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원의 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원의 저주는 천연자원이 풍부한 국가가 오히려 경제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93년 리처드 오티가 처음 사용했으며, 네덜란드병, 수입 변동성, 인적 자본 부족, 정치적 부패, 성 불평등 심화, 국제 협력 저해, 범죄 증가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자원 개발은 때때로 폭력과 분쟁을 유발하고 민주주의와 인권을 훼손하며, 대외 원조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부 펀드 설립과 같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원 의존 경제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원경제학 - 녹색 경제
    녹색 경제는 환경 영향 최소화, 자원 효율성 증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며, 재생에너지, 친환경 건축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필수 전략이지만 사회경제적 비용, 불평등 심화 우려, 시장 메커니즘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국제기구와 여러 국가, 대한민국 또한 녹색 경제 전환을 추진 중이나 정책 불확실성, 사회적 합의 부재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자원경제학 - 제1차 산업
    제1차 산업은 농업, 임업, 어업 등 자연에 직접 의존하는 산업 활동으로, 식량 및 원자재 공급, 환경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별 분류 기준에 차이가 있고 세계적으로 GDP 및 고용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일자리 창출이 과제로 남아있다.
  • 경제학 역설 -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는 3개 이상의 선택지에서 약한 파레토, 무관한 대안으로부터의 독립성, 비독재성을 모두 만족하는 사회 후생 함수는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한 정리이다.
  • 경제학 역설 - 기펜재
    기펜재는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늘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가 줄어드는 재화로, 열등재이면서 소득 효과가 대체 효과보다 큰 경우에 발생하며, 저소득층 소비 행태와 관련된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준다.
  • 경제성장 - 생산성
    생산성은 생산 과정에서 투입된 자원 대비 산출된 결과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 생산성, 자본 생산성, 총요소 생산성 등으로 측정되며, 기술 혁신, 인적 자본 개발 등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 경제성장 - 녹색 성장
    녹색 성장은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며 경제-생태계 분리 개념을 포함하는 전략으로,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경제 회복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채택되었으나, 실현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비판도 있다.
자원의 저주
개요
이름자원의 저주
다른 이름풍요의 역설
설명풍부한 천연 자원을 가진 국가가 자원 부족 국가보다 경제 성장률이 낮거나 경제 발전이 더딘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
원인
설명부패: 자원 수입이 부패를 조장하고 정부의 책임성을 약화시킴
네덜란드 병: 자원 수출로 인해 환율이 상승하여 제조업 등 다른 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됨
정치적 불안정: 자원 수입을 둘러싼 갈등이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함
인적 자본 부족: 자원 부국은 교육 및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가 부족할 수 있음
영향
설명경제 성장 둔화
소득 불평등 심화
정치적 불안정 증가
환경 파괴
해결 방안
설명투명성: 자원 수입 및 지출에 대한 투명성 강화
책임성: 정부의 책임성 강화
다각화: 경제를 다각화하여 자원 의존도를 낮춤
인적 자본 투자: 교육 및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 확대
거시 경제 안정화: 거시 경제 정책을 통해 자원 가격 변동에 대한 충격 완화
참고 문헌
Smith, Benjamin; Waldner, David (2021)Rethinking the Resource Cur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Venables, Anthony J. (February 2016)"Using Natural Resources for Development: Why Has It Proven So Difficult?".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30 (1): 161–184.
Ross, Michael L. (May 2015)"What Have We Learned about the Resource Curse?".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18: 239–259.

2. 자원의 저주 이론

"자원의 저주"라는 용어는 1993년 리처드 오티가 처음 사용했다. 그는 광물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이 그 부를 경제 성장에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천연자원이 부족한 국가들보다 경제 성장이 더딘 현상을 설명하고자 했다.[148] 제프리 삭스와 앤드루 워너의 연구는 천연자원의 풍부함과 낮은 경제 성장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148]

이후 수백 건의 연구가 진행되어 자원 부의 영향과 자원의 저주 발생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예측이 제시되고 있다.[144][149] 자원의 저주는 복권 당첨에 비유되기도 하는데, 복권 당첨이 가치는 있지만 단점도 있는 것처럼, 자원 역시 새로 발견된 부의 복잡한 부정적 영향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150][151][152][153][154]

자원이 축복보다는 경제적 저주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은 1950년대와 1960년대 저소득 및 중소득 국가의 경제 문제에 대한 논쟁에서 이미 나타났다.[3] 1950년대부터 저소득 및 중소득 국가의 경제 문제와 관련하여 자원이 축복보다는 저주가 될 수 있다는 논의가 시작되었다.[146]

2. 1. 네덜란드병 (Dutch Disease)

