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군체육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군체육부대는 1984년 창설된 대한민국 국방부 소속 부대로, 군 스포츠 발전을 위해 육군, 해군, 공군에서 관리하던 체육 종목을 통합하여 운영한다. 현재 33개 종목을 운영하며, 각 종목의 선수들은 군인 신분으로 병역 의무를 수행하면서 훈련과 경기에 참여한다. 축구의 김천 상무 FC, 야구의 상무 야구단 등 프로 스포츠팀을 운영하며, 세계 군인 체육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여자 축구 선수의 드래프트 거부 사건을 계기로 여자 선수 선발 방식이 변경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종합 스포츠 클럽 - 삼성스포츠
    삼성스포츠는 제일기획 산하에서 야구, 축구, 농구, 배구 등 프로 스포츠 팀과 다양한 아마추어 스포츠 팀을 운영하며 대한민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하는 조직이다.
  • 국군체육부대 - 상주 상무 축구단
    상주 상무 축구단은 국군체육부대 예하 프로 축구단으로, 2002년 창단하여 K리그에서 활동하다 2020년 김천 상무 FC로 재창단되기 전 K리그2 2회 우승 및 FA컵 1회 우승을 기록했다.
  • 국군체육부대 - 상무 농구단
    국군체육부대 소속의 상무 농구단은 장창곤 감독과 김상영 코치 지도하에 전현우, 김동준, 조재우 등 다양한 포지션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강혁, 김승현과 같은 가드와 김주성, 박정현과 같은 센터들이 활약했다.
국군체육부대
기본 정보
국군체육부대의 마크
국군체육부대의 마크
약칭KAFAC
별칭상무, 상무대
마스코트불사조
표어해당 정보 없음
웹사이트국군체육부대 공식 웹사이트
조직
소속대한민국 국방부
병과해당 정보 없음
종류해당 정보 없음
역할해당 정보 없음
규모해당 정보 없음
명령 체계대한민국 국방부
본부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지휘관2급 군무원(군무이사관) 진규상
지휘관 명칭부대장
주요 지휘관해당 정보 없음
연혁
활동 기간1984년 1월 4일 ~
창설일1984년 1월 4일
기타 정보
군가해당 정보 없음
장비해당 정보 없음
참전해당 정보 없음
기념일해당 정보 없음
장식해당 정보 없음
훈장해당 정보 없음
산하 부대 (1 운동대)
농구해당 정보 없음
권투해당 정보 없음
축구김천 상무 축구단
핸드볼해당 정보 없음
아이스하키대명 상무 아이스하키단
유도해당 정보 없음
럭비해당 정보 없음
레슬링해당 정보 없음
산하 부대 (2 운동대)
배드민턴해당 정보 없음
야구상무 야구단
필드하키해당 정보 없음
체조해당 정보 없음
탁구해당 정보 없음
테니스해당 정보 없음
배구상무 신협 배구단
역도해당 정보 없음
산하 부대 (3 운동대)
수영해당 정보 없음
양궁해당 정보 없음
육상해당 정보 없음
바이애슬론해당 정보 없음
사이클해당 정보 없음
펜싱해당 정보 없음
근대5종해당 정보 없음
사격해당 정보 없음
태권도해당 정보 없음
여자 축구보은 상무 여자 축구단

2. 역사

1982년 육군은 각 부대별로 관리하던 18개 종목을 통합하여 '육군체육지도대'를 만들고 '웅비'라고 명명했다.[13] 1984년 1월 4일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국군체육부대가 창설되어 전 군의 체육 종목을 통합하였다.[14] 2013년 10월 10일 경기도 성남시에서 경상북도 문경시로 부대를 이전했다.

