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입체미래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입체미래주의는 20세기 초 러시아에서 일어난 미술 운동으로, 입체주의와 미래주의를 결합하여 기계 시대의 역동성과 에너지를 표현하고자 했다. 이 운동은 러시아 제국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과 서구 예술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1913년 다비드 부르류크가 이끄는 '힐레아' 그룹의 시인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다. 입체미래주의는 회화, 조각, 문학,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났으며, 카지미르 말레비치, 나탈리아 곤차로바,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 등 여러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이 운동은 광선주의, 절대주의, 구성주의 등 다른 미술 사조에 영향을 미쳤으며, 1915-1916년 0,10 전시회를 기점으로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예술 - 구성주의 (예술)
  • 미래주의 - 필리포 톰마소 마리네티
    필리포 톰마소 마리네티는 이탈리아의 시인이자 편집자, 미술 이론가로, 20세기 초 미래주의 운동을 창시하고 이끌었으며, 속도와 기술, 폭력을 숭상하고 과거의 전통을 거부하는 사상을 펼치며 파시즘 운동에 참여했다.
  • 미래주의 - 메타버스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와 유사한 사회·경제적 활동이 가능한 3차원 가상공간을 의미하는 용어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의 기술과 융합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입체미래주의
개요
명칭입체미래주의
다른 이름러시아 미래주의
일본어 명칭クボ=フトゥリズム
주요 국가러시아
시기1910년대 초반
관련 운동미래주의
입체주의
특징
설명러시아에서 일어난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
영향입체주의: 형태의 해체 및 재구성
미래주의: 역동성과 속도에 대한 강조
스타일시각 예술과 문학에서 두드러짐
시각 예술형태의 기하학적 분해
다양한 시점의 동시 표현
색채의 강렬한 사용
문학언어 실험
비논리적 요소의 도입
파격적인 시 형식
주요 인물
화가카지미르 말레비치
블라디미르 타틀린
류보프 포포바
알렉산드라 엑스테르
나탈리아 곤차로바
다비트 부를류크
아리스타르흐 렌툴로프
시인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벨레미르 흘레브니코프
알렉세이 크루체니흐
다비트 부를류크
대표 작품
설명"" (태양의 정복) 오페라 (1913년)
기타말레비치의 절대주의 회화
흘레브니코프의 언어 실험 시
유산
영향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
관련이후 구성주의 및 절대주의와 같은 예술 운동에 영향

2. 역사적 배경

20세기 초 러시아는 사회, 정치, 계급 분열이 심각했다. 러시아의 산업화, 발전, 경제 성장 및 도시화는 다른 서방 국가들에 비해 크게 뒤쳐져 있었다. 국가는 높은 문맹률, 열악한 의료 서비스, 대도시 외곽 지역의 대중 통신 제한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7] 이러한 상황에서 기계 시대의 급증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감지한 예술가들은 기계 미학의 아름다움, 역동성, 에너지를 인식하고, 예술, 시, 삶에서 기술 현대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8]

세르게이 슈킨(Sergey Schukin) by Dm. Melnikov (1915)


당시 러시아의 소수 엘리트 귀족과 사업가들은 국제 미술 시장과 화상에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20세기 초 유럽의 상당수 걸작들을 개인 소장품으로 수집했다. 수집가이자 후원자인 세르게이 슈킨(1854–1936)과 이반 모로조프(1871–1921)는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야수주의, 입체주의, 미래주의 등 유럽 전역의 미술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 중요한 작품들을 대거 수집하여 러시아 예술가들에게 유럽 대륙에서 유행하던 미술 운동, 기법, 스타일을 소개했다.[13] 슈킨의 소장품에는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 폴 세잔, 클로드 모네, 폴 고갱의 작품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상트페테르부르크모스크바의 예술가들이 입체주의 및 미래주의 미술 작품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후 입체-미래주의 운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13]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 ''미래주의 선언''의 저자


입체미래주의는 1913년에 처음 명명되었지만, 이 운동은 1910년 소유즈 몰로도지(청년 연합)라는 러시아 예술가들의 모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4] 이 그룹은 우크라이나의 화가이자 시인인 다비드 부르류크(1882–1967)가 이탈리아의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1876–1944)의 1909년 미래주의 선언에서 영감을 받아 ''부델랴네''(서구 용어 "미래주의자"의 러시아어 해석)라는 이름으로 결성했다.[15] 마리네티의 작품은 창작자가 기계, 산업화, 도시 생활 및 실용적인 디자인의 미학적 언어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 과거를 버릴 필요성을 옹호했다.[16]

