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풍 (조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풍은 조위의 인물로, 젊은 시절부터 청렴하고 인물됨이 뛰어나 명성을 떨쳤으며, 오나라에서도 그의 명성이 알려질 정도였다. 조예 시대에 황문랑을 거쳐 기두위, 급사중을 역임했고, 조방 시대에는 영녕태복, 시중, 상서복야, 중서령을 지냈다. 사마사의 신임을 받았으나, 하후현, 장집 등과 함께 사마사를 제거하려다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이풍은 황실과 사돈 관계였지만 청렴함을 잃지 않았으며, 가산을 남기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54년 사망 - 오리게네스
    3세기 중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오리게네스는 헬라어 문학과 철학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하고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에서 교리학자로 활동하며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일부 논란적인 주장으로 사후 이단으로 정죄받았음에도 그의 성경 해석학과 신학적 업적은 후대 교회와 성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254년 사망 - 하후현
    하후현은 조위의 문신으로, 조예에게 미움을 받기도 했지만 조상의 정권 장악 후 승진했으며, 사마의에게 구품관인법을 비판하고 촉한을 공격했으나 실패하여 사마사의 암살을 시도하다 처형당했다.
  • 사형된 사람 - 전봉준
    전봉준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혁명의 지도자로, 부패한 관리 처벌과 일본 세력 축출 등을 주장하며 농민 운동을 이끌었으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혁명 정신은 민주주의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 사형된 사람 - 임꺽정
    임꺽정은 조선 명종 시기에 양주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관아를 습격하고 빈민을 구제한 의적으로,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 3대 도적으로 꼽힌다.
이풍 (조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풍
원어 이름李豐
안국 (安國)
출생 연도200년대
출생지옹주풍익군 동현
사망일254년 3월 27일
사망 장소낙양, 허난 성
가문
아버지이이
형제이의
이위
자녀이도
이완
관직 경력
초기 관직시중 (侍中)
상서복야 (尚書僕射)
임기 시작 (상서복야, 시중)240년대 (추정)
임기 종료 (상서복야, 시중)251년
관직중서령 (中書令)
임기 시작 (중서령)251년
임기 종료 (중서령)254년
섬긴 군주
군주조비
조예
조방
사망 관련
사망일 (음력)가평(嘉平) 6년 2월 22일

2. 생애

이풍은 젊은 시절부터 청렴결백하고 인물을 알아보는 안목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아 그 명성이 오나라에까지 알려졌다. 조상사마의 사이에서 교묘하게 처신하며 아들 이도가 제장공주와 결혼하여 지위를 얻었다.

사마의가 죽은 후 중서령이 되었고, 사마사에게서 노육과 함께 인재 선발을 맡았다.

이풍은 장집, 이익, 이도, 하후현 등과 함께 사마사를 제거하려 했으나, 사마사가 이를 먼저 알아차렸다. 이풍은 모의가 누설된 줄 모르고 사마사를 만났다가 죽임을 당했다. 그는 사마사에게 “경 부자는 간사함을 품고, 사직을 장차 넘어뜨리려는데, 내 힘이 못나 사로잡아 멸하지 못함이 아깝구나!”라고 꾸짖었다.[15]

이풍은 평소 청렴하고 검소하여 재산을 모으지 않았고, 받은 것은 모두 일족에게 나누어 주었기 때문에 죽은 후 남은 재산이 없었다.[17] 두기부하는 일찍이 이풍이 말년을 제대로 마치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훗날 그 예측이 적중하여 이들의 인물됨을 칭송하는 일화가 되었다.[10]

이풍의 관직 변천
시기관직
조예 시대황문랑(黃門郞) → 기도위(騎都尉) → 급사중(給事中)
조방 즉위 후 (239년)영녕태복(永寧太僕)
정시 연간시중(侍中)·상서복야(尙書僕射)
가평 4년 (252년)중서령(中書令)


2. 1. 초기 생애와 명성

이풍은 젊은 시절부터 청렴결백하고 인물을 알아보는 안목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아 그 명성이 오나라에까지 알려졌다. 17세 때부터 업 주변에서 청렴결백하고 인물됨이 뛰어나다는 평판을 얻었으며, 황초 연간에는 아버지 이의[8]의 연고로 군에 들어가 허창에 거주하면서 명성이 더욱 높아졌다.[17]

조예 시대에 황문랑이 되었다. 당시 에서 항복해 온 자에게 조예가 "강동에서는 중국(위)의 명사가 누가 평판이 좋으냐?"라고 묻자, 항복자가 "이안국(이풍)이라는 자가 있다는 평판입니다"라고 대답할 정도로 이풍의 평판은 널리 퍼져 있었다. 그 후 기도위, 급사중으로 전임되었다.

