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민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민주의(나로드니체스트보)는 19세기 후반 러시아에서 일어난 사회주의 운동으로, 알렉산드르 게르첸과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이 운동은 러시아의 자본주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농민을 혁명의 주체로 삼아 사회주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고 믿었으며, 농민 공동체를 사회주의의 기반으로 여겼다. 인민주의자들은 농민의 지지를 얻기 위해 '인민 속으로' 운동을 전개했으나 실패했고, 이에 대응하여 테러리즘을 시도하기도 했다. 이 운동은 1905년과 1917년의 러시아 혁명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사회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농민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테러리즘을 사용했다는 한계로 인해 블라디미르 레닌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2. 역사적 배경

알렉산드르 2세가 실시한 농노 해방(1861년) 이후, 농노는 해방되었지만 실제로는 임금 노예로 팔려가 지주가 자산가로 바뀐 것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나로드니키 운동은 이러한 현상에 대항하는 정치 세력으로 시작되었다. 나로드니키는 러시아의 공동체였던 옵시치나(미르)에서 농민을 내쫓는 것에 반대했다.

나로드니키는 소작농과 쿨라크(자작농) 사이에서 증가하는 대립에 주목했다. 여러 운동 그룹이 결성되었지만, 러시아 군주제와 "부농"으로 간주된 쿨라크의 타도 및 소작농에게 토지 분배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나로드니키의 대부분은 자본주의 단계를 건너뛰고 사회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고 믿었다.

나로드니키는 알렉산드르 게르첸과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저작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들의 신념은 표트르 라브로프와 니콜라이 미하일로프스키에 의해 다듬어졌다. 19세기 후반, 사회주의자본주의가 러시아 정치 사상의 주요 이론으로 서서히 자리 잡으면서, 미하일로프스키는 나로드니즘에 대한 자신의 초기 아이디어를 수정하여 '비판적 나로드니키'와 '교조적 나로드니키' 두 그룹이 등장했다. 비판적 나로드니키는 자본주의에 대해 유연한 입장을 취한 반면, 교조적 나로드니키는 자본주의가 러시아나 농업 국가에서 미래가 없다는 확고한 신념을 가졌다.

나로드니키는 소작농이 군주제를 타도할 수 있는 혁명적 계급이라고 판단하고, 마을의 공동체를 사회주의의 초기 단계라고 믿었다. 그러나 그들은 뛰어난 인물이 소작농을 혁명으로 이끌 수 있다고 보았다. 바실리 보론초프는 러시아 지식인에게 "1870년대의 민감하고 활발한 시대와 대조적으로, 침체된 정신적 무기력에서 분기하여 러시아 경제 발전에 대한 과학적 이론을 창작"할 것을 요구했다.[22]

일리야 레핀의 작품 『나로드니키의 체포』 (1880년 ~ 1889년, 1892년) 트레차코프 미술관


많은 나로드니키 지식인들은 즉시의 혁명을 요구했다. 1874년 봄, 나로드니키 지식인들은 "인민 속으로 (브 나로드)"라는 말 그대로, 도시를 떠나 마을로 향해 소작농들에게 반란을 설득하고 다녔다. 그러나 그들은 거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나로드니키는 중류 이상 출신이 많았기 때문에 러시아 소작농에게 융화되는 것 자체가 어려웠다. 근대화된 도시 문화와 단절된 농민들에게 불신자로 취급받아 자경단에게 쫓겨 폭행을 당하거나, 마녀로 간주되어 화형에 처해진 사람도 있었다. 러시아 제국 내무성 경찰국 경비국은 나로드니키를 탄압했다. 혁명가와 그들을 지지하는 소작농은 구타당하고 수감되었으며 추방되었다. 1877년, 나로드니키는 수천 명의 소작농의 지지를 얻어 반란을 일으켰지만 즉시 진압되었다.