네덜란드병은 특정 부문(예: 천연자원)의 경제 발전 증가와 다른 부문의 감소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1959년 네덜란드가 흐로닝언에서 거대한 천연가스전을 발견한 후 처음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는 이 자원을 활용하여 가스를 수출해 이윤을 얻으려 했다. 그러나 가스 수출로 네덜란드 통화 가치가 상승하면서, 다른 상품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었다. 가스 시장이 성장하고 수출 경제가 위축되면서 네덜란드는 경기 침체를 겪기 시작했다.[144]

이러한 과정은 베네수엘라(석유), 앙골라(다이아몬드, 석유), 콩고 민주 공화국(다이아몬드) 등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목격되었다.[144]

네덜란드병은 세계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상품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 통화 조작이나 통화 고정이 없는 경우, 통화 가치 상승은 다른 부문에 피해를 주어 불리한 무역 수지를 초래한다. 수입품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국내 고용이 줄어들고, 국가의 숙련 인프라와 제조업 능력이 감소한다. 지역 고용 기회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정부 자원이 인위적으로 고용을 창출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증가하는 국가 수입은 건강, 복지, 군사, 공공 인프라에 대한 정부 지출 증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부패하거나 비효율적으로 수행될 경우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다.[144] 국제 경쟁에 노출된 부문이 감소하면 경제는 천연자원 가격 변화에 취약해지고, 천연자원 수입 의존도가 높아진다. 이는 선도, 선물, 옵션, 스왑과 같은 헤지 상품을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관리할 수 있지만, 비효율적이거나 부패하게 관리될 경우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성은 일반적으로 정부 부문보다 제조업 부문에서 더 빠르게 증가하므로, 경제는 이전보다 낮은 생산성 증가를 보이게 된다.[144]

2020년 연구에 따르면, 거대한 자원 발견은 실질 환율의 상당한 평가절상으로 이어졌다.[139]

2. 2. 수입 변동성 (Revenue Volatility)

천연 자원, 특히 일부 천연 자원의 가격은 변동이 심하다. 예를 들어, 원유 가격은 1973년 석유 파동 이후 1974년에 배럴당 약 3USD에서 12USD로 상승했고, 1986년 석유 과잉 공급 기간 동안 27USD에서 10USD 미만으로 하락했다.[22]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0년 동안 10USD에서 145USD로 상승했다가, 몇 달 만에 절반 이상 하락하여 60USD가 되었다.[22]

정부 수입이 천연 자원 유입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예를 들어, 2005년에 앙골라의 수출의 99.3%가 석유와 다이아몬드에서 나왔다), 이러한 변동성은 정부 계획과 부채 상환을 방해할 수 있다.[22] 이로 인한 경제 현실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종종 계약의 광범위한 파기 또는 사회 프로그램의 축소를 유발하여 법치주의와 대중의 지지를 약화시킨다.

정부가 외화로 과도하게 차입하는 경우, 그러한 변동성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할 수 있다. 자본 유입 또는 "네덜란드 병"을 통한 실질 환율 상승은 외채에 대한 이자 지급 비용을 낮추어 매력적인 선택으로 보이게 할 수 있으며, 천연 자원의 존재로 인해 더 신용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자원 가격이 하락하면 정부의 부채 상환 능력이 감소할 것이다. 예를 들어, 나이지리아베네수엘라와 같은 많은 산유국들은 1970년대 석유 호황기에 부채 부담이 빠르게 증가했지만, 1980년대에 유가가 하락하자 은행가들은 이들에게 대출을 중단했고, 많은 국가들이 연체에 빠져 연체료가 부과되어 부채가 더욱 증가했다. 베네수엘라 석유 장관이자 OPEC 공동 설립자인 후안 파블로 페레즈 알폰소는 1976년에 "10년 후, 20년 후, 여러분은 보게 될 것입니다. 석유는 우리에게 파멸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그것은 악마의 배설물입니다."라고 예언적으로 경고했다.[23]

2. 3. 인적 자본 (Human Capital)

천연 자원 수출에 의존하는 국가는 교육 투자를 소홀히 할 수 있는데, 이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26] 싱가포르, 타이완, 대한민국과 같이 자원이 부족한 경제는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이는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는 경제적 성공에 기여했다.[26]

그러나 천연 자원이 교육 지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26] 브라질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석유 수입은 교육 지출을 늘렸지만, 교육의 질 개선은 크지 않았다.[27] 텍사스의 석유 붐에 대한 분석 결과, 석유 발견은 학생 대 교사 비율이나 학교 출석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28] 2021년 연구에 따르면 석탄 채굴 역사가 있는 유럽 지역은 1인당 GDP가 10% 낮았는데, 이는 인적 자본 투자가 낮았기 때문이다.[29]

자원 채굴 중심의 경제는 인적 자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윌리엄 프로이덴버그는 자원 채굴 중심 경제가 단기적인 경제적 이점과 정책 입안자들의 근시안적인 태도를 유발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중독성 경제"라는 용어를 만들었다.[30]

천연 자원이 인적 자본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 자원 채굴 산업의 높은 임금은 젊은이들이 학교를 중퇴하고 취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31][32]
  • 자원 붐은 교사의 임금을 상대적으로 낮추어 이직률을 높이고 학생들의 학습을 저해할 수 있다.[33]


