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택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택순은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로, 6.25 전쟁 중 마지막 출격에서 전사했다. 서울에서 태어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공군사관학교에 입교한 그는, 1951년 졸업 후 제10전투비행전대에서 F-51 머스탱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하여 여러 전투 임무를 수행했다. 1953년 3월, 고성 지역의 351고지 근접항공 지원 작전 중 대공포에 피격되어 조종하던 전투기가 파괴되었음에도, 적 보급소를 향해 끝까지 임무를 수행하다 전사했다. 그는 공군사관학교 개교 이래 최초의 전사자로 기록되었으며, 을지무공훈장 등을 추서받았다. 공군사관학교는 그의 위국헌신 정신을 기리기 위해 동상을 건립하고, '임택순 상'을 제정하여 매년 시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25사변종군기장 수훈자 - 더글러스 맥아더
    더글러스 맥아더는 제1, 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서 활약한 미국의 군인이자 필리핀 식민지 통치자, 극동군 지휘관, 일본 점령사령부 수장, 미합중국 육군 원수였다.
  •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사망자 - 채병덕
    채병덕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초기 서울 방어 실패의 책임을 지고 해임된 군인이며, 2005년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사망자 - 이상근 (군인)
    이상근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육군사관학교 1기로 임관하여 군인의 길을 걸었으며, 영화 《증언》에서 배우 김진규가 연대장 역할로 그를 연기했다.
  • 공군사관학교 동문 - 서동렬
    서동렬은 공군 준장으로 임관하여 공군참모총장까지 역임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공군 발전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탄압 가담 등 신군부 시절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군 복무 후 한국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정계에서도 활동했다.
  • 공군사관학교 동문 - 장지량 (1924년)
    장지량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공군참모총장, 외교관, 대한중석광업 사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7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을 지내다 2015년에 사망했다.
임택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임택순 (任宅淳)
생애1930년 12월 31일 ~ 1953년 3월 6일
출생지서울특별시 중구
사망 장소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남방 구성지구
묘소국립서울현충원 17-8-14
군사 경력
최종 계급대위 (중위에서 1계급 추서 특진)
주요 참전 전투/전쟁한국전쟁 (6.25 전쟁)
임관1951년 7월 공군사관학교 1기 졸업 후 공군 소위로 임관
복무제21정찰대대
제15교육비행전대 교관
제10전투비행전대 F-51 무스탕 전투기 조종사
가족 관계
부모임학재 (부)

2. 생애

임택순은 서울 중구 을지로 1가에서 태어나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9년 6월 10일 육군항공사관학교[2]에 생도 1기로 입교하였다. 6.25 전쟁 발발 후 공군사관학교가 여러 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함께 겪었으며, 1951년 8월 5일 진해에서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공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졸업 후 제21정찰대대 및 제15교육비행전대에서 교관으로 근무하다가, 1952년 중위로 진급하여 제10전투비행전대에 배속되어 F-51 머스탱 전투기 조종사로 근무하였다. 약 12번의 전투 출격을 통해 적 탱크 진지 공격, 보급로 차단, 지상군 항공지원 작전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1953년 3월, 육군 1군단의 지원 요청으로 F-51 머스탱 전투기[3]를 타고 강원도 고성 351고지와 월비산 지구 방어를 위한 근접항공 지원작전에 파견되었다.

임택순 대위의 마지막 전투가 이루어졌던 351고지와 월비산 지구가 있는 고성군 지도이다.


임택순 중위는 351고지 부근의 적 진지를 파괴하고 방향을 바꾸던 중, 적의 대공포탄에 맞아 전투기 우측 날개가 부서지는 큰 피해를 입었다.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199141548401186.pdf 전방공중통제관][4]의 탈출 권유에도 불구하고, 기수를 적 보급소가 있는 계곡으로 향하여 끝까지 조국을 위해 싸우다 장렬히 산화했다. 이는 공군사관학교 창설 이래 첫 전사자로 기록되었다.

이후 10전투비행전대는 38선 북쪽의 설악산, 거진, 간성 지역을 확보하는데 기여하였다.

2. 1. 초기 생애 및 공군사관학교 입교

임택순은 서울 중구 을지로 1가 55번지에서 출생했고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9년 6월 10일 육군항공사관학교[2]에 생도 1기로 입교하였다. 입교 후 6.25 전쟁이 발발하고 공군사관학교가 후퇴방침에 따라 수원, 대전, 대구, 진해제주도로 이동하였다가 1951년 5월 1일 진해로 최종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1958년 서울로 이전하기 전까지 진해에 머무르게 되는데 임택순은 이러한 이동을 함께 겪으며 이후 1951년 8월 5일 진해에서 제 1기 사관생도 졸업과 함께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공군 소위로 임관하게 된다.

2. 2. 6.25 전쟁 참전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임택순은 제21정찰대대 및 제15교육비행전대에서 교관으로 근무하였다. 이후 1952년 중위로 진급하여 공군 첫 전투비행부대인 제10전투비행전대에 배속되어 F-51 머스탱 전투기 조종사로 근무하였다. 약 12번의 전투 출격을 통해 적 탱크 진지 공격과 보급로 차단, 지상군의 항공지원 작전 등의 임무를 맡았다.