2. 1. 러시아 제국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

말기 러시아 제국 시대의 사회는 계급에 의해 깊이 분열되어 있었다. 러시아의 산업화, 발전, 경제 성장 및 도시화는 다른 서방 국가들에 비해 훨씬 뒤쳐져 있었고, 국가는 높은 수준의 문맹률, 열악한 의료 서비스, 대도시 외곽 지역에서 대중 통신의 제한으로 어려움을 겪었다.[7] 나아가 인접 국가의 현실을 바라본 입체미래주의 운동의 멤버가 될 예술가들은 기계 시대의 급증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감지하고, 실용적인 기계 미학의 아름다움, 역동성, 에너지를 인식하여 예술, 시, 삶에서 기술 현대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8]

2. 2. 서구 예술의 영향



20세기 초 러시아는 사회, 정치, 계급 분열이 심각했는데, 그 최상층에는 소수의 엘리트 귀족과 사업가들이 있었다. 이들은 국제 미술 시장과 화상에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20세기 초 유럽의 상당수 걸작들을 개인 소장품으로 수집했다. 수집가이자 후원자인 세르게이 슈킨(1854–1936)과 이반 모로조프(1871–1921)는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야수주의, 입체주의, 미래주의 등 유럽 전역의 미술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 중요한 작품들을 대거 수집했다. 그 결과 러시아 예술가들에게 유럽 대륙에서 유행하던 미술 운동, 기법, 스타일을 소개했다.[13] 슈킨의 소장품에는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 폴 세잔, 클로드 모네, 폴 고갱의 작품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상트페테르부르크모스크바의 예술가들이 입체주의 및 미래주의 미술 작품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후 입체-미래주의 운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13]

2. 3. '힐레아' 그룹과 마리네티의 '미래주의 선언'

러시아 제국 말기 사회는 계급에 의해 깊이 분열되어 있었다. 러시아의 산업화, 발전, 경제 성장 및 도시화는 다른 서방 국가들에 비해 훨씬 뒤쳐져 있었고, 높은 문맹률, 열악한 의료 서비스, 대도시 외곽 지역의 대중 통신 제한으로 어려움을 겪었다.[7] 기계 시대의 급증이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감지한 예술가들은 실용적인 기계 미학의 아름다움, 역동성, 에너지를 인식하여 예술, 시, 삶에서 기술 현대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8]

입체미래주의는 1913년에 처음 명명되었지만, 이 운동은 1910년 소유즈 몰로도지(청년 연합)라는 러시아 예술가들의 모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4] 이 그룹은 우크라이나의 화가이자 시인인 다비드 부르류크(1882–1967)가 이탈리아의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1876–1944)의 1909년 미래주의 선언에서 영감을 받아 ''부델랴네''(서구 용어 "미래주의자"의 러시아어 해석)라는 이름으로 결성했다.[15] 마리네티의 작품은 창작자(예: 예술가 및 작가)가 기계, 산업화, 도시 생활 및 실용적인 디자인의 미학적 언어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 과거를 버릴 필요성을 옹호했다.[16] 마리네티와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미래주의 운동은 자유, 집단성, 완벽성, 사회적 재건을 의미했다.[17] ''미래주의 선언''의 영향을 받아, 혼란과 파편화의 미학은 기술의 끊임없고 반복적인 역동성을 질문하고, 유토피아적인 기계적 현대성에 대한 그들의 환상을 강조하기 위해 입체미래주의자들의 어휘가 되었다. 입체미래주의자들은 마리네티 미래주의의 모더니즘적이고 세계적인 정신과 분석적 큐비즘의 미적 특성(예: 추상화된 형태, 평면성, 파편화, 기하학적 형태, 톤 다운된 어두운 색상, 다양한 관점의 조합)을 결합하여 예술계의 혁명적 초점을 보여주기 위해 설계된 독자적인 예술 형태를 창조했다.[18]

3. 입체미래주의의 발전

1913년, 러시아 미술 평론가 코르네이 추콥스키는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 알렉세이 크루초니흐,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 베네딕트 리프시츠, 바실리 카멘스키의 작품을 언급하며 '입체미래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21] 이 용어는 원래 다비드와 블라디미르 부르류크 형제의 문학 그룹인 '힐라에'(Hylaea, 'Guilée'[19] 및 'Gylea'로도 표기)에 속한 시인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0]

이후 시인들이 대중에게 충격을 주는 행동(예: 터무니없는 옷을 입는 것)을 하면서 작가들과 그 운동 전체를 '러시아 미래주의'라고 부르게 되었다.[20] '입체미래주의'는 입체파(큐비즘)와 미래주의의 영향을 받은 예술가들을 지칭하게 되었지만,[4] 두 용어는 서로 바꿔서 사용되기도 한다.