애팔래치아의 석탄 채굴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석탄 매장량은 경제 개발 속도를 늦추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석탄 수입 비율이 0.5 단위 증가하면 소득 성장률이 0.7% 감소했다.[34]

스페인 제국은 16세기에 남아메리카 식민지에서 은을 통해 막대한 부를 얻었지만, 산업 발전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하여 다른 서방 국가들에 비해 경제력을 잃게 되었다.[35]

미국 석유 호황에 대한 연구는 호황 기간 동안 지역 고용과 소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호황 이후에는 1인당 소득이 감소했다.[36]

2. 4. 소득과 고용 (Incomes and Employment)

"자원의 저주"라는 개념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들의 경제 문제와 관련하여 여러 논의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146] 1993년 리처드 오티는 광물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이 어떻게 그 부를 경제 성장에 활용하지 못하고, 자원이 부족한 국가들보다 경제 성장이 더딘지를 설명하기 위해 "자원의 저주"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48] 제프리 삭스와 앤드루 워너의 연구는 천연 자원의 풍부함과 낮은 경제 성장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148]

자원 채굴은 단기적으로 고용과 소득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윌리엄 프로이덴버그는 자원 채굴 중심의 경제가 어떻게 단기적인 경제적 이점과 정책 입안자들의 근시안적인 태도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중독성 경제"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로버트 퍼듀와 그레고리 파벨라는 웨스트버지니아 탄광 경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원 채굴 의존이 미치는 부정적인 경제적 영향의 한 예를 제시했다. 표면적 석탄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해당 지역 사회의 빈곤 수준도 함께 증가했다.[30]

자원 채굴 산업의 높은 임금은 젊은 근로자들이 학교를 중퇴하고 고용을 찾도록 유도할 수 있다. 석탄[31] 및 프래킹 붐[32]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견되었다. 또한, 자원 붐은 교사의 임금을 상대적으로 낮추어 이직률을 높이고 학생들의 학습을 저해할 수 있다.[33]

1993년 리처드 아우티는 자원이 풍부한 국가에서 자원을 경제 성장의 추진을 위해 어떻게 활용하지 못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국가들은 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국가보다 경제 성장을 이루기 어렵다는 점을 설명하는 "자원의 저주라는 명제(resource curse thesis)"를 처음 사용했다.[139]

제프리 삭스와 앤드루 워너는 천연 자원의 풍부함과 빈약한 경제 성장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연구를 했다.[140]

1965년부터 1998년까지 OPEC 회원국의 1인당 GNP 성장률은 연평균 1.3% 감소한 반면, 다른 국가들은 연평균 2.2% 성장했다.[141]

영국의 경제학자 리처드 아우티는 풍부한 자원이 경제 발전에 연결되지 않는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사례를 제시했다.

  • 자원에 의존하여 다른 산업이 성장하지 않음.
  • 자원 확보를 위한 과도한 개발로 토지가 황폐화됨.
  • 자원 확보를 둘러싼 내전이나 정치 부패.
  • 자원의 부가 종주국에 흡수됨.

2. 5. 교역 가능 부문 (Tradeable Sectors)

네덜란드 병은 세계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상품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 통화 조작이나 통화 고정이 없는 경우, 통화의 평가절상은 다른 부문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이는 상쇄적인 불리한 무역 수지로 이어진다. 수입이 모든 부문에서 더 저렴해지면서 국내 고용이 줄어들고, 이와 함께 국가의 숙련 인프라와 제조업 능력이 감소한다.[2] 지역 고용 기회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정부 자원이 인위적으로 고용을 창출하는 데 사용된다.[2] 증가하는 국가 수입은 또한 건강, 복지, 군사 및 공공 인프라에 대한 정부 지출 증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부패하거나 비효율적으로 수행될 경우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다.[2] 국제 경쟁에 노출된 부문의 감소는 경제를 천연 자원의 가격 변화에 취약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천연 자원 수입에 대한 의존도를 더욱 높이지만, 이는 선도, 선물, 옵션, 스왑과 같은 헤지 상품을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2] 그러나 비효율적이거나 부패하게 관리될 경우 이는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2] 또한 생산성은 일반적으로 정부 부문보다 제조업 부문에서 더 빠르게 증가하므로, 경제는 이전보다 낮은 생산성 증가를 보이게 된다.[2]

2020년 연구에 따르면, 거대한 자원 발견은 실질 환율의 상당한 평가절상으로 이어졌다.[3]

3. 정치적 영향

천연자원은 이를 통제하는 사람들에게 막대한 수입을 제공하며, 이는 정치적 부패와 권위주의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139] 영국의 경제학자 리처드 오티는 풍부한 자원이 경제 발전에 연결되지 않는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사례를 제시했다.