이 탄압에 대해, 러시아 최초의 혁명 그룹 "인민의 의지"가 조직되었다. 이 그룹은 비밀 결사 주도의 테러리즘을 지지했다.[23]

황제 알렉산드르 2세


황제를 타도하려는 계획은 소작농이 황제를 "그들의 편"으로 우상화했기 때문에 실패했다. 그래서 그들은 황제가 살해될 수 있는 존재임을 보여주기 위해 테러리즘을 확대했다. 1881년 3월 13일(율리우스력 3월 1일)[25], 알렉산드르 2세 암살에 성공했다. 그러나 소작농이 대체로 이 살인에 겁을 먹었고, 정부는 많은 "인민의 의지" 주도자를 교수형에 처함으로써 그룹의 조직은 쇠약해졌다.[23]

그럼에도 이 사건이 운동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후의 사회혁명당, 인민사회당, 트루도비크는 나로드니키와 유사한 사상과 전술을 채택했다.[26] 이 때문에 나로드니키의 방침과 활동은 1905년과 1917년의 러시아 혁명으로 가는 길을 열었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3. 주요 특징

나로드니키는 알렉산드르 게르첸과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영향을 받았으며, 표트르 라브로프와 니콜라이 미하일로프스키에 의해 이들의 사상이 다듬어졌다. 19세기 후반, 사회주의자본주의가 러시아 정치 사상의 주류로 자리 잡으면서, 미하일로프스키는 나로드니즘을 수정하여 "비판적 나로드니키"와 "교조적 나로드니키"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비판적 나로드니키는 자본주의에 대해 유연한 입장을 취한 반면, 교조적 나로드니키는 자본주의가 러시아에 미래가 없다고 확신했다.

나로드니키는 차이코프스키 서클, 토지와 자유와 같은 반(半)지하 서클을 통해 자기 교육 및 대외 선전 활동을 펼쳤다. 이들은 러시아 군주제를 파괴하고 농민에게 토지를 공정하게 분배하는 것을 공통된 목표로 삼았다. 나로드니키는 러시아가 자본주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사회주의로 나아갈 수 있다고 믿었다.

나로드니키는 농민을 혁명 계급으로, 마을 공동체를 사회주의의 배아로 인식했다. 그러나 이들은 농민 스스로 혁명을 달성할 수 없다고 믿었으며, 뛰어난 인물이 수동적인 농민을 혁명으로 이끌 것이라고 주장했다. 바실리 보론초프는 러시아 지식인에게 경제 발전의 과학적 이론을 정립할 것을 촉구했다.

1879년, 정부의 탄압에 대한 대응으로 러시아 최초의 조직적인 혁명 정당인 나로드나야 볼랴(인민의 의지)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비밀 결사가 주도하는 테러리즘을 선호하며, 이를 정부에 압력을 가하고 농민 봉기를 촉발하며, 정부의 폭력에 대한 대응 수단으로 정당화했다. 차르를 전복시키려는 시도는 농민들이 차르를 숭배했기 때문에 실패했고, 나로드니즘은 테러리즘을 실천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직접 투쟁" 이론은 정부에 맞서 싸울 가능성을 보여주고, 사람들의 혁명 정신과 믿음을 높이며, 싸울 수 있는 사람들을 조직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881년, 알렉산드르 2세 암살에 성공했지만, 농민들은 이 사건에 경악했고, 나로드나야 볼랴의 지도자들은 처형당하면서 조직은 비효과적으로 전락했다.

이후 사회주의 혁명가, 인민 사회주의자, 트루도비크가 나로드니키와 유사한 사상과 전술을 추구했다. 나로드니키의 철학과 행동은 1905년과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준비하는 데 기여했다.

나로드니크 운동은 19세기에 차르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정치적 논쟁에 러시아 농촌 계급을 참여시키고자 했던 대중주의적 구상이었다. 프랑스 혁명이나 1848년 혁명과 달리 "인민에게" 운동은 주로 러시아 지식인들의 정치적 활동이었다. 이들은 대체로 반자본주의적이었으며, 농민 계급에게 "가서" 그들을 교육함으로써 러시아 농촌 지역에서 경제적, 정치적 혁명을 모두 촉진할 수 있다고 믿었다.