2. 3. 마지막 출격과 전사

1953년 3월, 휴전이 거의 가까워진 시기에 대한민국 육군 1군단강원도 고성 지역 부근에서 요충지 확보를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육군 7군단과 교전 중이었다. 이때 1군단은 제10전투비행전대에 지원을 요청했고, 임택순은 F-51 머스탱 전투기[3]를 타고 강원도 고성의 351고지와 월비산 지구 방어를 위한 근접항공 지원작전에 파견되어 적 진지 파괴 임무를 맡아 출격했다.

임택순 중위는 351고지 부근의 적 진지를 파괴하고 방향을 바꾸던 중, 적의 대공포탄에 맞아 전투기 우측 날개가 부서지는 큰 피해를 입었다. 당시 전방에서 이를 지켜보던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199141548401186.pdf 전방공중통제관][4]은 임택순 중위에게 탈출을 권유했으나, 임 중위는 기수를 적 보급소가 있는 계곡으로 향하여 끝까지 조국을 위해 싸우다 장렬히 산화했다. 이는 공군사관학교 창설 이래 첫 전사자로 기록되었다.

이후 10전투비행전대는 휴전일인 7월 27일까지 351고지 전투 근접항공지원작전을 통해 북한의 보급품 집적소 509개소, 벙커 736개소, 야포 진지 158개소 등을 파괴하는 전과를 올렸고, 이를 통해 38선 북쪽의 설악산, 거진, 간성 지역을 확보할 수 있었다.

3. 사후

임택순은 대한민국 공군 창설 이래 최초로 전사한 공군사관학교 출신 전투조종사로 기록되었다. 공군은 1953년 3월 16일 공군장교집회소에서 그를 추모하는 특별 좌담회를 개최하였고, 후에 공비토벌기장과 6.25사변종군기장을 받았다.[5] 1953년 4월 20일,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임택순 중위를 대위로 1계급 특진시키고 을지무공훈장을 추서하였다. 1960년 3월 19일 공군사관학교는 그의 위국헌신 정신을 기리기 위해 서울 대방동 공군사관학교 교정에 임택순 대위 동상을 세웠고, 1985년 12월 충북 청원으로 이전하면서 1기~33기 졸업생들의 성금으로 박물관 앞에 동상을 재건립하였다.[5] 2009년부터는 '임택순 상'을 제정하고, 위국헌신 정신이 뛰어난 10년차 조종사와 일반장교 각 1명을 선정하여 매년 수여하고 있다.

국가보훈처에서 제작한 임택순 대위의 포스터


공군사관학교 박물관 앞에 설립되어있는 임택순 대위의 동상

4. 추서된 훈장

기장 및 훈장 목록
공비토벌기장
공비토벌기장 : 1951년 4월 28일에 제정된 대통령령 제488호에 따라 국방부장관이 수여한다. 임택순은 반란지구에서 토벌에 참가하거나 군사에 관한 임무를 띄고 반란지구에 임한 군인, 군속, 경찰관 및 기타 문관에게 수여하는 공비토벌기장령 제1조 1항에 해당하여 수여받았다.[6]
6.25사변 종군기장
6.25사변 종군기장 : 6.25 전쟁에 참전한 군인에게 대통령령 제390호인 6.25사변종군기장령에 의거하여 수여되었다. 원형 메달로 수(綬)가 달린 형태이며, 앞면에는 대한민국도형, 탄환, 월계엽이, 뒷면에는 六二五사변종군기장, 대한민국이 새겨져 있다. 수는 세로 줄무늬로 되어 있다.[7]
을지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 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에서 전투에 참가하거나 접적지역에서 적의 공격에 대응하는 등 전투에 준하는 직무수행으로 뚜렷한 무공을 세운 사람에게 수여하며, 5등급으로 나뉜다. 을지무공훈장은 그 중 2번째로 높은 등급이다.[8]


5. 임택순 대위가 조종한 F-51D

268x268픽셀


F-51D 머스탱 전투기는 미국6.25전쟁에 개입하면서 전투기 10대를 먼저 지원한 기종으로, 이후 총 133대가 도입되어 수많은 전투에 투입되었다. 프로펠러형 전투기였기 때문에 제트기와의 성능 차이가 커 공중전은 맡지 않았다. 임택순 대위의 임무는 주로 탱크 진지와 시설 파괴, 적 보급로 차단, 지상군 항공 지원 등이었으며, 공중전보다는 지상 항공 지원이 주 임무였다.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 공군 조종 교관이었던 딘 헤스 중령은 자신의 전용 머스탱에 '신념으로 하늘을 난다'는 뜻의 '신념(信念)의 조인(鳥人)'이라는 문구를 새겼는데, 이것이 F-51D 머스탱의 별명이 되었고 오늘날까지 공군 조종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9] 당시 대한민국 공군은 F-51D를 급하게 인수하느라 기체의 국적 표시도 제대로 수정하지 못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 처음 10대는 미국의 국적 표시 마크에서 별 대신 태극 문양만 들어간 모양으로 인수되었다.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웹인용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
[7] 웹인용 대한민국역사박물관 http://www.much.go.k[...]
[8] 웹인용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
[9] 웹인용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