  • 자원에 의존하여 다른 산업이 성장하지 않는다.
  • 자원 확보를 위해 과도한 개발이 진행되어 토지가 황폐화된다.
  • 자원 확보를 둘러싼 내전이나 정치 부패가 진행된다.
  • 자원의 부가 종주국에 흡수된다.


어느 국가의 GDP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수출품의 수출액 점유율이 5% 정도라면 해당 국가에서 분쟁이 발생할 위험은 6% 정도이지만, 25%가 되면 분쟁 발생 위험이 33%까지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42][143]

3. 1. 폭력과 분쟁 (Violence and Conflict)

천연자원은 수입 분배를 둘러싼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자원 생산 지역의 분리주의 운동이나 정부 부처 간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석유와 같이 약탈 가능한 자원의 가격 상승은 분쟁 가능성을 높인다. '석유 공격성'이라는 용어는 석유 국가(GDP의 10% 이상을 석유에서 얻는 국가)가 일반적인 국가보다 국제 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250% 더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반영한다.[120][121]

분쟁에 관여한 석유 부국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어느 국가의 GDP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수출품의 수출액 점유율이 5% 정도라면 해당 국가에서 분쟁이 발생할 위험은 6% 정도이지만, 25%가 되면 분쟁 발생 위험이 33%까지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42][143]

3. 2. 민주주의와 인권 (Democracy and Human Rights)

석유와 같은 천연자원이 풍부한 것은 민주주의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독재 정치를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5] 석유 판매로 얻는 수입은 정치 지도자들이 권력을 유지하고 시민들의 자유를 억압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패한 정부는 자원 추출 회사와 손을 잡고 법을 무시하며, 주민들의 반대를 억압할 수 있다. 또한, 석유 가격의 변동은 인권 실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국제 통화 기금(IMF)은 비재생 자원에서 수출의 20% 이상, 또는 재정 수입의 20% 이상을 얻는 51개국을 "자원 부국"으로 분류한다. 이 중 29개국은 저소득 및 하위 중간 소득 국가이며, 이들 국가는 자원 부에 대한 극심한 의존, 낮은 저축률, 부진한 성장, 변동성이 큰 자원 수입 등의 특징을 보인다.[5]

3. 3. 성 불평등 (Gender Inequality)

천연 자원이 풍부한 국가는 임금, 노동 참여, 폭력, 교육 등에서 더 높은 수준의 성 불평등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석유 생산은 여성의 노동 참여를 감소시키고, 이는 출산율 증가, 여아 교육 감소, 가족 내 여성의 영향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139]

3. 4. 범죄 (Crime)

Oil영어 매장량 가치의 증가는 살인, 강도, 절도와 같은 범죄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8]

4. 생물학 및 생태학적 사례 (Examples in Biology and Ecology)

미생물 생태학 연구는 자원 가용성이 박테리아 집단의 협력적 또는 경쟁적 행동을 조절하는지 여부를 다룬다. 자원 가용성이 높을 때 박테리아 집단은 서로 경쟁적이고 공격적으로 변하지만, 환경 자원이 부족할 때는 협력적이고 상호 공생적이 되는 경향이 있다.[126]

생태학 연구는 동물 간의 경쟁력이 자연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생물 다양성이 더 높은 고 수용 능력 지역(예: 적도 근처)에서 주요하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풍부함 또는 과도한 자원은 동물 개체군이 R 번식 전략(많은 수의 자손, 짧은 임신 기간, 적은 양육, 성적 성숙까지 짧은 시간)을 갖도록 하여, 경쟁이 개체군에게 적합하도록 한다. 또한 경쟁은 양성 피드백 조절에서 R 행동을 하도록 개체군을 선택할 수 있다.[127]

반대로, 환경 조건이 가혹한 저 수용 능력 지역(예: 적도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K 전략(더 긴 수명 기대치, 비교적 적은 수의 자손을 낳고, 어릴 때 부모의 광범위한 보살핌이 필요한 미성숙한 경향)이 일반적이며, 개체군은 협력적이거나 상호 공생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개체군이 적대적인 환경 조건에서 경쟁적인 행동을 보이면 환경 선택에 의해 대부분 걸러진다(사망). 따라서 적대적인 조건에 있는 개체군은 협력적으로 선택된다.[128]

상호주의 가설은 표트르 크로포트킨이 환경 조건이 가혹한 시베리아 스텝의 동물상을 연구하면서 처음 기술되었으며, 그는 동물들이 생존하기 위해 협력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29] 극심한 경쟁은 생물이 자원을 찾는 데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아마존 숲에서 관찰된다(예: 식물을 위한 햇빛). 따라서 생물은 비생물적 요인보다는 생물적 요인(예: 경쟁)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감당할 수 있다.[130]

5. 비판 (Criticisms)

리처드 오티가 1993년에 '자원의 저주'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지만, 이 개념 자체는 1950년대와 1960년대부터 논의되었다.[3] 1711년에 스펙테이터는 "가장 풍요로운 나라에서 가장 가난한 생활을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

