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동 장씨 (직제학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동 장씨 (직제학계)는 고려 시대 진현전 직제학을 지낸 장계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며, 조선 시대에 5개 파로 분파되었다. 경상북도 구미시 일대를 본관으로 하며, 조선 시대에 31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장말손, 장사훈, 장윤석 등이 있다. 경상북도 영주 화기리에 연복군 종택이 있으며,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장말손 초상, 장말손 적개공신교서, 장말손 패도와 적개공신회맹록, 장말손 관련 고문서 등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집성촌은 경상북도 영주시, 예천군, 문경시, 충청북도 단양군 등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인동 장씨 (직제학계)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말손 초상
장말손 초상
관향경상북도 구미시·칠곡군 인동
시조장계(張桂)
중시조장금용(張金用)
분파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주요 인물장말손
장익환
장사훈
장윤석
장준규
역사
기원인동 장씨(仁同 張氏)는 신라 시대 아찬(阿飡)을 지낸 장정필(張貞弼)을 시조로 한다.
분파 과정장정필의 11세손 장계(張桂)를 파조로 하고, 그의 현손인 장금용(張金用)을 중시조로 하여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로 분파되었다.
주요 인물
조선 시대장말손: 조선 전기의 문신
근현대장사훈: 국문학자
장익환: 법조인, 제14대 국회의원
장윤석: 법조인, 제18·19대 국회의원
장준규: 前 육군참모총장
항렬자
20세희(熙), 수(秀)
21세영(榮), 병(丙)
22세섭(燮), 근(根)
23세주(柱), 환(煥)
24세진(鎭), 상(相)
25세태(泰), 훈(薰)
26세동(東), 곤(坤)
27세묵(默), 채(埰)
28세성(性), 재(栽)
29세욱(煜), 중(重)
30세호(鎬), 표(杓)

2. 역사

시조 장계/張桂zh-Hant는 고려 충렬왕 31년 국학진사 권지도평의녹사에 등과하여 진현전직제학(進賢殿直提學)을 거쳐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에 이르고 옥산군에 봉해졌으며 인동현의 남쪽 발영전에 터를 잡아 본관을 인동(仁同)으로 하였다. 조선초에 5개 파로 분파되어 인동을 떠나 임지인 경상북도 영주시, 예천군, 문경시충청북도 단양군으로 옮겨 살았다.

3. 본관

인동(仁同)은 경상북도 구미시칠곡군에 위치하는 옛 인동군(仁同郡)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이다.[1]

4. 분파


  • 동정공파(同正公派) : 분파조는 7세 장선손(張善孫)이며, 승훈랑(承訓郞)으로 의정부 첨서와 녹사(錄事)를 역임하였다.
  • 주부공파(主簿公派) : 분파조는 7세 장경손(張敬孫)이며 사재감 주부(司宰監 注簿)를 역임하였다.
  • 연복군파(延福君派) : 분파조는 7세 장말손(張末孫)이며 사헌부 감찰, 함길도 병마도사(兵馬都事) 등을 역임했으며 안양공파(安襄公派)로도 불린다.
  • 송암공파(松菴公派) : 분파조는 10세 장구주(張九疇)이며 강원도 영월 군수를 역임하였다. 송암공파, 영월파, 군수공파로도 불린다.
  • 판관공파(判官公派) : 분파조는 7세 장의손(張義孫)이며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 판윤공파(判尹公派) : 분파조는 6세 장수량(張遂良)이다.

4. 1. 동정공파(同正公派)

동정공파(同正公派)의 분파조는 7세 장선손(張善孫)이며, 승훈랑(承訓郞)으로 의정부(議政府) 첨서와 녹사(錄事)를 역임하였다.

4. 2. 주부공파(主簿公派)

분파조는 7세 장경손(張敬孫)이며 사재감 주부(司宰監 注簿)를 역임하였다.

4. 3. 연복군파(延福君派)

분파조는 7세 장말손(張末孫)이며 사헌부 감찰, 함길도 병마도사(兵馬都事) 등을 역임했으며 안양공파(安襄公派)로도 불린다.

4. 4. 송암공파(松菴公派)

분파조는 10세 장구주(張九疇)이며 강원도 영월 군수(寧越郡守)를 역임하였다. 송암공파, 영월파, 군수공파로도 불린다.

4. 5. 판관공파(判官公派)

분파조는 7세 장의손(張義孫)이며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4. 6. 판윤공파(判尹公派)

분파조는 6세 장수량(張遂良)이다.