러시아 제국 말기, 사회는 계급에 따라 크게 분열되어 있었다. 산업화, 발전, 경제 성장, 도시화는 서구 국가들에 비해 뒤쳐져 있었고, 문맹률, 열악한 의료 서비스, 대도시 외곽 지역의 통신 제한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7] 이러한 상황에서 입체미래주의(큐보-미래주의) 운동의 예술가들은 기계 시대의 급증이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감지하고, 기계 미학의 아름다움, 역동성, 에너지를 인식하여 예술, 시, 삶에서 기술 현대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8]

알렉산드르 셰브첸코는 "세계는 하나의 거대하고 환상적이며 끊임없이 움직이는 기계"라고 표현하며 이러한 정서를 대변했다.[9] 예술가들은 기계 생산을 통해 계급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을 위한 공평하고 집단적인 삶을 구축할 수 있다고 믿었다.[10][11] 이러한 이념은 입체미래주의 스타일에 영향을 미쳐, 추상 미술, 기하학적 형태, 거친 선과 면, 유기적 형태를 기계적 상징성으로 표현하는 실험을 이끌었다.[12]

20세기 초, 소수의 엘리트 귀족과 사업가들은 국제 미술 시장과 화상을 통해 유럽의 걸작들을 개인 소장품으로 수집했다. 세르게이 슈킨과 이반 모로조프는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야수주의, 입체주의, 미래주의 미술에 관심을 기울여 중요한 작품들을 수집했고, 이는 러시아 예술가들에게 유럽의 미술 운동, 기법, 스타일을 소개하는 계기가 되었다.[13] 슈킨의 소장품에는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 폴 세잔, 클로드 모네, 폴 고갱의 작품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상트페테르부르크모스크바의 예술가들이 입체주의 및 미래주의 미술 작품에 접근하여 입체미래주의 운동 발전에 영향을 미치게 했다.[13]

입체미래주의는 1910년 다비드 부르류크가 결성한 '소유즈 몰로도지'(청년 연합)라는 예술가 모임에서 시작되었다.[14] 이들은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의 1909년 ''미래주의 선언''에서 영감을 받아 ''부델랴네''(미래주의자의 러시아어 해석)라는 이름으로 결성되었다.[15] 마리네티의 작품은 기계, 산업화, 도시 생활, 실용적인 디자인의 미학을 활용하여 과거를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16] 입체미래주의자들은 마리네티 미래주의의 모더니즘 정신과 분석적 입체주의의 미학적 특성을 결합하여 독자적인 예술 형태를 창조했다.[18]

나탈리아 곤차로바는 1909년에 이미 입체주의와 미래주의 표현 기법을 회화에 적용했다.[22] 입체미래주의는 1912년부터 1913년 사이에 미술 양식으로서 완전한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으며,[23] 러시아 미래주의가 쇠퇴하면서 시의 양식은 종말을 고했다.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1912년 '당나귀 꼬리' 전시회와 1913년 '표적' 전시회에서 자신의 작품을 '입체미래주의'라고 칭했다.[24] 그는 전통적인 입체주의의 정지된 상태와 미래주의의 역동성을 연결하고자 했으며, 러시아의 농촌적 주제를 담아 밝고 병치된 아방가르드 스타일로 전통적인 마을 생활을 묘사했다.[25] 그의 작품 ''칼 가는 사람''(1912-1913년경)이 대표적인 예이다.

나탈리아 곤차로바는 1912년에서 1913년경에 미래주의 단계에 들어섰고, 그녀의 작품에 입체미래주의 영향이 나타났다.[26] 미하일 라리오노프는 곤차로바와 자신의 새로운 미술 운동인 광선주의에 대한 두 개의 선언문을 발표했는데, 이는 입체미래주의에서 영감을 받았다.[26]

알렉산드라 엑스터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미래주의 무대 디자인에 참여했고,[27] 류보프 포포바는 1912년 파리 체류 중에 입체주의를 배우고 1913년부터 1914년까지 입체미래주의 스타일로 그림을 그렸다.[28] 이 운동은 여성 화가들의 비율이 높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23]

입체미래주의자들은 공공 및 예술적 활동으로도 주목을 받았는데, 마야코프스키는 밝은 노란색 재킷을 입었고, 일리아 즈다네비치("일리아즈")와 부르류크는 얼굴에 그림을 그렸으며, 일부 화가들은 캔버스에 물건을 부착하기도 했다.[29]

1913년에는 오페라 ''태양을 이긴 승리''가 완성되었는데, 미하일 마튜신이 음악을 맡고, 말레비치가 무대 의상 및 세트 디자이너를 맡았다. 이 오페라는 그의 ''검은 사각형''이 무대 커튼 디자인의 일부로 처음 등장하여 주목을 받았다.[30] 1914년에는 바실리 카멘스키가 쓰고 부르류크 형제가 삽화를 그린 ''소와 함께 탱고''라는 책이 출판되었다.