자원의 저주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자원 부국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12] 자원 소득 사용 방식, 정부 시스템, 제도적 질, 자원 유형, 산업화 시기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선택 이론을 개발한 브루스 부에노 데 메스키타는 천연 자원이 풍부한 독재 국가는 시민의 자유를 억압하고 교육 및 기반 시설 투자를 줄이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14]

천연 자원 풍부함이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일치된 견해가 없다.[15] 연구마다 상반된 결과를 보이기도 하고, 단기적 효과와 장기적 효과에 대한 결론이 다를 수도 있다.[15] 2016년의 메타 연구는 자원 풍부함이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에 대한 약한 지지를 발견했다.[16]

2018년의 연구는 석유의 영향이 지도자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지도자 임기 동안의 증가의 한계 효과보다 2~3배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7]

2021년 메타 분석은 석유와 약탈 가능한 광물의 가격 상승이 분쟁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18] 비교 정치 연구(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저널에 실린 2011년 연구는 "천연 자원 부는 "저주" 또는 "축복"이 될 수 있으며, 그 구분은 국내 및 국제적 요인에 의해 조건 지어지며, 공공 정책, 즉 인적 자본 형성 및 경제 개방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19]

일부 천연 자원의 가격 변동성은 정부 계획과 부채 상환을 방해할 수 있다.[22] 정부가 외화로 과도하게 차입하는 경우,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할 수 있다. 후안 파블로 페레즈 알폰소는 1976년에 "석유는 우리에게 파멸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그것은 악마의 배설물입니다."라고 경고했다.[23] 2011년 ''경제 및 통계 검토'' 연구에 따르면 상품 가격은 역사적으로 제조 상품보다 변동성이 컸으며, 세계화가 이러한 변동성을 감소시켰다.[24]

석유 공격성은 석유 국가가 국제 분쟁에 연루되거나 분쟁의 대상이 되는 경향을 의미한다. 제프 콜건은 2013년 저서에서 석유 국가가 일반적인 국가보다 국제 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250% 더 높다고 주장했다.[120][121]

6. 자원의 저주 극복 사례 및 노력

카자흐스탄에서는 국부 펀드를 설립하여, 자원에서 얻은 부를 투자에 활용하여 자원에 의존하지 않는 수입원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노르웨이, 모리타니, 이란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반면에 베네수엘라나우루 등에서는 아직도 자원에 의존한 단일 경작 경제가 지속되고 있어 탈피가 과제로 남아있다.[141]

7. 결론

자원의 저주 개념은 1950년대와 1960년대부터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의 경제 문제와 관련하여 논의되기 시작했다.[146] 이미 1711년 스펙테이터(Spectator)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에서 생활은 가장 가난한 것으로 대체적으로 관찰된다"라고 언급될 정도로 오래전부터 인식된 문제였다.[147] 1993년 리처드 오티는 광물 자원이 풍부한 국가가 그 부를 경제 발전에 활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천연자원이 부족한 국가보다 경제 성장이 낮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자원의 저주"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48] 제프리 삭스와 앤드루 워너의 연구는 천연자원의 풍부함과 낮은 경제 성장 사이에 큰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148] 이후 수백 건의 연구들이 자원 부의 영향과 자원의 저주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있다.[144][149] 자원의 저주는 복권 당첨에 비유되기도 하는데, 이는 새로 발견된 부의 복잡한 부정적 영향을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에서 유사하다.[150][151][152][153][154]

천연자원은 이를 통제하는 사람들에게 막대한 수입을 창출하는 경제적 지대의 원천이다. 그러나 이는 수입 분배를 둘러싼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자원 생산 지역의 무력 분리주의 분쟁이나 정부 부처 간 갈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정부의 효과적인 기능 수행 능력을 약화시킨다.[38][39]

정치적으로 안정된 경우에도 자원 추출 산업이 경제를 지배하는 국가는 민주주의 발달이 더디고 부패가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91][40]