2. 2. 조방 시대의 활동

정시 연간에 시중·상서복야에 임명되었다. 조상 일당이 정권을 장악하고 사마의 등을 배척했을 때, 이풍은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태도를 취했다. 조상이 주살된 후 가평 4년 (252년) 중서령에 임명되어 조방의 측근이 되었다.[17]

사마의의 뒤를 이은 사마사에게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나, 태상 하후현에게 마음을 두고 광록대부 장집과 결탁하여 쿠데타를 꾀했다. 그러나 가평 6년 2월 22일(254년 3월 27일)[9], 그 계획은 사마사에게 발각되어 이풍·하후현·장집 등은 처형되었다.[20] 『삼국지』 위서 하후상전 주석에 인용된 『위씨춘추』에 따르면, 이풍은 사마사의 악행을 비방하여 그의 노여움을 사 칼자루로 허리를 맞고 살해당했다고 한다.[15]

이풍은 황실과 사돈간이었으나 항상 아끼고 다른 사람의 것을 침탈하지 않았으며, 받은 것은 전부 일족들에게 나누어 주었기 때문에, 죽어서 가산을 남긴 것이 없었다.[17]

2. 3. 사마사 제거 모의와 최후

사마의가 죽은 후 중서령 자리가 비자, 이풍은 중서령이 되었다.[17]사마사에게서 노육과 함께 인재 선발을 맡았다.[14]

이풍은 장집, 이익, 이도, 하후현 등과 함께 실권자인 대장군 사마사를 제거하려 했다.[20] 그러나 사마사가 이를 알아차리고 이풍에게 서로 보기를 청했는데, 이풍은 모사가 누설된 줄 모르고 갔다가 사마사에게 죽임을 당했다.[20] 이풍은 사마사의 꾸짖음을 받고, 화를 입은 줄 알고 “경 부자는 간사함을 품고, 사직을 장차 넘어뜨리려는데, 내 힘이 못나 사로잡아 멸하지 못함이 아깝구나!”라 했다.[15] 황실과 사돈간이었으나 항상 아끼고 다른 사람의 것을 침탈하지 않았으며, 받은 것은 전부 일족들에게 나누어 주었기 때문에, 죽어서 가산을 남긴 것이 없었다.[17]

가평 6년(254년 3월 27일)[9], 계획은 사마사에게 발각되어 이풍·하후현·장집 등은 처형되었다. 『삼국지』 위서 하후상전의 주에 인용된 『위씨춘추』에 따르면 이풍의 최후는, 사마사의 악행을 비방했기 때문에 그의 노여움을 사 칼자루로 허리를 맞고 살해당했다고 한다.

3. 평가

젊어서 재치가 뛰어나 널리 이름이 알려졌으나, 아버지 이엄의 친구 두기는 또 다른 아버지의 친구 곽지의 아들인 곽충과 대비하여 "효의(이엄)는 아들이 없구나! 아들이 없으니, 집안도 장차 없어지겠구나. 군모(곽지)는 죽지 않으리니, 그 아들이 그 업을 잇기에 족하다."라고 평했다.[16]

4. 가계

아버지이의 - 조위의 위위를 지냈다.
형제이익, 이위
자녀
친척이빈 (조카) - 이익의 아들.


4. 1. 부모

아버지 이의는 한미한 집안 출신이었으나[7], 조위에서 위위를 지냈다. 이의는 이풍이 젊은 나이에 명성을 얻는 것을 싫어했다.