2. 1. 창설 배경

기존에는 각 군별로 육군은 충의, 해군은 해룡, 공군은 성무라는 부대를 만들어 각 종목의 선수 관리를 해 왔다. 그러나 1982년 육군에서 각 부대별로 관리하던 18개 종목을 통합하여 '육군체육지도대'를 만들고 부대 별칭을 '웅비'라고 명명하며 조직 통폐합 작업을 시작하였으며,[13] 이후 1984년 1월 4일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국군체육부대를 창설함으로써 전 군의 체육 종목을 통합하였다.[14]

2. 2. 연혁

1982년 육군은 각 부대별로 관리하던 18개 종목을 통합하여 '육군체육지도대'를 만들고 부대 별칭을 '웅비'라고 명명하며 조직 통폐합 작업을 시작하였으며,[13] 이후 1984년 1월 4일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국군체육부대를 창설함으로써 전 군의 체육 종목을 통합하였다.[14] 2013년 10월 10일 경기도 성남시에서 경상북도 문경시로 부대를 이전했다.

3. 편제

부대장은 원래 준장이었으나 현재는 2급군무원이며 휘하에는 대대급 부대인 각 경기대와 부대 경비에 필요한 일정 규모의 부대가 있다. 경기대에는 각 종목별 감독과 선수들이 소속되어 있다. 감독은 민간인이지만 위관급 장교로 대우받는다. 선수는 사격 등 일부 종목이나 여자 선수들에 한해 부사관이며 나머지 선수들은 전원 병이다. 이는 대한민국에서만 해당되는 사항이며, 외국의 경우 운동 선수가 군 복무를 하면 기본 장교 계급을 부여한다.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활약한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의 페렌츠 푸스카스는 군인 신분으로 축구 선수를 병행했으며 계급이 소령이었다.[14]

2020년부터 장성급 장교 정원 감축의 일환으로 국군체육부대의 부대장을 장성급 장교가 아닌 군무원으로 변경하기로 확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부대장은 육군 준장에서 군무원 2급으로 변경되었다.[14]

3. 1. 경기대별 종목

국군체육부대는 33개 종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경기대별로 운영 종목이 나뉜다.

1 경기대2 경기대3 경기대



국방부2018년 동계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와 동계스포츠 저변 확대를 위해 2012년 7월 23일 쇼트트랙 등 9개 종목 33명 선수를 2013년부터 2019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추가된 종목과 선수는 빙상의 스피드 스케이팅과 쇼트트랙 각각 5명, 스키는 알파인 등 6개 종목에서 각 1명씩 6명, 아이스하키 17명이다.

원래 국군체육부대는 바이애슬론을 제외하고는 동계스포츠 종목을 운영하지 않아 선수들 대부분이 현역 혹은 공익근무요원으로 군복무를 해야 했지만,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동계스포츠 종목 선수들도 현역 입대 후 국군체육부대에서 체계적인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해당 종목들은 평창 동계올림픽까지 임시로 운영되었다.

3. 2. 동계 스포츠 종목 (한시적 운영)

국방부2018년 동계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와 동계스포츠 저변 확대를 위해 쇼트트랙 등 9개 종목 33명의 선수를 2013년부터 2019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2012년 7월 23일 발표했다. 추가된 종목과 선수는 빙상의 스피드 스케이팅과 쇼트트랙 각각 5명, 스키는 알파인 등 6개 종목에서 각 1명씩 6명, 아이스하키 17명이다.

국군체육부대는 바이애슬론을 제외하고는 동계 스포츠 종목을 운영하지 않아 선수들 대부분이 현역 혹은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해야 했지만,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동계 스포츠 종목 선수들도 현역 입대 후 국군체육부대에서 체계적인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해당 종목들은 평창 동계올림픽까지 임시로 운영된다.

3 경기대


4. 특징

국군체육부대는 대한민국 국군의 체육 능력 향상과 체육 진흥을 목적으로 1984년에 발족한 스포츠 부대로, 특수부대로 분류되지만 대테러 작전 등에는 투입되지 않는다. 단체 경기 외에도 사격, 육상, 체조, 투기 등 각종 종목의 선수가 소속되어 있으며, 복무 중에 국가대표로 올림픽 등에 출전하여 메달을 획득한 선수도 많다. 부대의 상징은 불사조이기 때문에, 피닉스라는 이름을 딴 팀도 많다.