나로드(народ, volk와 유사)라는 개념은 독일에서 민족주의적이면서 자유주의적인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러시아에 확립하려는 시도였다.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는 "우리 중 누구도 실제 모습의 나로드를 좋아하지 않으며, 각자가 상상하는 대로만 좋아한다"고 말했다. 러시아 정치 운동가와 정부 관료들은 종종 러시아 농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농민의 이미지를 조작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려 했다. 나로드니크는 농민 코뮌을 서구의 영향을 받지 않은 '진짜 러시아'로 보았다. 알렉산드르 게르첸은 나로드를 "공식 러시아, 진짜 러시아"라고 칭했다.[9] 그러나 농민에 대한 편향된 이해로 인해 나로드니크는 농민과의 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대부분 실패했다. 러시아 농촌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차르와 러시아 정교회에 매우 헌신적이었다. 이를 이해하지 못한 나로드니크의 수사는 차르와 중앙 집권적 종교가 농민의 토지와 물질적 자원의 부족을 초래했다고 비난했다.[10] "인민에게" 운동에서 지식인과 농민 사이의 문화적 단절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는, 거의 모든 가난한 러시아인이 문맹이었음에도 나로드니크가 팜플렛을 통해 선전을 했다는 것이다.[11] 1874년 나로드니크 운동은 농민을 자신들과 같은 지식인으로 접근했기 때문에 실패했다. 1870년대 후반의 급진주의자들은 나로드의 개념에 결함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지식인들은 농민이 되어 운동에서 성공하고 알렉산드르 2세의 정부에 대항하는 혁명을 시작해야 했다.[12]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인류학적 원리"는 계급에 관계없이 모든 인간이 많은 본질적인 유사점을 가지고 있으며, 지식인들은 농민에게서 급진화될 수 있는 정화된 형태의 자신을 보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것이 사실이 아님이 증명되었다.

미하일 바쿠닌 추종자들과 라브리스트 사이의 불화, 그리고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나로드니크 서클은 또 다른 장애물이었다. 바쿠닌 추종자들은 러시아 농민 사이의 혁명과 대중 봉기가 즉시 시작될 것이라고 믿었고, 라브리스트들은 선전이 혁명에 앞서야 하며, 그 과정이 더 점진적일 것이라고 믿었다.[13] 바쿠닌 추종자들은 농민이 약간의 선전만으로 혁명을 일으킬 준비가 되어 있다고 믿었지만, 라브리스트들은 봉기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념적 통일성이 부족하여 운동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이 나타났고, 이로 인해 나로드니크는 러시아 농촌에 단결된 전선을 제시하지 못했다. 일부 나로드니크는 한 지역에 오랫동안 머물면서 혁명을 일으키려는 코뮌에 동화되어 선전하는 것을 믿었고("정착된" 선전), 다른 이들은 팜플렛과 문학을 사용하여 메시지가 도달하는 사람들의 수를 최대화하여 선전했다("비행" 선전).

나로드니크가 볼가강, 드네프르강, 돈강의 세 방향으로만 이동했음에도 불화가 만연했다.[13] 간호사, 서기, 교사로 일하거나 건설 및 수확에 참여했던 나로드니키는 익숙하지 않은 지형과 빈곤 속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모든 나로드니크는 러시아에 대한 외세의 간섭을 혐오했고, 러시아 코뮌이 자체적인 경제 정책을 통제하기를 원했다. 나로드니크는 차르가 농민을 가난하게 만들었다고 믿었지만, 농민이 차르를 얼마나 높이 평가하는지 이해했어야 했다. 훈련된 메시지를 제시하지 못하고 차르를 직접 공격하는 것을 피하지 못함으로써, 나로드니키는 종종 무시되었다.[14] 1879년 나로드나야 볼랴가 결성된 후에야 젊은 혁명가들은 조직과 훈련된 메시지의 필요성을 깨달았다.[15]