4. 2. 형제


  • 이익[20]
  • 이위[17] 李遺|이유중국어


이익은 연주자사였다.[20] 이위는 군수를 역임했는데, 술에 빠져 신평군, 부풍군 두 군을 어지럽혔다.[17] 이익의 후처인 산기상시 순이의 누나는 이익에게 중서성에 일이 났으니 오나라로 망명할 것을 권했으나, 이익은 아직 두 아들이 어리므로 자신이 죄를 면치 못하고 죽으면 아들들은 죄를 면하리라 했고, 그대로 되었다.[19] 이익의 아들 이빈은 서진 혜제 초기에 하남윤이 되었는데, 양준의 외조카였으므로 양준과 함께 죽임을 당했다.[19]

4. 3. 자녀


  • 이회[16] (혹은 이의[17], 배송지는 '의'가 '회'의 별명이라고 추측했다.[18])
  • '''이풍'''
  • 이도 (아들)[17][19]
  • 이익 (아우)[20]
  • 이빈 (조카)[19]
  • 이위 (아우)[17]

4. 4. 친척


  • 아버지: 이의 - 조위의 위위를 지냈다.[16] 한미한 집안 출신이었으나[7], 위나라의 위위까지 올랐다. 이풍이 젊은 나이에 명성을 얻는 것을 싫어했다.
  • 아들: 이도[17][19] - 조예의 딸 제장공주와 결혼했다. 열후·급사중의 관직에 있었으며, 아버지와 함께 쿠데타에 연루되었다. 발각된 후 공주의 남편이라는 지위를 고려하여 처형 대신 옥중 자살을 허락받았다. 제장공주와의 세 아들은 처형을 면했다.
  • 딸: 이완 - 가충의 아내였으나, 아버지 이풍의 몰락 이후 유배되었다.[11]
  • 동생: 이익[20] - 형의 쿠데타 발각 당시, 연주자사의 관직에 있었다. 아내는 오나라로 도망갈 것을 권했지만, 아들의 목숨을 지키기 위해 이를 거부하고 형을 받았다.
  • 조카: 이빈[19] - 이익의 아들. 서진의 하남윤을 지냈다.
  • 동생: 이위[17] - 군의 태수를 역임했다. 술에 빠져 신평군·부풍군의 정치를 혼란시켰다.

참조

[1] 문서 Weilüe annotation in Xiahou Xuan's biography in Sanguozhi
[2] 문서 geng'xu day of the 2nd month of the 6th year of the Jia'ping era, per Cao Fang's biography in Sanguozhi
[3] 문서 Pei Songzhi's annotation in Sanguozhi vol. 9
[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문서 Her name was not recorded in official histories, but a Fu Ren Ji annotation in vol.19 of Shishuo Xinyu gave her name as "Wan")
[6] 문서 『三国志』魏書 裴潜伝注『魏略』では宣国。[[s:zh:三國志/卷23#裴潛]]
[7] 문서 裴潜伝注『魏略』
[8] 문서 『三国志』魏書 杜畿伝注『傅子』では父の名を李恢とする。[[蜀漢]]の同名人物([[李恢]])とは別人。[[s:zh:三國志/卷16#杜畿]]
[9] 문서 『三国志』魏書 斉王紀 [[s:zh:三國志/卷04#齊王]]
[10] 문서 『三国志』魏書 杜畿伝及び傅嘏伝の注に引く『傅子』
[11] 문서 [[房玄齢]]等『[[晋書]]』賈充伝 [[s:zh:wiki/晉書/卷040#賈充]]
[12] 문서 왕침 등, 《위서》 (진수, 《삼국지》 권9 제하후조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
[13] 문서 [[도홍경]], 《[[진고 (책)|진고]]》(眞誥) 권14
[14] 문서 [[방현령]] 등: 《[[진서]]》 권2 제기제2 중 세종경제 사{{위키문헌|:zh:晉書/卷002|진서 권2}}
[15] 문서 《위씨춘추》 (진수의 《삼국지》 권9 제하후조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
[16] 문서 《부자》 (진수의 《삼국지》 권16 임소두정창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위키문헌|:zh:三國志/卷16|삼국지 권16 임소두정창전}}
[17] 문서 어환, 《위략》 (진수, 《삼국지》 권9 제하후조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
[18] 문서 배송지, 진수의 《삼국지》 권16 임소두정창전에 붙인 주석
[19] 문서 곽반: 《위진세어》 (진수의 《삼국지》 권9 제하후조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
[20] 문서 진수: 《삼국지》 권9 제하후조전{{위키문헌|:zh:三國志/卷09|삼국지 권9 제하후조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