3. 1. 용어의 기원

'입체미래주의'라는 용어는 1913년 강연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원래 다비드와 블라디미르 부르류크의 문학 그룹인 '힐라에'(Hylaea, 'Guilée'[19] 및 'Gylea'로도 표기)에 속한 시인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0] 러시아 미술 평론가 코르네이 추콥스키(1882–1969)가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 알렉세이 크루초니흐,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 베네딕트 리프시츠, 바실리 카멘스키의 작품을 언급하면서 이 용어를 만들었다.[21] 이후 위에 언급된 시인들이 충격적인 대중 행동(예: 터무니없는 옷을 입는 것)을 보이면서 작가들과 그 운동 전체를 단순히 '러시아 미래주의'라고 부르기 시작했다.[20] 그 결과, '입체미래주의'는 입체파와 미래주의의 영향을 받은 예술가들을 지칭하게 되었지만,[4] 두 용어는 여전히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3. 2. 운동의 전개 과정

러시아 제국 말기, 사회는 계급에 의해 깊이 분열되어 있었다. 산업화, 발전, 경제 성장, 도시화는 서구 국가들에 비해 뒤쳐져 있었고, 문맹률, 열악한 의료 서비스, 대도시 외곽 지역의 통신 제한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7] 이러한 상황에서 입체미래주의(큐보-미래주의) 운동의 예술가들은 기계 시대의 급증이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감지하고, 기계 미학의 아름다움, 역동성, 에너지를 인식하여 예술, 시, 삶에서 기술 현대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8]

알렉산드르 셰브첸코는 "세계는 하나의 거대하고 환상적이며 끊임없이 움직이는 기계"라고 표현하며 이러한 정서를 대변했다.[9] 예술가들은 기계 생산을 통해 계급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을 위한 공평하고 집단적인 삶을 구축할 수 있다고 믿었다.[10][11] 이러한 이념은 입체미래주의 스타일에 영향을 미쳐, 추상 미술, 기하학적 형태, 거친 선과 면, 유기적 형태를 기계적 상징성으로 표현하는 실험을 이끌었다.[12]

20세기 초, 소수의 엘리트 귀족과 사업가들은 국제 미술 시장과 화상을 통해 유럽의 걸작들을 개인 소장품으로 수집했다. 세르게이 슈킨과 이반 모로조프는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야수주의, 입체주의, 미래주의 미술에 관심을 기울여 중요한 작품들을 수집했고, 이는 러시아 예술가들에게 유럽의 미술 운동, 기법, 스타일을 소개하는 계기가 되었다.[13] 슈킨의 소장품에는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 폴 세잔, 클로드 모네, 폴 고갱의 작품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상트페테르부르크모스크바의 예술가들이 입체주의 및 미래주의 미술 작품에 접근하여 입체미래주의 운동 발전에 영향을 미치게 했다.[13]

입체미래주의는 1913년에 처음 명명되었지만, 1910년 다비드 부르류크가 결성한 '소유즈 몰로도지'(청년 연합)라는 예술가 모임에서 시작되었다.[14] 이들은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의 1909년 ''미래주의 선언''에서 영감을 받아 ''부델랴네''(미래주의자의 러시아어 해석)라는 이름으로 결성되었다.[15] 마리네티의 작품은 기계, 산업화, 도시 생활, 실용적인 디자인의 미학을 활용하여 과거를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16] 입체미래주의자들은 마리네티 미래주의의 모더니즘 정신과 분석적 입체주의의 미학적 특성을 결합하여 독자적인 예술 형태를 창조했다.[18]

나탈리아 곤차로바는 1909년에 이미 입체주의와 미래주의 표현 기법을 회화에 적용했다.[22] 입체미래주의는 1912년부터 1913년 사이에 미술 양식으로서 완전한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으며,[23] 러시아 미래주의가 쇠퇴하면서 시의 양식은 종말을 고했다.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1912년 '당나귀 꼬리' 전시회와 1913년 '표적' 전시회에서 자신의 작품을 '입체미래주의'라고 칭했다.[24] 그는 전통적인 입체주의의 정지된 상태와 미래주의의 역동성을 연결하고자 했으며, 러시아의 농촌적 주제를 담아 밝고 병치된 아방가르드 스타일로 전통적인 마을 생활을 묘사했다.[25] 그의 작품 ''칼 가는 사람''(1912-1913년경)이 대표적인 예이다.