이러한 단결 부족은 "인민에게 가는 운동"이 실패한 세 번째 이유, 즉 농민이 지식인을 잘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데 기인한다. 지식인이 코뮌에서 받은 대우는 너무나 좋지 않아서, 1874년 이전에 흔했던 농민에 대한 이상적인 이미지를 파괴했다. 나로드니크는 농민을 통일된 집단으로 보았다. 그들은 모든 농민이 형편없는 옷을 입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지식인들은 그에 맞춰 가능한 한 형편없는 옷을 입었다. 그러나 농민은 형편없는 옷을 입은 사람을 권위나 신뢰성이 없는 사람으로 보았다. 따라서 지식인이 농민이 입는다고 상상했던 대로 옷을 입는 것은 역효과를 낳았고, 실제로 농민이 지식인을 의심하게 만들었다. 또한, 나로드니크의 선전은 농민의 더 일상적이고 평범한 관심사를 다루지 못했다. 러시아 농촌 사람들의 일상적인 어려움, 즉 물질적 재화의 부족, 열악한 의료 서비스 등은 사회주의나 자아주의에 대한 논의를 할 시간을 거의 남겨두지 않았다.

나로드니크 운동의 페미니즘 또한 농민이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마르크스 이전의 혁명가들은 유난히 강한 성 평등을 믿었고, 교육받은 귀족 여성들은 19세기 후반의 급진 운동에서 주요 역할을 했다. 나로드니크는 체르니셰프스키의 순결한 동거, 즉 남녀가 성적 접촉 없이 함께 살아야 한다는 생각과 성 평등을 널리 퍼뜨렸다. 이러한 개념은 대부분의 농민에게 매우 낯설었고, 그들은 일반적으로 이에 대해 좋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나로드니크는 종종 미혼 남녀가 같은 방에서 자고 생활하는 코뮌에서 살았다.[16] 1870년대의 정교회 러시아 농민들에게 이러한 성 규범 무시는 불쾌하고 거슬리는 일이었다. 나로드니크 여성의 거의 60%가 부유한 계층 출신이었는데, 이는 러시아 농민이 운동의 대부분의 지식인과 지적으로, 경제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관계를 맺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17] 드미트리 피사레프는 "혼자 행동할 수 없음을 느끼면서 지적인 급진주의자는 농민을 자신의 희망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 만들었다"고 썼다. 그러나 역사가 다니엘 필드는 "나로드니크는 토지에 대한 농민의 욕구가 반란에 대한 소망을 동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라고 썼다.[18] 러시아 정부는 나로드니크가 자신들의 전복을 옹호하는 것을 좋게 보지 않았고, 농민은 범죄 연관성이 드러나지 않는 한 나로드니크를 따랐다. 나로드니크는 농민이 러시아에서 혁명에 가장 취약한 계층이라고 믿었지만, 농민은 혁명적 행동을 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18]

정부의 나로드니크 탄압은 나로드니크의 견해를 널리 알리고 대중을 분노하게 만든 대규모 재판으로 이어졌다. 1873년부터 1877년까지 러시아 경찰은 1,611명의 선동가를 체포했는데, 그중 15%가 여성이었다. 운동의 급진주의자들은 러시아의 억압적인 과세와 토지법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들의 선전은 알렉산드르 2세 차르에 의해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그는 농민 내에서 알려진 나로드니크와 나로드니크 지지자들을 체포하고 재판할 것을 명령했다. 농민은 박해를 피하기 위해 스스로 나로드니크를 당국에 노출해야 했다. 1877년부터 길고 느린 193인 재판이 진행되었다. 선동가들은 은밀하게 활동하거나 투옥될 수밖에 없었다.[19]