참조

[1] 서적 Rethinking the Resource Curs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2] 서적 The Spectator http://www2.scc.rutg[...] 1711-10-19
[3] 논문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Resource Curse 1999-01
[4] 논문 Natural Resource Abundance and Economic Growth 1995
[5] 논문 Using Natural Resources for Development: Why Has It Proven So Difficult? 2016-02
[6] 논문 The Natural Resource Curse: A Survey of Diagnoses and Some Prescriptions http://nrs.harvard.e[...] 2012
[7] 서적 Alaska's Permanent Fund Dividend: Examining its Suitability as a Model Springer 2012
[8] 간행물 Turning Oil into Cash: How Developing Countries Can Win the Resource Lottery and Avoid the Curse http://www.cgdev.org[...]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15-06-03
[9] 서적 Private Empire: ExxonMobil and American Power https://archive.org/[...] Penguin 2012
[10] 논문 The Resource Curse http://library.cqpre[...] 2011-12-20
[11] 뉴스 Afghanistan and the natural resource curse http://www.csmonitor[...] 2010-06-15
[12] 논문 Why do some resource-abundant countries succeed while others do not? 2009-07-01
[13] 논문 The geopolitics of renewable energy: Debunking four emerging myths 2019-03-01
[14] 문서 The Dictator's Handbook 2011
[15] 서적 China's Contained Resource Curse: How Minerals Shape State-Capital-Labor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6] 논문 Natural Resources and Economic Growth: A Meta-Analysis https://www.econstor[...]
[17] 논문 Oil income and the personalization of autocratic policies https://doi.org/10.1[...] 2020
[18] 논문 Do Commodity Price Shocks Cause Armed Conflict? A Meta-Analysis of Natural Experiments https://www.cambridg[...] 2021
[19] 논문 Conditioning the "Resource Curse": Globalization, Human Capital, and Growth in Oil-Rich Nations https://www.research[...] 2011-03-15
[20] 서적 Essentials of Comparative Politics https://archive.org/[...] Norton
[21] 논문 Boom Goes the Price: Giant Resource Discoveries and Real Exchange Rate Appreciation
[22] 웹사이트 Angola: Selected Issues and Statistical Appendix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7-10
[23] 간행물 'The Devil''s Excrement' https://money.cnn.co[...] 2003-02-03
[24] 논문 Commodity Price Volatility and World Market Integration since 1700 http://www.nber.org/[...] 2011-07-21
[25] 서적 The Oil Curse: How Petroleum Wealth Shapes the Development of Na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Oxford 2012
[26] 논문 Natural resource abundance and human capital accumulation 2006
[27] 논문 Do Oil Windfalls Improve Living Standards? Evidence from Brazil http://cep.lse.ac.uk[...] 2013
[28] 논문 Oil discoveries and education provision in the Postbellum South 2019
[29] 논문 The European coal curse 2021-03-04
[30] 문서 Addictive Economies and Coal Dependency: Methods of Extraction and Socioeconomic Outcomes in West Virginia 1997-2009 2012
[31] 논문 Tight Labor Markets and the Demand for Education: Evidence from the Coal Boom and Bust 2021-06-07
[32] 논문 Who Needs a Fracking Education? The Educational Response to Low-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http://www.nber.org/[...] 2021-06-07
[33] 논문 How Local Economic Conditions Affect School Finances, Teacher Quality, and Student Achievement: Evidence from the Texas Shale Boom http://www.nber.org/[...] 2021-06-07
[34] 논문 Coal Mining and the Resource Curse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http://be.wvu.edu/ph[...]
[35] 서적 A History of the Global Economy. From 1500 to the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36] 논문 The Economic Aftermath of Resource Booms: Evidence from Boomtowns in the American West 2014-10-01
[37] 논문 Mining matters: Natural resource extraction and firm-level constraints https://research.vu.[...] 2019-01-19
[38] 논문 Corruption and development https://www.imf.org/[...]
[39] 서적 The oil curse how petroleum wealth shapes the development of na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40] 논문 Lifting the Natural Resource Curse https://www.globalpo[...] 2003-12
[41] 논문 A meta-analysis of natural resources and conflict 2019
[42] 문서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Politics 2017-06-28
[43] 문서 Natural Resources and Violent Conflict: Options and Actions https://openknowledg[...] World Bank 2003
[44] 논문 Weapons of choice: The effect of natural resources on terror and insurgencies 2016-07-01
[45] 논문 Rule of Law and the Resource Curse
[46] 간행물 Fuelling War: Natural Resources and Armed Conflicts IISS & Routledge 2006
[47] 논문 Resources, Conflict,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frica 2018-02
[48] 논문 Rebel Natural Resource Exploitation and Conflict Duration 2018
[49] 논문 What Do We Know about Natural Resources and Civil War?
[50] 논문 Oil Discoveries, Shifting Power, and Civil Conflict 2015-09-01
[51] 논문 This Mine is Mine! How Minerals Fuel Conflicts in Africa 2015-06-29
[52] 논문 Oil prices and interstate conflict 2015-10-19
[53] 서적 Petro-Aggression: When Oil Causes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54] 논문 Oil and Security: The Necessity of Political Economy https://doi.org/10.1[...] 2021
