,2044,2124,1153,9923,4783,4343,4793,3633,5982,8092,9783,2313,1163,1783,2943,3333,3002,980[17]
하차4,4744,2444,2834,2314,0353,5153,4713,4843,5493,6662,8653,0993,4553,3723,4583,6413,7023,6483,314
승하차8,9208,4488,4958,3468,0276,9946,9056,9636,9127,2645,6746,0776,6866,4886,6366,9357,0356,9486,294
9호선승차미개통10,99614,23016,10418,09119,40419,96220,62920,90220,26620,366[18]
하차10,15914,11715,79517,68018,73519,38220,26820,44719,97020,152



9호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6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동작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7-06-27
[2] 웹사이트 9호선 역간거리표 https://web.archive.[...] 2016-06-14
[3] 웹사이트 Dongjak Station (Line 4) https://web.archive.[...] Seoul Metro 2017-06-27
[4]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211호 http://www2.seoul.go[...] 2024-02-00
[5] 뉴스 할인혜택 없는 9호선 환승 http://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
[6]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www.seoulmetr[...]
[7] 웹사이트 서울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http://www.metro9.co[...]
[8] 웹사이트 서울 수폭탄에 대형 상업시설 천장에 큰 구멍이 나고 대량 침수 피해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20-08-08
[9] 문서 건설/관리 및 열차 운행 업무
[10] 문서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11] 문서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12] 웹사이트 9호선 영업거리표 http://www.metro9.co[...]
[13]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http://event.seoul.g[...] 1983-09-13
[14] 뉴스 지하철(지하철)3.4호선 완전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18
[15]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http://event.seoul.g[...] 2008-09-18
[16]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211호 http://event.seoul.g[...] 2009-05-28
[17]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18] 웹인용 서울시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https://web.archive.[...] 2016-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