국군체육부대에 소속된 운동 선수들은 병역법에 따라 입대하기 때문에 신체적 제한이 있다. 남자 선수는 200cm 이상, 150kg 이상, 여자 선수는 184cm 이상, 84kg 이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농구배구에서는 평균 신장이 가장 작다. 이근호 경기병의 경우처럼, 위수지역 자체가 의미가 없어 2014년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엔트리멤버로서 브라질까지 가서 경기를 할 수 있었다.[15]

4. 1. 선수 선발 및 운영

국군체육부대에 소속된 운동 선수들은 운동 선수와 군인이라는 두 가지 직업에 종사하며 병역법에 준하는 과정을 거쳐 입대한다.[1] 팀 스포츠 선수들은 원 소속팀에서 임대 형식으로 국군체육부대 팀에서 활동하며, 복무 기간이 끝나면 각 소속팀으로 복귀한다.[2]

지원자는 시즌 말에 해당 서류를 제출하며, 스포츠 종목에 따라 시기가 다르다. 합격자는 일련의 체력 검사와 필기 시험을 통해 추가로 선발된다.[6][7] 팀 스포츠 선수들은 또한 다음 시즌 팀의 자리에 대한 여유와 과거 기록을 바탕으로 선발된다. 불합격자는 (최대 연령이 되지 않은 경우) 재지원하거나 일반 병사로 복무할 수 있다. 자격을 갖춘 지원자는 다른 모든 신병들과 마찬가지로 5주간의 기초 군사 훈련을 받은 후 각 체육 부대에 배치된다.

국군체육부대에 소속된 운동 선수들의 신분은 '경기병' 또는 '경기부사관'이며 경기병의 경우는 신분만 병일 뿐 생활 통제는 간부와 동일하게 한다. 경기를 하기 위해 원정을 갈 일이 많아 위수지역은 의미가 없으며 병처럼 통제하면 경기를 하러 가는 데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15]

  • 외출 및 외박이 자유롭다.
  • 식사는 뷔페식으로 한다.
  • 일과 시간 외에는 통제가 없다.
  • 경기병 및 경기부사관들간 서열은 입대하기 이전의 서열을 그대로 적용한다.


이 때문에 국가대표에 선발될 실력이 없는 운동 선수들은 국군체육부대에 입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15] 국가대표에 선발된 적이 있는 선수들은 이 부대에 입대하는 것보다 더 대우가 좋은 예술체육요원이 되기 위해 노력한다.

과거에는 상무에 소속된 이후에는 병역특례 대상이 되어도 계속 복무했으나 오세근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법령이 개정되어 군 복무 중 병역특례 대상이 되면 전역처리와 동시에 원래 소속팀으로 복귀한다. 국군체육부대에 입대하지 않는 병역특례 대상이 되면 기초군사훈련으로 병역이 완료되며 그 대상은 다음과 같다.

현행 정책에 따르면,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거나 올림픽에서 최소 동메달을 획득한, 아직 복무를 마치지 않은 선수들은 기초 훈련을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병역 면제를 받을 수 있다. 농구 선수 오세근[4]과 펜싱 선수 김준호의 경우처럼, 선수가 이미 복무 중인 경우 조기 전역을 허가받을 수 있는데, 두 선수 모두 각자 메달을 획득한 지 몇 주 후에 전역했다.[9]

국군체육부대 선수들은 각 스포츠 협회에서 차출될 경우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파견될 수 있다.[3][4][5] 군인 신분이기 때문에, 국군체육부대 소속 선수들은 애국가가 연주될 때 경례해야 하며, 국제 대회 및 토너먼트에서도 선수에 대한 존칭(''선수'') 대신 계급으로 불린다.[8][5]

대한민국 이외의 다른 나라에서는 운동 선수가 군 복무를 하면 장교 신분이 부여된다. 1954년 FIFA 월드컵 당시 최고의 스타플레이어였던 페렌츠 푸스카스 역시 군대에 소속된 축구팀인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소속이었는데 그 때 푸스카스의 계급은 소령이었다.