[55] 논문 Pax Petrolica? Rethinking the Oil–Interstate War Linkage https://doi.org/10.1[...] 2021
[56] 논문 The Hard Power of Natural Resources: Oil and the Outbreak of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2016-04-01
[57] 웹사이트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https://www.sipri.or[...]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16-07-13
[58] 논문 This Mine Is Mine! How Minerals Fuel Conflicts in Africa 2017-06
[59] 논문 Does Oil Cause Ethnic War? Comparing Evidence from Process-tracing with Quantitative Results 2017-07-03
[60] 논문 Poor Institutions, Rich Mines: Resource Curse in the Origins of the Sicilian Mafia https://zenodo.org/r[...] 2015-08-01
[61] 논문 Origins of the Sicilian Mafia: The Market for Lemons 2017
[62] 논문 Gas on the Fire: Great Power Alliances and Petrostate Aggression 2016-08-01
[63] 논문 The Wild West IS Wild: The Homicide Resource Curse https://halshs.archi[...] 2017
[64] 논문 Does Oil Promote or Prevent Coups? the Answer Is Yes
[65] 논문 Curving the resource curse: Negative effects of oil and gas revenue on nonviolent resistance campaign onset 2020
[66] 논문 Natural-Resource Wealth and the Survival of Autocracy 2007-08-01
[67] 논문 The Big Oil Change A Closer Look at the Haber–Menaldo Analysis https://brage.bibsys[...] 2014-06-01
[68] 논문 Mass protests and the resource curse: The politics of demobilization in rentier autocracies 2016-07-27
[69] 논문 The Long-Run Effects of Oil Wealth on Development: Evidence from Petroleum Geology https://mpra.ub.uni-[...]
[70] 논문 Oil and Autocratic Regime Survival 2015-04
[71] 논문 What Have We Learned about the Resource Curse? https://escholarship[...] 2015-05
[72] 논문 Oil, Democracy, and Context A Meta-Analysis 2014-08-01
[73] 논문 Oil and Democracy: Endogenous Natural Resources and the Political 'Resource Curse'
[74] 논문 Oil "Rents" and Political Development: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the Curse of Natural Resources? https://doi.org/10.1[...] 2022
[75] 논문 Economic Crisis, Natural Resources, and Irregular Leader Removal in Autocracies
[76] 논문 Resource Windfalls, Political Regimes, and Political Stability http://eprints.lse.a[...] 2015-08-12
[77] 논문 The Missing Dimension of the Political Resource Curse Debate http://eprints.lse.a[...] 2016-09-08
[78] 논문 Ownership matters: Natural resources property rights and social conflict in Sub-Saharan Africa http://nbn-resolving[...] 2017-11-01
[79] 웹사이트 Why Multinational Resource Owners Incite Social Dissent http://politicalviol[...] 2017-08-31
[80] 논문 A two-step theory and test of the oil curse: the conditional effect of oil on democratization https://figshare.com[...] 2017-09-12
[81] 논문 Cold War Geopolitics and the Making of the Oil Curse 2018-01-01
[82] 논문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Predispositions and Triggers
[83] 논문 Does Oil Hinder Social Spending? Evidence from Dictatorships, 1972–2008 2017-12
[84] 논문 Do natural resources fuel authoritarianism? A reappraisal of the resource curse
[85] 간행물 Lifting the Resource Curse http://www.hoover.or[...]
[86] 간행물 Natural Resources in Latin America: Neither Curse Nor Blessing 2010-06-15
[87] 논문 Oil income and the personalization of autocratic politics https://www.cambridg[...] 2019
[88] 웹사이트 Taxation and Governance in Africa http://www.aei.org/p[...]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2008-04-11
[89] 논문 Oil, Nontax Revenue, and the Redistributional Foundations of Regime Stability 2009-01-09
[90] 논문 Does Taxation Lead to Representation? 2004-04
[91] 논문 Does Oil Hinder Democracy? 2011-06-13
[92] 간행물 Moore, Mick; Unsworth, Sue (2007). IDS Policy Briefing ''How Does Taxation Affect the Quality of Governance?'' http://www.ids.ac.uk[...] 2007
[93] 논문 The First Law of Petropolitics https://foreignpolic[...] 2016-04-25
[94] 논문 A political economy of human rights: Oil, natural gas, and state incentives to repress 2013-04-01
[95] 웹사이트 The Hidden Shame of the Global Industrial Economy http://www.worldwatc[...] Worldwatch.org 2012-07-26
[96] 웹사이트 The Petroleum And Poverty Paradox - Assessing U.S. And International Community Efforts To Fight The Resource Curse http://frwebgate.acc[...] 2012-06-21
[97] 논문 Mining and Local Corruption in Africa https://www.econstor[...] 2016
[98] 논문 Mining and Local Corruption in Africa https://www.jstor.or[...] 2017
[99] 웹사이트 Oil-to-Cash: Fighting the Resource Curse through Cash Transfers :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 Initiatives: Active http://www.cgdev.org[...] cgdev.org
[100] 논문 A Chinese resource curse? The human rights effects of oil export dependence on China versus the United States 2015-10-09
[101] 논문 Do Resource-Wealthy Rulers Adopt Transparency-Promoting Laws? 2016-08-13
[102] 논문 Do Natural Resources Influence Who Comes to Power, and How? 2017-01-10
[103] 논문 Is There a Resource Curse for Private Liberties? 2018-12
[104] 논문 Political Risk, Democratic Institution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2008