5. 인물

인동 장씨 (직제학계)는 조선조에 과거 급제자 31명 (문과 7명, 진사시 7명, 생원시 17명)을 배출하였다.[2]


  • 장말손(張末孫) : 조선조 승문원박사(承文院博士)·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함길도병마도사(咸吉道兵馬都事)를 역임하였다.
  • 장맹우(張孟羽) : 조선조 황해도도사(黃海道都事)를 역임하였다.
  • 장응선(張應璇) : 조선조 홍문관검열(弘文館檢閱)·풍기군수(豊基郡守)·사재감정(司宰監正)을 역임하였다.
  • 장수희(張壽禧) : 조선조 어모장군(禦侮將軍)·형조참의(刑曹參議)를 역임하였다.
  • 장준남(張俊南) : 조선조 박사(博士)·제독(提督)·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
  • 장진(張瑱) : 조선조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용담현령(龍潭縣令)·예조정랑(禮曹正郞)·진주목사(晉州牧使)·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역임하였다.
  • 장후상(張后相) : 조선조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예조좌랑(禮曹佐郞)·양산군수(梁山郡守)를 역임하였다.
  • 장위항(張緯恒) : 조선조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자인현감(慈仁縣監)을 역임하였다.


장화식(張華植)은 대한제국 한성부판윤·육군참장·군부참모국장·군부군무국장을 역임하였다. 장충식(張忠植)과 장익환(張益煥)은 대한제국 항일의사로,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장사훈(張師勛)은 대한민국 문학박사로,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장윤석(張倫碩)은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제17·18·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장준규(張駿圭)는 대한민국 제46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다. 장혜진(張惠珍)은 대한민국 양궁 선수로, 2016년 리우올림픽에서 2관왕을 달성하였다.

5. 1. 고려·조선 시대 인물

인동 장씨 (직제학계)는 조선조에 과거 급제자 31명 (문과 7명, 진사시 7명, 생원시 17명)을 배출하였다.[2]

  • 장말손(張末孫) : 조선조 승문원박사(承文院博士)·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함길도병마도사(咸吉道兵馬都事)를 역임하였다.[3]
  • 장맹우(張孟羽) : 조선조 황해도도사(黃海道都事)를 역임하였다.[3]
  • 장응선(張應璇) : 조선조 홍문관검열(弘文館檢閱)·풍기군수(豊基郡守)·사재감정(司宰監正)을 역임하였다.
  • 장수희(張壽禧) : 조선조 어모장군(禦侮將軍)·형조참의(刑曹參議)를 역임하였다.
  • 장준남(張俊南) : 조선조 박사(博士)·제독(提督)·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다.[3]
  • 장진(張瑱) : 조선조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용담현령(龍潭縣令)·예조정랑(禮曹正郞)·진주목사(晉州牧使)·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역임하였다.[3]
  • 장후상(張后相) : 조선조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예조좌랑(禮曹佐郞)·양산군수(梁山郡守)를 역임하였다.[3]
  • 장위항(張緯恒) : 조선조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자인현감(慈仁縣監)을 역임하였다.[3]

5. 2. 근대·현대 인물

장화식(張華植)은 대한제국 한성부판윤·육군참장·군부참모국장·군부군무국장을 역임하였다.[2] 장충식(張忠植)과 장익환(張益煥)은 대한제국 항일의사로,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2] 장사훈(張師勛)은 대한민국 문학박사로,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2] 장윤석(張倫碩)은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제17·18·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2] 장준규(張駿圭)는 대한민국 제46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다.[2] 장혜진(張惠珍)은 대한민국 양궁 선수로, 2016년 리우올림픽에서 2관왕을 달성하였다.[2]

5. 3. 과거 급제자

인동 장씨(직제학계)는 조선시대에 31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2]

문과 급제자는 7명이다.

  • 장말손(張末孫) : 조선조 승문원박사(承文院博士)·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함길도병마도사(咸吉道兵馬都事)를 역임했다.
  • 장맹우(張孟羽) : 조선조 황해도도사(黃海道都事)를 역임했다.
  • 장위항(張緯恒) : 조선조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자인현감(慈仁縣監)을 역임했다.
  • 장준남(張俊南) : 조선조 박사(博士)·제독(提督)·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했다.
  • 장진(張瑱) : 조선조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용담현령(龍潭縣令)·예조정랑(禮曹正郞)·진주목사(晉州牧使)·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역임했다.
  • 장후상(張后相) : 조선조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예조좌랑(禮曹佐郞)·양산군수(梁山郡守)를 역임했다.
  • 장기연(張紀淵)


진사시는 7명이다.