4. 2. 프로 스포츠에서의 역할

국군체육부대(상무)는 현역 군인들에게 훈련과 시설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병역 의무를 수행하는 자격을 갖춘 남성 프로 운동선수들을 받아들인다.[1] 팀 스포츠 선수들은 원 소속팀에서 임대 형식으로 상무 팀에서 활동하며, 복무 기간이 끝나면 각 소속팀으로 복귀한다.[2] 상무 소속 선수들은 각 스포츠 협회에서 차출될 경우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파견될 수 있다.[3][4][5]

병역을 마치지 않은 남자 스포츠 선수의 경우, 국가대표급 스포츠 선수로서 특별 대우를 받아 군사 훈련은 거의 하지 않고 훈련에 전념할 수 있으며, 부대 내 팀들도 국내 리그에 참가하고 있어, 병역을 수행하면서도 경기력을 유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합법적인 길이며, 입대를 둘러싼 경쟁률도 상당히 높다.

원래는 아마추어 선수에게만 입대를 허가해 왔다. 지금도 기본적으로 아마추어 선수를 대상으로 문호를 개방하고 있지만, 올림픽에 프로 선수의 참가가 인정되면서부터는 올림픽에 프로 참가가 가능한 단체 종목(야구, 축구, 농구, 배구 등)의 프로 선수도 입대할 수 있게 되었다. 복싱부의 경우에는 올림픽에 프로 복서의 참가가 인정되지 않아, 프로 복싱 선수는 선수로서 입대할 수 없다. 기본적으로 군인의 신분이기 때문에 아마추어 취급을 받지만, 프로 출신 병사는 프로에 몸담았던 선수로서 각종 대회 참가가 제한된다.

5. 주요 성과

세계 군인 체육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2015 문경 대회에서는 금메달 19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25개로 총 59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코리아 슈퍼 럭비 리그에서는 2005년과 2007년에 우승하였다.

5. 1. 세계군인체육대회

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995 로마15410
1999 자그레브104418
2003 카타니아54514
2007 하이데라바드24713
2011 리우데자네이루86822
2015 문경19152559
2019 우한3101124


5. 2. 기타 대회

세계 군인 체육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995 로마15410
1999 자그레브104418
2003 카타니아54514
2007 하이데라바드24713
2011 리우데자네이루86822
2015 문경19152559
2019 우한3101124



코리아 슈퍼 럭비 리그에서는 2005년과 2007년에 우승하였다.

6. 소속 팀

국군체육부대는 다음과 같은 팀들을 운영하고 있다.

6. 1. 축구

김천 상무 FC는 2021년 현재 K리그2에 참가하고 있다. 2010년 광주광역시에서 상주시로, 2021년에는 김천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팀명도 '광주 상무' → '상주 상무 FC' → '김천 상무 FC'로 변경되었다.

2012년까지는 '상주 상무 피닉스'라는 애칭을 사용했다.

여자 축구단은 2007년에 창단되었다. 2009년부터 WK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처음에는 "'''부산 상무'''"라는 팀 이름을 사용했지만, 2016년에 부산광역시에서 충청북도 보은군으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보은 상무'''"로 팀 이름을 변경했다.

국군체육부대를 거쳐간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6. 2. 야구

한국 프로 야구 2군 리그인 퓨처스리그에 '''상무 피닉스'''(Sangmu Phoenix, 상무 피닉스한국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고 있다. 본거지는 경상북도문경시에 있는 상무 전용 야구장을 사용하고 있다.

상무 피닉스에 소속되었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선수명소속팀 (입대 전)
변상권키움
이강준키움
이주형키움
김찬형SSG
김택형SSG
장지훈SSG
구본혁LG
이영빈LG
최정원NC
심우준KT
권동진KT
최원준기아
김현수기아
최채흥삼성
최지광삼성
김도환삼성
김재혁삼성
박승규삼성
김윤수삼성
이해승삼성
나승엽롯데
추재현롯데
한태양롯데
조세진롯데
조한민한화
김재호두산 (2006 - 2007)
박석민NC (2006 - 2007)
오재원두산 (2007 - 2008)
박병호키움 (2007 - 2008)
김강률두산 (2009 - 2010)
김재환두산 (2009 - 2010)
장시환한화 (2010 - 2011)
최주환SSG (2010 - 2011)
이재원SSG (2011 - 2012)
이현승두산 (2012 - 2013)
홍건희두산 (2013 - 2014)
박세혁두산 (2014 - 2015)
오선진삼성 (2014 - 2015)
류지혁KIA (2014 - 2015)
이용찬NC (2015 - 2016)
김선빈KIA (2015 - 2016)
강윤구롯데 (2015 - 2016)
이승진두산 (2016 - 2017)
문경찬NC (2016 - 2017)
문성현키움 (2016 - 2017)
윤명준두산 (2017 - 2018)
장운호한화 (2017 - 2018)
심창민NC (2019 - 2020)
이유찬두산 (2020 - 2021)


