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식 (야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정식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2004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주전 포수 진갑용의 백업 역할을 수행하며 두 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상무 피닉스에서 군 복무를 마쳤다. 2010년 김태완의 배트에 맞아 부상을 입어 시즌 아웃되었으며, 2016년 방출되어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배터리 코치로 활동했다. 통산 8시즌 동안 34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08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중대초등학교 동문 - 이지아
이지아는 1978년 서울 출생으로, 미국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하고 2004년 광고로 데뷔하여 드라마 《태왕사신기》, 《펜트하우스》 등에 출연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서울중대초등학교 동문 - 김명성 (1988년)
김명성(1988년)은 중앙대학교 야구 선수로 국가대표로도 활약하며 아시안 게임 금메달로 병역 혜택을 받았으나,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 후 두산 베어스로 트레이드, 방출되며 프로 통산 52경기 1승 1패, 평균자책점 6.18을 기록한 전 야구 선수이다. - 자양중학교 동문 - 곽빈
곽빈은 두산 베어스 소속의 우완 투수로, 배명고 시절 강속구로 주목받아 2018년 데뷔 후 부상 극복, 2023년 국가대표 활동 및 아시안 게임 우승, 2024년 리그 최다승을 기록하는 등 활약하며 강속구와 다양한 변화구를 던진다. - 자양중학교 동문 - 황대인
황대인은 KIA 타이거즈 소속 1루수로, 경기고등학교 출신이며, 2015년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2019년부터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하며, 2022년에는 팀 주장을 역임했고, 타격 폼 개선을 통해 장타력을 향상시켰다. - 2005년 야구 - 시카고 화이트삭스
시카고 화이트삭스는 일리노이주 시카고를 연고로 하는 MLB 아메리칸 리그 중부 지구 소속 프로 야구 팀으로, 1901년 창단 이후 세 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과 여섯 번의 아메리칸 리그 우승을 기록했으며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2005년 야구 - 임동규 (야구 선수)
임동규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1999년 삼성 라이온즈에 지명되어 입단 후 2006년 활약했으나 병역 문제 등으로 부진을 겪다 2010년 방출되었다.
이정식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명 | 이정식 |
영어 표기 | Lee Jeong-Sik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생년월일 | 1981년 11월 2일 |
신장 | 183cm |
체중 | 90kg |
利き腕 (주로 사용하는 팔) | 오른쪽 |
타석 | 오른쪽 |
수비 위치 | 포수 |
프로 입단 | 2004년 |
드래프트 순위 | 2차 드래프트 2라운드 |
첫 출장 | 2004년 4월 5일 |
마지막 경기 | 2016년 7월 10일 |
소속 구단 | 삼성 라이온즈 |
등번호 | 89 |
선수 경력 | |
선수 | 삼성 라이온즈 (2004년 ~ 2016년) 상무 야구단 (2008년 ~ 2009년) |
아마추어 | 장충고등학교 경성대학교 |
지도자 경력 | |
코치 | 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배터리코치 (2017년 ~ 2019년) 삼성 라이온즈 배터리코치 (2020년 ~ 2022년, 2023년 ~ 현재) 삼성 라이온즈 2군 배터리코치 (2022년 ~ 2023년) |
2. 선수 시절
2004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주로 주전 포수 진갑용의 백업 역할을 수행했으며, 2007년 시즌 후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마쳤다. 2010년 팀에 복귀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가다가 2016년 방출된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삼성 라이온즈 시절 (1차)
2004년 삼성 라이온즈와 계약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5년부터는 병역 비리 사건으로 인해 군 복무를 하게 된 현재윤을 대신하여 본격적으로 1군 경기에 출전하기 시작했다. 주로 주전 포수인 진갑용의 백업 역할을 수행하며, 2005년과 2006년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2007년 시즌 종료 후 군 복무를 위해 상무 야구단에 입대했다.2. 2. 상무 야구단 시절
2007년 시즌 후 군 복무를 위해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2009년까지 복무하고 제대하였다.2. 3. 삼성 라이온즈 시절 (2차)
2010년 상무에서 제대한 후 삼성 라이온즈로 복귀했다. 시즌 초반 부진했던 현재윤을 대신하여 주전 포수 진갑용의 백업 역할을 맡았다. 하지만 그 해 8월 15일 경기 중 김태완이 휘두른 방망이에 맞아 척골이 골절되는 부상을 입어 남은 시즌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이후 계속 삼성 라이온즈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다가 2016년 10월 25일 김건한, 김태완과 함께 방출되었고, 사실상 현역에서 은퇴했다.3. 은퇴 후
2016년 10월 25일에 김건한, 김태완과 함께 방출되어 현역에서 은퇴했다. 방출 후 코치 제안을 받아들여 2017년부터 삼성 라이온즈의 육성군 배터리 코치로 활동하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3][1]
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도
기
수
점
타
루
타
루
타
런
점
루
루
실패
넷
구
진
살
타
책
율
루
율
타
율
P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