정부가 나로드니크를 억압하려 할수록, 나로드니크는 더욱 급진화되었다. 그들은 점점 더 선별적으로 회원을 모집했고, 그들의 젬랴 이 볼랴(토지와 자유) 회원들은 결국 나로드나야 볼랴 (인민의 의지)와 초르니페레델 (검은 분배)과 같은 더욱 테러적인 조직을 형성하게 되었다.[20] 이 그룹들은 폭력을 통해 혁명을 시작하려 했고, 나로드나야 볼랴의 회원들이 1881년에 차르 알렉산드르를 살해했을 때, 더 큰 나로드니크 운동은 코뮌과 러시아 농촌 지역에서 거의 모든 지지를 잃었다. 정부의 억압은 나로드니크를 더욱 급진화시켰고, 농민은 이미 급진적인 지식인의 급진화를 더 이상 지지할 수 없었다.

4. 한계와 영향

나로드니키 운동은 농민들의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지식인 중심의 엘리트주의적 성격을 벗어나지 못했으며, 농민들은 차르를 "그들의 편"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했다.[24] 또한, 나로드니키의 테러리즘은 대중의 지지를 얻는 데 실패하고 오히려 정부의 탄압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1881년 알렉산드르 2세 암살은 농민들에게 충격을 주었고, '나로드나야 볼랴' 지도자들은 처형당했다.[23]

그러나 나로드니키 운동은 러시아 혁명 운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이후 사회주의혁명당(에세르), 인민사회주의자, 트루도비키 등 여러 사회주의 정당에 영향을 미쳤으며,[26] 1905년과 1917년 러시아 혁명의 준비에 기여했다.

5. 평가

Народникиru 운동은 농민 중심의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했지만, 여러 한계점으로 인해 실패했다.


  • 농민 현실과의 괴리: Народникиru는 농민을 이상화했지만, 실제 농민들은 차르와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강한 신앙심을 가지고 있었다. 문맹률이 높은 농민들에게 팜플렛을 통한 선전은 효과가 없었다.[10][11]
  • 테러리즘의 한계: '인민의 의지'는 알렉산드르 2세 암살에 성공했지만, 이는 오히려 농민들의 반발을 샀고, 정부의 탄압으로 조직은 와해되었다.[23]
  • 내부 분열: 미하일 바쿠닌 추종자들과 라브리스트 간의 이념 차이, 통일된 전략 부재는 운동의 효과를 떨어뜨렸다.[13]


블라디미르 레닌은 Народникиru 운동을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 러시아 자본주의 발전 부정: Народникиru는 러시아 자본주의가 쇠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자본주의 발전을 막으려 했다.

# 농민 공동체 이상화: 러시아 경제 시스템과 농민 공동체(미르)의 특수성을 강조하며, 이를 자본주의보다 우월하다고 여겼다.[27]

# 지식인과 국가의 관계 간과: 지식인과 국가의 법적, 정치적 기관이 특정 사회 계층의 물질적 욕구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무시했다.[27]

그럼에도 불구하고 Народникиru 운동은 러시아 혁명 운동의 중요한 흐름이었으며, 이후 사회혁명당, 인민사회당, 트루도비크 등 여러 정당에 영향을 미쳤다.[26] 또한 한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의 사회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불어민주당은 농민과 노동자의 권익을 중시하는 정당으로서, 민중 중심의 사회 개혁을 추구했던 Народникиru 운동의 긍정적 측면을 계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폭력적인 테러 방식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

6. 다른 나라에 끼친 영향

나로드니키 운동은 콘스탄틴 도브로지아누-게레아와 베사라비아 출신의 콘스탄틴 스테르의 활동을 통해 루마니아의 정치와 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1] 스테르는 가라베트 이브레레아누, 폴 뷰조르와 함께 문예 잡지 '루마니아인의 생활'을 발행하고 관련 단체를 이끌었다.