6. 3. 핸드볼

김천 상무 피닉스라는 명칭으로 핸드볼 코리아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6. 4. 럭비

1984년에 창단된 국군체육부대 럭비팀은 코리아 슈퍼 럭비 리그에서 활동하며, 2005년과 2007년 두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현재 감독은 서천오이며, 연고지는 문경시이다.[10]

}

  • 곽성준|한국어
  • 이준우|한국어
  • 이관우|한국어
  • 신기수|한국어
  • 우일권|한국어
  • 김민석|한국어
  • 서태풍|한국어
  • 김태우|한국어

|

  • 박태호|한국어
  • 박재민|한국어
  • 신동립|한국어
  • 최호영|한국어

|

  • 김진환|한국어
  • 유기한|한국어
  • 이현준|한국어
  • 경제성|한국어
  • 서종수|한국어

|-

! 백 로우

! 스크럼 하프

! 플라이 하프

|-

|

  • 강호빈|한국어
  • 박준영|한국어
  • 김해용|한국어
  • 유기정|한국어
  • 윤종옥|한국어
  • 정종택|한국어
  • 윤영훈|한국어
  • 이승환|한국어
  • 권재혁|한국어
  • 문성환|한국어
  • 이영민|한국어
  • 임성수|한국어

|

  • 안상현|한국어
  • 김성현|한국어
  • 문태훈|한국어
  • 김완석|한국어
  • 최형탁|한국어

|

  • 김찬섭|한국어
  • 김찬들|한국어
  • 장준범|한국어

|-

! 센터

! 윙

! 풀백

|-

|

  • 신현민|한국어
  • 방준영|한국어
  • 손민기|한국어
  • 김민욱|한국어
  • 윤영훈|한국어
  • 오문성|한국어
  • 윤영민|한국어

|

  • 홍성종|한국어
  • 최동완|한국어
  • 김태형|한국어
  • 김성호|한국어
  • 김현영|한국어
  • 김찬선|한국어
  • 김의태|한국어

|

  • 정호창|한국어
  • 김재원|한국어

|-

| colspan="3"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국제 경기에 출전한 경력이 있다)

|}

6. 5. 아이스하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을 위한 아이스하키 강화 목적으로 2012년에 팀을 결성했다. 대명 상무로 2013-2014 시즌부터 2015-2016 시즌까지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 참가했다.

7. 사건 사고

최유리 선수의 드래프트 거부 사건으로, 여자 축구 선수들은 원치 않는 군 복무를 하지 않아도 되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7. 1. 여자 축구 드래프트 거부 사건

여자 축구 종목은 문경 상무팀이다. 2014년 11월 4일 열린 2015 WK리그 드래프트에서 전체 6순위로 최유리 선수가 상무로 지명되자 '''다른 건 몰라도 절대로 군복무만은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 드래프트를 거절했다. 이 때문에 최유리는 '2년간 선수등록 금지'라는 중징계를 받고 무적 선수가 되었지만 대한축구협회에서는 일반적인 팀이라면 드래프트 거절에 대해 처벌이 정당하지만, 이 경우 '''병역의 의무가 부과되지 않는 여성에게 축구선수라는 이유만으로 국방부에서 징병권을 행사한 사례'''라고 판단하여 최유리의 징계를 1년으로 단축시켰다. 이후 최유리는 세종 스포츠토토로 재드래프트되어 입단했다.[1]