나탈리아 곤차로바는 1912년에서 1913년경에 미래주의 단계에 들어섰고, 그녀의 작품에 입체미래주의 영향이 나타났다.[26] 미하일 라리오노프는 곤차로바와 자신의 새로운 미술 운동인 광선주의에 대한 두 개의 선언문을 발표했는데, 이는 입체미래주의에서 영감을 받았다.[26]

알렉산드라 엑스터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미래주의 무대 디자인에 참여했고,[27] 류보프 포포바는 1912년 파리 체류 중에 입체주의를 배우고 1913년부터 1914년까지 입체미래주의 스타일로 그림을 그렸다.[28] 이 운동은 여성 화가들의 비율이 높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23]

입체미래주의자들은 공공 및 예술적 활동으로도 주목을 받았는데, 마야코프스키는 밝은 노란색 재킷을 입었고, 일리아 즈다네비치("일리아즈")와 부르류크는 얼굴에 그림을 그렸으며, 일부 화가들은 캔버스에 물건을 부착하기도 했다.[29]

1913년에는 오페라 ''태양을 이긴 승리''가 완성되었는데, 미하일 마튜신이 음악을 맡고, 말레비치가 무대 의상 및 세트 디자이너를 맡았다. 이 오페라는 그의 ''검은 사각형''이 무대 커튼 디자인의 일부로 처음 등장하여 주목을 받았다.[30] 1914년에는 바실리 카멘스키가 쓰고 부르류크 형제가 삽화를 그린 ''소와 함께 탱고''라는 책이 출판되었다.

1914년, 러시아 미래주의자들은 이탈리아인들에게 적대감을 갖게 되었다. 마리네티가 러시아 강연 투어를 했을 때, 이전과 달리 냉담한 반응에 직면했다. 라리오노프는 마리네티와 논쟁을 벌였고,[19] 여성 입체미래주의 화가들은 마리네티의 여성 혐오증에 의해 쫓겨났을 수도 있다.[23]

3. 3. 이탈리아 미래주의와의 관계

1914년 마리네티가 러시아를 방문했을 때, 러시아 미래주의자들은 이탈리아 미래주의자들에게 적대감을 드러냈다.[19] 이전과 달리 마리네티는 냉담한 반응을 마주했다. 미하일 라리오노프는 마리네티 지지파와 논쟁을 벌였는데, 라리오노프는 썩은 달걀로, 마리네티 지지파는 꽃으로 그를 맞이하고 싶어했다.[19] 여성 입체미래주의 화가들은 마리네티의 여성 혐오에 반발했다.[23] 러시아 미래주의자들은 자신들이 이탈리아보다 먼저 미래주의를 시작했다고 주장하며 책 출판 날짜를 위조하기도 했다.[19]

3. 4. 입체미래주의의 종말

1915년, 큐비즘과 미래주의는 화가들에게 점차 흥미를 잃어가고 있었다.[1] 그럼에도 1915년 3월 3일, 러시아 최초의 전(全) 미래주의 전시회 '트램웨이 V'가 이반 푸니의 조직으로 열렸고, 블라디미르 타틀린의 작품이 주목받으며 "스캔들"을 일으켰다. 1916년에는 알렉세이 크루체니흐가 그의 아내 올가 로자노바와 공동 작업한 것으로 보이는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입체미래주의 서적 ''보편 전쟁''을 출판했다.

입체미래주의는 1915-1916년 푸니가 조직하고 말레비치와 타틀린의 경쟁을 촉발시킨 0,10 전시회를 기점으로 막을 내렸다고 평가된다. 이후 대부분의 입체미래주의 참가자들은 0,10 전시회에서 공식적으로 시작된 말레비치의 절대주의나 구성주의와 같은 새로운 미술 사조에 전념했다.[1]

러시아 미래주의 화가 라리오노프, 푸니, 크세니야 보구슬라브스카야와 직접 교류했던 이탈리아 미래주의 화가 지노 세베리니는 이 운동이 1916년에 끝났다고 증언했지만,[19]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이 양식이 대략 1919년까지 지속되었다고 기록한다.[4]