스테르와 포포라니스트 운동은 혁명을 거부했지만, 농업 국가 발전에 자본주의가 필수 단계는 아니라는 나로드니키의 견해를 공유했다.[1] 이 주장은 마르크스주의 틀 안에서 제기되었으며, 버질 마드제아루의 철학과 이온 미할라케의 소작농당, 국민농민당으로 계승되었다.[1]

6. 1. 루마니아

콘스탄틴 도브로제아누-게레아의 저술과 베사라비아 출신 콘스탄틴 스테레의 활동을 통해 나로드니키 운동은 루마니아의 정치와 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1] 스테레는 문학 잡지 ''비아차 로마네아스카''를 중심으로 결성된 단체를 포함한 여러 그룹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가라베트 이브러일레아누 및 파울 부조르와 함께 이 잡지를 발행했다.[1]

콘스탄틴 스테레


스테레와 '포포라니스트'(루마니아어로 "사람"을 뜻하는 ''popor''에서 유래) 운동은 혁명을 완전히 거부했지만, 자본주의가 농업 국가 발전에 필수적인 단계가 아니라는 나로드니키의 견해를 공유했다.[1] 이 관점은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와 모순되며, 이온 미할라케의 농민당과 그 후신인 국민농민당, 그리고 버질 마드제아루의 철학에도 영향을 미쳤다.[1]

참조

[1] 간행물 Narodnichestvo: A Semantic Inquiry 1964
[2] 서적 Revolyutsionnyye narodniki Belarusi
[3] 백과사전 Khozhdenie v narod http://dic.academic.[...] Soviet historical encyclopedia 1973–1982
[4] 서적 Revolyutsionnye narodniki Prosveshenie Moskva 1989-01-01
[5] 간행물 The Fate of Capitalism in Russia: The Narodnik Version 1954
[6] 백과사전 The People's Will Tomson Gale 2003
[7] 문서 Narodnaya Volya program of 1879
[8] 웹사이트 Glossary of Terms and Organisations http://www.marxists.[...] 2013-02-21
[9] 서적 Peasant Icons: Representations of Rural People in Late 19th Century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0] 서적 Peasants and Propagandists in the Russian Movement to the People in 1874 Garland 1992
[11] 서적 Roots of Revolution Weidenfeld and Nicolson 1960
[12] 서적 The Crisis of Russian Popu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7
[13] 간행물 Going to the People. The Russian Narodniki in 1874-5 Modern Humanities Research Association 1927-06
[14] 서적 Angel of Vengeance: The Girl Who Shot the Governor of St. Petersburg and Sparked the Age of Assassination Griffin 2010
[15] 서적 Russia since 1801: the making of a new society Wiley-Interscience 1971
[16] 서적 Narodniki Women: Russian Women Who Sacrificed Themselves for the Dream of Freedom
[17] 간행물 Women in the Russian Radical Mov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71–1972
[18] 웹사이트 Remembering Nikolai Tchaikovsky: lessons from the Narodniks http://s4ss.org/342/[...] 2012-01-06
[19] 서적 The Russian Empire, 1801–1917 Clarendon Press 1967
[20] 백과사전 Narodnik http://www.britannic[...]
[21] 웹사이트 ナロードニキ https://kotobank.jp/[...]
[22] 간행물 Von Laue, Theodore H. “The Fate of Capitalism in Russia: The Narodnik Version,” American Slavic and Easy European Review,13, no. 1 (1954): 11-28.
[23] 간행물 Pearl, Deborah. “People’s Will, The.” Encyclopedia of Russian History, Ed. James R. Millar, 1162-1163.: Tomson Gale.
[24] 문서 Narodnaya Volya(人民の意志) program of 1879
[25] 문서 en:Alexander II of Russia#Assassination
[26] 문서 Glossary of Terms and Organisations
[27] 문서 Lenin (ウラジーミル・レーニン), The Heritage We Renounce (我々が放棄する遺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