[105] 논문 Political Risk, Reputation, and the Resource Curse 2011-05-16
[106] 논문 Democracy,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natural resources https://linkinghub.e[...] 2011
[107] 논문 Oil, Dissent, and Distribution
[108] 논문 Oil, Islam, and Women 2008-02-01
[109] 서적 The Oil Curse http://dx.doi.org/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03-04
[110] 논문 African Mining, Gender, and Local Employment https://www.scienced[...] 2016-07
[111] 논문 Resource Wealth and Women's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in the U.S. States 2016-01
[112] 논문 Male-biased Demand Shocks and Women's Labour Force Participation: Evidence from Large Oil Field Discoveries 2021-01
[113] 논문 A gendered resource curse? Mineral ownership, female unemployment and domestic violence in Sub-Saharan Africa http://link.springer[...] 2019-10
[114] 서적 Inequality and economic growth : do natural resources matter? http://worldcat.org/[...] Birkbeck College, Dept. of Economics 2002
[115] 간행물 Gender and Growth Assessment: Macroeconomic study. Research Report.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DFID) and Canadian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y (CIDA) 2009
[116] 논문 Oil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2015-12-14
[117] 논문 An aid-institutions paradox? A review essay on aid dependency and state building in sub-Saharan Africa https://www.cgdev.or[...] 2006
[118] 논문 Building Leviathan: Revenue, State Capacity, and Governance https://deborahbraut[...] 2002
[119] 논문 Local natural resources and crime: Evidence from oil price fluctuations in Texas 2018-07-01
[120] 서적 Petro-Aggression: When Oil Causes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1] 웹사이트 Petro-Aggression: When Oil Causes War {{!}} Wilson Center https://www.wilsonce[...] 2022-03-01
[122] 뉴스 Petro-aggression: How Russia's oil makes war more likely https://www.washingt[...] 2022-03-01
[123] 뉴스 Analysis- There's a reason Putin can be so aggressive: Oil. https://www.washingt[...] 2022-03-01
[124] 논문 Oil Fueled? The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2013-01-01
[125] 서적 Environment, Scarcity, and Viol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6] 논문 Resource Availability Modulates the Cooperative and Competitive Nature of a Microbial Cross-Feeding Mutualism 2016-08-24
[127] 논문 The life-history basis of latitudinal diversity gradients: how do species traits vary from the poles to the equator? 2002-01
[128] 논문 Population dynamics of mutualism and intraspecific density dependence: how θ-logistic density dependence affects mutualistic positive feedback 2017-02-13
[129] 논문 Mutual Aid a Factor of Evolution. 1903-12
[130] 논문 Succession in Old Pastures of Central Amazonia: Role of Soil Fertility and Plant Litter 2002-03
[131] 논문 Linking Natural Resources to Slow Growth and More Conflict
[132] 서적 Crude Democracy: Natural Resource Wealth and Political Regim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3] 서적 Crude Democracy: Natural Resource Wealth and Political Regim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4] 논문 Does Oil Abundance Harm Growth?
[135] 논문 Commodity Price Volatility and the Sources of Growth
[136] 논문 Institutions and the Volatility Curse http://www.econ.cam.[...]
[137] 문서 http://www.cmi.no/fi[...]
[138] 웹사이트 資源の呪い https://cs2.toray.co[...] 株式会社東レ経営研究所 2014-12-08
[139] 서적 Sustaining Development in Mineral Economies: The Resource Curse Thesis Routledge
[140] 간행물 NBER Working Paper 5398: Natural resource abundance and economic growth http://ideas.repec.o[...] 1995-02-02
[141] 논문 Natural resources,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www.hi.is/~gy[...] Elsevier
[142] 간행물 Natural resources and violent conflict: options and actions. World Bank
[143] 간행물 Natural Resources, Development and Conflict: Channels of causation and Policy Interventions World Bank
[144] 저널 Using Natural Resources for Development: Why Has It Proven So Difficult? 2016-02
[145] 저널 What Have We Learned about the Resource Curse? 2015-05
[146] 저널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Resource Curse https://archive.org/[...] 1999-01
[147] 서적 The Spectator http://www2.scc.rutg[...] null 2019-02-16
[148] 저널 Natural Resource Abundance and Economic Growth 1995
[149] 저널 The Natural Resource Curse: A Survey of Diagnoses and Some Prescriptions http://nrs.harvard.e[...] 2012
[150] 서적 Alaska's Permanent Fund Dividend: Examining its Suitability as a Model Springer 2012
[151] 보도자료 Turning Oil into Cash: How Developing Countries Can Win the Resource Lottery and Avoid the Curse http://www.cgdev.org[...]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15-06-03
[152] 서적 Private Empire: ExxonMobil and American Power https://books.google[...] Penguin 2012
[153] 저널 The Resource Curse http://library.cqpre[...] 2011-12-20
[154] 뉴스 Afghanistan and the natural resource curse http://www.csmonitor[...] 2010-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