4. 예술적 특징

입체미래주의는 회화에서 평면적인 묘사를 벗어나 미래의 이상적인 모습을 담아내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카지미르 말레비치의 1912-13년 작품인 ''칼 가는 사람''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은 금속성 색채를 사용하여 현대화, 산업화, 기계적 조화를 묘사하며, 역동적인 움직임과 에너지를 표현한다.[32] 칼 가는 사람의 모습은 추상적인 기하 추상 형태 속에 묻혀, 거대한 조직 시스템의 일부로 융합된 듯한 느낌을 준다.[32] 말레비치를 비롯한 입체미래주의 예술가들은 이러한 작품을 통해 사회 변혁, 혁명, 프롤레타리아 집단주의를 강조하는 사회적 은유를 표현했다.[6]

조각 분야에서는 움베르토 보치오니와 파블로 피카소의 입체 조각의 영향을 받아 러시아 예술가들이 두 스타일을 결합하는 실험을 했다.[34] 이들은 전통적인 예술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며, 변혁과 혁신을 추구하는 입체미래주의의 특징을 조각에 반영했다.[35] 요셉 차이코프, 보리스 코롤레프, 베라 무히나 등이 대표적인 입체미래주의 조각가들이다.

초이성 시와 같은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언어와 문학을 쇄신하고자 했던 입체미래주의 시인들은, 시의 규칙과 의미를 해체하고 이전의 상징주의 시인들이 대중에게 공감되지 않는 난해한 사상을 탐구한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현대적인 미래에 대한 아이디어를 묘사하는 새로운 시 형식을 창조하고자 했다.[36] 이들은 평범한 사람이 자유롭게 표현하고 해석할 수 있는 혼란스럽고 일반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시를 민주화하는 데 힘썼다.[36]

연극 분야에서도 입체미래주의의 이론과 이념이 도입되어 큰 영향을 미쳤다.[39] 1913년 7월, '제1회 전 러시아 미래파 시인 회의'에서는 러시아 연극을 현대적인 예술 형태로 변혁할 새로운 '미래파' 연극을 만들기로 결정했다.[40] 이들은 ''arte-azione''(행동하는 예술), 도발적이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언어, 즉흥성 등을 활용하여 공연에 공격적인 스타일을 도입했다.[41]

4. 1. 회화

입체미래주의 예술가들에게 이 운동은 회화에 대한 스타일적 가치의 변화를 의미했으며, 회화는 현재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에서 평등과 조직적인 집단 의식으로 정의되는 완벽한 미래의 묘사를 통한 이상주의의 묘사로 바뀌었다.[31]

카지미르 말레비치, ''칼 가는 사람(빛나는 원리)'' (1912–13), 캔버스에 유채, × , 예일 대학교 미술관


카지미르 말레비치의 1912–13년작 ''칼 가는 사람''은 그러한 예시 중 하나이다. 반사적인 금속 색상의 깜박임은 현대화, 산업화, 기계적 조화로 정의되는 "기계적 진동과 역동적 리듬"을 묘사하며, 운동과 에너지의 역동적인 표현을 만들어낸다.[32] 칼 가는 사람 자체는 그를 둘러싸고 감싸는 밀도 높은 추상적인 기하 추상적 형태 속에 위장되어 구성의 중심에 있으며, 그 사람은 거대한 조직적 시스템의 기계적 완벽함으로 융합되었다는 생각을 불러일으킨다.[32] 말레비치와 입체미래주의 운동의 다른 예술가들에게 이러한 작품은 그들이 사회의 미래에서 보고 싶어했던 변혁, 혁명, 사회 재건, 프롤레타리아 집단주의의 과정을 강조하는 사회적 은유로 작용했다.[6] 복잡한 추상적 기하학적 형태와 완벽한 기계적 사회의 표현은 그들의 작품의 혁명적 성격을 강조한다.

4. 2. 조각

움베르토 보치오니의 작품과 파블로 피카소의 입체 조각의 영향을 받은 러시아 예술가들은 두 스타일을 결합하는 실험을 시작했다.[34] 입체파와 미래파(또는 두 스타일의 조합) 스타일을 조각에서 실험한 예술가들은 모두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예술 전통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냈으며, 이는 특징적인 입체미래주의의 변형, 혁신, 젊어짐에 대한 관심을 강조했다.[35]

요셉 차이코프, 보리스 코롤레프, 베라 무히나 등은 입체미래주의 조각가들이며, 이들은 모두 모스크바의 소련 국립 예술 학교인 브후테마스에서 가르쳤다.

4. 3. 문학 (시)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와 그의 뮤즈 릴리 브릭.