  • 장말손(張末孫)
  • 장계훈(張繼勳)
  • 장선(張璇)
  • 장여화(張汝華)
  • 장인환(張麟煥)
  • 장주남(張胄男)
  • 장지걸(張之杰)


생원시는 17명이다.[3]

  • 장후상(張后相)
  • 장위항(張緯恒)
  • 장복영(張復永)
  • 장세권(張世權)
  • 장세상(張世相)
  • 장세희(張世禧)
  • 장영제(張永濟)
  • 장오상(張五相)
  • 장용(張瑢)
  • 장용우(張龍遇)
  • 장용환(張龍煥)
  • 장윤옥(張胤鈺)
  • 장응신(張應臣)
  • 장직방(張直方)
  • 장태기(張泰祺)
  • 장태집(張泰集)
  • 장화진(張華鎭)
  • 장회구(張晦矩)

6. 유적

경상북도 영주시 화기리에 인동 장씨 연복군 종택이 위치하고 있다. 이 종택은 장말손의 후손 장언상이 16세기 후반에 건립한 것으로, 약 500년 가까이 이어져 오고 있으며,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8호로 지정되어 있다.[4]

인동 장씨 가문에서는 보물 제501호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를 소장하고 있다. 이는 인동 장씨의 조상인 장계와 그의 후손 장말손에게 과거 급제를 알리는 합격증서로 총 3점이다. 장계에게 내린 홍패는 고려 충렬왕 31년(1305)에 내려진 것으로 행서체로 쓰여 있다. 장말손에게 내린 백패는 조선 단종 1년(1453)에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한 증서이고, 홍패는 세조 5년(1459)에 문과 병과에 합격한 증서이다.[5]

보물 제502호 장말손 초상은 조선 시대 문신 장말손을 그린 초상화로, 가로 107cm, 세로 171cm 크기이다.[6] 보물 제604호 장말손 적개공신교서는 세조 13년(1467)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45인의 공신들에게 내린 교서로, 장말손은 2등 공신으로 선정되어 적개공신 교서를 받았다.[7]

보물 제881호는 조선 세조 때의 명신 장말손(1431∼1486)의 패도와 적개공신회맹록이다. 패도는 세조 12년(1466) 함경도 회령에서 오랑캐를 물리친 공으로 왕에게서 받은 것이다. 적개공신회맹록은 세조 13년(1447)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에 임명되어 예종 원년(1469) 3월에 내려졌다.[8]

보물 제1005호는 조선 세조부터 성종 때까지의 문신 장말손(1431∼1486)의 종손가에 보관되어 전해오는 고문서들로 5종 18점이다. 이 고문서에는 고려 우왕 11년(1385) 장말손의 증조(장전)의 소지를 비롯하여 논밭·노비 소유 관계 문서와 도망간 노비를 잡아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9]

7. 집성촌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화기리, 평은면 금광리, 예천군 용궁면 송암리, 호명면 원곡리, 문경시 가은읍 죽문리, 산북면 흑송리,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별곡리 등에 인동 장씨 집성촌이 있다.

참조

[1] 문서 현재의 구미시 인의동·황상동·구평동·신동·임수동·진평동·시미동·옥계동·구포동·양호동·거의동·금전동·오태동·장천면과 칠곡군 북삼읍·석적읍·왜관읍·약목면·기산면·가산면 일대에 해당한다.
[2] 웹사이트 인동장씨 (직제학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
[3] 웹사이트 인동장씨 (직제학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
[4] 뉴스 인동 장씨 (직제학계) 영주 장말손 종가 -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 경북일보
[5] 웹사이트 인동 장씨 (직제학계) 보물 제501호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http://www.heritage.[...]
[6] 웹사이트 인동 장씨 (직제학계) 보물 502호 장말손초상 http://www.heritage.[...]
[7] 웹사이트 인동 장씨 (직제학계) 보물 제604호 장말손 적개공신교서 http://www.heritage.[...]
[8] 웹사이트 인동 장씨 (직제학계) 보물 881호 장말손 패도 및 적개공신회맹록 http://www.heritage.[...]
[9] 웹사이트 인동 장씨 (직제학계) 보물 제1005호 장말손 종가 고문서 http://www.herita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