과거 대한민국의 여자 축구 선수는 무조건 드래프트되는 팀대로 가야 했는데, 보은 상무로 드래프트되면 '''꿈에도 없던 군복무를 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이 때문에 드래프트에 의해 여자임에도 강제 징집당해 어쩔 수 없이 군복무를 해야만 했던 보은 상무 소속의 선수들은 입단하면서 피눈물을 흘려가며 대성통곡을 해야만 했다. 하지만 최유리의 드래프트 거절로 인해 보은 상무에 한정하여, '군복무'라는 특성을 감안해 지원자를 먼저 받은 후 지원자를 채우지 못할 경우에만 드래프트를 하도록 되어 있고, 다른 팀이라면 몰라도 보은 상무에 한해서는 해당 선수가 드래프트를 거절할 수 있도록 방침이 변경되었다. 이에 여자 축구 선수들은 최유리의 보은 상무 드래프트 거절 사건으로 인해 '''원치 않는 군복무를 하지 않아도 되는''' 여건이 조성되었다.[1]

8. 역대 지휘관

현재 선수단[11]
프롭훅커
역대 국군체육부대 지휘관
#계급 / 성명취임일이임일비고
1대장 김진선1984년 1월1987년 1월
2소장 엄삼탁1987년 1월1989년 1월
3소장 김명세1989년 1월1991년 1월
4소장 장정호1991년 1월1993년 1월
5준장 김종식1993년 1월1995년 4월
6준장 전영룡1995년 4월1997년 4월
7중장 김윤석1997년 4월1998년 10월
8준장 윤부정1998년 10월2000년 11월
9소장 이명구2000년 11월2001년 11월
10준장 허연욱2001년 11월2003년 9월
11준장 이상균2003년 9월2005년 5월
12준장 김효근2005년 5월2006년 10월
13준장 양세일2006년 12월2008년 11월
14준장 이정은2008년 11월2009년 11월
15준장 부재원2009년 11월2011년 3월
16준장 김현수2011년 4월2012년 11월
17준장 윤흥기2012년 11월2014년 11월
18준장 고명현2014년 11월 6일2015년 12월 17일
19준장 곽합2015년 12월 17일2018년 4월 30일
20대령 이방현2018년 5월 1일2019년 12월 16일
212급 군무원 곽합2019년 12월 16일2021년 12월 15일[16]
222급 군무원 김동열2022년 7월 26일2024년 7월 25일
232급 군무원 진규상2024년 8월 26일


참조

[1] 뉴스 메달 딴 자랑스런 예비역 병장 https://www.korea.kr[...]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08-09
[2] 뉴스 K리그 가장 비싼 팀은 군인팀 '상무', 그 이유를 아십니까 https://www.chosun.c[...] 2021-05-08
[3] 웹사이트 국방부 스토리채널 - [M프렌즈] 올림픽에서 활약! 국군체육부대! https://story.kakao.[...]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fficial Kakao blog 2021-09-01
[4] 뉴스 <아시안게임> 금메달 오세근 전역…프로리그 판도에 변수 https://www.yna.co.k[...] 2014-10-03
[5] 뉴스 '군인 정신' 홍철·김민우…"16강 디딤돌 놓겠다" https://news.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KBS 2018-05-26
[6] 뉴스 상무농구단, 25일까지 지원자 모집 https://www.jumpball[...] 2022-02-08
[7] 뉴스 상무, 3월 병력 모집이 올해 마지막?…K리그, 추가모집에 촉각 https://sports.donga[...] 2021-03-25
[8] 뉴스 세리머니로 거수경례? 상무골프단 눈길 https://www.donga.co[...] 2015-04-23
[9] 뉴스 용선 '빌린 배' 레이스… 단일팀, 단결력도 금메달 https://www.donga.co[...] 2018-09-04
[10] 웹사이트 Sangmu https://www.asierugb[...] 2024-06-03
[11] 웹사이트 KAFAC https://en.asierugby[...]
[12] 웹사이트 「韓国・サンムアイスホッケーチーム」が2013-2014シーズンより新規参入 http://www.alhockey.[...] アジアリーグアイスホッケー 2013-07-08
[13] 뉴스 육군체육지도대 발족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2-11-01
[14] 뉴스 군경기단체 국군체육부대로 통합 팀 명칭 상무 마스코트는 불사조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4-01-11
[15] 문서 국가대표 이력이 있으면 자동선발된다.
[16] 문서 19대 부대장 준장 곽합과 동일인물. 곽합은 현역 준장으로 19대 국군체육부대장을, 제대한 이후 군무원 신분으로 21대 국군체육부대장을 각각 역임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