입체미래주의 시인들은 시의 규칙과 의미를 해체하고, 초이성 시(자움)와 같은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언어와 문학을 쇄신하고자 했다. 이들은 이전의 인기 있던 러시아 고전 및 상징주의 시인들을 체계적으로 공격했는데, 이는 그들이 일반 대중에게 공감되지 않는 형이상학적이고 난해한 사상을 탐구했기 때문이다.[36] 입체미래주의 시인들은 "완전히 새로운 단어와 그것들을 결합하는 새로운 방식"을 창조하여, 시를 현대화된 미래에 대한 그들의 아이디어를 묘사하는 문학 형식으로 변형하고 재창조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37] 이들은 평균적인 사람이 자유롭게 표현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혼란스럽고 일반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시를 민주화하는 데 열정을 쏟았다.[36]

입체미래주의 시인들은 글쓰기를 언어와 문학을 쇄신하는 "실험실이나 작업장"으로 보고, 혁명과 현대성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기 위해 단어를 해체하고 신조어를 생성했다.[37] 이러한 시적 실험은 나중에 언어를 의성어 형태로 해체하는 것까지 발전했다.[37]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의 희곡 ''Zangezi''에 나오는 음향 회화가 이러한 예시 중 하나이다.[38] 이들은 또한 작품에 관심을 끌고, 미래 지향적인 실험을 강조하기 위해 얼굴에 그림을 그리거나, 대중 앞에서 광대 짓을 하고, 화려한 옷을 입는 등 공개 시 낭송회 동안 색다른 방법을 사용했다.[21]

4. 4. 연극

미하일 마튜신, 카지미르 말레비치, 알렉세이 크루초니흐 등 '제1회 전 러시아 미래파 시인 회의' 참석자들


입체미래주의 이론과 이념은 연극 제작 분야에 도입되면서 20세기 초 러시아 사회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다.[39] 미술계에서 입체미래주의와 교류했던 이들과 마찬가지로, 연극계 인사들은 문화 갱신, 변혁, 혁명이라는 미래주의의 특징적인 이념을 작품에 활용하여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 연극으로 미래주의를 확장했다. 1913년 7월, 입체미래주의 운동에 참여한 시인과 예술가들은 '페르비 브세로시스키 세즈드 바야체이 부두셰고(포에토프 퓨처리스토프)'(제1회 전 러시아 미래파 시인 회의)를 열고, "러시아 연극을" 현대적인 예술 형태로 "변혁"할 "새로운 '미래파' 연극"을 만들기로 결정했다.[40] 이들은 공연에 더욱 공격적인 스타일을 도입하여, ''arte-azione''(행동하는 예술)의 유쾌함, 도발적이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언어, 즉흥성, 예측 불가능성을 활용했다.[41] 로만 야콥슨(1896–1982)은 "미래파의 저녁은 대중을 불러 모았다… 대중의 반응은 다양했다. 많은 사람들이 스캔들을 보러 왔지만, 학생 대중의 상당수는 새로운 예술을 기다렸고, 새로운 세상을 원했다"고 말했다.[42]

5. 입체미래주의의 영향

입체미래주의는 광선주의, 절대주의, 구성주의 등 다른 미술 양식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객관적이고 구상적인 작품과 급진적인 비객관적 추상 미술 사이의 다리 역할을 했다.[43] 입체미래주의를 통해 예술가들은 표현의 한계와 주관성에 몰두하고, 기하학적 형태와 분할된 형태를 실험하며 세상에 대한 이해와 예술을 재구성하려는 움직임과 역동성을 표현할 자유를 얻었다.

미하일 라리오노프와 나탈리아 곤차로바는 입체미래주의를 바탕으로 최초의 비객관적인 러시아 미술 양식 중 하나인 광선파(광선주의)를 개발했다.[44]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입체주의와 미래주의[19]의 영향을 받아 절대주의를 창시했는데, 이는 20세기 가장 중요한 현대 미술 운동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6. 주요 예술가

주요 예술가
알렉산드르 아르히펜코
블라디미르 바라노프-로시네
알렉산드르 보고마조프
다비드 부르류크
블라디미르 부르류크
알렉산드라 엑스테르
나탈리아 곤차로바
이반 클류운
미하일 라리오노프
류보프 포포바
올가 로자노바
소니아 테르크
바실 예르밀로프
알베르토 마넬리
바딤 멜러
아리스타르흐 렌툴로프


참조

[1] 웹사이트 Cubo-Futurism https://www.rem.rout[...] 2016-05-09
[2] 서적 The Aesthetics of Anarchy: Art and Ideology in the Early Russian Avant-Gard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논문 The New Russian Art and Italian Futurism 1975
[4] 웹사이트 Cubo-Futurism: Art Movement https://www.britanni[...] 2019-12-06
[5] 웹사이트 Russian Futurism Movement Overview and Analysis https://www.theartst[...] 2017
[6] 서적 The Shock of the New: Art and the Century of Change British Broadcasting Company
[7] 서적 Village Life in Late Tsarist Russia Indiana University Press
[8] 서적 MOMA at NGV: 130 Years of Contemporary Art The Council of Trustees of the National Gallery of Victoria
[9] 서적 Wonderlands of the Avant-Garde: Technology and the Arts in Russia of the 1920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Shock of the New: Art and the Century of Change British Broadcasting Company
[11] 서적 The Great Utopia: The Russian and Soviet Avant-Garde 1915–1932 Guggenheim Museum Publications
[12] 서적 in Russian Modernism between East and West: Natalia Goncharova and the Moscow Avant-Garde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13] 서적 The Shock of the New: Art and the Century of Change British Broadcasting Company
[14] 서적 Mayakovsky: A Poet in the Revolu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서적 Mayakovsky: A Poet in the Revolu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Words in Freedom: Futurism at 100 https://www.moma.org[...]
[17] 서적 The Other Modernism: F.T. Marinetti's Futurist Fiction of Pow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서적 The History of Futurism: The Precursors, Protagonists, and Legacies Lextingon Books
[19] 서적 The Life of a Paint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서적 Oxford Art Online
[21] 웹사이트 Art of the 20th Century: A Revolution in the Arts - Great Avant-Garde Movements http://www.all-art.o[...]
[22] 서적 Cubism and Futurism Phaidon
[23] 웹사이트 Futurism (2009 exhibition) room guide, room 6, Russia: Cubo-Futurism https://www.tate.org[...] 2009-06-12
[24] 웹사이트 Cubo-Futurism https://www.oxfordre[...]
[25] 웹사이트 Malevich (Exhibition) Room Guide: Room 3: Cubo-Futurism https://www.tate.org[...]
[26] 웹사이트 Natalia Goncharova Exhibition: Guide https://www.tate.org[...]
[27] 논문 Female Pioneers 1983-07-26
[28] 웹사이트 Lyubov Popova https://www.moma.org[...]
[29] 논문 The Feast of Unreason 1975-05-16
[30] 웹사이트 Five Ways to Look at Malevich's "Black Square" https://www.tate.org[...]
[31] 서적 Mayakovsky's Cubo-Futurist Vision Rice University Press
[32] 논문 Kazimir Malevich, The Knife Grinder (The Glittering Edge) 1912–13 2014
[33] 서적 Aesthetic Revolution and Twentieth-Century Avant-Garde Movements Duke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Technical Manifesto of Futurist Sculpture https://www.wdl.org/[...] 2017
[35] 웹사이트 Futurism https://www.britanni[...] 2019
[36] 서적 Handbook of Russian Literarture Yale University Press
[37]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Experimental Literature Routledge
[38] 서적 Fast Forward: The Aesthetic and Ideology of Speed in Russian Avant-Garde Culture, 1910–1930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9] 서적 Handbook of International Futurism De Gruyter Mouton
[40] 서적 Victory Over the Sun Artist Bookworks
[41] 서적 Handbook of International Futurism De Gruyter Mouton
[42] 서적 My Futurist Years Marsilio Publishers
[43] 서적 Russian Cubo-Futurism, 1910–1930 De Gruyter Mouton
[44] 서적 MOMA at NGV: 130 Years of Contemporary Art The Council of Trustees of the National Gallery of Victoria
[45] 웹사이트 クボ=フトゥリズム https://artscape.jp/[...] 2024-05-24
[46] 웹사이트 キュビスムとは何か? その誕生から現代アートへと続く、美術史上の大変革を読み解く|ARTnews JAPAN https://artnewsjapan[...] 2024-05-24
[47] 웹사이트 クボ=フトゥリズム https://artscape.jp/[...] 2024-05-24
[48] 웹사이트 「キュビスム」日本で約50年ぶりの展覧会、国立西洋美術館で - ピカソなど日本初出品50点以上 https://www.fashion-[...] 2024-05-24
[49] 간행물 詩人紹介 ブルリューク、ダヴィード 国書刊行会
[50] 웹사이트 ロシア詩に革命を起こした詩人:ウラジーミル・マヤコフスキー生誕130年 https://jp.rbth.com/[...] 2023-07-19
[51] 웹사이트 ピカソやブラックらの傑作でたどるキュビスムの誕生と展開。「パリ ポンピドゥーセンター キュビスム展―美の革命」(国立西洋美術館)レポート https://www.tokyoart[...] 2024-05-24
[52] 웹사이트 マレーヴィチの「黒の正方形」にまつわる7つの重要な事実 https://jp.rbth.com/[...] 2022-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